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중 당뇨의 조절은 어느 과에서 시행하는 것이 적절한가?: 내과와 산부인과에서의 비교

        서용수 ( Yong Soo Seo ),신정환 ( Jung Hwan Shin ),이헌열 ( Hun Yul Lee ),박원일 ( Won Il Park ),김재령 ( Jae Ryung Kim ),김혜민 ( Hae Min Kim ),최은주 ( Eun Joo Choi ),김대운 ( Dae Woon Kim ),홍서유 ( Seo Yoo Hong ),박은주 ( Eun J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7

        목적: 당뇨가 합병된 임신의 결과를 당뇨조절과에 따라 비교해 보고 임신 중 당뇨조절에 있어서 산부인과 의사와 내분비내과 의사의 역할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6년 12월 사이에 임신 중 당뇨병이 합병된 총 7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을지병원에서 임신 기간 중 산부인과에서 당뇨 조절을 받은 18명을 I군으로, 내분비 내과에서 당뇨 조절을 받은 54명을 II군으로 정의하여 임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태임신, 염색체 이상, 당뇨 이외에 다른 내과적 합병증이 있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나이, 분만력, 신체비만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 분만 주수 등의 인구통계학적 분포에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 결과, HbA1C 수치에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신생아 평균 체중은 I군 (2.89±0.21 kg)이 II군 (3.38±0.08 kg, P=0.040)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1분 아프가 점수도 ANCOVA 분석을 통한 신생아 체중을 보정 후에도 I군에서 II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7.11±0.51 vs 8.11±0.19, P=0.028). 하지만, 5분 아프가 점수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출생 체중이 3.8 kg 이상의 신생아 비율도 II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소견을 보였다 [1/17 (5.6%) vs 37/54 (68.5%), P=0.030]. 신생아 저혈당증의 비율도 I군이 11.1%로 II군의 37.0%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P=0.043). 당뇨에 의한 다른 신생아와 임신부의 합병증의 비교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내과적 관점에서, 임신 기간 중 당뇨가 합병된 임산부의 당뇨조절에서 산부인과에서의 조절도 부적절함이 없다. 또한 산부인과에서 혈당을 조절하는 경우 내과에서의 조절과 비교하여 더욱 경제적이고, 환자에게 번거로움이 적으며, 환자의 치료 동기와 순응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compared obstetric outcomes of pregnancies complicated by diabetes according to the managing department and to consider role of obstetrician and endocrinologist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72 pregnant women managed for diabetes during March 2004 to December 2006 was performed. Eighteen women had been managed by obstetricians (Group I) while 54 women had been managed by endocrinologists of internal medicine (Group II) during their pregnancies at Eulji Hospital. None of these patients had multiple pregnancies, abnormal karyotype, or other medical disorders other than diabetes. Pregnancy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No difference was found with regard to the age, parity, BMI (body mass index), weight gain during the pregnancy, and the gestational weeks of delivery.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the blood glucose levels after 100 gm 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HbA1C levels in two groups. The neonatal birth weight of group I (2.89±0.21 k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II (3.38±0.08 kg, P=0.040). The 1 min APGAR score, which was corrected by weight through ANCOVA test,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 (7.11±0.51 vs 8.11±0.19, P=0.028).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5 min APGAR score. The incidence of birth weight over 3.8k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37/54 (68.5%) vs 1/17 (5.6%), P=0.030]. Neonatal hypoglycemia was also higher in group II (37.0% vs 11.1%, P=0.043). Other neonatal and matern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iabe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In medical point of view, obstetrician can effectively manage diabetes during pregnancy as good as internist. Besides, the management by obstetricians may be more economic, less annoying, and can induce more compliance and motivation of the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산전 진찰 시 발견된 태아 난소 낭종 1 례

        송치훈(Chi Hun Song),홍서유(Seo Yoo Hong),정수미(Soo Mi Chung),한경철(Kyung Chul Han),박철범(Chul Bum Park),신봉규(Bong Gyu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3

        Ovarian cysts in the newborn are uncormnon. Fetal ovarian cysts are being diagnosed with inaeasing fiequency with development of obstetrical sonography. Most of these cysts are found within the first few months of life and have no clinical significance. But, a large ovarian cyst would be founded antenatally with sonography. A large ovarian cyst can cause life-theatening complications during parturition and in the neonatal period.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fetal ovarian cyst in a 32-year-old primiparous woman with antenatal sonography and report our experienc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산후 응급 자궁적출술의 임상적 고찰

        김송이 ( Song E Kim ),홍서유 ( Seo Yoo Hong ),김주오 ( Joo Oh Kim ),신정환 ( Jung Whan Shin ),김대운 ( Dae Woon Kim ),신영진 ( Young Jin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1

        목적:을지 의과대학 산부인과 교실에서 시행된 산후 응급 자궁적출술의 증례들을 관찰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1996년 5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산후 자궁적출술을 시행받은 37례를 대상으로 빈도, 연령별 및 분만횟수별 분포, 적응증, 위험인자, 수술방법, 수혈량, 합병증 그리고 태아의 예후를 후향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결과:산후 자궁적출술의 총 빈도는 1,000분만당 2.3례였고 분만방법에 따른 빈도는 질식분만후 0.03%, 제왕절개술 분만후 0.52%로 제왕절개 분만후 산후 자궁적출술의 빈도가 더 높았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분만횟수가 많을수록 산후 자궁적출술의 빈도는 높았다. 수술의 적응증은 전치태반과 유착태반을 포함한 태반요인(54.1%), 자궁무력증(37.8%), 자궁근종(5.4%), 자궁파열(2.7%)의 순서로 나타났다. 위험인자에 대한 산후 자궁적출술의 비교 위험도는 태반요인에 대해 97.6(95% 신뢰구간 52.17~184.06), 제왕절개술에 대해 16.3(95% 신뢰구간 4.94~52.31), 그리고 기왕제왕절개술에 대해 2.4(95% 신뢰구간 1.21~4.76)로 태반 요인이 높은 비교위험도를 나타내었으며 95% 신뢰구간에서 볼 때 의의가 있었다. 수술방법은 대부분 전자궁적출술(92%)로 이루어졌고 평균 수혈량은 17.1pints 였다. 합병증은 전체의 43.2%로 나타났는데 주로 폐부종, 무기폐, 기흉등의 호흡기계 합병증,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감염 및 비뇨기계 합병증이었으며 산모사망의 예는 없었다. 태아사망은 2례(5.3%)에서 있었고 신생아 이환율은 26.3%로 10례에서 발견되었다. 결론:산후 자궁적출술의 주된 원인은 전치태반 또는 유착태반 등의 태반요인이다. 산후 자궁적출술은 산모의 생명이 위협을 받는 상황 아래서 시행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나 산모의 이환율이 높으므로 산전관 리부터 위험요인에 대한 세심한 관리와 처치가 필요하다. Objective:To analyze incidence, indications, risk factors, complications, and neonatal outcomes of emergency postpartum hysterectomies performed at EulJi University Medical Center. Methods:A retrospective study of all cases of postpartum hysterectomies between May. 1996 and Dec. 2000. was carried out. Results:37 cases of postpartum hysterectomies during this period were performed, for overall incidence of 2.3 per 1000 deliveries. Incidence after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section was 0.03% and 0.52% respectively. The rate of postpartum hysterectomy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and parity. The main indications were placental disorders(54.1%) including placenta previa and adherent placenta, uterine atony(37.8%), uterine myoma(5.4%) and uterine rupture(2.7%) in order. The relative risk of postpartum hysterectomy according to the risk factors was 97.6(95% confidence interval 52.17-184.06) for placental disorders, 16.3(95% confidence interval 4.94-52.31) for cesarean section and 2.4(95% confidence interval 1.21-4.76) for previous cesarean section. The mean amount of transfusion was 17.1 pints. Although no maternal mortality had occurred, 16 patients(43.2%) had complicaions including respiratory complication(13.5%), hemorrhagic complication(10.8%), infection(8.1%) and urologic injury(8.1%). Regarding fetal outcome, 2 of 38 infants(1 case, twin) were stillborn (5.3%) and 10 infants(26.3%) were suffered from various illness including prematurity, sepsis, meningitis, and brain hemorrhage. Conclusion:The data identifies placental disorders are the leading cause of postpartum hysterectomy. Although postpartum hysterectomy is a necessary life-saving operation, maternal morbidity remained hig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무배란 환자에서 Anastrozole과 Clomiphene citrate의 임상 성적 비교

        양재석 ( Jae Seok Yang ),유이화 ( Yoo E Hwa ),이진용 ( Jin Yong Lee ),홍서유 ( Seo Yoo Hong ),신정환 ( Jung Hwan Shin ),박철홍 ( Cheol Hong Park ),박은주 ( Eun Joo Park ),서용수 ( Yong Soo Seo ),박원일 ( Won Il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배란 유도에 있어서 Anastrozole의 특성과 효과를 Clomiphene citrate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Anastrozole의 임상적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60명의 불임여성을 무작위로 Anastrozole 1㎎, 2㎎, 4㎎ 투여군과 Clomiphene citrate 100㎎ 투여군으로 나누어 각각 15명씩 배정하여 5일간 투약하였다. 각 군별로 월경주기 3일째, 5일째, 8일째에 혈중 estradiol, testosterone, FSH, LH를 측정하였고, hCG 투여일에 estradiol을 추가로 측정하였다. 배란율, 우성난포의 개수, 자궁내막의 두께, 임신 성공률을 각 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nastrozole은 Clomiphene citrate와 비교하여 estradiol, testosterone, LH의 혈중 농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Anastrozole 4㎎ 투여군에서 월경주기 8일째 측정한 혈중 FSH의 농도가 Clomiphene citrate 투여군보다 높았다 (p<0.05). 자궁 내막의 두께는 Anastrozole 투여군에서 Clomiphene citrate 투여군보다 두꺼웠다 (p<0.05). 우성난포의 개수는 Clomiphene citrate 투여군 (1.56개)에서 Anastrozole 투여군(1.0-1.1개)에 비해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배란율, 임신율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Anastrozole은 Clomiphene citrate와 비교하여 볼 때 배란 유도 성적이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1㎎ 혹은 2㎎ 투여시에는 배란율이 Clomiphene citrate에 못 미치므로 자궁내막이 얇거나 난소과자극증후군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게 선택적으로는 사용이 가능하나 모든 무배란 환자에게 일차약으로 사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Anastrozole in ovulation induction with that of clomiphene citrate. Methods: Sixty anovulatory wom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1 ㎎, 2 ㎎ and 4 ㎎ of Anastrozole groups and Clomiphene citrate group). The ovulation induction was tried with 3 dosages of Anastrozole or 100 ㎎ of Clomiphene citrate for 5 days. The serum level of estradiol, testosterone, FSH and LH were serially monitored (on 3rd, 5th and 8th days of treatment). Serum estradiol level at the time of hCG injection was also measured. Ovulation rate, number of dominant follicles, endometrial thickness, and pregnancy rate were measured and compared across the study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stradiol, testosterone, or LH level between women treated with Anastrozole and Clomiphene citrate. In patients treated with 4 mg of Anastrozole, serum FSH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omen treated with Clomiphene citrate (P<0.05). Endometrial thickness was greater in patients treated with Anastrozole than women treated with Clomiphene citrate (P<0.05). Number of dominant follicles in patients treated with Clomiphene (1.56) was slightly greater than in women treated with Anastrozole (1.0-1.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Anastrozole had similar clinical effectiveness in ovulation induction when compared to Clomiphene citrate. At 1 ㎎ or 2 ㎎ of Anastrozole, ovulatory rate remained below the effectiveness of Clomiphene citrate, therefore considering the expensive cost of Anastrozole, it should not be considered as first-line medication for ovulation induction but reserved for those who have certain conditions such as thin endometrium and polycystic ovarian syndro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GnRH agonist의 점진적 증량에 따른 내분비학적 변화

        김수경 ( Su Kyoung Kim ),김효정 ( Hyo Jung Kim ),이진용 ( Jin Yong Lee ),홍서유 ( Seo Yoo Hong ),신정환 ( Jung Hwan Shin ),박철홍 ( Cheol Hong Park ),박은주 ( Eun Joo Park ),서용수 ( Yong Soo Seo ),박원일 ( Won Il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1

        목적: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미세 용량의 GnRH agonist를 점점 증가시키며 투여한 후 내분비학적 변화를 확인해 보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5명의 정상 생리 주기를 가진 여성에게 triptorelin acetate를 2 ㎍부터 시작하여 6일 동안 증량하여 50 ㎍까지 투여 후 혈중 FSH, LH 및 estradiol 농도를 6일 동안 측정하였다. 경구 피임약 3주간 투여 후에 같은 실험을 반복하였고 투여 첫날과 5일째에는 testosterone과 progesterone도 같이 측정하였다. 결과: 투여후 6일째까지 혈중 FSH와 LH는 계속 GnRH agonist에 반응하여 폭발하였고, LH는 경구 피임약으로 전처치한 주기에서 더 낮은 양상을 보였으나 FSH는 경구피임약 전처치 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경구 피임약으로 전처치 하지 않은 경우 5명 중 2명은 초기 progesterone 농도가 높았고 이 두 명은 GnRH agonist 투여 후 progesterone이 상승하였다. 저반응군에 대한 여러 가지 배란 유도 방법 중 GnRH agonist를 적용한 여러 가지 과배란 유도 방법의 임상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그 중 미세 용량의 GnRH agonist를 투여하는 방법이 비교적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세 용량의 GnRH agonist의 작용기전은 불충분한 뇌하수체의 탈감작에 의해 2일째 및 3일째 투여 시에도 성선 자극 호르몬의 폭발이 계속되며 이로 인해 높은 농도의 혈중 FSH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4일 이상 지속적으로 투여하면 충분한 탈감작이 일어나 성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GnRH agonist의 용량을 미세용량에서 점점 증량을 시킴으로 내인성 FSH 분비 기간의 연장 및 이에 의한 난포 성장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론: 미세용량의 GnRH agonist를 증량하며 매일 투여할 경우 6일째 까지도 FSH, LH의 지속적 분비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내인성 FSH의 상승을 과배란유도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저용량 경구피임약을 과배란 유도 이전 주기에 사용함으로서 혈중 LH의 과다한 상승과 황체의 재활성화를 예방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ndocrine response to step -up microdose GnRH agonist. Methods: Administration of triptorelin acetate was initiated from 2 mg and gradually increased to 50 mg during 6-day period to five normal menstruating women. Serum FSH, LH, and estradiol levels were serially measured for 6 days. The same set of experiment was duplicated after taking oral contraceptive for 3 weeks. Serum testosterone and progesterone levels were measured on day 1 and day 5 of experiment. Results: The flare of gonadotropin continued for 6 days. When subjects were pretreated with oral contraceptive, serum FSH levels 4 hrs after GnRH agonist injection were 17.35±7.88 mIU/mL, 11.26±4.81 mIU/mL, and 9.60±4.08 mIU/mL for day 1, 2, and 3 respectively. The FSH level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when pretreatment with oral contraceptive was not applied. The level of serum L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ycle, which was pretreated by oral contraceptive (32.13±9.61 mIU/mL vs. 14.12±5.63 mIU/mL for day 1, 28.95±3.09 mIU/mL vs. 15.76±9.92 mIU/mL for day 2, and 24.45±2.52 mIU/mL vs. 16.86±8.56 mIU/mL for day 3). The sign of corpus luteum rescue was found in 2 out of 5 subjects only in non-treated cycle. Conclusion: Step-up microdose GnRH agonist protocol could induce persistent gonadotropin flare for 6 days and this regimen could be applied in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especially for poor responders. The pretreatment with oral contraceptive is necessary to prevent supraphysiologic LH elevation and corpus luteum rescue.

      • KCI등재

        정상 난소 위치에 고환이 존재한 안드로젠 수용체 아미노산 607번의 돌연변이에 의한 안드로젠 저항성 증후군

        김효정 ( Hyo Jung Kim ),고덕성 ( Duck Sung Ko ),이진용 ( Jin Yong Lee ),홍서유 ( Seo Yoo Hong ),신정환 ( Jung Hwan Shin ),박철홍 ( Cheol Hong Park ),박은주 ( Eun Joo Park ),서용수 ( Yong Soo Seo ),박원일 ( Won Il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Androgen insensitivity syndrome (AIS) is a disorder of male sexual differentiation caused by mutations within the androgen receptor gene, represents a variety of phenotypes from females with 46,XY karyotype over individuals with ambiguous genitalia to infertile males. Single base mutations resulting in amino acid substitution represent the most common mutations of the androgen receptor (AR) gene and are associated with complete AIS. The location of the gonads can be variable including, the intra-abdominal cavity, the labioscrotal folds, and the inguinal regions. Testicular descent is a two-stage process comprising transabdominal and transinguinal phases. The first phase is not controlled by androgen and may be regulated by mullerian inhibiting substance, by contrast the second phase is androgen dependent. Recently we have identified a point mutation CGA to TGA at position 607 of exon 3 in complete AIS patient, so we report i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