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신영희(Shin, Younghee),이혜정(Lee, Hyejung)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수준을 알아보고, 성공적인 노화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며, 또한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에 따른 취약 그룹의 특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대구의 일 동사무소에 등록된 노인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설문지 면접을 마친 총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에 동의한 노인은 면담자가 직접 노인 가구를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공적인 노화, 우울, 신체적 기능상태, 만성 질환 수, 그리고 친구와의 접촉 빈도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일 도시의 노인에서 남성, 고학력, 배우자와 사별하지 않은, 그리고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높았다. 반면에 우울정도가 심하거나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낮았다. 또한 신체기능과 자가 건강 평가수준이 높거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친구와의 교제가 많을수록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높았다. 우울은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에 따른 취약그룹을 분류하는데 일차적으로 중요한 결정 요인이었으며,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가장 낮은 노인 그룹은 우울정도가 심하고 신체적 기능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반대로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우울정도가 약하고 신체적 기능상태가 좋은 노인이었다. 우울과 만성질환은 노인이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낮은 그룹의 공통적인 특성이었으므로 노인의 우울과 만성질환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제공이 중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는 재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of older people living in a city, (2)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with successful aging, and (3) to identify a risk group for successful aging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ART) analysis. One hundred eighty seven older people (>65years) participated in the cross-sectional survey. Trained interviewers collected data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demographic information, Korean geriatric depression score, activity of daily living(ADL),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and Young's successful aging instrument in subject's home. A CART analysis split subjects into ten homogeneous small groups based on five determinant factors. Older people who are male, with higher education, living with family, and not receiving Medicaid showed better scores in successful aging than their counter parts. Depression was a strong primary determinant for successful aging. A risk group for successful aging of older people was identified by depression and IADL. An intervention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and to improve physical function of older people can be developed to promote successful aging of older peopl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an assessment of depression to develop the policies for older people welfare.

      • KCI등재

        성공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비교

        지혜은 ( Ji Hye-eun ),박경숙 ( Park Kyung Sook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8 사회보장연구 Vol.34 No.2

        고령시대에 접어들면서 노인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가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체계학적 관점과 젠더관점에 의거하여 성공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 요인들에 대해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성공적 노화에 대해 Rawe & Kahn의 정의를 사용하였고, 2014년 제5차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226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성과 여성노인 모두 인지·심리적 영역에서의 성공적 노화 비율이 타 영역에 비해 낮았고, 여성노인은 모든 영역에서 남성노인보다 성공적 노화 비율이 낮았으며, 특히 인지·심리적 영역에서 두 집단 간 격차가 컸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두 집단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두 집단 모두 미시체계 요인들 대부분이 성공적 노화의 각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중간체계와 거시체계 요인들에 있어서는 성공적 노화 영역별로 각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배우자가 있는 것이 전반적 성공적 노화에 공통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자녀의 동거여부는 남성노인의 경우 인지·심리적 영역에, 여성노인의 경우 신체적, 사회적 영역에서 성공적 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거시체계에서 노후생활 국가지원 기대감은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두 집단별로 성공적 노화를 위한 정책방향이 달라야 함을 제안하였다. As Korean society entered into an aged society, positive perception of the elderly had begun to be a heightened topic of foc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uccessful aging and its micro, mezzo and macro level determinants between old women and men based on the ecological and gender perspective. The study used Rowe and Kahn’s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consisting of three dimentions: physical, cognitive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4,226 old people(age 65 and above) were analyzed from the 5<sup>th</sup>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201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successful aging in cognitive and psychological dimension was the lowest for both genders. In addition, old women showed a lower rate of successful aging compared to old men in all three dimentions with the biggest gap in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dimention. There we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successful aging between the two groups. Most of the micro factors affected successful aging significantly for both genders. However, the mezzo and macro factors affected on old men and women differently. Having a spou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general successful aging for both genders. Living with childre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ognitive and psychological successful aging for old men and negative influence on physical and social successful aging for old women. Expectation of government support for later life onl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of old women. The study further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successful aging respective to gender.

      •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직무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재풍 ( Jae-pung Lee ),유순덕 ( Yu Soon Deok ),박희숙(논평)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들의 직무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고 있는 영향과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 즉 변수에 따라 참여노인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짐에 따른 관계성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0 프로그램과 AMO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 사회적 자본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직무만족의 요인 중 직무자체 만족과 동료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고 있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의 요인 중 참여, 신뢰, 규범이 정(+)의 영향력을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직무만족은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자본이 직무만족과 성공적 노화의 미치는 영향의 인과관계에서 정(+)적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직무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만족은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elderly ' And AMOS 22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have an effect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successful aging, job self - satisfaction and peer satisfac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showed that participation, trust, and norm among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have positive (+)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rough social capital. Therefore, social capital is influenced by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successful aging The positive (+) partial mediating effect appears to exist in the caus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job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ful aging and that the social capital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successful aging. Also, job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uccessful aging through social capital.

      • 부부 대상 성공적 노화 연구 동향 분석

        양외금(Yang, Oe-Geum),정민자(Jung, Min-Ja)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1 부부가족상담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황혼이혼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부부 대상 성공적인 노화의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노인 부부 상담이나 교육 등에 성공적 노화의 어떤 요인들이 검토될 수 있을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 내용은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 이후를 시작으로 지난 20년 동안 공식적으로 발표된 부부 대상의 성공적 노화 주제어를 검색한 결과 관련 연구 중 최종 30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동향 분석하였다. 출판연도 및 출처, 관련 요인,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주제 분석하여 내용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발표연도는 2004년 첫 등장으로 2010년 5편, 2012년 7편. 2014년 5편, 2019년 2편 그 외 연도에는 각각 1편씩 연구 발표되었다.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유형 분석결과는 복수 응답 처리하여 총 64개로 나타났다. 그 결과, 긍정적 심리적 요인(9개, 29.7%), 가족 요인(18개, 28.1%), 인구통계학적 요인(9개, 14.1%).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8개, 12.5%), 행동, 신체적 요인으로 모두(7개 10.9%), 부정적 심리적 요인으로 모두(3개, 4.7%)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 대상 성공적 노화 연구 방법과 상세연구 방법으로 양적 연구 방법(83.3%)과 회귀분석(51.7%)이 제일 높은 빈도수가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 연구 대상자로 노년기(78.1%)가 가장 많으며 중년기(12.5%), 청년기(6.3%), 장년기(3.1%) 순이였다. 연구 주제 분석결과 부부 대상 성공적 노화의 연구 주제 동향을 살펴보면, 성공적 노화 규명에 대한 주제는 총 21개로 높은 빈도(70%)를 나타내었고 성공적 노화 방안이 총 9개로 30%의 빈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부부 교육이나 황혼이혼 등에 대한 전문 부부 상담 등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함과 동시에 부부 대상 성공적 노화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literature of successful aging for couples at a time when twilight divorce is increasing,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find out what factors of successful aging can be considered in the future.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2000s when studies on successful aging began in earnest, and after searching for successful aging topics for couples officially published over the past 20 years, the final 30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years of publication, sources, related factors, research methods, subjects, and topics to analyze the trend of contents. The year of the announcement was the first of its kind in 2004, with five in 2010 and seven in 2012. Five films were published in 2014 and two in 2019, respectively. The type analysis results for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resulted in a total of 64 responses processed. Consequently, there were nine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29.7%) 18 family factors (28.1%), nine demographic factors (14.1%), eight social/environmental factors (12.5%), seven behavioral/physical factors (10.9%), and three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4.7%). Also, as the methods of research on successful aging for married couples and the detailed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83.3%) and regression analysis (51.7%)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Most subjects of studies of successful aging were in the old age (78.1%), followed by middle age (12.5%), youth (6.3%), and late middle age (3.1%).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s, to examine the trend of the research topic of successful aging for married couples, 21 studies had a topic on the investigation of successful aging at a high frequency of 70%, and nine had a topic on the measures for successful aging at a frequency of 30%.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epth access to marital education or professional marital counseling for twilight divorce, etc. was required, while discussing the main implications of successful aging studies for couple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후보

        퇴직 공직자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련 변인 연구

        박남희 ( Park Nam Hee ),김옥희 ( Kim Ok H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퇴직 공직자의 정신건강, 사회활동 참여, 성격강점, 자아통합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출신 퇴직공무원 340명의 자료를 SPSS WIN 19.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 사회활동 참여, 성격강점, 자아통합감, 성공적 노화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먼저, 정신건강은 사회활동 참여, 성격강점, 자아통합감, 성공적 노화와 부적 상관이 있고, 사회활동 참여는 성격강점, 자아통합감, 성공적 노화와 정적 상관이 있다. 성격강점은 자아통합감, 성공적 노화와 정적 상관이 있고, 자아통합감과 성공적 노화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퇴직 공직자의 성공적 노화와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정신건강은 자아통합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활동 참여와 성격강점은 자아통합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통합감은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정신건강, 사회활동 참여, 성격강점과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 퇴직 공직자의 정신건강과 사회활동 참여, 성격강점은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퇴직 공직자의 성공적 노화를 위해서는 자신의 삶을 의미있게 통합할 수 있는 자아통합감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정신건강을 유지하면서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성격강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healthiness,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personality strengths and sense of self-integrity, and successful aging. The survey answers from 340 retired public offic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PSS WIN 19.0 and AMOS 19.0. The research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healthiness,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personality strengths, self-integrity and successful aging are meaningful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healthiness and the other factors lik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personality strengths, self-integrity and successful aging. A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and personality strengths, self-integrity and successful aging. Also Personality strength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integrity and successful aging. Finally it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integrity and successful aging. Second, the structured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the other factors shows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healthiness and self-integrity and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and personality strength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integrity. Self-integrit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ccessful aging. Finally self-integrity has been proved to be a good meditator between psychological healthiness,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personality strengths and successful aging. It was shown that the other factors boost self-integrity, which can lead to successful aging in indirect ways. It means that we need to focus on retired public officers` self-integrity for their successful aging.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ir self-integrity should be boosted for successful aging and meaningful integration of life and various kinds of programs which can improve their health,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personality strength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

        정홍인(Jeong, Hong I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본 연구는 중장년에게 있어 성공적 노화의 예측요인으로 입증된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중장년에게 의미있는 성공적 노화의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대표변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O(http://kind.krt.co.kr)에 등록된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1.0, Mplu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는 RMSEA=.059, TLI=.932, CFI=.944로 적합도 지수의 기준값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지지만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며 인지기능과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중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중장년의 성공적 노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성공적 노화에 있어 기존 선행연구와 배치되는 결과이며 생애주기에 따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시사한다. 즉, 중장년은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며, 일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과 의미를 확립하고 있음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를 촉진시키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상황적 맥락이 반영된 중장년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모형을 탐색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tween the successful agingrelated predictive factors and the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 aged office.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ch a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confirmed by the existing literatu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middle aged office employees, who are generally defined an age group from 40 to 60.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argeted to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registered to securities, KSDAQ, and KONEX in Korea. SPSS WIN 23.0 and AMOS 21.0, and Mplus 6.12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First,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was appropriate as RMSEA=.059, TLI=.932, CFI=.944. Seco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successful aging but cognitive function and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which is a social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

        정홍인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tween the successful aging-related predictive factors and the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 aged office.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ch a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confirmed by the existing literatu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middle aged office employees, who are generally defined an age group from 40 to 60.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argeted to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registered to securities, KSDAQ, and KONEX in Korea. SPSS WIN 23.0 and AMOS 21.0, and M-plus 6.12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First,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was appropriate as RMSEA=.059, TLI=.932, CFI=.944. Seco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successful aging but cognitive function and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which is a social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장년에게 있어 성공적 노화의 예측요인으로 입증된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중장년에게 의미있는 성공적 노화의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대표변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O(http://kind.krt.co.kr)에 등록된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1.0, M-plu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는 RMSEA=.059, TLI=.932, CFI=.944로 적합도 지수의 기준값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지지만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나 인지기능과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중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중장년의 성공적 노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성공적 노화에 있어 기존 선행연구와 배치되는 결과이며 생애주기에 따라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시사한다. 즉, 중장년은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며, 일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과 의미를 확립하고 있음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를 촉진시키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상황적 맥락이 반영된 중장년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모형을 탐색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김인숙 한국차학회 2023 한국차학회지 Vol.29 No.3

        초고령 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문제를 극복하고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의 삶을 위한 성공적 노화를 영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시 소재 S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들 중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 참가자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점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성공적 노화 점수 사전평균은 3.62 (SD 0.32) 사후평균은 3.84 (SD 0.24)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공적 노화를 구성하는 각 하위영역 별로 자율적 삶점수는 사전평균 3.90 (SD 0.28) 사후평균 3.99 (SD 0.24), 자기완성지향 점수는 사전평균 3.28 (SD 0.62) 사후평균 3.50 (SD 0.46), 적극적인 인생참여 점수는 사전평균 3.72 (SD 0.42) 사후평균 3.96 (SD 0.30), 자녀에 대한 만족 점수는 사전평균 3.76 (SD 0.36) 사후평균 3.90 (SD 0.42), 자기수용 점수는 사전평균 3.73 (SD 0.31) 사후평균4.03 (SD 0.29), 타인수용 점수는 사전평균 3.30 (SD 0.69) 사후평균 3.63 (SD 0.40)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수준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할 수 있다. In a super-aging society,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help the elderly lead a healthy and happy life and to overcome their problems with a proactive and positive response. Accordingly, a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was developed to promote successful aging among the elderly.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10 men and women aged 65 or older who used the S Senior Welfare Center in P city. The successful aging scale scores of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s per the results, the overall successful aging score pre-session mean (pre-mean) was 3.62 (SD 0.32) and the post-session mean (post-mean) was 3.84 (SD 0.24), confirm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sub-domain that constituted successful aging, the pre-mean autonomous life score was 3.90 (SD 0.28), and the post-mean was 3.99 (SD 0.24). The self-completion orientation score had a pre-mean of 3.28 (SD 0.62) and a post-mean of 3.50 (SD 0.46). The active life participation score had a pre-mean of 3.72 (SD 0.42) and a post-mean of 3.96 (SD 0.30). The pre-mean of satisfaction with children was 3.76 (SD 0.36) and the post-mean was 3.90 (SD 0.42). The self-acceptance score had a pre-mean of 3.73 (SD 0.31) and the post-mean was 4.03 (SD 0.29). The score of acceptance of other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the pre-mean of 3.30 (SD 0.69) to the post-mean of 3.63 (SD 0.40).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as significantly effectively improve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for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develope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impact on aging.

      • KCI등재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공경배(Kyoung-Bae Kong),모선희(Seon-Hee Mo)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7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간 관계에서 학습몰입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구조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성공적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학습몰입은 성공적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성공적노화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세대의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평생교육 참여동기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학습몰입과 같은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베이비부머 세대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는 시점에서 핵심적인 인력으로 부가될 것이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베이비부머 세대 교육의 운용방안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고령사회에 노인의 성공적노화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concerns the successful aging of the baby boomers,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motivation for baby boomer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in their successful aging and structurally verify whether learning engagement show a mediating effect in thei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aby boomer generatio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has a 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Second, the baby boomer generatio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has a direc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Third, learning engagement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has a 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Forth, it was found that learning eng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nd successful aging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As such,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in the impact upon the successful aging of baby boomers, while confirming that capacities such as learning engagement need to be enhanced. Since baby boomers will be added as key personnel at the point of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more active and systematized educational view should be used as approaching method to reinforce the study on national level baby boomers education plan and to improve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In addition, as we become a super-aged society, baby boomers will be recognized as an importance workforce.

      • KCI우수등재

        여성노인의 다차원성공적노화에서 운동의 기여

        백소영(BaekSo-young),윤영길(YunYoung-kil)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1

        본 연구는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의 다차원성공적노화의 구성개념인 신체적건강, 심리적건강, 사회적건강, 개인적성장에 있어서 운동의 기여를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운동에 참여하는 60대 여성노인 7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를 진행하였다. 포토보이스는 포토보이스 액션, FGI, 맥락화, 주제화로 구성하였으며, FGI는 SHOWeD 기법을 응용하여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참여적 데이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은 여성노인의 신체적건강, 심리적건강, 사회적건강, 개인적성장에 기여한다. 신체적건강과 관련해 운동은 여성노인의 신체기능 개선과 만성질환 완화를 통하여 신체적건강에 기여하고, 성공적노화의 토대가 된다. 심리적건강과 관련해 운동은 여성노인에게 긍정정서와 심리적 젊음을 경험하게 해 심리적건강에 기여하고, 심리적 건강은 성공적노화의 동력이 된다. 사회적건강과 관련해 운동은 여성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부부 유대감 회복에 도모하여 사회적건강에 기여하며, 사회적건강은 성공적노화의 버팀목이 된다. 개인적성장과 관련해 운동은 여성노인의 삶의 의미 회복과 자기계발을 촉진해 개인적성장을 견인하고, 개인적성장 경험은 성공적노화의 디딤돌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노인의 다차원성공적노화를 위한 운동의 긍정적 기여와 나아가 운동이 다차원성공적노화 진입의 실천적, 제도적 방안이 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ribution of exercise in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health, and personal growth which are compositions of multidimensional successful aging of elderly women. For this study, seven 60’s elderly women,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various exercises, participated in Photovoice. Photovoice was composed of Photovoice action, Focus Group Interview(FGI), contextualizing, and codifying themes. FGI was conducted based on SHOWeD technique. Also, Participatory Data Analysis(PDA) was used to examine data collected through Photovoice. As the first result, exercise contributes to physical health through an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 and an alleviation of chronic disease and, they become the fundamental of successful aging. Second, exercise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health by making elderly women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and psychological youthfulness, and they become the motive of successful aging. Third, exercise contributes to social health by promoting social interactions and restoring their marital bonds, and they become the support of successful aging. Last, exercise leads to personal growth by recovering the meaning of life and promoting self improvement, and they become the steppingstone of successful aging. This study shows that exercise positively contributes to elderly women’s multidimensional successful aging. Also, it demonstrates a possibility that exercise can be an action plan for multidimensional successful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