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한 정도에 따른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복합 비유창성 특성

        김상필,김수형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言語治療硏究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ltiple disfluency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to use this as basic data of disfluency assessment for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moderately and 10 preschoolers who stutter severely living in Gyeonggi-do.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monologue and dialogue tasks. The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of multiple disfluency, type of the combination of multiple disfluency, the type of single disfluency which consists of multiple disfluency, and the frequency of complex disfluency from the collected sample of over 350 syllables of speech. Results: First, within the samples of stuttering children, the frequency of the single disfluency appeared higher than the case of the multiple disfluency. Secon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e types of the combination of multiple disfluency, the frequency of stuttering-like-disfluency (SLD)-type appeared higher than mixed-type and other disfluency (OD)-type. Third, as we have analyzed the types of single disfluency that builds multiple disfluency, the frequency of part words repetition appeared higher than blocks, prolongations, revisions, and interjections. Fourth, the frequency of double complex disfluency appeared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triple complex disfluency.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single disfluency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multiple disfluency with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nd SLD-type was found to be most open. Preschool stuttering children showed the most part-words repetition of multiple disfluency elements, with double complex disfluency showing the highest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isfluency assessment data for preschoolers who stutter.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복합 비유창성 특성을 분석하여 심한 정도와 과제에 따른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독백 및 대화 과제를 실시하여 구어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구어 표본은 350음절 이상의 발화를 선정하여 복합 비유창성의 빈도, 복합 비유창성의 결합 유형, 복합 비유창성 내 개별 비유창성의 형태, 복합 비유창성의 결합 횟수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복합 비유창성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말더듬 아동의 발화 내에서 단일 비유창성의 빈도가 복합 비유창성의 빈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복합 비유창성은 심한 정도에서 유의하였다. 둘째, 복합 비유창성의 결합 유형을 분석한 결과 SLD-type의 빈도가 Mix-type과 OD-type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SLD-type과 Mix-type은 심한 정도에서 유의하였다. 셋째, 복합 비유창성 내 개별 비유창성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단어부분반복이 폐쇄, 연장, 수정, 삽입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넷째, 복합 비유창성의 결합 횟수를 분석한 결과, 2회 결합이 3회 결합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결론: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은 단일 비유창성의 빈도가 복합 비유창성의 빈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복합 비유창성은 주로 병리적 비유창성이 결합된 유형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복합 비유창성을 이루는 개별 비유창성 형태 중 단어부분반복이 가장 많았으며, 결합 유형은 주로 2회 결합이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 자료로 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복합 비유창성 빈도와 유형, 복합 비유창성을 구성하는 개별 비유창성 형태 및 결합 횟수에 대한 기준이 마련된다면, 심한 정도에 따른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취학전 이중언어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연구

        이수복(Soo-bok Lee),심현섭(Hyun Sub Sim),신문자(Moon-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배경 및 목적: 4~6세 이중언어아동(14명)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영어 상황에서 총비유창성 빈도 및 유형별 빈도를 산출하여 단일언어아동 자료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총 28명(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 14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한국어 단일언어아동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놀이상황 및 과제상황에서 총비유창성 빈도, 비유창성 유형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총비유창성 평균빈도는 단일언어아동보다 이중언어아동에서 3배 이상 차이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정상적 비유창성 빈도 역시 이중언어아동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별로는 간투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놀이상황보다 과제상황에서 비유창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중언어아동의 우세언어, 비우세언어에 따른 결과는 비우세언어에서 비유창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우세언어에서도 비유창성이 정상 기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유창성 유형은 우세언어, 비우세언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정상적 비유창성인 간투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표현언어검사 점수가 높을수록 비유창성 빈도가 적게 나타났으며, 생활연령, 제2언어 노출 연령이 어릴수록 비유창성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중언어아동과 단일언어아동의 비유창성 특성을 구분짓는 질적, 양적 차이는 비유창성 유형에 따른 빈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비우세언어에서 관찰된 비유창성은, 언어능력이 비유창성에 영향을 주며 이중언어아동이 언어에 숙달된 정도가 비유창성에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between Korean-English bilingual and Korean monolingual children. Methods: Twenty-eight children (14 bilinguals, 14 monolinguals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C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s consisted of play situation and task situation. Statistical methods of one-way ANOVA and repeated two-way ANOVA were adopt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bilinguals and the monolinguals, and Mann-Whitney was adopt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dominant and the English-dominant bilinguals. Results: Firstly, the scores of total disfluency and normal disfluency of the bilingu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onolinguals. The most frequent type of disfluencies was interjection in both groups. All showed higher score in the task situation than the play situation. Secondly, the bilinguals showed more disfluencies in their non-dominant language. Thirdly, lower CA, younger exposure age to the second language, and lower scores of expressive language test had negative effects on the occurrence rate of disfluency. Discussion & Conclusion: Bilingual and monolingual children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ifferent each other in scores and types of disfluency. The disfluency observed in non-dominant language of the bilinguals indicates that language ability influences on their disfluencies and that language proficiency of bilingual is an important factor in dysfluent speech.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유창성 특성

        신명선(Myung-Sun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언어연령이 정상 범주에 속하는 3~5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이야기 다시말하기와 그림설명하기 과업으로 유도한 발화를 통하여 비유창성 평균빈도와, 비유창성 유형, 구어속도를 측정하고,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비유창성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야기다시말하기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유창성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3세와 4세, 3세와 5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유창성 유형 또한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집단이 일반가정 아동 집단 보다 비정상적 비유창성 유형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과업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구어속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언어적 지원을 시도할 때 편안한 의사소통 환경과 점진적인 발화길이 및 복잡성의 증가를 통하여 아동의 비유창성을 감소시키고 유창성을 강화하는 지도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in 3~5 year-ol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MFC). 24 children(12 MFC, 12 Korean monolingual children, KMC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s consisted of story retelling tasks(SRT)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PDT). In all the tasks, the scores of total disfluency of the MF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KMC. In all the tasks, the frequency of abnormal disfluency of the MF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KMC and the speech rates of the MF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KMC. The disfluency observed in MFC indicates that language ability influences on their disfluencies and fluency support of MFC is an important factor in general language support.

      • KCI등재후보

        내적수정가설(Covert Repair Hypothesis) 검증을 위한 기초 연구

        이은주(Eun Ju Lee),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내적수정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말더듬 성인집단(PWS)과 정상 성인집단(PWNS)의 자발화에 나타난 비유창성을 분석하고, 내적수정가설에 따라 수정유형과 전략유형을 나누어 집단 간에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PWS는 PWNS에 비해 전체적인 비유창성 출현빈도 뿐만 아니라 특히 전형적인(정상적인) 비유창성에서 출현빈도가 매우 높아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내적수정가설에 따라 수정유형을 외적수정(overt error)과 내적수정(covert error)으로 분류하였을 때 두 집단 모두 내적수정횟수가 외적수정횟수에 비해 훨씬 많았으며, 전략유형을 재시작전략과 지연전략으로 분류하였을 때 두 집단 모두 재시작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삽입어는 두 집단 모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비유창성유형이면서 동시에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매우 유의하게 보여준 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기초하여 비유창성이 내적수정의 부산물이며, 많은 경우 내적수정과정에 ‘삽입어’가 동반된다는 사실을 내적수정가설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Covert Repair Hypothesis by comparing disfluencies of PWS(people who stutter) and PWNS(people who do not stutter) in spontaneous utterances. The comparisons were carried out in light of (1) disfluency types, (2) repair types(covert vs. overt repair), and (3) strategy types(restart vs. post- ponement strate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PW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ies of both overall disfluencies and normal disfluencies than those of PWNS, (2) covert repairs were observed more in spontaneous utterances of PWS than PWNS, (3) interjections were the most frequent disfluency type in both PWS and PWNS.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Covert Repair Hypothesis that claims disfluencies are the byproducts of covert repair processes.

      • KCI등재

        아동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요인의 특성

        신문자(Moon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하고 이들 특성들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185명의 2~6세 말더듬 아동(남자 148명, 여자 37명, 남녀 비율 4:1)이었으며, 각 아동의 말더듬 시작 연령, 시작시 비유창성 유형 그리고 말더듬 시작 방식(점진적 vs. 갑자기 발병)으로 나누어 질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말더듬 시작 연령은 2~3세가 가장 많았으며(69.2%), 갑자기 말더듬 시작 방식을 보인 경우가 67%였으며 말더듬 시작시 비유창성 유형으로는 R2 (비정상적 반복)가 가장 많았고 R2+DP (막힘 혹은 연장)을 보인 경우가 다음으로 많았다. 말더듬 시작 연령과 비유창성 유형 간 그리고 성별과 시작방식 사이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2~3세에 말더듬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며 주로 3세 이전에 가장 말더듬발생 위험이 높다는 이전 연구들을 지지하였다. 말더듬 시작 방식으로 갑자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한 경우가 많았고, 시작 시 R2 또는 R2+DP이 시작 시기에도 출현한다는 것 등은 말더듬은 점차적으로 진행된다는 전통적인 주장과 다른 말더듬의 다양성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시작 방식에 따른 남녀 간의 차이는 성별에 따른 다른 특성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stuttering onse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in Korean children who stutter. Methods: Participants were 185 stuttering children between the age of 2 and 6 years (boys 148, girls 37; male to female ratio 4:1). Information regarding participant age, types of disfluencies at the onset of stuttering and manner of stuttering onset (gradual or sudden)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the primary caregiver. Results: Stuttering onset was the most frequent from two to three years of age (69.2%), and stuttering occurred suddenly for 67% of stuttering children. The most frequent type of disfluency was R2 (within-word repetitions) and then R2+DP (disrhythmic phonation: prolongations and/or blocks).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age at onset and type of disfluency and between sex and manner of stuttering onset. Discussion & Conclusions: Current findings support the idea that stuttering generally begins before the age of three.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ttering onset is not uniform.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설명하기 상황에서 나타난 3∼6세 말더듬아동과 일반아동의 수정(revision) 특성비교

        이수복(Soo-bok Lee),임동선(Dongsun Yim),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수정(revision)은 말더듬아동 뿐만 아니라 일반아동에게도 자주 관찰되는 비유창성 유형이지만 발생원인이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는 말.언어능력이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의 3∼6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언어발달과 수정의 관계를 파악하고 말더듬 진단 및 치료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3∼6세의 총 30명(말더듬아동 15명, 성별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그림설명하기 상황에서 (1) 집단 간 총 수정빈도차이, (2) 수정 포함과 수정 비포함 발화의 발화길이와 통사적 복잡성 차이, (3) 언어내적구성요소(음운, 의미, 통사, 기타)와 수정의 교환효과, 그리고 (4) 생활연령, 평균발화길이, 평균구문복잡성, 자신의 평균발화길이와 평균구문복잡성 보다 ‘길고 복잡한 발화’와 수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말더듬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많은 수정빈도를 보였으며, 말더듬아동 집단의 수정이 포함된 발화는 수정이 포함되지 않은 발화보다 발화길이가 유의미하게 더 길고 구문이 더 복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언어내적 구성요소 중 의미적 수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통사적 수정이 많이 나타났다. 말더듬아동 개인별로 살펴보면 자신의 평균발화길이보다 길고 평균구문복잡성보다 복잡한 경우 유의미하게 더 많은 수정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정상적 비유창성인 수정은 언어적 요구가 자신의 능력을 초과하게 되면 나타나며, 언어내적구성요소와 모니터링 능력의 상호작용 결과로 의미적 수정이 말더듬아동에게서 많이 보인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수정이 어떤 언어적 어려움과 연관되어 나타나는지를 파악하여 반영할 수 있는 평가와 치료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자는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P-FA)』에서 말더듬 정도 산출시 정상적 비유창성을 포함시키는 것을 지지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vision between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and to examine the trade-off effects between language and revisions. Methods: Thirty children (15 CWS and 15 age-matched CWNS) aged 3-6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provided language samples (200 syllables) of picture descriptions, which were then analyzed and compared. A total frequency of revision, mean length of utterance (MLU), mean length word of C-unit(MLC-w) with revision and without revision, and revision error types were analyzed. ANOVA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four main finding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vis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ysfluenc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total frequency of revision. Second, the revised utterances of CWS were significantly longer and more complex than were those without revision. Third, both groups more often exhibited semantic error types, followed by syntactic error types. Lastly, CWS exhibited significantly more revisions with longer, more complex utterances. Discussion & Conclusion: Overall, our findings suggested that revisions increase when the language demand exceeds the child's capacity. Additionally, revisions are the product of an interaction between internal language construct components and monitoring ability.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need to consider the internal language construct components related to revision in the course of assessment and treat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