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인식 지형 도출 : 심층 인터뷰를 통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 인식 비교

        한빛나라(Beetsnara Han),김혜정(Hyejung Kim),김영욱(Yungwook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이 연구는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은 높은 데 반해 기후변화 대응 행동 실천 수준은 미흡하다는 평가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인식과 행동 간의 불일치를 이해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배경으로서 기존 위험 인식과 해석수준이론을 참조하였고,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인의 기후변화 인식지형을 도출하였다. 특히,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지형을 비교하여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한 공중의 행동 의도 및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변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에서 두드러진 차이는 기후변화 발생 원인과 위험 인식, 대응 행동의 개인적 역량 평가, 정책 이해의 과정 등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일반인과 전문가의 공통적인 부분도 관찰되었는데, 그것은 기후변화에 대한 심리적 거리가 일반인과 전문가를 막론하고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체감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행동 실천과 정책지지를 이끌어내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기후변화 발생 원인과 에너지 정책의 관계를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알리고, 심리적 거리를 좁힐 수 있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 밖에도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 커뮤니케이션이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단서를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that although the public awareness of climate change is at its highest in the Korean society, its responsive practices or action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estimated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is inconsistency between perceptions and behavior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applied risk perception and construal level theory as the frameworks to investigate paradoxical incompatibility about climate change. Specifically, we explored socio-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Koreans’ decision-making processes associated with major energy issues through developing the perceptual maps of laypeople and experts. As a result, several noticeable differences have been captured in following areas: knowledge about the concept and causes of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s, roles of individual people for adaptation,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supporting the policy. Meanwhile, laypeople and experts have also a consensus on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climate change. In the conclusion, we try to enrich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climate-responsive behavioral intentions and support for low-carbon energy policy from socio-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provide various socio-cultur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policy communications.

      • KCI등재

        A STUDY OF CURRENT CONCEPT OF PRE SERVICE TEACHERS ON SUSTAINABLE ELECTRICAL ENERGY IN PANGASINAN LOCAL GOVERNMENT IN THE PHILIPPINES

        Arlyne C. Marasigan(마라시간),Virgilio U. Manzano(만자노),Tetsuo Isozaki(이소자키),Kim, Gun Do(김건도)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1

        인류를 위한 적합하고 믿을 수 있는 지속가능한 에너지개발 목표는 2015년 UN보고서에서도 주요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나라에서 물, 공기 오염을 포함,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화석연료를 주에너지로 사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문제 해결에 접근하는 단계로서, 필리핀 Pangasinan 지방 공공교육자들의 지속가능한 에너지전력수급 인식수준과 유용성개념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필리핀 Pangasinan 지역 공공교육자 24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3가지 연구영역 모듈로 구성되었다: (1) 전력생성방법 (2) 전력기술과 환경변화 (3) 지속 가능한 사회. 지속가능한 전력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수준조사를 위해 연구역사 평가도구(Study History Sheet Assessment Instrument)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필리핀 공공준교육자들의 전력에 대한 이해수준은 과학적인 특성과 기전, 사회중요성 정도에 초점 맞춰져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전력과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도 수준은 분명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또한 과거 교사들이 사용한 학습법모듈(Electricity and You)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나 지속가능한 전력수급에 대한 문제의식과 비판적 시각으로 어떻게 학습해 갈 것인가에 대한 이해도는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공공교육자 교육전략에 있어 비판적 시각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수급과 사용방법에 대한 유용성개념교육를 보완교육 차원에서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제안되어지며 추후 국가간 비교연구가 진행된다면 의미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The warrant of affordable, reliable, sustainable and modern energy for all is one of the highlights set forth by the United Nations in a new 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2015. However, still many countries across the globe heavily depend on fossil fuel as major source of energy which inadvertently causes certain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and water pollutions. This study was a step taken towards addressing this environmental issue by studying current concept of pre service teachers on sustainable electrical energy in Pangasinan local government of the philippine using Sustainable Development materials. Twenty-four (24) science pre service teachers belonging Pangasinan local government of Philippin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odu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namely: (1) how electricity is generated; (2) progress in electrical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and (3) the sustainable society. To examine the pre service educator`s perceptions on sustainable electricity, Study History Sheet assessment instrument was employ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re service teacher understanding of electricity before and after the study was mainly focused on scientific aspect and its significance to society. However, no clear connections between electricity and environment were found in the study.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displayed positive impressions on the module (Electricity and You) they studied as well as the learning approaches used by their educators. Nonetheless, deeper understanding about the module including how to learn it critically was not clearly manifested. Hence, This study recommends that remedial teachings be implemented to address the misconceptions of pre service teacher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ustainable electricity from critical perspective. Compression study will be recommended on the future research with many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