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테오도레 베자(Theodore Beza, 1519-1605)의 신학 안에서 예정론에 대한 이해

        김지훈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6 조직신학연구 Vol.24 No.-

        Ein Thema uber die theologische Kontinuitat und Diskontinuitat zwischen Calvin und seinem Nachganger Beza ist noch strittig. Eine theologische Lehre, die einen Platz in dieser Disputation nimmt, ist die Pradestinationslehre. Uber die Beziehung zwischen Bezas theologischem System und seiner Pradestinationslehre gibt es zwei Theorien. Richard A.Muller versteht, dass sich das calvinische ‘electio in Christo’ bei Bezas Theologie auch zeigt. Nach Muller ist Christus eine Grundlage von Bezas Pradestinationslehre. Im Gegensatz dazu weist D.Sinnema auf, dass ‘Bestimmung-Ausfuhrung These’ eine grundlegende These von Bezas Theologie und Pradestinationslehre ist. Er kritisiert an Mullers Behauptung. Ich analysiere drei Werke von Beza - Confessio christianae fidei(1560), Quaestionum et Responsionum(1970-77), Theses theologicae(1586) -, um das Grundverstandnis von Bezas Theologie aufzuklaren und um die Beziehung zwischen seiner Theologie und Pradestinationslehre zu definieren. Diese Werke sind nach der Form vom Apostolischen Glaubensbekenntnis, namlich nach der Ordnung von der Dreieinigkiet entwickelt. Andererseits nehmen die ‘Christozentrische Heilungslehre und - Ecclesiology’ inhaltlich einen wichtigen Platz in den Bezas Werken. ‘Die Einheit mit Christus durch Glauben’ und ‘die Heilung und die Kirche durch die Einheit mit Christus’ sind die Grundlehre in Bezas Theologie. In Vergleich damit ist die Pradestinationslehre in Bezas Theologie kein Zentraldogma. Die Pradestinationslehre haben zwei Sinne in seiner Theologie. Erstens, Beza betont durch die Pradestinationslehre, dass die Ursache der Heilung nur Gottes Gnade ist, namlich Sola Gratia. Zweitens, Beza lehrt durch diese Lehre, dass Gottes Heilungsgnade nur fur seine Erwahlte gegeben wird, namlich Partikularismus. Mullers Behauptung, dass es das calvinische electio in Christo bei Bezas Theologie gibt, ist nicht fassend. In Vergleich damit zeigt die Behauptung von Sinnema die Beziehung zwichen Bezas Theologie und Pradesstinationslehre richtig. Aber Sinnemas These ist nicht genug. Dass ‘Einheit mit Christus’ ein Hauptgrund von der Heilungslehre und der Ekklesiologie ist, muss fur das bessere Verstandnis auf Bezas Theologie zugegeben werden. Zusatzlich ist das Studium uber die gradweise Veranderung von Bezas Ekklesiologie nutzlich. 칼빈과 그의 후계자 베자 와의 신학적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문제는 아직도 논쟁 중이다. 이 논쟁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신학 주제는 예정론이다. 특히 베자의 신학적 체계 속에서 예정론이 어떠한 의미인가에 대해서는 대립되는 두 가지 이론이 있다. 멀러는 칼빈적인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electio in Christo)이라는 이해가 베자에게도 동일하게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가 베자의 예정과 실행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이해로 보았다. 이에 비해서 진네마는 베자에게 칼빈적인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이 없으며, 하나님의 뜻에 따른 ‘작정과 실행’이라는 체계가 베자 신학의 틀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두 신학자의 논쟁의 연장선에서 베자신학의 중심되는 내용을 살펴 보고, 두 신학자의 주장에 대한 발전적 비평을 가하고자 한다. 베자의 신학적 체계 속에서 예정론의 의미를 살펴 보기 위해서 그의 신학 전체의 내용을 살펴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세 작품 ‘신앙고백서’(Confessio christianae fidei, 1560), ‘기독교교리문답’(Quaestionum et Responsionum Christianarum libellus, 1970-77), 그리고 ‘신학논제’(Theses theologicae, 1586)을 년도 순으로 살펴 보았다. 이 작품들을 살펴 볼 때 중심되는 신학적 명제는 ‘그리스도와의 연합’,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그리스도중심적 구원론과 교회론’이다. 이 주제는 그의 작품의 형태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항상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예정론은 베자에게 중심교리(Zentraldogma)가 아니다. 그의 예정론은 두 가지를 의미를 가지는데, 하나는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부터 나온다는 ‘오직 은혜’(Sola Gratia)를 지키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 분의 은혜는 오직 택자를 위한 것이라는 제한 속죄이다. 베자의 예정론의 특징을 볼 때, 칼빈적인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이 베자에게도 있다는 멀러의 주장은 무리한 것으로 보인다. 베자에게 예정과 그리스도의 관계는 전적으로 예정의 실행에만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서 진네마가 주장한 ‘작정과 실행’이라는 구조는 베자의 신학 체계와 예정론의 관계를 적절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베자의 신학에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구원론과 교회론의 중심임을 더해야 한다. 아울러 베자의 교회론에 대한 이해의 변화는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주제이다.

      • KCI등재후보

        테오도레 베자(Theodore Beza, 1519-1605)의 신학 안에서 예정론에 대한 이해

        김지훈(교회사) ( Si Hun K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6 조직신학연구 Vol.24 No.-

        칼빈과 그의 후계자 베자 와의 신학적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문제는 아직도 논쟁 중이다. 이 논쟁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신학 주제는 예정론이다. 특히 베자의 신학적 체계 속에서 예정론이 어떠한 의미인가에 대해서는 대립되는 두 가지 이론이 있다. 멀러는 칼빈적인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electio in Christo)이라는 이해가 베자에게도 동일하게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가 베자의 예정과 실행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이해로 보았다. 이에 비해서 진네마는 베자에게 칼빈적인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이 없으며, 하나님의 뜻에 따른 ‘작정과 실행’이라는 체계가 베자 신학의 틀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두 신학자의 논쟁의 연장선에서 베자신학의 중심되는 내용을 살펴 보고, 두 신학자의 주장에 대한 발전적 비평을 가하고자 한다. 베자의 신학적 체계 속에서 예정론의 의미를 살펴 보기 위해서 그의 신학 전체의 내용을 살펴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세 작품 ‘신앙고백서’(Confessio christianae fidei, 1560), ‘기독교교리문답’(Quaestionum et Responsionum Christianarum libellus, 1970-77), 그리고 ‘신학논제’(Theses theologicae, 1586)을 년도 순으로 살펴 보았다. 이 작품들을 살펴 볼 때 중심되는 신학적 명제는 ‘그리스도와의 연합’, 그리고 그로 말미암은 ‘그리스도중심적 구원론과 교회론’이다. 이 주제는 그의 작품의 형태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항상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예정론은 베자에게 중심교리(Zentraldogma)가 아니다. 그의 예정론은 두 가지를 의미를 가지는데, 하나는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부터 나온다는 ‘오직 은혜’(Sola Gratia)를 지키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 분의 은혜는 오직 택자를 위한 것이라는 제한 속죄이다. 베자의 예정론의 특징을 볼 때, 칼빈적인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이 베자에게도 있다는 멀러의 주장은 무리한 것으로 보인다. 베자에게 예정과 그리스도의 관계는 전적으로 예정의 실행에만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서 진네마가 주장한 ‘작정과 실행’이라는 구조는 베자의 신학 체계와 예정론의 관계를 적절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베자의 신학에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구원론과 교회론의 중심임을 더해야 한다. 아울러 베자의 교회론에 대한 이해의 변화는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주제이다. Ein Thema uber die theologische Kontinuitat und Diskontinuitat zwischen Calvin und seinem Nachganger Beza ist noch strittig. Eine theologische Lehre, die einen Platz in dieser Disputation nimmt, ist die Pradestinationslehre. Uber die Beziehung zwischen Bezas theologischem System und seiner Pradestinationslehre gibt es zwei Theorien. Richard A.Muller versteht, dass sich das calvinische ‘electio in Christo’ bei Bezas Theologie auch zeigt. Nach Muller ist Christus eine Grundlage von Bezas Pradestinationslehre. Im Gegensatz dazu weist D.Sinnema auf, dass ‘Bestimmung-Ausfuhrung These’ eine grundlegende These von Bezas Theologie und Pradestinationslehre ist. Er kritisiert an Mullers Behauptung. Ich analysiere drei Werke von Beza - Confessio christianae fidei(1560), Quaestionum et Responsionum(1970-77), Theses theologicae(1586) -, um das Grundverstandnis von Bezas Theologie aufzuklaren und um die Beziehung zwischen seiner Theologie und Pradestinationslehre zu definieren. Diese Werke sind nach der Form vom Apostolischen Glaubensbekenntnis, namlich nach der Ordnung von der Dreieinigkiet entwickelt. Andererseits nehmen die ‘Christozentrische Heilungslehre und - Ecclesiology’ inhaltlich einen wichtigen Platz in den Bezas Werken. ‘Die Einheit mit Christus durch Glauben’ und ‘die Heilung und die Kirche durch die Einheit mit Christus’ sind die Grundlehre in Bezas Theologie. In Vergleich damit ist die Pradestinationslehre in Bezas Theologie kein Zentraldogma. Die Pradestinationslehre haben zwei Sinne in seiner Theologie. Erstens, Beza betont durch die Pradestinationslehre, dass die Ursache der Heilung nur Gottes Gnade ist, namlich Sola Gratia. Zweitens, Beza lehrt durch diese Lehre, dass Gottes Heilungsgnade nur fur seine Erwahlte gegeben wird, namlich Partikularismus. Mullers Behauptung, dass es das calvinische electio in Christo bei Bezas Theologie gibt, ist nicht fassend. In Vergleich damit zeigt die Behauptung von Sinnema die Beziehung zwichen Bezas Theologie und Pradesstinationslehre richtig. Aber Sinnemas These ist nicht genug. Dass ‘Einheit mit Christus’ ein Hauptgrund von der Heilungslehre und der Ekklesiologie ist, muss fur das bessere Verstandnis auf Bezas Theologie zugegeben werden. Zusatzlich ist das Studium uber die gradweise Veranderung von Bezas Ekklesiologie nutzlich.

      • KCI등재

        성경의 권위에 대한 베자의 이해 -칼빈과 베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관계에서-

        양신혜 ( Shinhe Y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7 No.-

        17세기에 등장한 회의주의는 종교개혁의 논제인 성경의 권위에 대한 의심을 낳았다. 이로써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한 논증이 이 시기에 논의의 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베자의 인식론 이해의 주요 주제로서 칼빈과 그 이후의 정통주의자들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제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베자의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한 논증을 주제로 삼아, 칼빈과 그 뒤를 잇는 정통주의자들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칼빈의 초안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프랑스 개혁교회의 『프랑스신앙고백서』(1559)를 비교 분석하였다. 『프랑스 신앙고백서』는 베자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이루어진 신앙고백서로서 칼빈과 베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는 주요 문서이기 때문이다 둘째, 베자의 교리문답서인 『기독교교리에 대한 질문과 답변』(1570)에서 그가 어떻게 성경의 신적 권위를 논증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베자는 정경으로서의 성경의 권위, 기록된 말씀으로서의 권위 그리고 성경의 신적 권위를 나타내는 객관적 표식을 강조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를 나타내고 있음을 밝혔다. 베자는 성경의 신적 권위를 담보하기 위하여, 하나님과 필경사로서 선지자와의 인격적 관계를 강조하는 칼빈의 방법을 넘어서, 성경의 신적 본질을 증명하는 객관적 증거와 정경으로서의 권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하지만, 이는 칼빈과 베자의 불연속성을 논증하는 근거가 아니라 오히려 당시의 이성과 믿음을 분리하려는 시대적 정황에 대한 교회의 답변으로, 성경의 권위를 의심하는 시대에 대항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를 논증한 것이다. 그러므로 베자는 칼빈과의 동일한 논지에서 성경의 권위를 유지하여 칼빈과 연속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The skepticism in the 17<sup>th</sup> century gave birth to doubts about the authority of the Bible which was the foundation of the Reformation. Thus,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became the subject matter for discussion in the 17<sup>th</sup> century. How to prove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was a main theme of Beza’s epistemology and, at the same time, a litmus test to determin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his later orthodox followers.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question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those orthodox theologians who owed debts to him, centering on Beza’s argument for biblical divine authority. To solve this question, I firstly looked into the French Reformed Church’s “The French Confession(1559)” which originated from Calvin’s preliminary theological draft. “The French Confession(1559)” was a revision of Calvin’s first draft by Beza and his co-workers. Some scholars even claim that Beza was its main revisionist. Since “the Confession (1559)” is closely related to Calvin and Beza, it is appropriate to investigate it to judg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Beza. Secondly, I examined how Beza demonstrate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in his “A Little Book of Christian Questions and Responses(1570).” I have found out that in that book Beza defende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by means of highlighting three points, that is, the authority of Scripture as a canon, its authority as a written Word, and the objective signs that support the divine authority of Scripture. I also pointed out that while Calvin elevated the divine authority of Scripture by emphasizing God’s personal,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prophets as a secretary, in addition to that argument, Beza highlighted all the more Scripture’s divine nature and its authority as a canon. However, such additions on the part of Beza is not an evidence for the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Beza, rather a response of the Church to the contemporary context where reason and faith are drifting apart. I argue that Beza’s theological shift was an desperate attempt to demonstrate the divine authority in times when the authority of the Bible was being challenged and doubted. Therefore, I conclude that Beza maintained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much as Calvin did on the same theological ground and Beza has continuity with Calvin on this matter.

      • KCI등재후보

        테오도르 베자의 윤리적 판단의 척도로서의 이성과 믿음에 대한 이해

        양신혜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1 No.-

        본 논문은 베자의 윤리적 판단의 척도로서 이성과 믿음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삼는다. 이는 칼빈과 정통주의자의 관계를 규명하는 주요 논제이기때문이다. 베자의 이성과 믿음에 대한 이해가 이후 정통주의자들의 신학적사고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종교개혁자들처럼, 인간의 죄성에 대한 베자의 이해에서 출발할 것이다.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피조물로서의 인간과 아담의 타락으로 인한 죄인으로서의 인간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베자가 제한된 이성이지만 어떻게 이성의 자리를 담보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둘째, 제한된 이성이 어떻게 윤리적 행동을 결정하는 의지로 나타나는지, 그 과정을 이성과 믿음과의 관계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성의 논리적 추론을 위한 객관적대상으로서의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한 베자의 이해를 서술할 것이다. 이를근거로 베자가 주지주의적 사유를 우선시하면서도, 성령이 부여하는 확신을통한 주의주의적 체제를 믿음의 전인적 특성에서 어떻게 논증하는지 보일 것이다. 이로써 베자의 이성에 대한 이해는 칼빈과의 연속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교리적 체계화를 위한 교두보였다는 점을 증명할 것이다. My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 and faith in the ethical judgement of Theodore Beza, which is a theme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lvin and orthodox Christians.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 Beza’s understanding of humanity. Beza started, like the Reformers, from human sinfulness. I look into the conflict between creatures with the image of God and sinners caused by the fall of Adam. I show how he overcame this conflict, and in this process, I explain how he understood the role of reason. Secondly, I research Beza’s voluntar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 and faith. I examine how reason controls will in order to determine ethical behavior. Finally, I investigate Beza’s intellectualism, and how he understood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the touchstone of ethical judgement. I show the holistic-personal character of faith by the assurance of understanding and certainty of the Holy Spirit. In conclusion, I demonstrate that Beza systematically explained this doctrine in continuity with Calvin.

      • KCI등재

        람베르트 다네우스 (Lambert Danaeus, 1530-95)의 예정론

        김지훈(Si Hun K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6 갱신과 부흥 Vol.18 No.1

        이 논문은 한국에서 아직 연구가 충분하게 되지 못한 개혁파 신학자 람베르트 다네우스(Lambert Danaeus)의 예정론을 살펴보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한다. 그 후에 그에게 영향을 끼친 칼빈과 베자와의 연결성을 살펴 보는 것이 두 번째 목적이다. 그의 예정론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들이 있다 첫째, 그는 예정론과 구원론을 교회론에서 다루고 있다. 이것은 그가 예정론을 교회의 유익을 위한 교리로 이해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그의 예정론이 칼빈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다네우스의 예정론은 칼빈과 베자와 같이 이중 예정론과 전택론적인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그의 예정론은 칼빈과 베자의 예정론을 절충적으로 따르고 있다. 그의 구원의 서정의 중심에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있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으로부터 ‘성화’와 ‘칭의’가 나온다. 이것은 칼빈의 이해와 유사하다. 그러나 칼빈적인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은 나타나지 않으며, 베자와 같이 그리스도는 예정의 실행의 영역에 한정된다. 넷째, 아리스토텔레스-토마스적인 이해가 칼빈과 베자보다 더 강하게 나타난다. 그의 예정론은 칼빈과 베자의 이해보다 더 세밀하고 논리적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서 사변적인 특징도 나타난다. 그가 가르친 유기의 순서와 같은 내용들은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그는 칼빈적 스콜라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다섯째, 그러나 예정론에서 다네우스의 목회적인 관점도 드러난 다. 그의 작품은 예정론 논쟁을 해야 했던 베자의 작품보다는 더욱 목회적이다. 교회론적인 예정론과 구원론, 그리고 죄에 대한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강조는 지금의 교회에게도 위로를 줄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예정론은 제네바의 개혁 신학자들과 17세기 대륙의 칼빈 신학자들 사이를 연결해주는 전형적인 칼빈파 개혁 신학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of a Reformed theologian Lambert Danaeus who has received only minimal attention in Korea. A second goal i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theological continuity between Danaeus and his teachers Calvin and Beza. I would like to show some noteworthy features in his doctrine of predestination. First, Danaeus treate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and soteriology in ecclesiology. He understood that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gave an instructive benefit to the Church. His doctrine of predestination was under Calvin’s influence. Secondly, Danaus’ doctrine of predestination showed the double-Predestination and Supralapsarianism like Calvin’s and Beza’s. Thirdly, Danaeus’ predestination followed Calvin’s and Beza’s by an eclectic approach. The ‘unity with Christ’ was located in central of Danaeus’ soteriology. Th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me from the unity with Christ. This understanding of Danaeus was similar to Calvin’s doctrine. But Calvinist ‘electio in Christo’ was not seen in Danaeus’, and the role of Christ was limited in the execution of predestination as Beza’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Fourthly, it seems to me that ‘aristotle-thomistic understanding’ appeared stronger than Calvin’s and Beza’s in Danaeus’ predestination. His understanding of predestination was more logical and detailed than the understanding of Calvin and Beza. For this reason, speculative characters showed in Danaeus’ predestination. So I could not accept his “reprobation’s order”. He showed a typical Calvinistic scholar. Fifthly, the pastoral perspective of Danaeus was i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His work had more the pastoral perspective than Beza’s work which was written during he had to debate 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The emphasis on the ecclesiological doctrine of predestination, of salvation and God’s providence for sin still give comfort to the Church of today. Lambert Danaeus was a typical Reformed and the Calvinist scholasticism which acted as a bridge between the Reformers in Geneva and the Calvinists in 17th Century in Europe.

      • KCI등재후보

        베자의 국가 저항권에 대한 이해

        양신혜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9 갱신과 부흥 Vol.24 No.-

        The Korean Church is faced with the situation in which it must answer the social agendas that cause conflict with Christian ethics. Christians have been resisting national leaders for truth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because the truth is the existential basis of Christian faith. In this paper, I will analyse Beza’s book, Du Droit des Magistrats sur leurs sujects and investigate the national resistance theory because this theory provided the theological basis for national resistance in the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For this, I will first describe the historical process from the Amois Conspiracy (1560) to the Massacre of Vassy (1562), which caused the religious war, and I will explain the issues in the debate in relation to national resistance. Secondly, I will deal especially with the Massacre del la Saint-Barthélemy because this incident changed the view of resistance to the state. I will show Beza’s understanding of this massacre. Finally, I will analyse his book and examine the rationale for resistance, the subject of resistance and the conditions for resistance. 한국교회는 기독교의 윤리와 갈등을 빚는 사회적 담론에 대항하여 신앙의 목소리를 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어떻게 사회적 담론에 저항하여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드러내느냐의 문제는 교회사적으로 국가저항이라는 주제로 논의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 주제를 근대화의 포문을 연 베자의 『시민들에 대한 관리들의 권리』 (Du Droit des Magistrats sur leurs sujects)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베자의 국가 저항의 신학적 이론화 작업은 근대 국가의 형성의 이론적 토대를 놓았기 때문에, 그의 신학적 논의는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앙부아즈의 음모사건(1560)에서부터 종교전쟁을 촉발한 바시 학살(1562)까지 다룰 것이다. 이 음모사건이 개혁교회가 신앙의 자유를 위해서 저항을 시도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베자는 이 음모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그 과정에서 다루어진 논제에 대한 베자의 입장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성 바돌로매 축일의 대학살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그 과정, 그리고 이후의 종교전쟁의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 사건에 주목하는 이유는 국가가 백성의 저항을 이유를 박해를 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 사건이 일어나는 역사적 과정을 서술하고, 베자가 이 사건에 대하여 어떤 입장을 취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베자가 어떻게 국가 저항을 위한 이론적 작업을 하는지, 그의 글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정치적 언약, 자연법과 저항의 주체, 저항의 조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The Ecclesial Comfort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김지훈 ( Si Hu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4 No.-

        개신교 500년의 역사에서 예정론은 크게 두 가지 방향성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대표적으로 Theodore Beza에게서 강조된 것으로서, 예정론을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구원의 경험적-주관적인 확신 위에서 전개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훨씬 후대의 스위스 신학자 Karl Barth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기독론적-보편 구원론의 이해이다. 한국 개신 교회는 이 두 가지 방향성 중에서 베자의 개인주의적 이해에 입각한 예정론적인 이해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충분히 성경적이며 개혁주의적임에도 불구하고 예정론의 실천적인 면에서 아쉬움이 따른다. 종교 개혁 당시에 누구보다도 예정론을 잘 설명한 칼빈은 개인주의적인 예정론 뿐만 아니라, 교회론적인 선택론을 가르쳤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초판에서 예정론을 교회론 안에서 다루었다. 그에게 있어 그리스도적 선택론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교회의 연합이라는 결과를 가지고 온다. 이 교회와의 연합은 성도가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되었다는 증명이다. 이런 면에서 성도에게 선택의 확신은 내적인 Syllogismus practicus 뿐만 아니라, 외적인 성도와의 교제로서도 확인된다. 이러한 공동체적인 예정론의 이해는 기독교 강요 최종판에서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칼빈은 electio in Christo를 통하여 성도가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의 확신을 얻게 한다. 이러한 electio in Christo는 강요 초판과 동일하게 교회의 연합과 연결된다. 성도가 얻는 선택의 확신은 가시적 교회와의 연합으로 얻는다. 이러한 예정론의 교회론적인 위로는 그가 작성한 제네바 신조(1545)와 그의 성경 주석에서도 나타난다. 성도의 선택의 확신은 주관적인 면에 머무르지 않는다. 하나님께서 성도를 선택하시기 위해서 작정하신 그리스도와 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교회와의 연합이 성도에게 확신을 주는 또 하나의 성경적인 증거이다.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has had two main understandings in the Protestant history of five hundred years. First understanding was emphasized by Theodore Beza. He develope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on the understanding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and Personal soteriology. The other one appeared in Karl Barth. His understanding was the Christological and the universalistic.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followed Beza``s understanding which based on personal soteriology. It is fully Biblical and Reformed theological but many Christians feel the lack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s practical part. At the time of the Reformation, John Calvin, who explaine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better than anyone else, taught both of the personal predestination and the Ecclesiological predestination. Calvin took 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the Ecclesiology in hi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1536)``. His predestination``s understanding of the centered Christ brings a result of Churches`` unity in Christ. The unity of churches is a proof of that God elected the children of Him in Christ. In this aspect, Christian``s certainty of election is verified not only internal Syllogismus practicus but also extrinsic relationship with congregation. The ecclesiological predestination``s understanding doesn``t much contradict Calvin``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1559)``. Calvin said that ``Christian gets the certainty of election in Christ through electio in Christo.`` The electio in Christo connects to the unity of Church in the same with Inst(1536). The Christian gets the certainty of election through unifying with the visible church. This doctrine of predestination``s the ecclesiological comfort appeared in his ``The Catechism of Geneva(1545)`` and his commentary. The Christian``s certainty of election is not stay on the subjective aspect. Christ as God``s decree for choosing His people and Church``s unity on the earth give the certainty of election to Christians. It is another Biblical proof.

      • KCI등재

        고난 중에 핀 꽃: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

        양신혜(Shin Hye Y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중세의 붕괴를 낳은 흑사병은 종교개혁을 이끌었던 종교개혁자들에게도 목회를 방해하는 장애물이자 공동체를 와해시키는 걸림돌이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의 자리를 떠나 도망하는 목회자와 하나님의 진노인 흑사병을 피해 도망하는 것은 죄라고 주장하는 목회자들에 대항하여, 베자는 목회자로서의 어떻게 하나님의 사명을 감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서를 남겼다. 그것이 『흑사병에 대하여 알아야 할 것』 (A Learned Treatize of the Plague, 1579)이다. 그래서 베자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종교개혁자들은 흑사병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흑사병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대항하여 어떻게 흑사병을 통한 고난을 이해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고난의 자리를 베자는 어떻게 이했는지, 슬픔과 절망에 빠진 그리스도인들을 어떻게 위로하였는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삶의 동력을 어디에서 찾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흑사병으로 인한 공동체의 와해라는 위기 앞에서 그리스도인이 해야만 하는 윤리적 판단 기준은 무엇이며, 그 기준에 따라서 어떻게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지를 다루었다. 그리고 고난 앞에서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최대의 난제인 하나님의 자비와 섭리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베자가 중세적 대응을 넘어서 인간이 어떻게 이성적 논리에 근거한 일반 원칙과 양심의 확신을 윤리적 판단의 척도로서 삼아 기독교 윤리의 기초로 삼았는지를 보여주었다. The Plague, which destroyed the Middle Ages, was a stumbling for the Reformers to obstruct ministry as well as an obstacle to break a community. Some ministers leave the church with fear of death or some pastors also claim that plague is God’s wrath and fleeing from the plague is not to believe God‘s providence. Against it, Beza wrote the article “A Learned Treatize of the Plague”(1579). Therefore, I investigated how Beza explained agains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lague and how he responded to questions suggested from the plague. I found out what are the criteria of ethical judgement for the christian in the situation of collapsing of the community, and how to judg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Finally, I examined God’s mercy and providence in the suffering as the greatest challenge to Christians. In this I have shown how Beza goes beyond medieval reponses and uses rational principles and conscience as the basis of Christian ethics for ethical judgement.

      • KCI등재

        카스텔리오의 종교적 관용의 신학적 토대로서의 이성에 대한 이해

        양신혜 ( Shin Hye Y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4 No.-

        근대적 종교적 관용의 선구자로 평가를 받는 카스텔리오와 칼빈, 베자의 이단 논쟁을 통해서 그가 이성과 믿음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였는지, 계몽주의 형성에 끼친 영향의 공과를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세르베투스의 화형으로 촉발된 관용 논쟁의 저서인『이단에 관하여, 그들을 박해해야만 하는가?』를 중심으로 그의 이단 정의를 분석하였다. 카스텔리오는 이단을 둘로 나누어 그 의미를 도출하는데, 그는 교리적 차이는 주관적 견해에 불과하기 때문에 관용을 취해야 한 반면, 윤리적 행위를 판단하는 척도는 인간의 양심에 근거한 보편적 지식이기 때문에 이단으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여기에서 그의 이단의 척도는 ‘확실한 보편적 지식’임을 드러내었다. 이 척도는 교리적 차원에서도 이루어지는데, 이를 기준으로 카스텔리오는 근본교리와 주변교리로서의 아디아포라를 구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카스텔리오가 이성과 믿음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지를 통해서 근대 계몽주의의 기초를 놓은 자인지를 보여주었다. 그는 의심의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의지의 결단을 믿음으로 이해하고, 이성에 기초한 보편적 확실한 지식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로써 그의 이성에 대한 이해는 당시 종교개혁자 칼빈의 이해와 상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대철학자와 사상가는 카스텔리오와 칼빈은 대립구도에서 평가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베자가 카스텔리오가 믿음과 이성을 구분함으로써 나타날 위험을 이미 지적하여 비판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카스텔리오가 믿음과 이성을 구분함으로써 베자가 직시한 것처럼, 기독교의 신앙 교리의 객관성을 포기하고, 기독교의 절대성을 상대적으로 전락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My paper aims at investigate merits and demerits of Castellio`s religious tolerance, who comes to his own as a pioneer of modern religious tolerance. For it, I want to research the controversy between Calvin, Beza and Castellio and through it, I want to know, what they understand relation between reason and faith. Firstly, I observed and analysed his definition of heresy. Castellio divided into ethical and dogmatic matters. It is obvious to punish someone in case of ethical misconduct. Because it is unambiguously yes or no. He regarded a reason as measure of determining of ethical behavior, because all have a conscience and reason which God bestowed in creation. Regarding spiritual matters, he defined first heresy as ‘opinion’ or ‘division’. Because in church history there are so many opinions on dogma. So, he divided into fundamental dogma and adiaphora. He argued it is unjust to punish someone because of the dogmatic difference in relation to adiaphora. In the contrary, Calvin regarded dogma as a foundation for unity in the church. He appreciated dogmatic consensus of church highly because he lead a establishing work of the protestant church separated from the Roman Catholic Church. Denying dogma meant for him dividing the church. Secondly, I observe that Castellio divided reason and faith, reason as a certain measure, but faith as doubtful. But faith is, according to Calvin, a sure confidence by the Holy Spirit. He appreciated dogma handed down through the church as an outcome of consensus of the Church. Dividing reason and faith has a decisive effect on Descartes, initiator of the Enlightenmen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