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완전절제 유방암 생존여성의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

        장경문(Kyung-Moon Ch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완전절제술을 받은 유방암여성(총 9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질병관련요인들 및 자존감이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과 심리사회적 적응(우울, 사회기능/관계적응 및 성생활적응)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자존감이 이들의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 유의한 중재 및 매개작용을 하는지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인구학적 및 질병과련요인들보다 이들의 내적 요인인 자존감이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과 심리사회적 적응과 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은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 유의한 중재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존감은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과 우울 및 사회기능/관계적응 간에는 유의한 (부분)매개작용을 하지만,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성생활적응 간에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방암 생존여성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도움제공을 위해서는 다양한 개인 내적 요인들과 이들의 작용과정에 대한 탐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s: One is to investigate how the factors of socio-demographic, disease related, and the self-esteem of the survivors of breast cancer patients with mastectomy treatment we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body change stress and the selected areas of psycho-social adjustment (i.e., depression, social function/relationship, and sex life). The other is to investigate if the patients" self-esteem either moderates or mediates between their perceived body change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otal of 95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ed mastectomy treatm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patients" self-esteem wa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body change stress as well as psycho-social adjustment than their socio-demographic and disease related factors. Secon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body change stress and each of the three areas of psycho-social adjustments studied in this study. It indicates that high self-esteem may buffer the negative effect of body change stress whereas low self-esteem worsens it. Finally,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both of relations between body change stress and depression as well as social function/relationship. However,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 between body change stress and sex life adjustment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found this study suggest that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and help toward the survivors of breast cancer more internal variables and their executive functioning need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research. (Korean J Str Res 2009;17:121∼130)

      • KCI등재

        연령별 복합체력 운동참여가 체력변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아름,최종인,이상현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ge-specific participation in complex force exercise on physical self-concept, stress coping style and physical fit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young people (19 people), middle-aged people (14 people), and old age (16 people). The measuremen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stress coping style according to exercise participation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one-way ANOVA.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age, and in the stress coping method, the social support-seeking coping method was more positive in the youth group than the middle-aged and old-age group. In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the positive change of each group in the chest press, and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dolescence and middle age. Equilibrium changed positively in adolescence and middle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iddle age, and the old age decreased. It is thought that long-term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does not affect physical self-concept,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stress coping style by age. In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it showed improvement, but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measurement variables. Especially in the case of old ag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ogram that can improve balance and flexibility when planning the exercise program. 이 연구는 연령별 복합체력 운동 참여에 따른 체력변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로 청년기(19명), 중년기(14명), 노년기(16명)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측정은 설문지로 실시하여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은 심층면담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체력의 변화는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사회지지·추구적 대처방식이 중년 및 노년집단에 비해 청년집단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운동참여 전·후 체력의 변화에서는 근력에서 집단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유연성은 청년기와 중년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평형성은 청년기와 중년기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중년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노년기는 감소하였다. 장기간의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영향을 가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는 연령 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체력의 변화에서는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연령 및 측정 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노년기의 경우 운동프로그램 계획 시 평형성 및 유연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유방암 생존여성의 신체변화스트레스, 우울 및 사회적 적응에 대한 심리적 탄력성의 조절효과

        장경문(Kyung-Moon Ch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생존여성의 신체변화스트레스, 우울 및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개인의 심리적 탄력성과 유방의 물리적 손상정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개인의 심리적 탄력성이 유방암생존여성의 신체변화스트레스 지각, 우울 및 사회적 적응 간에 조절작용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유방암수술을 받고 항암치료 등 일차적 치료과정이 끝난 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유방암여성 총 190명(완전절제 95명, 부분절제 95명)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우울과 사회적 적응에 대한 심리적 탄력성과 유방의 손상정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여, 개인의 심리적 탄력성이 높으면 완전절제자가 부분절제자보다 우울이 더 낮고, 사회적 적응은 더 높았다.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우울 및 사회적 적응에 대한 심리적 탄력성의 조절효과분석결과는 완전절제집단과 부분절제집단 모두에서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사회적 적응간에는 조절작용이 유의하였지만, 신체변화스트레스와 우울간에는 유의한 조절작용이 없었다. 또한, 우울과 사회적 적응에 대한 심리적 탄력성의 조절작용은 완전절제집단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생존여성의 적응과정에 작용하는 탄력성관련 요인과 극복전략에 대한 탐색이 논의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중년기 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 수준 변화

        김미량(Mi-Lyang Kim),송강영(Kang-Young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중년기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40세부터 50세의 남성으로 일용직, 사무직, 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89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1-way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단계가 높아질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우울의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단계가 높아질수록 우울이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으로 운동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결과 준비단계가 유지단계보다, 계획전단계가 행동단계와 유지단계보다 낮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다. 넷째, 운동변화단계가 높아질수록 우울,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tress of meddle-aged men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As for the study objects, men at the ages between 40 and 50, residing in Seoul and mostly having temporary jobs, office jobs and professional jobs, were surveyed with the questionnaire prepared, and 29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in total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12.0 was used for the processing of the data, while the results were deduced by using explorator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1-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ir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of the study objects, and as a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the stage became higher, their physical self-efficacy became higher as well. Secondly, the level of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of the study objects, and as a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the stage generally became higher, their depression showed lower levels. Thirdly, their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of the study objects, and as a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stage had a lower level of stress than the maintenance stage while the before-plan stage had a lower level of stress than the before-plan stage and the maintenance stage. Fourthly, it was found that as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became higher, their stress tended to decrease while their self-efficacy tended to increase.

      • KCI등재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요가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양육스트레스 및 신체적, 심리적 변화 탐색

        장규리,이윤숙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aternal participation in a yoga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positive changes.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was employed to achieve this objective. Using purposive sampling, nine mothers with no prior yoga experience who had inf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yoga journals. The collected raw data underwen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volving transcription,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resulting in the reconstruction of subthemes, main themes, and overarching themes for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changes in parenting stress, participating mothers found reflective time for self-examination, enabling them to accept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Secondly, yoga postures aimed at relieving physical discomfort and muscle pain translated into efforts to maintain correct posture and perform yoga poses in daily life. Thirdly, in terms of psychological changes, participation in the yoga program became a source of vitality in the participants' lives, alleviating feelings of lethargy. Through complete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hey developed psychological stability. Additionally, the motivation to learn yoga or other subjects led to an enhanced sense of challenge and the pursuit of ultimate life goals and fundamental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