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명집(弘明集)"과 "광홍명집(廣弘明集)"에 보이는 불식육계(不食肉戒) 논쟁

        한수진,신성현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6 No.-

        In this paper, by researching the significant contentions about forbidding the intake of meat, which was issued in the Hong ming ji and the Guang hong ming ji,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is precept in the context of early Chinese Buddhism. In early Chinese Buddhism, the prohibiting of meat-eating was regulated from the very beginning due to the propagation of the Buddhism following the directives of the Mahāyana Sūtra, which was translated faster than the Hīnayāna, with the former advocating this rule. Moreover, in the Southern Dynasties, this precept was irrelevant with Brahmāʼs Net Sutra (梵網經), which the Bodhisattva of Mahāyana supported, but preferred Buddhism based on the Mahāparinirvāṇa sūtra with the tathāgatagarbha theory(如來藏思想). The precept of forbidding the intake of meat was strict in early Chinese Buddhism. There are reasons for this as follows. First, the precept of forbidding meat consumption was compared with the regimen of Taoism, so it was required clarifying the superiority of Buddhism as well as its differences between Buddhism and Taoism. Secondly, the practice of forbidding meat-eating was approved upon the laity claimants of Shen bumie lun(神不滅論) with the Buddhist doctrines of karma and rebirth in the Liang(梁) Dynasty. They emphasized keeping ahiṃsā with karuṇā and maritrī in general. Thirdly, Liang Wu-di(梁武帝), the Emperor of Liang Dynasty, took advantage of the precept of forbidding meat-eating and instituted it as the national law to control the Buddhist saṃgha and the nation. In summation, in Chinese Buddhism, the contention of forbidding meat-eating was one of the most practical regulations of the Mahayana Bodhisattva precepts, of Buddhism especially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era at the Southern. 본 연구에서는 "홍명집"과 "광홍명집"을 중심으로 초기중국불교에서 불식육계(不食肉戒)에 대한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불식육계가 초기중국불교에서 수용·발전되어진 과정과 강조된 원인을 살펴볼 수 있었다. 초기중국불교에서 육식금지는 육식을 금하는 대승경전이 특정 조건하에서 육식을 허용한 소승경전과율장보다 먼저 역출되어 전파됨으로서 불교의 도입단계에서부터 금지 조항으로 각인되어져 수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적어도 남북조시대에 남부지역에서의 육식금지는 대승보살계를 설한 『범망경』의 불식육계와는 무관하였으며, 오히려 여래장사상 계통의 경전들을 전거로 들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초기중국불교에서 불식육계가 강조된 원인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식육계는 불·도·유간의 교섭관계에 있어서 불식육계가 도교의 양생술(養生術)과 비교되는 경향으로 인해 불·도를 구별하고, 불교우위를 주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둘째, 불식육계는 남북조 시대에 양나라의 신불멸론(神佛滅論)을 주장한 재가신도들에 의해 윤회응보론에 입각하여 불살생계(不殺生戒)를 지키고, 자비심을 바탕으로 한 불식육계 실천의 중요성이 설명·강조되고, 이를 불교 최고의계로 인식하였기 때문이었다. 셋째, 불식육계는 양나라 양무제가 승단의 통제와 국가통치 수단을 필요로하는 과정에서, 대승의 여래장사상을 설한 경전을 중심으로 불식육계의 실천을강력하게 주장하고, 이를 법령화함으로서 강압적인 왕권 개입이 있었다. 하지만양무제의 강력한 불교교단의 불식육계 수지 의지는 이후 중국불교가 채식위주의식생활을 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중국불교에서 불식육계 논쟁은 특히 남북조시대에 남부지방에서 불교교리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주목된 보살계였음을 알 수 있었다. 불식육계의 실천은 보살계를 실천하는 중요한 계로 인식되어져 중국불교에서 불식육계를 지키는 식생활문화 형성에 토대가 되었다.

      • KCI등재후보

        불교 불식육계(不食肉戒)의 생태학적 고찰

        남궁선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Compassion in Buddhism can be put into practice through various kinds of methods.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o respect animal‘s life is one of them. The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emphasized in Buddhism is one of the abstinence from taking life (不殺生) which belong to the category of the first of the five precepts (五戒). Human beings, physically characterized by omnivorous animal, sometimes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health only by eating vegetables. To some extent, the sacrifice of animals is inevitable for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However, the point is that how we should have dietary life to observe the precept of the no-killing. That is the very Buddhist - oriented dietary life of abstention from eating meat precept. If the ecological way of eating can be called the co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nature, it is necessary for us to have a careful effort for a ecological way of eating. The intake of meats that is killed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modern agricultural industry should be restrained. The imported fo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also aggravate ecology. All foods that require much energy through production,storage, transportation, and cooking will be the cause of indirect killing. So it will be also the violation of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he ecological eating is not merely confined to the matter of eating meat or vegetable. The eating that causes less killing is the true way of keeping the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hat is the very way of ecological eating. The idealistic eating way that prevents the putting into practice doesn’t helps solving the ecological problem. We should keep the precept of no-killing by practicing “one or two no-meat day” in a week. That is the very way we can minimize killing animal. 불교의 자비는 수많은 방법을 통하여 실천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동물의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불살생의 실천이다. 불교에서 강조되는 불식육계도 결국은 불살생을 위한 계율이다. 그러나 잡식동물이라는 생리적 특성상 인간은 채식만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즉 인류의 생존을 위하여 다른 동물의 생명 희생이따르게 되는 것이다. 문제는 불살생의 실천을 위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식생활을 하느냐이다. 그것이 바로 불교의 불식육계가 지향하는 식사법이다. 타 생명체의 희생을최소화시키면서 자연과 인류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식사법을 생태식이라고 할 때 우리는 생태식을 위한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무수한 직간접적 살생의 과정을 통하여 현대의 산업농이 생산한 육류의섭취는 자제되어야 한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원거리에서 수입되는 식품도 역시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 저장 이동 조리 등의 어느 과정에서든지 에너지가 많이 투입되는 식품은 모두 간접살생의 원인이 되므로 이것 역시 불식육계를 간접적으로 범하는 것이다. 생태식은 단순히 육식과 채식의문제가 아니다. 불살생을 적게 유발하는 식사법이 바로 불상생계를 지키기는참된 식사법인 것이다. 그것이 바로 생태식인 것이다. 이상을 높이 두고 현실의 실천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현 생태문제의 해결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선 1주에 하루나 이틀이라도 무육일(無肉日)을 정하여 고기를 먹지 않는 실천을 해나가야 한다. 그리고 동물의 고통을자기의 고통으로 여겨 나의 식생활에서 얼마나 생태식이 실천되고 있는지날마다의 점검을 필요로 하는 시점이다. 그것이 바로 불살생을 최소화할 수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학술상 수상논문 : 불교 불식육계(不食肉戒)의 생태학적 고찰

        남궁선 ( Gung Sun Na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불교의 자비는 수많은 방법을 통하여 실천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동물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불살생의 실천이다. 불교에서 강조되는 불식육계도 결국은 불살생을 위한 계율이다. 그러나 잡식동물이라는 생리적 특성상 인간은 채식만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즉 인류의 생존을 위하여 다른 동물의 생명 희생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문제는 불살생의 실천을 위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식생활을 하느냐이다. 그것이 바로 불교의 불식육계가 지향하는 식사법이다. 타 생명체의 희생을 최소화시키면서 자연과 인류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식사법을 생태식이라고 할 때 우리는 생태식을 위한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무수한 직간접적 살생의 과정을 통하여 현대의 산업농이 생산한 육류의 섭취는 자제되어야 한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원거리에서 수입되는 식품도 역시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 저장 이동 조리 등의 어느 과정에서든지 에너지가 많이 투입되는 식품은 모두 간접살생의 원인이 되므로 이것 역시 불식육계를 간접적으로 범하는 것이다. 생태식은 단순히 육식과 채식의 문제가 아니다. 불살생을 적게 유발하는 식사법이 바로 불상생계를 지키기는 참된 식사법인 것이다. 그것이 바로 생태식인 것이다. 이상을 높이 두고 현실의 실천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현 생태문제의 해결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선 1주에 하루나 이틀이라도 무육일(無肉日)을 정하여 고기를 먹지 않는 실천을 해나가야 한다. 그리고 동물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여겨 나의 식생활에서 얼마나 생태식이 실천되고 있는지 날마다의 점검을 필요로 하는 시점이다. 그것이 바로 불살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Compassion in Buddhism can be put into practice through various kinds of methods.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o respect animal`s life is one of them. The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emphasized in Buddhism is one of the abstinence from taking life (不殺生) which belong to the category of the first of the five precepts (五戒). Human beings, physically characterized by omnivorous animal, sometimes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health only by eating vegetables. To some extent, the sacrifice of animals is inevitable for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However, the point is that how we should have dietary life to observe the precept of the no-killing. That is the very Buddhist - oriented dietary life of abstention from eating meat precept. If the ecological way of eating can be called the co-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nature, it is necessary for us to have a careful effort for a ecological way of eating. The intake of meats that is killed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modern agricultural industry should be restrained. The imported fo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also aggravate ecology. All foods that require much energy through production, storage, transportation, and cooking will be the cause of indirect killing. So it will be also the violation of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he ecological eating is not merely confined to the matter of eating meat or vegetable. The eating that causes less killing is the true way of keeping the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hat is the very way of ecological eating. The idealistic eating way that prevents the putting into practice doesn`t helps solving the ecological problem. We should keep the precept of no-killing by practicing "one or two no-meat day" in a week. That is the very way we can minimize killing anim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