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치지도 지형지물 분류체계 개선 및 자료사전에 관한 연구

        조우석,이동구,윤영보 한국공간정보학회 200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0 No.3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국립지리원은 1980년대 중반부터 지도 자동제작을 추진하였으며, 1995년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다양한 수치지도 제작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하였다 현재 국립지리원은 1:1,000 1:5,000 1:2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제작 수정하고 있으며, 짧은 기간에 수치지도 제작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관련기술 및 경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수정 및 보완해야 할 사항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수치지도를 제작하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제작자와 사용자에게 수치지도가 지니고 있는 정보의 특성을 명확하게 제공하고 수치지도가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다양한 종류의 수치지도들을 연계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치지도 자료사전(Data Dictionary)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를 분석하고, 기존 수치지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축척 수치지도에 대한 새로운 지형지물 분류체계를 제안하고 축척에 따라 지형지물에 대한 자료사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축척별 수치지도 자료사전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는 다양한 종류의 수치지도와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oward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land, National Geography Institute(NGI, National mapping agency) has been producing national basemap in automated process since middle of 1980's. Under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Development Plan, NGI began to produce digital maps in the scales of 1:1,000, 1:5,000, 1:25,000 since 1995. However, those of digital maps that have been generated under NGIS Development Plan need to be modified and corrected due to lack of technology and experience in making digital maps. In this context, those digital maps generated are currently in great need for improving the data dictionary. It is fully appreciated in previous research that data dictionary will be a key element far users and generators of digital maps to rectify the existing problems in digital maps as well as to maximize the application of digital maps. In this paper, we analyzed existing problems in digital map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interviews with engineers in different fields of geospatial engineering. And then, the existing data dictionary has been redefined and modified. In the line of modification process, a relational matrix was established fur each topographic feature defined in the existing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This paper presents newly proposed data dictionary which conforms to newly defined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from previous research performed by NGI.

      • KCI등재

        수치지도 품질향상을 위한 지리조사 기준 정립

        최석근(Choi Seok Keun),이승기(Lee Soung Ki),조의환(Jo Ui Hwan),박상전(Park Sang Je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3

        현재 제작되고 있는 수치지도 지리조사 기준은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를 기준으로 각종 작업지침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는 과거 종이지도 제작에 사용된 규정을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어 현재의 수치지도 품질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고품질 수지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지리조사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준들이 재검토되어야 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치지도 지리조사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인 지리조사 기준을 정립하므로써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치지도 작성에 관련된 작업규정들을 분석하고, 기구축된 수치지도 속성자료와 지리조사자료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지리조사자들과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합리적인 수치지도 지리조사기준을 제시하였다. Field surveys for the digital map being constructed is being conducted using various work guide books based on the digital mapping internal rule. However, a modification of a rule used for paper map construction is being used for the digital mapping rule, which is causing many problems with the quality of the digital map. Therefore, to construct a high-quality digital map, general standards related to conducting field surveys need to be reviewed, and it's extremely important to construct an accurate digital map based on this. Accordingly, in this study, problems related to conducting field survey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igital map are analyzed in order to establish more suitable field survey standards for constructing an accurate digital map. To this end, work regulations related to construction of a digital map were analyzed, and attribute and field survey data were compared to those of a previously-constructed digital map for analysis. By reflecting opinions of field surveyors and related experts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ore suitable field survey standards for constructing the digital map were presented.

      • KCI등재

        정밀도로지도와 1:1,000 수치지형도의 상호 연계 방안 연구

        서동철,최윤수,이원종,박찬익 대한공간정보학회 2024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2022년 1:1,000 수치지형도의 정확도 기준이 수평·수직 ±30cm로 상향됨에 따라 기존보다 더 정확한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정밀도로지도의 구축과 갱신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밀도로지도와 수치지형도의 동일한 지점 33곳에 대해 위치정확도를 비교·분석하고 각 레이어의 상호호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위치정확도 검증 결과 모두 품질검사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레이어별 매칭을 통해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구축 및 갱신할 수 있는 정밀도로지도 레이어를 도출하였다. 총 14개의 정밀도로지도 레이어 중 ‘차도 구간’, ‘주차면’, ‘차량 방호 안전시설’ 레이어가 수치지도를 통해 구축 및 갱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속구간’, ‘노면선표시’, 그리고 ‘노면표시 레이어’도 일부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수치지형도와 정밀도로지도 간 제작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구축 레이어가 달라 완벽한 호환은 불가능하지만 일부 레이어에 대한 호환은 가능하며 수치지형도의 갱신 주기를 고려하였을 때 경제적 또는 효율적인 정밀도로지도의 부분적인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In this study, as the accuracy standard for 1:1,000 digital topographic maps is raised to ±30cm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2022, w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d update high-precision road maps using the enhanced version of digital topographic map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location accuracy of 33 identical points on the high-precision road map and the digital topographic map, and analyzed the interoperability of each layer. The location accuracy verification results all satisfied the quality inspection standards. Through layer-by-layer matching, a high-precision map layers that can be constructed and updated using a digital map were derived. Among the 14 precision road map layers, the 'roadway section', 'parking surface', and 'vehicle protection and safety facility' layers were found to be able to be built and updated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s. 'Accessory section' and 'road line marking', and ‘road marking’ layers were found to be partially interoperable. As the development purpose of each map differs, complete compatibility of all layers is not possible. However, some layers were found out to be compatible. This, considering the considering the update cycle of digital topographic maps, implies that a more economically and technically efficient partial renewal of high-precision road maps could be accomplished.

      • KCI등재

        항공레이져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수치지도제작 및 정확도 향상 방안

        이현직(Lee Hyun-Jik),유지호(Ru Ji-Ho)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3D

        본 연구는 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3차원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수치지도의 제작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LiDAR 데이터를 이용해 제작된 3차원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향상하고자 한다. LiDAR 데이터를 이용해 제작된 3차원 수치지도를 기존의 1:1,000 수치지도를 기준으로 건물의 객체수와 면적, 도로의 연장과 면적을 비교한 결과 기존 수치지도에 비해 많은 차이를 나타냈으며, GPS 측량 성과를 통한 위치정확도 분석 결과 정확도 기준에서 벗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등고선의 경우 기존 수치지도에 비해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하천경계는 LiDAR 데이터의 특성으로 인하여 물이 흐르는 지역에 대한 부분적인 경계에 대한 레이어의 제작은 가능하지만 실질적인 하천경계 레이어의 제작에 어려움이 나타났다. 정확도 향상을 위해 LiDAR 데이터와 함께 취득되는 디지털항공사진영상를 이용하여 수치정사영상을 제작하여 이를 참조자료로 활용하여 수치지도 제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건물과 도로는 제작 시 발생했던 문제점을 보안하여 건물과 도로의 완전성과 위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었다. 또한 LiDAR 데이터만으로 제작할 수 없었던 하천경계에 대한 3차원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digital map produced using LiDAR data. For the purpose, we derived the problems come from when we produce digital map, and suggested the methods to solve it by analyzing the accuracy of the three-dimensional digital map produced from the LiDAR data. We Compared the buildings and roads on the three-dimensional digital map from the LiDAR data to the existing 1:1,000 digital topographic map. In comparison to the existing digital topographic map, quite differences are appeared on the numbers and areas of the buildings and the length and areas of the roads. The result of the analyzed positional accuracy by GPS surveying is showed too that it is deviated from the accuracy criteria. In case of contour, it was proved more accurate than existing digital topographic map. It is unavailable to make the substantial layer of the boundary on river except for the current flowing area. It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DAR data. We produced digital ortho image using digital aeriel photo image acquired with the LiDAR data and performed the experiment to make digital map utilizing the digital ortho image subsidiarily. After the experiment, the problem that buildings and roads are not formed completely in mapping is solved and the positional accuracy is could be raised. And we could have produced the three dimensional layer of the boundary on river, that couldn't be done with only LiDAR data.

      • KCI등재후보

        일반측량성과도에 의한 수치지도의 수시갱신방법 연구

        이상길(Lee Sang Gil),권재현(Kwon Jay Hyoun),전재한(Jeon Jae Ha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수치지도의 수정갱신은 NGIS사업으로 구축한 수치지도의 활용성 향상과 최신성 유지, 확보 차원에서 추진되어 전국 5개 권역 1권역씩 5년 주기로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을 이용해 수치지도를 일괄 갱신해오다가, 3차 NGIS시행과 더불어 갱신방안도 대도시 2년, 기타지역 4년 주기로 하여 일괄갱신과 부분, 수시(실시간)갱신을 병행하는 방안으로 개선되었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지리정보(도면, 성과도, 지도 등)를 수치지도의 정 위치에 결합할 수 있는 매칭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점 기반의 매칭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일반측량성과도(도면)를 수치지도 수정갱신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측량성과도는 측량법상 일반측량업에서 실시하는 토지의 민간 개발행위 인허가시 실측되는 도면으로 개발시점에 실측된다는 최신성과 개발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콘텐츠(도로, 건물, 배수관, 맨홀 등)를 포함하는 활용성 만족으로 수치지도의 수시갱신자료로 활용됨에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enewal update of the digital map constructed through NGIS has been conducted for the enhancement of usage, maintenance so that the latest data is guaranteed. The total update has been done every five years for five regions of the country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satellite images. By launching the third phase of NGIS, the updating plan was changed from total to total or partial update including the real time update scheme. Furthermore, the update period was improved from five to two years and four years for a large and a small city,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a matching technique which combines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drawing map, surveying drawing and map) with exact position on the digital map.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atching algorithm based on central point and suggested a method which uses general surveying drawing for revision/update of the digital map. The general survey is conducted when a civilian development on lands are approved. Thus, the outcome from the survey, which is the general survey drawing, contains the latest various contents such as road, building, water pipe and manhole. A consistent and efficient method using the general survey drawing for near real time update of the digital map by applying the developed matching algorithm is presented.

      • KCI등재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 관리를 위한 OSID 구조 및 시스템 체계 연구

        조준래,신상철,권찬오,진희채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9 No.3

        A study about UFID for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digital map has achieved much progress through the Kore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But it is ture that the content and process is too complicated to be applied. For overcoming this and to make harmonious management of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we need to develop the method which has the unique feature identifier on the digital map fo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So, we introduce OSID(Object-based Seamless digital map IDentifier) on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and apply OSID in the system to manage the digital map. This study is based on the OSID basic structure which is applied in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and design the structure of OSID system to maintain and manage each feature of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수치지도의 관리 및 운영에 필요한 유일식별자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국토지리정보원을 통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그 내용과 과정이 복잡하여 현실적으로 잘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고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의 원할한 관리를 위하여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 유일식별자인 OSID의 도입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 관리체계에 OSID를 적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에 적용할 OSID의 기본구조를 기초로 하여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 관리 OSID 시스템 체계를 설계하고, 수치지도의 관리 및 운영상 필요한 유일식별자를 부여하는 방법을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에 적용하고자 한다.

      • 수치지도 제작 지리조사 기준 분석

        이승기(Lee Soung Gi),박명진(Park Myung Jin),박상전(Park Sang Jeon),최석근(Choi Seok Ke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0

        수치지도의 지리조사 기준은 80년대 후반 수치지도 전산화 작업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시작되면서 건설부령으로 작성되어 몇 차례 수정이 되어 온 수치지도작성작업규칙과 내규에 의하여 작업되고 있다. 그러나 수치지도작성 작업지침은 수치지도 1.0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수치지도 2.0과 기본지리정보 등이 종이지도에서 수치지도 개념으로 제작환경변화가 발생하여 현재의 현지조사 기준에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치 지도의 지리조사 작업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작업규정, 속성자료, 관련자 설문 및 면담을 수행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적합한 수치지도 지리조사 작업기준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수치지도 지리조사 자료의 표준화 및 활용

        이현직(Lee, Hyun Jik),유지호(Ru, Ji Ho),이혁호(Lee, Hyuck H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3

        현재 수치지도를 비롯한 모든 공간정보의 속성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직접적인 조사를 수행하는 지리조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리조사는 수치지도에서 표현하는 모든 지형지물에 대한 현장 직접조사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리조사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또한 현재의 지리조사는 지리조사원도(종이지도)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한 조사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조사에 많은 인력, 경비, 시간이 소요 되고 있다. 최근 일부 지리조사를 휴대용 및 차량용 MMS(Mobile Mapping System)를 이용하여 전산화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직접적으로 수치지도의 제작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리조사 기준 및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내·외 공간정보 구축 및 서비스 기관의 지리조사 방법을 조사하여 수치지도 제작에 적합한 지리조사 기준 및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수치지도 제작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치지도의 최신성 및 신뢰도 향상과 지리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증대시켜 전국기반 수치지도의 활용성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The method regarding obtaining various kinds of attribute data of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that of digital map, is normally restricted to Geographic survey that deals with in-field surveys. Geographic surveying for drawing digital map, however, require much effort due to the fact that a surveyor has to characterize geographic features individually in the field. Not only does the Geographic survey cover large area, but also its need for manual drawing and surveying using Draft map makes it more expensive and time-consuming. Though some recent Geographic surveys take advantage of MMS(Mobile Mapping System) to collect computerized information, there are inevitable limits in creating digital map with such data.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problems in current Geographic surveys and suggest adequate methods and standards for Geographic surveys by researching the methods of domestic/international service organizations that deal with establishing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therefore will aim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creating digital map and Geographic survey, which would ultimately maximize the applicability of pan-national digital map by improving reliability of digital map and upgrading the utilizability of Geographic survey data.

      •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 관리를 위한 OSID 구조 및 시스템 체계 연구

        조준래,신상철,권찬오,진희채,Jo, Jun-Rae,Shin, Sang-Cheol,Kwon, Chan-O,Jin, Heui-Cha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3

        수치지도의 관리 및 운영에 필요한 유일식별자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국토지리정보원을 통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그 내용과 과정이 복잡하여 현실적으로 잘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고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의 원활한 관리를 위하여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 유일 식별자인 OSID의 도입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 관리체계에 OSID를 적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에 적용할 OSID의 기본구조를 기초로 하여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 관리 OSID 시스템 체계를 설계하고, 수치지도의 관리 및 운영상 필요한 유일식별자를 부여하는 방법을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에 적용하고자 한다. A study about UFID for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digital map has achieved much progress through the Kore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But it is ture that the content and process is too complicated to be applied. For overcoming this and to make harmonious management of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we need to develop the method which has the unique feature identifier on the digital map fo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So, we introduce OSID(Object-based Seamless digital map IDentifier) on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and apply OSID in the system to manage the digital map. This study is based on the OSID basic structure which is applied in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and design the structure of OSID system to maintain and manage each feature of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 KCI등재

        차세대 수치지도 수시갱신 시스템의 활용성 및 경제성 분석

        이현직(Lee Hyun Jik),박기석(Park Ki Suk),박청(Park Ch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2

        차세대 수지지도 수시갱신 시스템은 효율적인 수시갱신 체계를 구축하고 데이터의 최신성을 유지하며 고품질의 서비스와 효율적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기존 도엽단위의 수치지도 뿐만 아니라 객체 기반 연속 수치지도의 수시갱신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이 설계되었으며, 이에 따라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수치지도 수시갱신 시스템의 활용 방안 제시 및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차세대 수치지도 수시갱신 시스템에 대하여 객체기반의 연속 수치지도 및 도엽단위 수치지도의 갱신 실험을 수행하여 시스템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토지리정보원을 대상으로 시스템 도입에 따른 비용 및 편익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차세대 수치지도 수시갱신 시스템의 경제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Next Generation Digital Maps on demand Updating System is a system for setup of efficient on-demand updating system, keeping up-to-date data and conducting high-quality service and efficient management. The system is designed that object-based continuous Digital Maps may have on-demand updating available, as well as the exiting feature-based digital maps, and the relevant development is being done. This study presented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related to the system operation, by means of implementing object-based continuous Digital Maps and feature-based digital maps updating test, for the next generation digital maps on demand updating system, in order to contribute to present plans to apply next generation digital maps and to secure competitiveness. And, for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maps on demand updating system, this study analyzed expenses and benefit resulted from introduction of on demand updating system for 1:5,000 digital maps, intended for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the land category which have an effect on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and it using GIS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