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후활동으로써 북트레일러의 효과 연구

        최용훈,조현양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3

        This research aims at executing a after reading activity using book trailers for the teenagers, and verifying its effects. For the investigation into its effectiveness, 6 classes on the first grade in a middle school were divided into 3 classes of an experimental group (104 students) and the other 3 classes of a comparative group (100 students), and a preliminary and a post 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measurement tool on creativity and reading attitudes. As the result, the creativity, reading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the selected book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이 연구는 활자와 인쇄매체보다 영상과 음향매체 그리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익숙한 다매체세대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북트레일러를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6학급을 실험집단 3학급(104명)과 비교집단 3학급(100명)으로 설정하여 창의성과 독서태도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하여 발달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선정도서의 독서퀴즈 문제를 활용하여 집단 간 선정도서에 대한 이해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북트레일러를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창의성과 독서태도, 선정도서에 대한 이해도가 비교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공공도서관 북트레일러 서비스가 이용자 행동반응정도에 미치는 영향

        홍명아,이용정,정태선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4

        The study explored the extent of the effect of content book trailer services among the specialized services of the library using the latest technology. The AIDMA&AISAS model was employed to measure the seven reactions of user behavior: Attention, Interest, Search, Desire, Memory, Action, and Share. A total of 287 response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surveys with users who had experienced book trailer services at 13 public libraries located in Incheon.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r behavioral reactions in all of the content genre, including message, conflict, and character, and in particular, the character genre had the highest effects, followed by conflict and message genres. However, the post-hoc tes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res of conflict and character in terms of interest, search, and user satisfact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oretical implications by assessing and confirming the effects of book trailer services of the content genre on the reactions of user behavior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at measured the effects of the book trailer services of the form genre, and furth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book trailer services. 본 연구는 최신 기술을 활용한 도서관의 특화 서비스인 내용적 북트레일러 서비스가 이용자의 독서 관련 행동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IDMA&AISAS 모델을 사용하여 주목(Attention), 관심(Interest), 탐색(Search), 욕구(Desire), 기억(Memory), 행동(Action), 공유(Share)의 7가지 이용자 행동반응을 측정하였다. 인천광역시 소재 13개 공공도서관에서 북트레일러 서비스를 경험한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8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용적 유형인 메시지 활용형, 갈등 활용형, 인물 활용형 모두 이용자 행동반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인물 활용형이 가장 높은 영향을, 다음으로 갈등 활용형, 메시지 활용형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 검정 결과 관심과 탐색, 이용자만족도에서는 갈등 활용형과 인물 활용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외형적 유형의 북트레일러 서비스의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들과 비교할 때, 내용적 유형의 북트레일러를 통해 이용자 행동반응을 측정하고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더 나아가 효과적인 북트레일러 서비스에 위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독서 교육방안 연구

        손혜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design an education model to facilitate reading in an untact era using the blended learning approach. Specifically, after selecting the reading text using the BOOKMATCH strategy, a blended format was applied. This format consists of three steps: Step 1: Real-time online learning + non-face-to-face recorded lecture; Step 2: Real-time online learning; Step 3: Non-face-to-face recorded lecture. This method aimed to minimiz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considering the preferences of learners, while formulating an education plan to help learners develop reading skills in the current untact era. Step 1 helps learners to form an “understanding of the text,” focusing on developing an interest in it and accurately understanding its content by watching related texts of other genres such as movies, dramas, advertisements, and webtoons. Next, the contents are organized using “Wikipedia” while reading the text. Step 2 entails “expanding thoughts,” wherein we share information about the completed text using Wikipedia and expand learners’ thoughts through discourse. Finally, Step 3 is the “expression of thoughts,” which helps learners understand texts as they cross Steps 1 and 2. This step facilitates creative organization of diverse thoughts by internalizing them. At this time, “book trailer” is used as a method of creative expression. Through this process, we observed that the reading educa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adapt to the changes in reading media, satisfy the requirements of readers, and be a useful alternative to promote reading activities. 이 연구는 언텍트 시대,독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독서 교육 모형을 설계하여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구체적으로 북매치 전략을 활용하여 읽을 텍스트를 선정한 후,‘1단계:실시간 온라인+비대면 녹화 강의→ 2단계:실시간 온라인→3단계:비대면 녹화 강의’로 구성된 블렌디드 형식으로 진행하였다.이는 독서 대상자들의 취향과 선호도를 고려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색한 방법이다.동시에 언택트 시대의 흐름과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독서교육 방안을 모색한 것이기도 하다. 먼저 1단계는 ‘텍스트의 이해’단계로,텍스트에 흥미를 갖고,텍스트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이 단계에서는 텍스트와 관련된 영화, 드라마,광고,웹툰 등의 타 장르의 텍스트를 보면서 읽게 될 텍스트의 내용을 예측해본 후,텍스트를 읽으면서 ‘위키피디아’를 활용하여 내용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2단계는 ‘사유의 확장’ 단계로,정리한 내용을 공유하고,담화활동을 통해 사유를 확장해 간다.3단계는 ‘사유의 표현’ 단계로,1단계와 2단계를 거쳐 오면서 텍스트를 이해하고,다양한 사유를 경험한 것을 자기화 하여 창의적으로 정리하는 단계이다.이때,창의적 표현 방식으로 ‘북트레일러’를 활용하였다.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연구에서 제안한 독서 교육 모형이 독서 매체의 변화와 독자의 요구 및 필요에 부합할 수 있고,독서 활동을 촉진하는 데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