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제강점기 표현주의, 혹은 아나키즘적 프로미술론의 행방 - 심영섭 약전

        김종욱 ( Kim¸ Jong-uck ) 심훈선생기념사업회 2023 심훈학보 Vol.1 No.0

        1928년 12월에 결성된 미술단체 ‘녹향회’가 이듬해 5월에 개최한 제1회 녹향전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김주경과 함께 녹향회를 이끌었던 심영섭의 작품에 대해서 찬반양론이 뜨겁게 펼쳐졌다. 심영섭의 작품이 원근법을 따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림 속에 시를 써 넣는 등 실험적인 형식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안석주와 임화는 비판적이었던 반면, 이태준은 호의적이었다. 이러한 상반된 태도는 미술작품을 객관적 세계의 ‘재현’으로 보는 사실주의적 예술관과 예술을 작가의 내면적 세계의 ‘표현’으로 보는 표현주의적 예술관의 충돌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제1회 녹향전이 종료된 후 심영섭은 자신의 예술관을 직접 피력한 「아세아주의미술론」을 발표했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은 이 글을 동아시아의 연대라는 의미로 이해해 왔지만, 심영섭은 기계론적 서구문명(동아시아에서 서구적 근대화를 이룩한 일본을 포함)이 몰락할 것으로 바라보면서 동양에서 발전시켜 온 인간 중심의 문화로 되돌아갈 것을 주장한다. 녹향회의 이념으로 제시되었던 ‘초록고향’의 실제 의미이기도 한 이러한 아세아주의론은 정치적으로 아나키즘과 연결되어 있었다.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아나키즘과 표현주의 미술은 점차 위축되었고, 심영섭은 그림 창작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김용준과 이태준 또한 실험 정신을 내세우기보다 전통으로 회귀한 듯한 태도를 취한다. 하지만, 그들이 회화적 전통으로 인정한 장승업의 작품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의 미학적 척도는 여전히 표현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이렇듯 표현주의라는 맥락에서 이태준을 바라본다면, 1930년대에 모더니스트들의 집단을 이끈 것이나 1945년 이후 문단에서의 인민전선에 가담한 것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exhibition of the ‘Green Hometown Association’, an art group formed in December 1928,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people. In particular, there were mixed opinions for and against the work of Sim Yeongseop, who led the group with Kim Ju-kyung. This was because his works do not follow the law of perspective and are drawn in an experimental form, such as writing poetry in the picture. Regarding this, Ahn Seok-ju and Lim Hwa were critical, while Lee Tae-jun was favorable. These conflicting attitudes originated from the clash between the realist view of art, which views art as a ‘representation’ of the objective world, and the expressionist view of art, which views art as an ‘expression’ of the artist’s inner world. After the 1st exhibition, Sim Yeong-seop published “Art Theory of Asianism”, in which he directly expressed his view of art. In this article, he argued for a return to human-centered culture developed in the East, escaping from mechanistic Western civilization (including Japan, which achieved western modernization in East Asia). This argument, which contains the actual meaning of ‘green hometown’, can be seen as politically connected to anarchism. Entering the 1930s, such anarchism and expressionist art gradually withered away, and Sim Young-seop stopped creating paintings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Kim Yong-jun and Lee Tae-jun also took an attitude as if they had returned to tradition rather than insisting on an experimental spirit. However, as can be seen from Jang Seung-eop’s works, which they recognized as a pictorial tradition, their aesthetic standards were still based on expressionism. If we look at Lee Tae-jun in the context of expressionism,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ew how he led a group of modernists in the 1930s or joined the People’s Front in the literary world after 1945.

      • KCI등재

        沈英燮의 「亞細亞主義 美術論」

        김현숙(金炫淑) 한국미술연구소 2006 美術史論壇 Vol.- No.23

        심영섭은 스스로를 ‘自由魂’이라 명하였으며, 아세아를 평화롭고 조화로운 田園的 이상세계이자 인류 진화의 마지막 완성단계로 보았다. 自我의 자유혼을 謳歌하는 데서는 다이쇼 기의 자유주의와 개성주의를, 아세아를 진화의 마지막 단계로 보는 대목에서는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을 위시한 凡아시이주의를, 초록 동산을 이상사회로 보는 데에서는 農本主義 및 反기계ㆍ反문명주의를, 주관성, 아세아, 농촌을 생명, 자연, 고향이라는 절대 가치로 상정하는 점에서는 절대주의적 사고를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개성주의, 자유주의. 범아시아주의, 농본주의, 절대주의는 오카쿠라 덴신, 白樺派, 니시타 기타로의 生哲學 등과 닿아있다. 생명의 근원이자 ‘오래된 미래’인 아세아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아세아주의 미술론의 이론적 기반은 철학, 종교, 문학, 미술 등 사회 각 분야를 휩쓸었던 다이쇼 生命主義라 하겠다. 다이쇼 생명주의는 과학 이론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베르그송을 중심으로 한 생철학, 톨스토이의 인도주의나 교양주의를 선불교, 노장 사상, 神道 등의 전통 철학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심영섭의 아세이주의 미술론 또한 정치사상의 측면에서는 일본의 아세아주의를, 문예ㆍ사상적 자원으로는 니시타 기타로, 시라카바파 등 다이쇼 생명주의의 다양한 조류로부터 영향을 받았지만 노자의 ‘無爲大道’ 사상에 근저를 두었다는 점에서 독특한 측면이 있다. 아세아주의 미술론의 요체는 노장 철학에 바탕을 둔 대자연의 無量境을 시각화하는데 있다. 대자연에 대한 경외심, 유동 변화하는 생명의 약동과 무상함, 우주적 원리로서의 ‘無’에 순응하는 無爲大道의 사상을 반영하는 미술론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주적 광활함의 顯示인 하늘, 만물의 母胎인 大地, 생명의 運動態를 표상하는 樹木 등 자연에 내재된 생명 의지의 상징적 표현과 ‘無爲大道’의 현시로서 질박미와 천진미를 제시하였다. 심영섭은 아세아를 절대가치로 제시하고 이를 사회 운동, 미술 운동으로 확산하고자 하였으나 관념적이고 이상주의적인 측면 때문에 현실적인 반향을 확보하는 데는 실패하였다. 사상의 전개에서 이론적인 비약과 모순을 드러냈다는 한계도 지적된다. 그러나 아세아주의 미술론 제창을 통하여 書와 文人畵의 현대적 가치를 발견한 점, 자연과 우주의 大調和를 주제로 하여 주관적ㆍ상징적 표현 양식을 제창한 점, 질박미(고졸미)를 높이 평가한 점 등은 선구적인 업적이라 하겠다. 아세아주의 미술론은 이후 이태준, 김용준, 구본웅을 중심으로 한 동양주의 미술론으로 이어지면서 한국 근대미술의 주요 줄기를 형성하였다. Sim Yeong-seop, who named himself as a free soul, saw Asia as a peaceful, harmonious, idyllic, and ideal world, and as the last stage in human evolution. The liberalism and individualism of the Taishow period can be inferred from his eulogy to his own free soul, the Pan-Asianism of Okakura Tenshin and others from his vision of Asia as the last stage in human evolution, agriculturalism, anti-machinery and anti-civilizauonism from his notion of the green hill as an ideal society, and absolutionist thoughts from his perception of subjectivity, Asia, and agricultural villages as embodiments of life, nature and the hometown respectively. Shim's views on individualism, pan-Asianism, agriculruralism, and absolutionism have been Linked with the Life philosophy of Okakura Tenshin, the Shirakaba School, and Nishita Kitaro. His theoretical foundation of a fine arts theory of Asianism-which embraces the concept of a return to Asia, the foundation of life and the "old future"-is based on Taishow's life-ism, a concept embracing all social areas including philosophy, religion, Literature and the fine arts. Sim Yeong-seop upheld subjective, symbolic expressionism as the style for Asianism's fine arts, and as fine arts with modern and global universality. Expressionism here is the expressionism of a broader sense, geared towards a subjective determination to Life. Furthermore, given that while the West only approached expressionist art in modern times, while Oriental paintings of Asia have been consistent with subjective, symbolic expressionism for thousands of years, he claimed Asian culture's superiority over Western culture. Sim Yeong-seop's fine arts theory of Asianism is profoundly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fine arts theory to highlight the universal value of Asia's fine arts. However, he had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will to life that was upheld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sian value, thereby making it absolute, and allowing himself to be prone to be mystical and post-historical. As such, his work is limited in that he does not differentiate his theory from Japanese Asianism.

      • KCI등재

        1920~1930년대 한국의 후기인상주의 수용 양상 : 김주경의 폴 세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애선(李愛善) 한국미술연구소 2019 美術史論壇 Vol.- No.49

        Joseon painters have been seen accepting the Japanese academism, Pleinairisme, but Kim Chan‐yeong, Shim Yeong‐seop, and Kim Ju‐gyeong, who were Western‐style painters and critics of the 1920s, left the argument for postimpressionism. In 1921, Kim Chan‐yeong refers to Matisse as a master of Postimpressionism, second, he divided Impressionism into Pre‐Impressionism that expresses factual descriptions and Postimpressionism that expresses subjectivity, and the latter was seen to be depicted as a confrontation against the former. Third, it is seen that deformation occurs when subjectivity is expressed. This characteristic is also a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Postimpressionism which Shirakaba circle embraced. Postimpressionism, which began to be accepted in the 1920s, when it came to 1930s, was spread widely enough. At the 1930s, Kim Ju‐gyeong determined that Postimpressionism corresponded to Joseon"s socio‐economic level. In other words, unacceptable art is a superstructure that conforms to the mode of production in which capitalism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and so, surrealism and abstract art cannot match up in Joseon"s social situation in which capitalism did not reach this stage.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postimpressionism in the 1920s and 30s was Cézanne, and Kim Ju‐gyeong analyzes the seven characteristics of Cézanne through a 1939 newspaper article. They are textures, clear objects, range of colors, simplification of expressions, color mixing, and simplification, etc. These formal characteristics of Cézanne and the direction of work production make it a human nature based on the nature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