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본회퍼와 경건주의

        이상조(Sang-Jo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본회퍼에 관한 연구에서 ‘본회퍼와 경건주의’는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이다. 그에게 있어서 경건주의란 하나님을 최소한 ‘개인적인 것’, ‘내면적인 것’, ‘사적인 것’의 영역에 붙잡아 두려는 시도로서 ‘복음적 그리스도교를 종교로 유지하려고 한 최후의 시도’에 불과했다. 이처럼 본회퍼가 경건주의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았기에 ‘본회퍼와 경건주의’는 학자들 사이에서 지금까지 관심의 대상이 되는 주제가 아니었다. 하지만 본회퍼는 일평생 경건 그룹과 계속해서 접촉하면서 자신의 신학 형성과 신앙적 결단을 취하는 데 지속적인 자극을 받았다. 특히 그는 헤른후트 공동체적인 경건주의적 경건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핑켄발데 신학원에서 생활하는 동안 교도소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심지어는 순교하는 마지막 날까지 헤른후트 형제단의 「매일 말씀 묵상집」(Die Losungen)을 영적 나침반 삼아 말씀과 기도에 집중하였다. 본회퍼와 경건주의 사이에는 차이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본회퍼의 신학적 관점은 그 시대의 경건주의의 관점보다 훨씬 더 넓다. 반면에 본회퍼의 생애는 경건주의적 신앙 색채를 띤 개인과 공동체와의 접촉을 통해 경건주의와 많은 유사점을 보이는 부분도 나타난다. 특히 본 논문은 본회퍼의 생애에 스며든 친첸도르프의 영향을 문헌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본회퍼의 생애와 신학을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In the study of Bonhoeffer, ‘Bonhoeffer and Pietism’ is a topic that has rarely been addressed. For him, pietism was an attempt to hold God at least in the realms of the ‘personal’, ‘internal’, and ‘private’, and was nothing more than ‘the last attempt to maintain evangelical Christianity as a religion’. Since Bonhoeffer viewed pietism negatively, ‘Bonhoeffer and pietism’ has not been a topic of interest among scholars until now. However, Bonhoeffer’s lifelong contact with the pietistic Group continued to stimulate his theological formation and religious decisions. In particular, he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Hernhutic piety. This thesis attempt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Zinzendorf in Bonhoeffer’s life and literature. This study will provide a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Bonhoeffer’s life and theology from multiple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디트리히 본회퍼의 “계시” 이해 -『행위와 존재』(Akt und Sein)의 “actus directus”와 “actus reflexus” 개념을 중심으로

        김성호 ( Sung Ho Ki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6 神學과 宣敎 Vol.48 No.-

        본 소고는 독일의 목사이자 신학자였던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교수자격논문이었던 『행위와 존재』 안에서의 ‘계시’(Revelation) 이해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본회퍼가 『행위와 존재』에서의 ‘계시’ 이해를 ‘행위’(Act) 혹은 ‘존재’(Being)의 지평에서 어떻게 ‘교회’의 지평으로 옮겨가는 지에 대해 ‘actus directus’와 ‘actus reflexus’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본회퍼가 다루는 ‘행위’는 ‘의식행위’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지향성’을 의미했다. 본회퍼에 의하면, 계시는 하나님의 행위 즉 직접적의식행위(actus directus)를 통해서 가능한 것이지, 인간의 행위, 즉 반성적 의식행위(actus reflexus)를 통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본회퍼는 계시를 ‘존재’로 이해할 수 있는가에 대해 교리(Dogma), 심리적 체험, 제도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들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들은 하나님을 인간의 실존과 만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본회퍼에게 계시를 ‘존재’로 이해한다는 것은 인간이 하나님의 계시를 듣는 중에 인간의 실존을 만나고 발견하며 새로운 실존방식으로 변화됨을 인식하는 것이었다. 본회퍼는 계시를 어떠한 존재자가 아니라 실존적 존재로 보았다. 본회퍼는 계시에 관한 의식행위와 존재문제에 대한 담론들을 토대로 계시를 교회 개념에서 해석한다. 그것은 현존재 이해의 장소로서의 교회, 교회 안에 있는 하나님 계시의 존재방식, 교회 안에있는 인간의 존재 방식, 교회 안에서의 인식 문제였다. 본회퍼는 『행위와 존재』에서 결국 ‘계시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서의 교회’를 말하고자 했다. 본회퍼에 의하면, 계시는 인간의 반성적 의식이 아니라, 하나님의 직접적 의식에 의해 주어지는 믿음을 통해 인격공동체에 주어진다. 이 인격공동체는 바로 그리스도를 통해 회복된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공동체적 관계이며, 교회이다. 『행위와 존재』에서 이 교회는 현존재로서의 계시가 이루어지는 곳이며, 인격공동체는 교회 안에 있는 계시와 인간의 존재방식이며, 계시는 교회안에서 설교, 성례전, 신앙과 사랑에 의해 인간의 실존과 관련되어, 공동체적인 형태로 존재한다. 본회퍼에 의하면, 하나님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계시하시며, 실존하신다. 본회퍼는 인간의 인식의 한계에서야 초월적 하나님을 응급처치자로 등장시키는 폴 틸리히(Paul Tillich)를 비판하면서, 하나님은 피안(彼岸)의 하나님을 넘어서서 차안(此岸)의 하나님으로도 실존하고 계심을 강조했다. 본회퍼는 오늘, 여기에서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초월론적이고 인식론적 사고를 통한 계시 이해를 멈추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실존하시는 하나님의 계시를 일상에서 신앙고백하고, 하나님의 계시가 구체적으로 실존하는 교회로 살아가기를 요청한다. This study set out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Revelation” in “Act and Being,” a thesis that Dietrich Bonhoeffer, a German minister and theologian, wrote to obtain the qualification of professor.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examined how his understanding of “Revelation” shifted from the horizon of “act” and “being” to that of “Church” in his Act and Being with a focus on the concepts of ‘actus directus’ and ‘actus reflexus.’ The “act” he dealt with could be understood as a “conscious act”, which meant “directivity”. He maintained that Revelation should be possible through God’s act or a direct conscious act (actus directus) not through a human act or reflective conscious act (actus reflexus). He proposed the possibilities of Revelation being understood as a dogma, psychological experience or institution to see whether it could be understood as “being”. Those possibilities, however, have a limitation of God not being able to meet human existence. For him, understanding Revelation as “being” meant encountering and discovering human existence while listening to God’s Revelation and recognizing a change to a new way of existence. He regarded Revelation as an existential being rather than a certain being. He interpreted Revel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Church based on the conscious acts related to Revelation and discourses about problems of existence, trying to address the issues of the Church as a place of understanding Dasein, ways of existence of God’s Revelation in the Church, ways of existence of human beings in the Church, and perceptions within the Church. In his Act and Being, Bonhoeffer tried to talk about the “Church as a place where Revelation would manifest itself specifically”. According to him, Revelation is granted to the community of humanity through Belief based on God’s direct consciousness rather than the reflective consciousness of man. The community of humanity represents the community relations between God and Man restored through Christ or the Church. In his Act and Being, the Church is the place where Revelation is unfolded as Dasein; the community of humanity represents the Revelation within the Church and the ways of human being; and Revelation exists in the form of community in the Church in relation to human existence based on sermons, sacraments, faith, and love. Bonhoeffer argued that God reveals and exists through Jesus Christ in our daily lives. Criticizing Paul Tillich, who presented transcendental God as an emergency handler only before the conscious limits of man, he emphasized that God exists as Lord of this world beyond the Lord of Nirvana. He demanded that today’s Christians here should stop understanding Revelation through transcendental and epistemological thinking, make a confession of faith in daily life for the Revelation of God that exists through Jesus Christ, and live in the Church where God’s Revelation claims its concrete existence.

      • KCI등재

        독일어권의 디트리히 본회퍼 연구사 및 새로운 연구과제들

        김성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7 No.-

        본 연구는 1945년 4월 9일 본회퍼 사후(死後)부터 최근까지 독일어권에서 진행된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연구사를 다루고, 21세기에 새롭게 요청되는 본회퍼-연구과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본회퍼를 연구하는 신진학자들, 소위 본회퍼 연구 3세대들은, 본회퍼 연구 1세대와 2세대가 추구했던 특정한 본회퍼 이미지에 대한 해석적 이해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크리스티아네 티츠가 올바르게 분석한 것처럼, 전 세계의 본회퍼 신진학자들에게는, 본회퍼의 매우 부유한 부르주아적 배경과 그것이 일부 신학적 개념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앞선 연구자들이 자연스럽게 가지고 있던 역사 및 문화적인 지식을 명확하게 습득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동시에 종전의 생각과 행동을 현대적인 시각에서 평가하는 역사적 배경이 부족하여 시대착오적인 판단을 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그들 앞에 놓인 새로운 도전일 것이다. 지금, 여기에서 요청되는 다양한 본회퍼-연구과제들 중에서도 대규모 주제인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소규모 주제,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적 공동체 교육’이라고 하는 연구과제는 21세기 한국의 교회교육과 사회 대통합을 위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여겨진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research on Dietrich Bonhoeffer in German-speaking countries between his death on April 9, 1945, and recent years and propose new tasks for his research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Today's rising scholars doing research on Bonhoeffer or so-called the third generation Bonhoeffer researchers are making efforts to present and understand the interpretative understanding of specific images of Bonhoeffer clearly sought after by the first and second-generation Bonhoeffer researchers. As Christiane Tietz conducted the right analysis, new researchers on Bonhoeffer around the world have the task of acquiring clearl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knowledge that previous researchers had naturally in order to understand Bonhoeffer's massive bourgeois background and its impacts on some of his theological concepts. Another challenge before them is to be careful to avoid making an anachronistic judgment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backgrounds to assess old ideas and actions from a contemporary viewpoint. Of the various research topics on Bonhoeffer requested here, the small-scale topics based on the large-scale topic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the research task for “Dietrich Bonhoeffer's ecclesio logical community education” are considered as highly important topics.

      • KCI등재후보

        기독교윤리 :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 이해에 관한기독교윤리학적 담론

        김성호 ( Sung Ho Ki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 이해에 관한 기독교윤리학적담론을 다루고 있다. 디트리히 본회퍼의 윤리는 ‘교회론적 평화윤리’(ekklesiologische Friedensethik)라고 정의할 수 있다. 『성도의 교제』 에서 ‘교회의 이해’로부터 시작된 본회퍼의 신학은 ‘하나님의 계명’으로서의 ‘교회의 평화적 과제’를 논의를 거쳐,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에서는 각각 ‘평화교육’ 과 ‘평화윤리’ 사상으로 발전되기 때문이다. 본회퍼의 ‘평화’는 하나의 우리, 하나의 교회, 하나의 현실을 이뤄나가는 끊임없는 과정이다. 본회퍼의 ‘평화이해’는 현 한국교회의 ‘하나님의 뜻’ 에 대한 무분별한 남용에 대해 경고한다. 또한 분열과 비평화적현실 속에서 한 개인이나 단체, 국가의 자기목적을 위한 주장만을 내세우지 말고, ‘책임윤리’, ‘공동체의 윤리’, ‘제자됨’, ‘교회됨’ 의 회복을 통해진정한 ‘하나의 우리’(ein Wir)를 이루어 나가라고 주문하고 있다. 본회퍼는 어떠한 원칙이 ‘하나님의 현실’을 방해한다고 보았으며, 시대와 현실에적합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된 하나님의 뜻의 분별을 통한 평화지향적 교회를 희망했다. 본회퍼의 평화개념을 통해 마련할 수 있는 실천적과제들은, ‘고난을 당하는 사랑’과, ‘선의 실현’을 통한 ‘교회됨’ 이며, ‘사회의 부조리와 부정의에 대한 능동적인 저항’ 일 것이다. 본회퍼가히틀러 암살단에 가담한 것은, ‘폭력을 통한 저항’ 이기에 ‘비평화적’ 이라기보다는, 다음 세대를 위한 ‘책임적 자유 안에서의 행동’이었다고이해될 수 있다. 본회퍼의 ‘평화’에 대한 이해는 보편적인 개념으로 규범화할 수없다. 본회퍼를 해석하는 이들은 본회퍼의 입장들을 성급하게 일반화하려는 의도가 있지 않은지 늘 반성과 성찰을 해야 할 것이다. 본회퍼의평화개념은 오늘날 시대적 사유체계 가운데 자기목적을 감춘 채 그의평화이해를 모방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따른현실 적합한 전환과 그리스도론과 교회론에 근거한 계속적인 사유를요구한다. This paper presents a Christian ethics discourse on Dietric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peace.’ His ethics can be defined as ‘ecclesiological peace ethics (Ekklesiologische Friedensethik)’ since his theology, which began with ‘understanding of church’ in Sanctorim Communio, evolved into ‘peace education’ in Discipleship and ‘peace ethics’ in Ethics, respectively, through the discussion of ‘peaceful tasks of church’ as ‘commandments of God.’ Bonhoeffer`s ‘peace’ is an ongoing process of fulfilling one us, one church, and one reality. His ‘understanding of peace’ warns of reckless abuse of the ‘will of God’ by Korean churches today. It also demands that individuals, groups or states should become a true ‘one us (ein Wir)’ through the recovery of ‘Responsibility Ethics,’ ‘Community Ethics,’ ‘being a Disciple,’ and ‘being a Church’ instead of voicing their respective goals in the reality of disruption and no peace. He thought that certain principles disturbed the ‘reality of God’ and had hopes for a peace-oriented church by discerning the meanings of God revealed in Jesus Christ fit for the times and reality. His concept of peace can lead to such practical tasks as ‘love subject to suffering,’ ‘being a church’ through the ‘reality of good,’ and ‘active resistance against the irrationality and injustice of society.’ His move to join the assassination team of Hitler is understood as an ‘act in responsible freedom’ for the next generation rather than ‘non-peaceful’ since it was ‘resistance through violence.’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peace’ cannot be standardized as a universal concept. Those who try to interpret him should always reflect on and examine themselves to see whether they have an intention to rapidly generalize his positions. His concept of peace demands that we should do continuous thinking based on a switch that matches reality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Christology, and Ecclesiology instead of mimicking his understanding of peace with our purposes hidden in the middle of today`s system of thought.

      • KCI등재

        디트리히 본회퍼의 그리스도론적 평화설교

        김성호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삶을 초기(1923-1930), 중기(1930-1938), 후기(1939-1945)로 나누어 볼 때, 초기 본회퍼(1923-1930), 미국 유니온 신학교 시절(1930-1931), 귀국 후 베를린에서의 시간강사시절(1932-1933)의 본회퍼의 설교가 그리스도론적 담론 안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되었는지 다루면서, 1934년 파뇌(Fanø)에서의 설교를 ‘그리스도론적 평화설교’로 규명할 수 있는 신학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회퍼에게 설교는 그리스도의 증거이며 인간들의 수고에 의한 것이 아니다. 성육신한 그리스도 자신이며, 현존하는 그리스도 자신이고, 하나님의 섭리에 의한, 교회를 위한 교회의 활동이다. 그는 오늘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신가라는 그의 신학적 핵심질문에도 잘 표현되어 있듯이, 오늘, 여기의 그리스도의 현실에 관해 늘 질문했다. 초기 본회퍼와 1933년까지의 본회퍼의 그리스도는 ‘공동체로 탈존하는 그리스도(Christ Existing as Community)’, ‘유한이 무한을 수용하게 하는 중보자로서의 그리스도’, ‘계시로서의 그리스도’, ‘십자가의 그리스도’ 였다. 이와 같은 본회퍼의 그리스도 이해는 그의 설교들 안에 다양한 실천적 담론으로 전환되었다. 결국 이러한 그리스도론적 담론들은 파뇌회의(Fanø Conference)에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의 교회설립’이라는 평화설교의 주제안에 함축되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필자는 본회퍼의 초기 본회퍼(1923-1930)와 이후 1934년까지의 설교를 종합하여 ‘그리스도론적 평화설교’라고 규정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ways that Dietrich Bonhoeffer formed and developed his sermons within the Christological discourse during his early days(1923-1930), which were followed by his middle days(1930-1938) and his later days(1939-1945), during his attendance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U.S.A.(1930-1931), and his part-time instructor days in Berlin(1932-1933). It also aimed to provide theological grounds to define his sermon in Fanø in 1934 as a "Christological peace sermon." Bonhoeffer believed that sermons were the proof of Christ not outcomes of people's effort. For him, sermons represented incarnated Christ and present Christ himself and outcomes of church activities for the church based on the providence of God. He would always ask a question about the reality of Christ here today, which was well expressed in his core theological question, "Who is Jesus Christ for us here today?" For Bonhoeffer in his early days and till 1933, Christ meant "Christ existing as community," "Christ as a mediator to make finite accept infinite," "Christ as a revelation," and "Christ on a cross." He converted these understandings of Christ into various practical discourses in his sermons. In the end, these Christological discourses were implied in the topic agenda of the peace sermon "Building a Single Church within Jesus Christ" at Fanø Conference. In this sense, the investigator defined his sermons during his early days(1923-1930) and those until 1934 as "Christological peace sermons."

      • KCI등재

        정의로운 평화를 향하여 -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디트리히 본회퍼 읽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현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2 장신논단 Vol.44 No.1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ally read Stanley Hauerwas’s interpretation of Dietrich Bonhoeffer’s theology and ethics. In his “Performing the faith: Bonhoeffer and the Practice of Nonviolence,” Hauerwas argues that Bonhoeffer’s lifelong central concern was the visibility of the church. This means that as God took God’s space in the world through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so the church has to take its own space in the world so that it becomes visible. According to Hauerwas, the church for Bonhoeffer becomes visible in the world through telling the truth because the world is full of lies. Furthermore, the church as the truth-telling community also becomes a visible community by living a peaceable life. This essay argues that Hauerwas’s interpretation of Bonhoeffer seems to be problematic for two reasons. First, Hauerwas does not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justice in Bonhoeffer’s theology and ethics. Second, Hauerwas’s argument that Bonhoeffer was a nonviolent and nonresistant pacifist cannot reasonably explain why Bonhoeffer participated in the plan to kill Hitler. 본 논문은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디트리히 본회퍼 해석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시도한다. 하우어워스에 의하면 본회퍼의 일생의 관심은 교회는 세상에 그 자체의공간을 차지하므로 드러나 보여야 한다는 교회의 가시성에 있었다. 이러한 가시성은 교회가 세상에 있지만, 세상과는 구별될 때 드러난다. 그런데 하우어워스에 따르면, 본회퍼에게서 교회와 세상을 구별하므로 교회가 보이게 하는 하나의 실천이 진리 말하기이다. 교회는 거짓이 난무하는 세상의 한 가운데서 진리를 말하는 사람들을 양육해 냄으로써 세상 가운데 자신을 보이게 해야 하며, 또한 진리를 말하는 교회는 폭력이 난무한 세상에서 평화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회퍼의 생각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와 같은 하우어워스의 본회퍼 읽기에 대하여 두 가지로 비판한다. 첫째, 하우어워스는 진리와 정의가 있는 곳에 평화가 있다는 본회퍼의 언급을 인식하면서도, 진리에 대한 논의만 하지 본회퍼의 정의와 평화에 대한 논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의 본회퍼 읽기는 단편적이다. 둘째, 하우어워스는 본회퍼를 원리적인 평화주의자로 해석하기 때문에, 본회퍼가 어떻게 히틀러 암살에 참여했는지를 합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본회퍼의 관심은 하우어워스나 요더처럼 비폭력 평화주의가아니라 정의로운 평화였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타자를 향한 교회 : 본회퍼와 레비나스의 사상을 중심으로

        김성호(Sung-Ho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0

        필자는 이 논문에서 본회퍼의 신학 사상과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을 비교함으로써 오늘날 요청되는 참된 교회를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고자 했다. 필자는 먼저 본회퍼와 레비나스가 타자를 자아로 환원하는 서구의 내재성의 철학을 어떻게 비판하는지를 밝혔다. 둘째, 필자는 교회(또는 일반 공동체)의 사회적 기초 개념인 나-너 관계와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본회퍼와 레비나스의 이해를 비교 고찰했다. 셋째, 필자는 하나님-인간 그리스도 또는 성육신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비교 고찰했다. 넷째, 필자는 비종교적 해석을 통한 하나님과 그리스도, 그리스도인, 교회에 대한 본회퍼의 새로운 이해와 레비나스의 종교와 야웨의 종, 교회에 대한 이해를 고찰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우리는 미래의 그리스도인은 타자를 위한 인간, 미래의 교회는 타자를 위한(향한) 교회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래의 신학은 타자를 위한(향한) 신학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교회와 일반 공동체의 구성원은 전체를 위한 추가적 존재가 아니라 그 자체로 타자성을 지닌 고유한 존재다. 그러므로 “실재는 무겁다”(레비나스)는 고백으로부터 다시 출발해야 할 것이다. 필자에게 본회퍼와 레비나스의 사상은 어려운 모험이다. 기쁜 모험을 감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신앙의 비밀 훈련”(Arkandisziplin)이다. In this article, I want to lay a foundation for reconstructing the true church by comparing Bonhoeffer’s theology with Levinas’ philosophy of the other. First, I study how Bonhoeffer and Levinas similarly criticize the Interiority of Western philosophy which reduces the other to the ego. Second, I consider their understandings of not only the I-Thou relation which is the basic social concept of the church community (or the community in general) but of the image of God. Third, I inquire into their understandings of the God-Man Christ or Incarnation. Fourth, I reflect upon not only Bonhoeffer’s a new understanding of God, Christ, Christian, and the church through a non-religious interpretation but Levinas’ understanding of religion, the servant of Yahweh, and the church.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we can see that the future Christian is the person for others, and future church is the church for others. And I think the theology of the future will be the theology for others. The members of the church and the community in general are not additional beings for the whole, but unique beings who have Otherness in themselves. Therefore, we will have to start again from the confession that “reality has weight”(Levinas). For me, the ideas of Bonhoeffer and Levinas are difficult adventures. “Arkandisziplin” is necessary for us to have joyful adventures.

      • KCI등재

        『나를 따르라』에서 『윤리학』까지 : 본회퍼에게 있어서 윤리적 사고의 발전에 대한 소고

        강안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2 No.-

        본고는 본회퍼의 윤리적 사고의 발전의 성격을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으로 범위를 제한한 이유는 본회퍼의 다른 저작들보다 윤리적 사고가 가장 중점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본회퍼의 윤리에 대한 이해를 위해 상기 두 저작의 정확한 읽기를시도하였다. 우선, 두 저작을 자세하게 살피기 전에 본회퍼의 윤리적 사고의 발전적 성격에대해 지금까지 어떻게 다루어왔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본 후, 두 저작의 역사적배경을 서술하였다. 그 다음,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에서 논의된 9개의 윤리적 주제를 중심으로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분명해진 것은 본회퍼에게 윤리적 사고 발전의성격은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사이에 일관된 연속성과 연속적인 발전이 함께나란히 드러나 있다는 것이다. 계속해서, 『나를 따르라』와 『윤리학』의 역사적인 배경과 윤리적 요소들을 비교하는 동안 드러난 본회퍼에게 있어서 윤리적 관심과 윤리의 역할이 무엇인지를연구하였다. 이것을 통해 본회퍼의 윤리적 관심은 현재적 상황을 주목함과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계시된 오늘의 하나님에 대한 생각을 통합적인 연관성안에서 구체화하고 있었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그의 윤리적 관심은 확고한 추상적인 원리나 단순한 상황분석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현재적 상황과 깊게 연대하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된 하나님으로부터라는 사실이다. 이런 두 가지 연관성은 교회투쟁시기와 공모(Konspiration)시기에 본회퍼가 전체적인 삶의 영역 안에서 함께 사는 법(mit-leben zu lernen) 을 실천할 때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마지막으로, 본회퍼의 윤리적 사고가 한국교회에 주는 의미를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본회퍼 윤리적 사고는 어려움 속에 직면해 있는 한국교회가 다시 한 번교회다운 교회가 될 수 있는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n Bonhoeffer’s view of ethics: especially on how his ethical perspective has developed. The research has been done on two of his outstanding works of ethics, Nachfolge and Ethik, both of which reveal Bonhoeffer’s understanding more prominently than any other works of his. For the research an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his ethical view, the two books need to be read meticulously. Before delving into the main texts, this study briefly shows how theologians have discussed Bonhoeffer’s view and i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Then the historical background is provided on how these two books came to the world. Nine ethical subjects from each book are dealt via the means of comparison. What becomes clear through this analysis is “continuity” in Bonhoeffer’s ethical view and i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which are permeated in both Nachfolge and Ethik. While the study compares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points at issue, it also brings into focus Bonhoeffer’s concern for ethics and his understanding of its role. Bonhoeffer pays attention to the real world,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world he is living in. However, at the same time, in an attempt to integrate the world into the Word, he brings the world to “God of today” which is revealed in Jesus Christ. In other words, Bonhoeffer’s ethics begins neither with an objective observation nor from an abstract idea on the principles of the world. Rather, it begins with God in Jesus Christ who actively connects the world to himself through purposeful intervention. Such understan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nhoeffer’s life, especially when he had to practice ‘mit-leben zu lernen’ (a life of integration) during NAZI regime and the period of Konspiration. Finally, the influence of Bonhoeffer’s ethical view on Korean church is discussed. It will help guide Korean church, still dampened by ethical crisis, to restoration.

      • KCI등재후보

        A Study on Dietrich Bonhoeffer’s Spirituality ―Focusing on Prayer and Action for Justice

        RyuWhanHyung ( 유완형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7 No.-

        Dietrich Bonhoeffer was martyred while resisting the Nazi regime by practicing the key teaching of Jesus Christ, peace. Dietrich Bonhoeffer's greatest contribution was to emphasize the Christian's duty and responsibility by way of justice and peace, along with peace. At Tegel prison Dietrich Bonhoeffer addressed the question of, “Who is Jesus Christ for us today?” This question lies at the heart of Dietrich Bonhoeffer's theology and life. While being a witness concerning this question, Dietrich Bonhoeffer was executed by the Nazi regime at Flossenburg concentration camp on April 9, 1945. As early as April 1933 Dietrich Bonhoeffer already accepted the Jewish Question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German Christian. Bonhoeffer's resistance was an ac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arising from the decision of the Christian’s faith. Dietrich Bonhoeffer‘s prayer and decision for the practice of justice was an act of responsibility for the sake of one's neighbor and the coming generation in order to enact peace. Dietrich Bonhoeffer's resistance was not enacted from a normal situation but as the last resort. Dietrich Bonhoeffer's resistance needs to be understood from the standpoint of responsible ethics for the disciple of Christ. 디트리히 본회퍼는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적인 가르침인 평화를 나치 정권치하에서 실천하고 저항하다가 순교하였다. 디트리히 본회퍼의 가장 위대한 공헌은 정의와 평화를 위한 기독교인의 의무와 책임을 강요하였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테겔 감옥소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오늘 우리에게 있어서 누구인가”라고 질문을 하였다. 이 질문은 디트리히 본회퍼의 신학과 삶의 중요한 주제이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이 중요한 질문에 대하여 증언하다가 나치 정권에 의해서 1945년 4월9일 플로센베르크 수용소에서 처형되었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이미 1933년 4월에 유대인 문제를 독일 기독교인의 책임으로 받아들였다. 본회퍼의 저항은 기독교인의 믿음의 결단에서 오는 정치적 책임의 행위였다. 디트리히 본회퍼의 기도와 정의로은 결단은 평화의 실천을 위한 이웃과 다음 세대를 위한 책임적인 행위였다. 디트리히 본회퍼의 저항은 처음부터 정상적인 상황에서 실천한 것이 아니라 최후의 수단으로 한 것이다. 디트리히 본회퍼의 저항은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책임윤리의 차원과 입장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 본회퍼의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에 관한 고찰

        이재열(Lee, Jae-Youl) 동서신학연구소 2023 동서신학 Vol.6 No.1

        By dealing with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fundamental interests of Bonhoeffer's ecclesiology, this study confirms that Bonhoeffer's ecclesiology inherits and develops the tradition of traditional ecclesiology while focusing only on Christology. Although Luther's theology of the cros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Bonhoeffer, it was confirmed that he had different views from Luther's due to the fact that he sublimated the issue of individual salvation into a matter of the community and rejected Karl Hall's religious concept of conscience. And although Bonhoeffer's theology learned from Harnack's liberal theology an interest in the world and a positive world view, it was revealed that it was distinguished from liberal theology in that it was thoroughly Christ-centered. In addition, Bonhoeffer's theology accepted the criticism of religion by the revelation of Christ from Barth, but it was revealed that it was distinguished from Barth in that it had a specific interest in the worl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he attempted a concrete approach to the problems of the real world by breaking away from superficial and theoretical theological thoughts and accepting Niebuhr's Christian realism. In conclusion, Bonhoeffer's theology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e theology of the cross and encompassed liberalism, neo-orthodoxy, and Christian realism, revealing that it was a theology that focused on revealing the presence of Christ in the world without being bound by formaliti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e theological background and definition of Bonhoeffer's ecclesiology were examined, and the theologian's personal relationship and background, and his ecclesiology was accumulated only in Christ-likeness without being bound by the theological genealogy. Bonhoeffer's theolog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today. The Korean church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material culture and the liberal trend even though the church tradition is not long. And the current social and ethical confusion that the Korean church is experiencing due to the influence of distorted fundamentalism stems from a wrong understanding of the Bible and Christian life. On this matter, Bonhoeffer's theology suggests a lot to us. The focus of Bonhoeffer's ecclesiology is always trying to follow Christ. 본 연구는 본회퍼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 근본 관심들을 다룸으로써 본회퍼의 교회론이 전통 교회론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하면서도 오직 그리스도론적 집중을 하고 있음을 확인한 연구이다. 루터의 십자가 신학이 본회퍼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으나 개인의 구원의 문제를 공동체의 문제로 승화시킨 점과 칼 홀의 양심의 종교개념을 거부한 점으로 인해 루터와는 다른 견해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본회퍼의 신학이 하르낙의 자유주의 신학으로부터 세상에 대한 관심과 긍정의 세계관을 배웠으나 철저히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이라는 점에서 자유주의 신학과 구별되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본회퍼의 신학은 바르트부터 그리스도의 계시에 의한 종교비판을 수용했으나 세상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바르트와도 구별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피상적이고 이론적인 신학적 사유를 벗어나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를 받아들임으로써 현실세계의 문제에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했던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본회퍼의 신학은 십자가 신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기독교 현실주의를 모두 포괄함으로써 형식에 매이지 않고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의 현존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한 신학임을 밝혔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서 본회퍼의 교회론의 신학적 배경과 정의를 알아보았으며 신학자의 개인적인 관계와 배경 그리고 신학적 계보에 얽매이지 않고 오직 그리스도를 닮는 것에 그의 교회론이 적립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본회퍼의 신학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상황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교회는 교회적 전통이 길지 않으면서도 물질문화와 자유주의 풍조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왜곡된 근본주의의 영향 또한 받음으로 인해 현재 한국교회가 사회적으로나 윤리적으로 겪는 혼란은 성경과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본회퍼의 신학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회퍼의 교회론의 초점은 항상 그리스도를 닮은 교회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