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급경기 선수들의 단기간 체중감량이 생리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류현승 ( Hyun Seung Rhyu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시합 전 계체량을 통과해야 하는 체급종목(태권도, 유도, 레슬링, 복싱, 역도) 선수들에게 효과적인 체중감량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국내자료 수집은 RISS(학술연구정보 서비스)를 이용하였고, 국외 자료는 Medline, PubMed, SciELO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단기간 체중감량으로 인한 생리학적 변인(신체구성, 체력, 혈액성분, 산화적 스트레스와 호르몬, 그리고 면역기능)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또한 체급경기 선수들의 체중감량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체급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 대부분은 단기간(3~5일) 체중감량방법(체중대비 3~5%)을 선호하였고, 감량방법은 식이조절과 발한, 운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체중감량으로 나타나는 신체조성의 변화는 체중, 제지방량, BMI에는 감소가 나타나고, 체지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력요소의 변화는 감량기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단기간 체중감량의 경우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근력과 순발력이 일부 감소하였고, 지구력 요소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장기간 체중 감량 시에는 유산소운동능력과 무산소 운동능력, 그리고 다른 체력요소에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혈액성분의 변화에서 체수분 관련 변인들과 스트레스 호르몬, 그리고 면역기능에는 부정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대부분의 연구에서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단기간의 체중감량은 체급경기선수들의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보다 장기적인 체중감량방법을 권장해야 하고, 체중감량 시 탈수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영양학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고, 경량급 선수의 과도한 체급 인하를 방지토록 제도화를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guide line for weight category sports(Taekwondo, Judo, Wrestling, Weightlifting, and Boxing) who have to lose weight to pass weigh-in before games. Reference data was collected from RISS, Medline, PubMed, SciELO and effects of short term weight loss on physiological variables(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components, oxidative stress and hormone, immune function) were analyzed. Also, weight loss procedures for weight category sports athletes were analyzed in detai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weight category sports athletes prefer short term (3~5 days) weight loss methods (3~5%) with dietary control, sweating and exercise. Physical changes caused by the loss in body weight, fat-free mass, and BMI, however, do not affect body fat percentage. Different changes of physical strength element depend on weight reduction period. In short term weight loss metho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muscular strength, and reaction time partially decrease and affect staying power. In contrast, long term weight loss method do not affect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capacity. Furthermore, most of previous studies show that blood component change has negative effect on body water balance, stress-related hormone, and immune function. In conclusion, short term weight loss method negatively affects athletic performance of weight class competition athletic. Therefore, careful long term weight loss methods are recommended with dietetic consideration to prevent dehydration during weight loss period. Excessive weight loss on lightweight athlete should be prevented by institutional basis as well.

      • KCI등재

        The Effect of Different Rest Intervals Between Sets on the Repetition Maximum, Exercise Volum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During 10 RM Barbell Curls

        Kim, Ki-Hong(김기홍)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0RM 바벨컬 운동시 세트간 휴식시간에 따른 반복횟수, 총운동량의 변화, 심박수와 수축기혈압에 근거한 심부담도를 규명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체육을 전공하고 웨이트트레이닝 경력이 12개월 이상이며 의학적 검사결과 건강상 이상이 없는 남자 10명으로 선정 하였다. 바벨컬운동시 세트간 휴식을 30초 휴식조건, 90초 휴식조건, 180초 휴식조건으로 하여 각각 10RM 5set를 실시하였으며, 반복횟수가 1회이하일 경우 더 이상 set를 진행하지 않았다. 바벨컬 운동시 각 세트 수행 직후 곧바로 반복횟수, 총운동량, 심박수, 수축기혈압, 심근부담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반복횟수의 변화는 30초 휴식조건과 90초 휴식조건이 180초 휴식조건보다 반복횟수의 감소폭이 세트 초기부터 크게 나타났다. 둘째, 총운동량의 변화는 휴식시간 30초 휴식조건과 90초 휴식조건이 180초 휴식조건보다 총운동량의 감소폭이 세트 초기부터 크게 나타났다. 셋째, 심박수의 변화는 30초 휴식조건은 4세트 이후부터 심박수가 감소하였고, 90초 휴식 조건과 180초 휴식조건에서는 변화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수축기혈압의 변화는 30초 휴식조건은 4세트 이후부터 수축기 혈압이 감소하였고, 90초 휴식조건과 180초 휴식조건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심부담도의 변화는 30초 휴식조건과 90초 휴식조건에서 1∼4세트까지 유지되다가 이후 세트부터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180초 휴식조건에서는 유의한 심부담도의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 10RM 강도의 바벨컬 운동시 180초 휴식조건이 반복횟수와 총운동량의 측면에서는 가장 적당하였고, 90초 휴식조건은 수축기혈압 상승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으며, 30초 휴식조건은 짧은 휴식시간으로 운동능력발휘를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1세트 반복횟수를 100% 기준으로 하여 반복횟수가 50% 이하로 운동수행이 낮아질 때에 심박수 및 심부담도의 저하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바벨컬 운동시 근비대가 운동 목표라면 세트간 휴식시간은 최소 90초에서180초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엘리트 경보 선수들의 걷기 운동부하검사 프로토콜에 따른 심박수, 환기량, 산소섭취량, 젖산 변화 및 회복률 비교

        성봉주 ( Bong-ju Sung ),이민호 ( Min-ho Lee ),이광규 ( Kwang-kyu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2

        [목적] 본 연구는 엘리트 경보 선수를 대상으로 두 가지 형태의 걷기 운동부하검사 시 나타나는 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피험자는 국가대표 남자 경보선수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배정은 randomized cross-over design으로 1주일 간격으로 총 2회 진행되었다. [결과] 두 가지 걷기 형태의 운동부하검사에서 산소섭취량, 환기량 및 심박수는 시점 간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1~.05). 운동시간 및 산소섭취량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지만(p <.01~.05), 환기량 및 심박수는 나타나지 않았다. 회복기 동안, 젖산의 경우 시점 간 차이는 있었지만(p <.01),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두 가지 형태의 운동부하검사 중 변형된 걷기 프로토콜이 경보선수의 생리학적 변화를 관찰하는데 더 효과적일 것임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port-specific assessment for elite race walking athletes by comparing physiological responses to different types of walking graded exercise test (GTX) protocols. METHODS Six elite race walking athletes completed two types of walking protocols in a randomized cross-over design with 1 week of interval between trials. Exercise time, oxygen uptake (VO<sub>2</sub>), ventilation (VE), and heart rate (HR) were measured in each trial; the lactate level was measured during the recovery period. RESULTS VO<sub>2</sub>, VE, and HR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rials (p<.01~.05). Exercise time (p<.01) and VO<sub>2</sub> (p<.05)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walking protocols; however, VE and H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uring the recovery period, lactate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rials (p<.01), but not the walking protoco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dified walking GXT protocols were appropriate to assess elite race walking athletes.

      • KCI등재

        점증운동부하 검사 동안 걷기와 달리기 형태별 국가대표 경보선수들의 심폐기능평가 비교

        성봉주,이민호,이광규 한국운동생리학회 2022 운동과학 Vol.31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 sport-specific assessment for elite race-walking athletes by comparing physiological responses between walking and running graded exercise test (GXT) protocols. METHODS: Six elite race-walking athletes completed both walking and running protocols in a randomized crossover design with 1 week interval between trials. Maximal oxygen consumption (VO2max), ventilation (VE), and heart rate (HR) were measured throughout and after each trial, and blood lactate levels were collected during the recovery perio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2max, VE, and HR values between the walking and running protocols (p<.001). During the recovery period, VO2max, VE, HR, and blood lact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measurement (p<.001);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walking and running protocol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both the walking and running GXT protocols were inappropriate for assessing elite racewalking athletes. This study suggests that a supplement GXT protocol is required to specifically assess elite race-walking athl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