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적출술 방법에 따른 임상적 고찰

        김평식 ( Pyeong Sik Kim ),김상훈 ( Sang Hoon Kim ),이헌열 ( Hun Yul Lee ),유이화 ( E Hwa Yoo ),박철홍 ( Cheol Hong Park ),홍서유 ( Seo Yoo Hong ),신정환 ( Jung Hwan Shin ),이진용 ( Jin Yo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복식 전자궁적출술 (TAH), 질식 전자궁적출술 (TVH),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를 비교 분석하여 적응증 및 안전성과 장단점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복식 전자궁적출술은 2003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147명, 질실 전자궁적출술과 복강경하질식 전자궁적출술은 2002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각각 48명, 108명으로 본원에서 전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강경하 및 질식 전자궁적출술시에는 자궁탈출증은 제외함) 나이, 분만력, 내과적질환, 수술기왕력, 수술적응력, 술후 자궁의 무게, 자궁적출술과 함께 동반된 수술, 수술시간, 수술중 출혈량, 술후 합병증, 내원 기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세군에서 환자의 연령과 키, 몸무게 및 분만력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전의 수술 기왕력으로는 TAH군 63명 (42.9%), TVH군 10명 (20.8%), LAVH군 43명 (39.8%)로 TAH군과 LAVH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세군에서 모두 Tubal ligation이 가장 많았다. 수술 적응증으로는 자궁근종이 TAH군 75명 (51.0%), TVH군 22명 (45.8%), LAVH군 48명 (44.4%)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자궁 무게는 TAH군 374.31±250.26 gm, TVH군 22명 (45.8±), LAVH군 48명 (44.4±)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자궁 무게는 TAH군 374.31±250.26 gm, TVH군 187.70±109.62 후, LAVH군 203.26±94.92 gm으로 TAH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술 평균 소요시간은 TAH군 89.61±25.24분, TVH군 73.39±21.08분, LAVH군 96.18±27.98분으로 TVH군에 비해 TAH군과 LAVH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술중 평균 실혈량은 TAH군 269.2 mL, TVH군 190.2 mL, LAVH 218.4 mL로 TAH군에서 두 군보다 유의있게 높았다. 술후 합병증은 세군 모두에서 출혈도 인한 수혈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재원 기간을 보면 TAH군, 6.74일, TVH군 5.1일, LAVH군 5.67일로 TAH군에서 두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질식 전자궁적출술과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은 복식 전자궁적출술에 비해서 술후통증이나 합병증, 미용상 등 여러 면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은 수술기왕력와 골반내 염증, 자궁내막증에 의한 골반내 유착이 있는 경우 복강내를 직접 확인하면서 수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질식 전자궁적출술보다 유착에 의한 겨웅 장기손상을 줄 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술자가 실제 환자의 수술방법을 결정할 때는 복식 전자궁적출술보다는 장점이 많은 질식 전자궁적출술이나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선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most common operation in gynecology is hysterectomy. To compare the indications, patient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 complication between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 and vaginal total hysterectomy (TV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147 patients of TAH (Group I) from Januart 2003 to September 2003, 48 patients of TVH (Group II), 108 patients of LAVH (Group III) at Eulji medical center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rom January 2002 to September 2003. We analyzed the result with patient characteristics, parity, medical disease, history of previous operation, indication of hysterectomy, uterine weight, concurrent surgical procedure, operation time, bleeding amount, complication and length of hospital stay. Uterine prolapse was exclud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sults : Patient characteristics, parity, medical disease were no differences. Number of previous operation were 63 cases (42.9%) in TAh group, 10 cases (20.8%) in TVH group, 43 cases (39.8%) in LAVH group, and the most common of operation was tubal ligation in three gropups. Most common indication of hysterectomy was uterine leiomyoma. The mean uterine weight was 374.31±250.26 gm in TAH group, 187.70±109.62 gm in TVH group and 203.26±94.92 gm in LAVH group. The mean operation time was 89.61±25.24 min in TAH group, 73.39±21.80 min in TVH group and 96.18±27.98 min in LAVH group.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observed 60 cases (40.8%) in TAH group, 8 case (16.7%) in TVH group, 19 cases (17.6%) in LAVH group. Mose common complication was bleeding and required transfusion (TAH 32 cases (21.8%), TVH 3 cases (6.3%), LAVH 10 cases (9.3%)). Conclusion : LAVH and TVH present superior result in terms of complication when compared with TAH, LAVH and TVH have advantage of lower morbidity, less pain, shorter hospital stay and convalescence. LAVH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vaginal approach is unfeasible, showing clear advantages over abdominal hysterectomy.

      • KCI등재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 763예의 임상적 고찰

        신규식 ( Kyu Sik Shin ),김면수 ( Myeon Soo Kim ),구선영 ( Seon Yeong Ku ),김유리 ( Yu Ri Kim ),김지은 ( Jee Eum Kim ),곽정상 ( Jung Sang Kwa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9

        목적: 본원에서 실시된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763예를 보고하고, 이를 통해 그 유용성과 안전성, 잇점 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받은 7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나이, 출산력, 개복수술의 기왕력, 수술적응증, 수술시간, 자궁무게, 혈색소의 변화, 입원기간, 동반시행한 수술, 합병증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45.7±7.1세였다. 평균 출산력은 2.5±1.2회였다. 평균체중은 58.59±9.5 ㎏였다. 수술의 적응증으로는 자궁근종 (45.8%)이 가장 많았으며, 자궁선근증 (16.1%),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 (26.21%)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수술의 기왕력으로는 난관결찰술이 가장 많았고, 평균수술시간은 87.5±45.7분, 평균혈색소변화는 1.1±0.7 g/㎗, 평균자궁무게는 251.34±131.5 gm, 재원기간은 6.15±0.94일 이었다. 동시에 시행한 수술로는 자궁부속기수술이 제일 많았고, 합병증은 4.3%에서 나타났다. 결론: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궁적출방법이며, 수술술기의 발달과 내시경 도구의 발전으로 더욱더 복식 전자궁적출술을 대체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Objective: To report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763 cases of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advantage of LAVH. Methods: From Jan. 2000 to Feb. 2006, 763 cases of LAVH were perform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we analyzed the results regard to the age, parity, surgical indication, previous abdominal surgery, operation time, weight of uterus, change of hemoglobin, hospital stay, concomitant procedures, and complication. Results: The mean age was 45.7±7.1 years. The mean parity was 2.5±1.2. The average weight of patients was 58.59±9.5 ㎏. Leiomyoma was the most common surgical indication. Tubal ligation was the most common previous surgery. The mean operation time was 87.5±45.7 minutes. The mean hemoglobin change was 1.1±0.7 g/㎗. The mean uterine weight was 251.34±131.5 gm. The mean hospital stay was 6.15±0.94 days. The complication rate was 3.4% (26 cases); bladder injury (7 cases), ureter injury (3 cases), vault bleeding (3 cases), trochar site bleeding (13 cases). Conclusions: LAVH is safe and effective surgical procedure for hysterectomy. The improvement of surgical skill and laparoscopic instrument can make more replace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LAVH.

      • KCI등재
      • KCI등재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질식 전자궁적출술 및 복식 전자궁적출술의 임상적 비교

        민병강 ( Byoung Kang Min ),박준숙 ( Joon Suk Park ),류지훈 ( Ji Hoon Ryu ),김억배 ( Eok Bae Kim ),심삼용 ( Sam Young Shim ),송영래 ( Young Rae Song ),김기환 ( Ki Hwan Kim ),강경화 ( Kyung Hwa Kang ),이병관 ( Byung Kwan Lee ),노정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복식 전자궁적출술,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및 질식 전자궁적출술의 수술 적응증 및 장단점과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시행된 TAH, LAVH, TVH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의 연령, 신장, 체중 및 출산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수술 기왕력은 TVH군에서 25%로 TVH군의 56%, LAVH군의 40%보다 유의하게 적었으며, 수술 적응증은 세 군 모두 자궁 근종이 가장 많았다. 세 군의 수술 전후 혈색소 및 적혈구 용적의 변화량을 통한 출혈량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평균 자궁의 무게는 TAH 군은 443.6g으로 LAVH의 301.9g과 TVH의 225.3g에 비해 유의있게 무거웠다. 수술 시간은 LAVH군에서 76.7분으로 TAH군의 59.6분과 TVH군의 70.2분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으나, 수술 후 통증은 TAH군이 3.75점으로 LAVH군의 2.93점, TVH군의 2.71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입원 기간도 TAH군이 7.30일로 LAVH군의 5.19일, TVH군의 5.21일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TAH군에서 15%, LAVH군에서 11%, TVH군에서 13%로 세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보존적 치료 및 경과 관찰로 회복되었다. 결론: LAVH와 TVH는 수술 후 통증, 미용상의 잇점, 입원 기간의 단축 등의 장점이 있으나 TVH는 수술 시야의 협소 및 유착시 제한, LAVH는 의료비 상승의 단점이 있으므로 각각의 수술 적응증 및 금기증을 확립하여 환자의 만족도와 안전성이 높은 술식의 선택이 필요하겠다.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for women undergoing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and total vaginal hysterectomy (TVH).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TAH (n=97), LAVH (n=112) and TVH (n=95) from June 2002 to June 2005. We compared and evaluated patient`s characteristics, previous abdominal operation histories, indication of hysterectomy, uterine weight, operative time, perioperative hemoglobin and hematocrit change, the degree of postoperative pain, hospital stay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patient`s characteristic (age, weight, height, parity, perioperative hemoglobin and hematocrit change, complication rate) had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ll three groups. In the TVH group, the rate of previous abdominal operations (25%)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AH (56%), and LAVH (40%) (p=0.023). The mean uterine weight was the heaviest in TAH group (443.6±407.3 g), compared to LAVH group (301.9±133.9 g) and TVH group (225.3±91.8 g) (p<0.001). Operative time was the longest for LAVH group (p=0.00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AH group and TVH group (p=0.087). The TAH group had the highest postoperative pain scale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The LAVH group and TVH group had almost the same postoperative pain scale and the length of hospital Conclusion: Both LAVH and TVH had the following advantages compared with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less pain, shorter hospital stay, cosmetic advantages. But limited operation field in TVH and expensive operative cost in LAVH were disadvantages. Specific guidelines for determining the route of hysterectomy result in decreased morbidity and lower costs, and thus the gynecologist can ensure that the patient receives the best possible surgical care.

      • KCI등재
      • KCI등재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 57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최장열 ( Jang Yeul Choi ),송정인 ( Jung In Song ),황병철 ( Byung Chul Whang ),이순표 ( Soon Pyo Lee ),최유덕 ( Yu Duk Choi ),박찬용 ( Chan Yong Park ),윤성준 ( Seong Jun Y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0

        목적 :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부인과 환자에 있어서 환자들의 특징과 임상 결과를 보고하여 그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후향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2001년 9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골반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5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출산력, 체중, 이전 수술 기왕력, 수술 적응증, 수술 결과, 그리고 수술 합병증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 평균 나이는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and characteristics of laparoscop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in gynecologic patients. Methods : From September, 2001 to February, 2004, total 570 cases of patients were performed LAVH at Gacheon medi

      • KCI등재

        복강경하 전자궁적출술 (TLH: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600예에 대한 임상연구

        김시내 ( Shee Nae Kim ),손혜연 ( Hyae Yeon Son ),박성호 ( Sung Ho Park ),정지윤 ( Ji Youn Chung ),김홍배 ( Hong Bae Kim ),이용우 ( Yong Woo Lee ),장봉림 ( Pong Rheem Jang ),권용일 ( Yong Il Kw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1

        목적: 부인과 수술 중 많은 빈도로 시행되고 있는 전자궁 적출술은 최근 복강경 기기와 수술방법의 발달로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 빈도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에서는 1992년 처음으로 복강경을 이용한 전자궁 적출술을 시행한 이래로 최근까지 LAVH방법을 선호하여 왔으나, 1998년 Bipolar coagulator와 RUMI(TM) uterine manipulator with colpotomizer를 도입한 후 약 600예의 TLH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성적을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8년 8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TLH를 시행한 6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기간, 출혈량, 수술시간,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47세였고, 평균출산력은 2.47회였다. 수술의 적응증은 자궁근종이 396예 (65.3%)로 가장 많았고, 자궁선종이 101예 (20.6%), 자궁내막증 37예 (4.7%), 자궁경부 상피이형증 16예 (3%) 등이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TLH만이 시행되었고 심한 골반 내 유착이 있는 경우 유착박리술을, 난소에 병변이 동반된 경우 부속기 절제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자궁을 원활하게 움직이고 요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자궁거상기 (RUMI(TM) uterine manipulator with colpotomizer and pneumooccluder balloon)를 고정하였으며, 심한 자궁내막증의 경우 먼저 요관을 박리한 후 병변부위의 소작, 복막 제거술 및 직장제거술 후 재문합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수술 소요시간은 90분이었고, 수술 후 측정한 자궁의 무게는 평균 320 gm이었다. 수술시간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으로는 자궁크기, 보조수술자의 숙련도, 기왕 수술이나 자궁내막증 등에 의한 유착 등이었다. 수술시 출혈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 1일째의 혈색소량의 변화는 평균 1.2 g/dL였다. 평균 입원기간은 3일이었다. 수술 중 합병증은 bipolar coagulator에 의한 요관 협착이 2예, 유착박리에 의한 소장천공이 1례에서 발견되어 개복 수술을 시행하였고, 방광천공이 3례에서 있었으나 수술당시 복강경하에서 봉합하였으며 모두 별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결론: 복강경을 이용한 전자궁 적출술은 수술후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아 유용한 수술방법이라 여겨지며, 특별한 기구의 사용없이 양극성 소작기를 이용하여 자궁혈관을 봉합할 수 있었다. 자궁거상기 (RUMI(TM) uterine manipulator with colpotomizer)의 이용 시 요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자궁조작 및 자궁경부와 질 부착부위의 박리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었다. 21세기에는 모든 복식 자궁적출술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수술방법으로 여겨진다. Objective: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Methods: Clinical data about 600 cases who received TLH were collected and the hospital stay, operation time and complication were evaluated. Results: The most common indications for TLH were uterine myomas, adenomyosis, severe endometriosis and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Mean operating time was 90 minutes (range 35-200 min) and hospital stay was 3 days (range 2 days-10 day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surgery time were uterine size, assistant`s skill and presence of adhesions (obliteration of the cul-de-sac due to severe pelvic endometriosis). Several techniques were used, including bipolar coagulation of the ovarian and uterine vessels, and suture of the stump. A special uterine manipulator (RUMI(TM) uterine manipulator with colpotomizer and pneumooccluder balloon) used in all procedures aided in anatomic definition and performing the circumferential colpotomy. We had two cases of ureteral obliteration by using bipolar coagulator, and 3 cases of bladder injuries during operation which was diagnosed and immediately repaired laparoscopically. We had two cases of ureterovaginal fistula, two cases of postoperative ileus and one case of bowel perforation. But there were no cases of death, thrombophlebitis or other pulmonary complications. Conculsions: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can be performed safely and effectively when the surgical team is sufficiently trained. And we believe that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offers benefits to the patients in the form of less post-operative pain, shorter time in hospital.

      • KCI등재
      • KCI등재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 154예의 임상적 고찰

        김형문 ( Hyoung Moon Kim ),신인환 ( In Whoan Shin ),윤선웅 ( Seon Woong Yoon ),최중섭 ( Joong Sub Choi ),김계현 ( Kye Hyun Kim ),이교원 ( Kyo Won Lee ),김성도 ( Sung Do Kim ),한종설 ( Jong Sul Ha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8

        목적: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의 적응증, 장점, 합병증 등에 관해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 산부인과 학교실에서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만 12개월간 시행된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환자 154명을 대상으로 병록 일지를 분석하여, 환자의 나이, 분만력, 이전 개복수술, 수술 전 적응증, 수술 후 병리진단, 수술시간, 적출된 자궁무게, 헤모글로빈 변화, 재원일수 Objective: To evaluate the indications, advantages and complications of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retrospectively. Methods: From Mar. 2003 to Feb. 2004, clinical trials of LAVH (n=154) were performed in the Department of Obste

      • KCI등재

        단순 복강경하 전자궁적출술 312예에 대한 임상적 분석

        김유신 ( Kim Yu Sin ),이홍석 ( Lee Hong Seog ),권소영 ( Kwon So Yeong ),은미나 ( Eun Mi Na ),이경술 ( Lee Gyeong Sul ),박영세 ( Park Yeong Se ),정창조 ( Jeong Chang Jo ),김인현 ( Kim In Hyeon ),이정노 ( Lee Jeong N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

        목적 : 본원에서 시행한 단순 복강경하 전자궁적출술의 수술적응증, 수술시간, 수술 후 재원기간, 수술 전후 혈색소치의 변화, 합병증 등을 고찰하여 그 의학적 효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포천중문의과대학 구미차병원 및 강남차병원에서 단순 복강경하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한 3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환자의 평균연령은 45.2세, 평균 출산력은 2.2회, 적출된 자궁의 평균무게는 272.3 g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simple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in the aspect of operation indication, operation time, hospitalization day, blood los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ethods : A retrospe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