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주시 중등교육세력권의 권역 설정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전 ( Jeon Lee ),김인태 ( In Tae Kim ),이종호 ( Jong Ho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2

        지방 중심도시의 도시세력권을 설정하는 작업에서 교육세력권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경남 서부지역의 중심도시이자 교육 기능에 있어서 중심성이 탁월한 진주시를 대상으로 중등교육세력권의 권역을 설정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진주시 인문계고등학교 졸업생의 출신지를 분석해보면, 진주시외 출신 비율이 1980년대 이후 완만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주시외 출신 중에서는 남녀 간 성비 차이가 크게 있다가 1990년대 후반부터 점차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중등교육세력권에 있어서는 인접교육권 출신 비율은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한계교육권 출신 비율은 1990년대 초반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그 이후부터 감소 추세를 보인다. 진주시의 중등교육세력권 변화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특징은, 진주시의 다른 서비스에 대한 세력권은 대체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중등교육세력권은 오히려 약화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경향성은 주로 중학교 졸업생수 감소와 교육제도 변화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Jinju city`s sphere of influence in secondary education. It shows that Jinju`s sphere of influence in secondary education includes 11 administrative cities or counties, each accounting for at least more than 0.5 % of all the students in Jinju. Jinju`s sphere of influence in secondary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spheres: the proximate sphere of influence and the distant sphere of influence. It can be claimed that Jinju`s sphere of influence in secondary education is dependent in general upon geographical proximity to Jinju city. However, it reveals that Jinju`s sphere of influence in secondary education has been weakened, primarily due to the change in educational system. In recent years, the fewer and fewer students from the peripheral areas of Jinju`s sphere tend to enter the high schools of the city. One of the most critical reasons is closely associated with an increasing tendency that universities attempt to select high school graduates in a variety of ways.

      • KCI등재

        통근통학자료를 이용한 광주전남의 도시계층 및 생활권 분석

        정환영,전경숙,김선아,윤혜연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urban hierarchy and zone of life changes using commuting data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efecture. As a result of studying the structure of urban hierarchy of the reg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2000 and 2015. The commuting nodal flows of Gwangju is expanding to strengthen superiority while regional relationship among Yeosu, Suncheon, and Gwangyang is concrete. Despite Suncheon being smaller city than Yeosu is, it has commuting area that includes more towns. Reviewing the urban tributary areas of Gwangju, Mokpo, Yeosu, Suncheon, and Naju, it tends to grow in common but only Gwangju showed distinct change. According to zone of life analysis based on commuting patter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efecture, it was possible to categorize as 3 areas - Gwangju Metropolitan, South-western, and South-eastern.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지역의 통근·통학자료를 활용하여 도시계층 및 생활권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0년과 2015년 광주·전남지역의 도시계층구조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틀은 변함이 없었다. 수위도시인 광주는통근·통학 결절류가 확대되고 있어, 수위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또한, 전남 동남부에 위치한 여수, 순천, 광양 등은상호간 지역 연계가 매우 강하고, 순천은 여수에 비하여 도시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지역들을 포함하는통근권을 가지고 있다. 광주, 목포, 여수, 순천, 나주 등 상위 5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세력권을 파악한 결과, 전반적으로 도시세력권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으나, 광주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지역(목포·여수·순천·나주)은 그 변화가 미미하였다. 통근·통학 패턴에 근거한 광주·전남지역의 생활권이 명확하게 나타났다. 즉 광주대도시권, 남서부권, 남동부권 등 3개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은 2000년과 2015년 사이에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 KCI등재

        통⋅근학으로 본 충청지역의 도시세력권

        정환영 한국사진지리학회 2019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2000년과 2015년 인구센서스 통근⋅통학 마이크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 위계에 따른 충청지역의 도시세력권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0년과 2015년 충청지역의 도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틀은변함이 없었으나, 대전광역시보다 청주시가 상대적으로 확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천안, 아산시 등 충남 서북부도시의 위상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외부통근율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전, 청주, 천안 등의 대도시와 이격되어 있는 지역에서 외부통근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통⋅근학에 의한 도시세력권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전광역시는 2000년에는 반경 30km 내외였던 것이 2015년에는 반경 50km 내외로, 청주시는 반경 20-30km에서 반경40km 정도 범위까지, 천안시는 반경 15km에서 반경 35km 정도 범위까지 확대되었다. 세종시의 인구는 급격하게늘고 있으나, 도시계층의 형성은 아직 미약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세종특별자치시의 도시기능 확충과 도시위상의 변화에 따라 대전-세종-청주로 이어지는 삼각 거대도시권의 형성이 예상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7대 특별시 및 광역시 중심의 도시세력권 변화

        곽병조,정환영 한국사진지리학회 202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1995년과 2020년 인구 총조사 통근⋅통학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7대 특별시 및 광역시를중심으로 도시세력권을 분석하였다. 또한, 2개 이상의 광역시로의 통근⋅통학을 보이는 세력권 중복 지역과 기준치 이하의 외부 통근⋅통학을 보이며 어느 세력권에도 포함되지 않는 세력권 미포함지역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1995년 대비2020년에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는 도시세력권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으나, 다른 광역시들은 과거와 유사하거나 확대되고 있었다. 세력권 중복지역의 경우 교통여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비수도권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1995년 대비2020년에 감소하였다. 대다수의 세력권 미포함 지역은 광역시와 직선거리 50km 이상 이격 되어있고, 산맥 등 지형적요인으로 인해 접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지역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urban sphere of influence were analyzed o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using data on commutation from Census of the year 1995 and 2020. Additionally, areas with overlaps that indicated commuting to two or more metropolitan centers and areas excluded from urban sphere of influence class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oul Metropolitan City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showed a decrease in Urban sphere of Influence in 2020 compared to 1995, while other metropolitan cities either remained similar to the past or expanded. most areas excluded from urban sphere of influence, they were located more than 50 kilometers away from the metropolitan cities. with limited accessibility due to geographical obstacles such as mountain ranges.

      • KCI등재

        항로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른 항구도시의 영향 연구 - 전남 서남권 목포항을 중심으로 -

        박성현,서용수 한국지적정보학회 202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network between islands and port cities according to the changing sea routes.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the sea route network connecting the island and the port city and evaluated its impact on the port 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act.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was Mokpo. Mokpo is located at the southwestern tip of the Muan Peninsula and is a gateway connecting the land and islands. This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land and the port city well. There were two major impacts of the change in the sea route network on Mokpo, a port city. First, Mokpo's sphere of influence, the central city of the southwest region, was continuously shrinking. The change of the sea route network conformed to the shift of the economic life zone centered around Mokpo to a larger market. The number of ports of call drastically decreased from 403 in 1978 decreased to 71 in 2021, which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Mokpo, a port city, decreased. The decrease in Mokpo's influence was because of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in the island area, the opening of bridges connecting the island and the land, and the functional promotion of the central port in each region. The second was the change in the function of the sea route network. Although the island population continuously decreased, passengers using the Mokpo sea route network increased steadily since 2000 because national income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marine tourism rose owing to the five-day workweek system. Particularly, after 2007, the use of islanders decreased and the use of tourists increased. Since the Mokpo sea route network will be used more, mainly by tourists, because of the increase in marine tourism and leisure population and fare support for island residents, Mokpo should seek countermeasures against it. 이 연구는 변화하는 바닷길에 따른 섬과 항구도시의 관계망의 변화를 주목하였다. 즉, 섬과 항구도시를 잇는 항로네트워크의 변화를 살펴본 후, 그에 따른 항구도시에 미치는 영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사례지역은 목포이다. 목포는 무안반도 서남쪽 끝에 위치하여 육지부와 도서부를 연결하는 관문에 해당하는 곳으로 섬과 항구도시의 관계성을 잘 나타내는 곳이다. 항로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른 항구도시 목포의 영향으로는 첫째 서남권 중심도시 목포의 도시세력권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항로네트워크의 변화는 목포를 중심으로 한 경제생활권이 더 큰 시장으로 옮겨 가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1978년에 403개소의 기항지가 2021년에는 71개소로 대폭 감소하여 항구도시 목포의 영향력이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목포의 영향력이 감소한 것은 섬지역의 인구감소, 연륙교의 개통, 각 지역내 중심항의 기능승격 등으로 인함이다. 둘째, 항로네트워크의 기능의 변화이다. 섬인구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2000년 이후 목포 항로네트워크의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국민소득 향상과 주5일 근무제에 따른 해양 관광수요 증가에기인한 것이다. 특히 2007년을 정점으로 섬사람들의 이용은 축소되고 관광객의 이용이 늘어나게 되었다. 앞으로도해양관광, 레저 인구 증가와 섬주민 운임지원 등으로 목포 항로네트워크 이용실적은 관광객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증가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목포의 대응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한 인구분포 변화 분석

        김호용 국토연구원 2012 국토연구 Vol.73 No.-

        Recently,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research in spac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patial relationship such as spatial autocorrel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et a spatial-weighted value according to the analysis target since spatial effects differ due to a variable affecting space in the study of applying spatial relationship. It is, however, as a matter of fact that researches with regard to setting methods and usefulness of spatial-weighted values fit for the analytic purpose lack.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an appropriate model for analyzing the population distribution change and spatial-weighted value setting by applying the concept of spatial relationship.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using the population data collected every 5 years for 50 years since 1970 interprete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change as well as exploring urban planning backgrounds including a large scale development affecting chronological population change. In order to interpret population change and spatial relationship, Anselin’s local Moran’s I model useful for spatial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and spatial-weighted value methods for the sphere of influence type regard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ccumulation unit and applying the reaching distance of influence from each respective unit were well-suited. 최근 공간적 자기상관과 같은 공간적 연관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공간적 연관성을 적용한 연구에서 공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의 특성별로 공간적 영향력이 다르므로 분석 대상에 따라 공간가중치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분석 목적에 맞는 가중치의 설정방안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연관성 개념을 적용하여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는 과정에 적합한 모델과 공간가중치 설정방안을 제시하였다. 1970년부터 5년 단위로 50년간 인구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의 결과는, 각 시기별 인구 변화에 영향을 준 대규모 개발행위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적 배경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인구분포 변화를 해석하였다. 인구의 변화 및 공간적 관련성의 해석을 위해서는 공간적 군집성(cluster)과 이례치(outlier) 분석에 유용한 Anselin의 국지적 Moran’s I 모델과 집계단위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고려하고 각 개체로부터 영향력이 미치는 거리를 적용한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가중치방법이 적합하였다.

      • KCI등재

        광역도시세력권 미포함지역의 특징

        곽병조 한국사진지리학회 202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광역도시세력권 미포함지역들의 분포 및 특징을 도출하여 지역 공간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광역도시세력권 미포함지역은 교통여건 개선으로 인해 총 개수는 과거보다 감소하였으나, 강원도지역과 충남지역에서는 과거보다 증가하였다. 광역도시세력권 미포함지역은 강원도 고성군, 삼척시 등 상대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어 광역시의 영향력을 덜 받는 지역인 원거리형과 전북 완주군 등 지역 내 중심도시와의 인접성으로 인해 광역시보다지역거점도시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지역거점도시 지향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미포함지역들은 인접한 지역과의연계가 높은 만큼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중소세력권 형성 및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gional spatial policy by deriving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reas that do not include the urban sphere of influence. The total number of area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urban sphere of influence has decreased over time due to improved traffic conditions, but has increased in Gangwon and Chungnam. These areas can be divided into a ‘long-distance type’, which are relatively far away and less affected by the metropolitan cities and a ‘regional hub city-oriented type’, which is more affected by the regional hubs than the metropolitan cities due to its proximity. As these areas have a high level of connection with adjacent area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regional network for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