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월송만호와 울릉도 수토제

        신태훈(Shin, Tae-Hoon)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2 No.-

        월송만호는 삼척영장과 함께 울릉도 수토제가 확립된 이후 울릉도 수토가 폐지되는 시기까지 울릉도 수토를 책임진 관직이다. 월송만호로써 울릉도에 간 수토관은 총 25명인데 이들 중 수토시기를 알 수 있는 인원은 전회일, 김창윤, 한창국, 이태근, 이규상, 지희상이 있다. 이들은 경우 울릉도에 대략 4박 5일 정도를 머물며 수토를 거행하였고, 도형(圖形)과 토산물을 비변사에 올렸다. 특히 김창윤과 한창국의 경우는 울릉도 지도에 여정의 이동 경로를 표기하여 나타내었다. 수토관의 임무 중 하나는 울릉도에 잠입한 범금인을 적발하는 것이다. 조선 시대 울릉도는 1403년(태종 3) 이후 공식적으로는 무인도가 되었지만 계속해서 사람들이 들어가 살았다. 이러한 범금인(犯禁人)은 조선 후기가 되면 조직적으로 변모한다. 물주들이 선주와 격군을 모집하고, 이들에게 임금을 지급하였다. 조정에서는 적발하고자 했는데 이들을 적발하는 방법은 황죽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이었다. 울릉도에서 생산되는 황죽은 쉽게 알 수 있을 정도로 눈에 띄기 때문에 이것을 통해 적발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적발된 범금인들에 대해서 채취한 물건을 몰 수 하고 율문(律文) 대로 처벌하였다. 이와 더불어 울릉도에 가는 것을 방조한 것에 대한 책임으로 수토사들을 처벌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수토현황에 오흥량, 안재소, 안광로, 한두석을 추가로 기재하였다. 이들은 기존기록에 수토기록이 남아 있으나 월송만호의 인명이 기재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로 승정원일기의 월송만호 임명기록을 통해 추정되는 인물을 기재하였다. 향후 과제로 수토에 관해서 수토물자의 조달 문제와 삼척과 월송포의 주민들이 수토비용을 어떻게 마련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Wolsong Manho is a government position responsible for search and destroy of Ulleungdo Island until the period discontinue the search and destroy of Ulleungdo Island after established search and destroy system of Ulleungdo Island together with Samchuk Youngjang. There are Heo-il Jeon, Chang-yoon Kim, Chang-gook Han, Tae-geun Lee, Gyu-sang Lee and Hee-sang Ji possible to understand their search and destroy time among all 25 people of the person in charge of search and destroy as Wolsong Manho. They executed search and destroy staying at Ulleungdo Island about five days and four night and submitted the figure and local products to the Office of Border Defense. One of the aim for the person in charge of search and destroy was to uncover the wicked people infiltrated to Ulleungdo Island. Ulleungdo Island in Joseon Dynasty became an uninhabited island officially after 1403, however, the people came in and lived continuously. These wicked people changed as systematically when it became in late Joseon Dynasty. Financiers collected shipowner and fierce force and paid wages to them. The government wanted to uncover them and the method to uncover them was to investigate about yellow bamboo. The yellow bamboo The articles collected were forfeited and punished as the provisions of a criminal code for uncovered wicked people. In addition, the person in charge of search and destroy were punished for the responsibility of abet to come into Ulleungdo Island. Heung-ryang Oh, Jae-so An, Gwang-ro An and Doo-seok Han were filled in to exiting search and destroy status additionally in this study. The people estimated by appointment record as Wolsong Manho in Seungjeongwon Ilgi,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were filled in who were in case not written their name of Wolsong Manho though search and destroy record is remained in existing literature. The study for how to procure search and destroy articles and how the people in Samchuk and Wolsong port prepared the cost for search and destroy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task.

      • 월송포 진성 발굴 의의와 울릉도 수토 출발지 변천사

        윤천수 한국이사부학회 2013 이사부와 동해 Vol.5 No.-

        조선 명종 10년(1555년)에 축성된 월송포 진성은 1970년대까지도 성벽이 비교 적 잘 남아있었다고 전해지지만, 1970년대 이후 주변에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면서 성벽은 대부분 허물어지고 흔적만 일부 남아있는 상태였다. 월송포 진성의 남쪽 일부가 울진군에서 추진하는 망양-직산간 도로 확장공사 부지에 포함됨으로 인하여 추진된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성벽과 문지, 우물 등이 잘 남아있음이 확인되었다. 진성은 해안에 접한 해안평탄면에 형성된 사구의 남쪽 말단부에 구축되어 있으며, 성의 남쪽으로 수로가 연결되어있어 천연의 해자를 이 루는 형태이다. 이는 인접한 울진포영 및 남해안 일대에 위치하는 영ㆍ진ㆍ보성의 입 지와도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성벽은 후대 교란으로 인하여 동쪽 일부가 유실되었으나 지적도상의 지번경계 와 거의 일치한다. 지적도를 참고하여 성의 규모를 추정해 보면 둘레 328.8m 정 도이다. 성벽의 둘레와 문헌기록을 통하여 확인되는 성벽의 높이는 3.1~4.7m 정 도로 추정되며,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성벽의 폭은 6m 내외이다. 성벽의 안쪽 에는 성벽과 동시에 축조된 우물이 잘 남아있었으며, 문지 안쪽으로 다량의 기와 가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조선후기 풍경화에서 보이는 문루에서 흘러내린 것으로 판단된다. 월송포 진성은 인접한 대풍헌 의 현판과 『조선왕조실록』등을 통하여 삼척영과 함께 3년에 한 번씩 번갈아가며 울릉도 ․ 독도 수토를 담당하였던 곳임을 확인하였다. 울릉도 수토는 1693년 안용복의 일본 도해 사건을 계기로 1694년 처음 시작 되어 1895년까지 계속되었다. 수토사의 출발지는 삼척영장과 월송만호가 번갈아 수토관으로 파견되는 관계로 초기에는 삼척부의 장오리진, 울진현의 죽변진, 평해 군의 구산포 등 수토관의 위치와 인접한 지역이었으나, 후기로 오면서 구산포로 고정되었다. 이는 동해의 항로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울릉도과 가장 가깝고, 항해에 해류와 해풍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 구산포임을 파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Wolsongpo Jin castle built in the 10th year of Myeongjong in Chosun Dynasty(in1555) was said to be in tact with the walls of the castle until the 1970s, but since 1970s when modern buildings started to be built around it, most of the castle walls fell apart and now, some of its traces are remained. The excavation research which wa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southern part of Wolsongpo Jin castle was included in the land for the road between Mangyang and Jiksan carried forward by Uljin-gun confirmed that the walls of the castle, munji, well, etc. remained in a good shape. Jin castle was built in the southern tip of the sand dune formed along the flat side of the coast and water pipes were connected to the south of the castle to be the natural moat. This is similar to the nearby Uljinpo young and the locations of young, jin & bo castle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The part of eastern walls of the castle was destroyed during the wars later but they are almost identical with the boundary of the land registration number on the land registration map. Measuring the size of the castle by referring to the land registration map, the circumference is 328.8m. The estimated height of the wall of the castle based on the circumference of castle walls and the written documents is between 3.1 ~ 4.7m and the height of the castle wall confirmed through the excavation is around 6m. Inside the castle walls, the well built along with the castle walls remained in a good shape and the discovery of many roof tiles inside the munji confirms that they are from the gate tower seen in the landscape from the late Chosun. The signboard of nearby Daepungheon and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confirmed that Wolsongpo Jin Castle was in charge of the protection of Ulreungdo and Dokdo for 3 years in turn with Samcheok Young. The protection of Ulreungdo started in 1694 caused by An Young Bok s crossing the sea to Japan to claim the territorial ownership in 1693 and continued until 1895. In terms of the start land of the protection, due to the fact that Samcheok Young Jang and Wolsongmanho were assigned as a protection house, in the beginning, it was close to the area with the location of protection house such as Jangori Jin of Samcheok bu, Jukbyeon Jin of Uljin Hyeon and Gusanpo of Pyeonghae gun but later fixed to Gusanpo. The reason was estimated to be that as the knowledge on the maritime route in the East Sea was accumulated, it was acknowledged that Gusanpo was the one that could use the sea flow and sea wind for sailing.

      • KCI등재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9 No.-

        울릉도와 독도 근해는 신라시대부터 우산국으로 기술되면서, 신라의 영토에 편입되어 있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고려의 영토로 인식되었고, 1141년부터는 명주도의 관리구역이었다. 『高麗史』에 의하면 東界 울진현의 행정구역으로 소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1350년대에 왜구의 침입하면서, 울릉도는 동해안 지역을 약탈하기 위한 중간 거점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강원도를 비롯한 동해안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탈은 계속되자, 울릉도가 왜구침탈의 중간거점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처로 "居民刷出"을 했다. 그런데 이러한 "居民刷出"이 일인사학자들에 의해 조선의 해양정책으로 규정되어 "空島政策"이란 용어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대마도에서는 일본인의 울릉도 이주를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태종은 일본인의 울릉도거주를 허용하는 것은 越境이므로 허락할 수 없다고 했다. 즉 일본인의 이주를 청한 것이나, 越境이어서 안된다고 한 것은 일본이나 조선의 울릉도에 대한 경계인식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울릉도 관리를 위해 "武陵等處按撫使"와 "武陵島巡審敬差官"을 파견하였고, 17세기 말 "안용복사건"을 계기로 搜討制가 제도화되어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결국 "공도정책"이란 있지도 않았고, 오히려 "거민쇄출"도 울릉도를 경영하는 하나의 시책이었다. "居民刷出"을 시행하면서 조선에서는 按撫使 - 敬差官 - 搜討官을 파견하여 울릉도에 판한 도서경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한편 于山國이 于山과 武陵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우산과 무릉이 一島인가, 二島인가 하는 문제이다. 『고려사』나 『세종실록』에는 우산과 무릉이 두 섬으로 기술되었는데, 『신증여지승람』에는 한 섬으로 되어있다. 이 사료는 조선왕조가 동해의 도서에 대해 어떠한 영토인식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설명해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一島說"과 "二島說"의 혼란은 『동국문헌비고』에 의해 완전히 "二島說"로 정리된다. 이는 1696년 안용복 도일사건이후 벌어진 조일간의 "울릉도쟁계"의 결과 나타난 영토인식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于山國은 于山과 武陵이며, 두 섬으로 되어있고, 于山은 독도, 武陵은 울릉도"라는 사실이 모두 증명된다.

      • KCI등재

        조선후기 수토기록의 문헌사적 연구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鬱陵島 搜討에 대한 연구는 1998년, 송병기에 의해 시작된 이래 김호동, 심현용, 유미림, 손승철, 배재홍, 백인기, 김기혁 등에 의해 진행되었다. 이 글은 이들 연구를 종합하여 수토사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전망 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한다. 울릉도 수토는 1694년 8월, 최세철의 예비조사에 의해 시작된 이후, 1894년 종료될 때까지 200년간 지속되었다. 기존의 연구자 모두가 3년에 한번씩 제도화 한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수토사의 派遣次數와 週期性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있다. 또한 搜討官의 임명과 파견 절차에 대해서도 삼척영장과 월송만호의 輪回搜討는 인정하나, 윤회수토의 실상이나 이유, 그리고 출항지와 귀항지, 또한 이들 지역의 현재 위치 등에 대한 검증이나 고고학적 조사는 거의 되어 있지 않다. 수토사의 편성과 역할 등에 대해서도 지역주민의 기여도와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搜討記錄를 통해 볼 때, 수토사의 역할이 倭人探索, 地勢把握, 土産物進上, 人蔘採取 등에 있었음을 염두에 두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가도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출항에서부터 귀항까지의 여정과 경로에 대해서도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 수토기간도 일정치 않고, 수토지역에 대한 실측 및 고증도 필요하다. 그리고 수토사들이 울릉도의 어느 지역에서 무엇을 했는지, 현재의 울릉도 지형·지세를 바탕으로 조사와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울릉도의 일주도로, 항만, 비행장 건설이 본격화되기 이전, 울릉도의 고고, 역사와 지리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계획이 수립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수토관련 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수집과 편찬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토관련 자료로는 수토사실을 기록한 各種 史書 등 古文書, 搜討記, 刻石文, 地圖 및 圖形, 山水畵, 待風軒 史料 등이 있다. 물론 새로운 자료 발굴도 계속되어야 하며, 군사, 지리, 민속, 해양, 해류 등 학제간의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조선후기의 ‘鬱陵島 搜討使’ 파견이야말로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영토라는 명백한 증거의 하나이다. 조선시대, 조선정부와 지역민이 울릉도와 독도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가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이며,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논문(論文) : 조선후기 울릉도 수토제 운용의 실상

        배재홍 ( Jae Hong Bae ) 대구사학회 2011 대구사학 Vol.103 No.-

        Jurisdictional Operation of Inspection of Ulrungdo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Bae, Jae-hong [Abstract] Jurisdictional operation of Inspection of Ulrung-do was officially adopted as the governmental policy in 1694 and was stipulated by law in 1697 and 1698. Based upon this policy, the inspection on this island was conducted every three years with Samcheokchumsa and Wolsongmanho in a full charge alternately. But this inspection cycle was reduced to every two years from the late 18th century, and Samcheokchumsas were exclusively dispatched as the inspectors during the time the inspectors were assigned to a special mission of gathering ginseng. This jurisdictional operation of inspection continued until 1984 even though it had not been performed on a strict regular basis. The inspection team consisted of approximately 80 people of diverse fields needed for sailing and inspection operation under the command of the chief inspector. The inspection was normally performed in April and May, the season that the wind was rather mild, and it took from as short as two days to as long as 17 days. After the 19th century, the inspection team departed at the seaport of Gumijin in a fleet of four navy ships rented from Gyngsang-do with 80-suk of rice loaded. The preparation of manpower and material resources needed for this operation became a heavy burden to Yeongdong officials and general people. Villages in Yeongdong were forced to bear food provisions of as much as 80-suk of rice; in addition, they were demanded to provide with materials for ship building or machinery for sailing. What`s more, they took the burden of all the expenses of rooms, meals or receptions incurred from the time inspection team was preparing for depart. During the inspection period, the seaside villages of Yeongdong were also assigned to be on se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