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이주여성의 이중 가치규범 양상 : 일본 뉴커머 한국인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선미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1 국제이해교육연구 Vol.6 No.2

        최근 들어 일본 사회에서는 뉴커머New-Commer가 증가함에 따라 다민 족이 함께 살아가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과 이민 정책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뉴커머 들의 이동 배경 및 목적, 삶의 모습 등 개개인의 경험적, 인격적, 관계의 다양성이 간과된 채 당장 눈앞에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커머 한국인 여성들을 대상으 로 이중 가치규범에 대한 이들의 생각과 선택이 변화하는 과정을 다면적인 개념의 가치규범에 대한 접근과 문화 적응의 질적 단계에 따른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먼저 국가와 민족에 대한 이들의 가치 규범이 주류사회의 문화 에 적응, 동화되어 가며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이들 의 동화 양상을 질적 단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행동과 인지 단계에서는 주류사회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나 감정까지는 주류사회와 동일시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가족관계에 대한 가치규범에 있어서 자문화의 가족관계 안에서 보이는 중층적인 가치규범은 전통적인 가치규범 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식과 함께 새로운 사회로의 이동과 이주 후 타문화 에서의 정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타문화의 가치규 범 수용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국식’ 가족관계에 대한 기 대를 보임으로서 모국의 문화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주류사회의 가치 를 수용하는 ‘통합’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와 집단에서 가지는 인간관계 관련 가치규범은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문 제가 발생하기 쉽고 특히 이 부분에서 주류사회의 정서와 맞지 않은 부분이 상당 부분 있어 이들이 가지는 이중 가치규범에 의한 갈등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새로운 사회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이미 다양한 개인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주 후 자문화 속에서 습득한 가치 규범과 새로운 사 회의 가치 규범을 가진 타문화의 환경 속에서 충돌과 갈등을 겪기 마련이 다. 또한 이러한 부분은 타문화의 적응 단계에서 질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문화 적응의 단계를 결과적이고 종합 적으로 제시한다면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이중 가치규범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ディアスポラ論から捉える ニューカマー在日韓国人の アイデンティティに関する考察

        서은영 재외한인학회 2024 在外韓人硏究 Vol.65 No.-

        본 연구에서는 뉴커머 재일 한국인을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디아스포라론 및 디아스포라 아이덴티티의 개념이 가지는 유용성과 한계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디아스포라를 디아스포라의 주체와 조국 및 거주국으로 구성된 구조 내에서 개개의 이민 또는 그 집단이 그들에게 영향을 행사하는 정치권력과 상호작용을 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동적 현상(프로세스)으로 간주하고 있다. 디아스포라를프로세스의 개념으로 이해하는 관점은 디아스포라의 전통적 개념인 민족과 민족문화, 민족 정체성이 가진 고정성과 본질성으로부터 탈피하여 현실세계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재구축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의 과정을 통해 디아스포라가 창출하는 가변적이며 다양한 아이덴티티의 형성 과정을고찰할 수 있다. 연구자는 뉴커머 재일 한국인의 이주 경험을 디아스포라 개념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동시에 식민지 시대의 유산을 부분적으로 짊어지고있는 뉴커머 재일 한국인이 다양한 민족 아이덴티티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설명할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디아스포라 아이덴티티는 뉴커머 재일 한국인이 일본사회와의 적극적 공존과 참여를 통해 창출하고 있는 복수의 사회적 아이덴티티를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뉴커머 재일 한국인 커뮤니티의 약한 결집력 및 짧은 역사는 그들의 이주를 이해하는데 있어 디아스포라론이 가지는 한계를 나타낸다. 아직 이민1세가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뉴커머 재일 한국인의 경험이 세대가 교체됨에 따라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utility of the concepts of diaspora theory and diasporic identity as a frame for understanding Korean newcomers in Japan. I consider diaspora as a dynamic phenomenon, or process, that occurs historically and temporally within a structure composed of diasporic subjects, their homeland, and their country of residence. Understanding diaspora as a process has the advantage that it allows us to see how migra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migration, how agency is formed, and how political power attempts to influence that process. It also allows u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the variable and diverse identities that diasporas create through the above processes. I argue that examining the migration experiences of Korean newcomers in Japan through the concept of diaspora can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Korean newcomers, who are living in a globalized world and partly carrying the legacy of the colonial era, are actively forming their own national identities. Diasporic identity also allows us to understand the various social identities that Korean newcomers in Japan are creating through their active coexistence and participation in Japanese society.

      • KCI등재후보

        재일한인 뉴커머 타운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변용 - 신오쿠보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지충남 ( Ji Choongnam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이 연구는 신오쿠보 코리아타운의 변천을 형성기, 발전기, 정체기 등 3개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SWOT 분석을 활용하여 코리아타운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요인을 추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생존전략을 모색하였다. 코리아타운의 형성기 특징은 생활 밀착형 소규모 점포 및 개별 업종의 다양화이다. 일본의 거품경제, 한국인의 여행자유화, 한국의 일본 문화의 개방 등 외적 요인은 타운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발전기는 한류붐의 절정기로 제1차 한류붐은 드라마, 제2차 한류붐은 K-pop이 이끌었다. 카페, 공연장, 뉴커머 직능단체의 결성 등 타운의 정착과 다양화가 이루어졌지만, 타운 경제의 성장동력이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 서비스 업종에 치중되어 영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정체기는 지역축제의 시작, 상권의 과열, 한류붐의 인기 추락, 혐한시위의 전개, 한일관계의 악화 등으로 코리아타운 경제가 침체를 겪으면서 상권의 변화와 부침이 있었다. 그리고 타운의 활로와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남겼다. 코리아타운의 상황을 SWOT로 분석한 결과, 한국인 중심의 에스닉타운에서 다민족 중심의 다문화공생타운으로 변신해야 한다. 첫째, 코리아타운에서 타민족의 가게 입점이 증가하여 뉴커머 입지의 협소; 둘째, 뉴커머 가게와 타민족 가게의 공생과 공존은 뉴커머 상점을 혐한시위의 표적으로부터 희석시킬 수 있음; 셋째, 다민족 문화를 접촉할 수 있는 공간적 유용성은 새로운 방문객을 유인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by each phase through dividing a change in ShinOkubo Korean Town into 3 pieces such as the formative period, the developmental period, and the stagnant period. Also, it extracted factors of strength, weak point, opportunity and threat in Korea Town using SWOT analysis, and sought for a survival strategy based on this. A characteristic of the formative period in Korea Town includes the small-scale stores closely related with lifestyle, and the diversity in individual business. The growth of the town was facilitat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Japan`s bubble economy, South Korean people`s being liberalized the overseas trips, and South Korea`s opening Japanese culture. The developmental period corresponded to the prime time of the Hanryu(Korean wave) boom. The primary Hanryu boom was led by drama. The secondary Hanryu boom was driven by K-pop. The settlement and the diversification in the town such as cafe, a performing place, and the formation of the newcomer functional organization were made. But the growth engine in the town economy was biased to the service industry, which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outside. Thus, the stability of business was difficult to be secured. The stagnant period had a change and ups & downs in commercial supremacy while the economy in Korea Town suffers depression due to the beginning of local festival, the overheating in commercial supremacy, a fall in popularity of the Hanryu boom, the development in anti-Korea demonstration, and the deterioration in a South Korea and Japan relationship. And a task was left that a breakthrough and a change in the town should be pursued. As a result of analyzing a situation in Korea Town using SWOT, it needs to be changed from the ethnic town of centering on Korean people to the multi-cultural coexistence town of focusing on multi-nation. First, a rise in entering a store of other races in Korea Town leads to narrowing the position of newcomers. Second, the symbiosis and coexistence between newcomer store and other ethnic store may dilute the newcomer store from the target of anti-Korea protest. Third, the spatial usefulness available for touching multi-racial culture can attract new visitors.

      • KCI등재

        제일한국인 뉴커머 형성과정과 집주지역의 특징

        정진성 ( Chinsung Ch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1 사회와 역사 Vol.0 No.90

        재일한국인은 다른 재외동포와는 구별되는 역사적 특수성을 지니며, 우리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점해왔다. 4~5세대에 이르도록 한국국적, 또는 조선적(무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사실이나, 남북통일의 중요한 한 단서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지난 10년 길게는 20년 동안, 일본에는 일제시기에 형성되어 한국-조선적으로 분리된 역사적 특수성을 지닌 이들과 구별되는 새로운 재일한국인 집단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작명된 ‘뉴커머’가 그들이다. 이들은 한일협정으로 해방 후 20년의 공백에서 벗어나 새로운 이주가 시작된 후,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하나의 새로운 집단을 이루기 시작했으며, 도쿄(東京) 주변의 오쿠보(大久保)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집주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재일한국인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역사, 사회, 인류학 등에서 간간히 이루어져 왔지만, 뉴커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최근 오쿠보 지역과 같은 집주지역의 공간적 형성이라는 시각에서 새로운 연구주제로 다루어지는 정도이다. 본 연구는 합법적 이주와 불법체류 노동자를 포함하여 뉴커머 재일한국인 전반에 대한 전체 윤곽을 잡은 후, 오쿠보의 코리아타운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올드커머와는 달리, 뉴커머 집단은 대부분의 소수민족집단의 일반성을 다분히 띄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으며, 한국국적과 조선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올드커머와 뉴커머 간의 관계설정이 재일한국인 전체의 양상을 점차 변화시킬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Koreans in Japan have been a significant part of whole Korean history. They have some historical peculiarities, which differentiates them from other Korean diaspora in the world; 4th or 5th generations still keep Korean nationality, and they could play some important role for national reunification. Separately from those old group of Koreans in Japan, new Korean minority group has been formed since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of 1965. They are called “new comers” in Japan, They began to form a significant minority group in Japan since the end of the 1980s, and “Korea Town” also began to appear in some places such as Okubo. Researches on Koreans in Japan have been focused on “old comers” in the field of sociology, history, anthropology, etc., but the community of new comers began to be approached from the geographical perspective as newly developed urban minority areas. This paper tries to capture overall situation of new comers including both irregular workers and Iegal immigrants, and then analyse one Korean town in Okubo. This paper found that this new comers`s group have mo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thnic minority, and proposes that how they make the relations with old comers would change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ns in Japan.

      • KCI등재

        뉴커머 재일한상과 세계한상대회 - 참여 경험, 성과, 발전 방안을 중심으로

        지충남(Choong-Nam, J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2

        이 논문은 뉴커머 재일한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세계한상대회 참여경험, 성과, 발전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세계한상대회 참여 경험에서 참가 목적은 인적 네트워크의 구축,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기업전시회로 나타났다. 둘째, 대회의 참여성과를 보면 재외동포재단의 대회 네트워크 구축 노력, 비즈니스 정보획득, 한상대회 홍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50% 이상이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참가목적 또는 비즈니스 성과에 대한 만족, 네트워크 구축에 도움이 되었음, 밍글링 만족도는 40%의 빈도, 그리고 적합한 파트너 만남은 10명 중 3명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세계한상대회의 발전 방안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업 참가와 전시품 진열, 성과 유발을 위한 기업 매칭, 개최지의 전 세계 확대, 참가업체의 사전 정보 제공, 1:1 비즈니스미팅의 취소 금지, 대회 활성화를 위한 민간기구 및 정부 지원, 운영 준비의 철저, 신규 세미나 개설 등은 10명 중 5명 정도가 동의한 반면에 회의에서 전문 통역의 필요성에 대해 30% 정도가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국내 기업인과 재외한상의 적합한 매칭 어려움에 대한 보완책을 준비하여 많은 한상들의 대회 참여를 유인해야 한다. 둘째, 뉴커머 재일한상들은 참여업체의 사전 정보 제공 미흡에 불만을 갖고 있었다. 재외동포재단은 매년 홈페이지를 통해 참가 기업의 사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응답자의 대회 운영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다. 주최측은 대회 운영의 전반에 대한 홍보에 치중해야 한다. 셋째, 뉴커머 재일한상들은 세계한상대회의 개최지를 전 세계로 확대하자고 주장하였다. 대회의 한국 개최는 중소기업 제품의 수출 및 재외한상들의 모국 투자의 촉진과 관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본 취지에 부적합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ccomplishments, and development plans of participating in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newcomers residing in Japan. First, the experience and the purpos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was to establish a human network, and the most preferred program was an enterprise exhibition. Second,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effort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nvention network of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business information acquisition, Korean Business Convention promotion,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Satisfaction with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or business performance, effectiveness in network establishment, 40% frequency of mingling satisfaction and three out of ten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meeting with the right partner. Third, as for the development measures of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bout 5 out of 10 agreed about participation in various companies and exhibition display, matching companies for performance inducement, enlarging the venue worldwide, providing advance information of participating companies, prohibiting cancellation of 1:1 business meeting, support for private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to revitalize the competition, thorough preparation for operation, opening of new seminar and etc. On the other hand, about 30%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interpretation at the meeting.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upplementary plan for overcome the matching difficulties of domestic and overseas businessmen and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many Korean companies in the business convention. Second, the newcomers in Japan were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prior information provided by participating companies. Since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provides preliminary information of participating companies through the homepage every year, respon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vention"s operating system was low. The organizer should focus on promo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etition. Third, the newcomers suggested that the host of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should be extended to the whole world. The hosting of the competition in Korea is inappropriate for its purpose, as it is related to the expor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roducts and the promotion of overseas Korean companies" home country investment.

      • 뉴커머 재일한상과 세계한상대회: 참여 경험, 성과, 발전 방안을 중심으로

        지충남(Choong-Nam, J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9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Vol.2019 No.6

        이 논문은 뉴커머 재일한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세계한상대회 참여 경험, 성과, 발전 방안을 고찰하였다. 첫째, 세계한상대회 참여 경험에서 참가 목적은 인적 네트워크의 구축,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기업전시회로 나타났다. 둘째, 대회의 참여성과를 보면 재외동포재단의 대회 네트워크 구축 노력, 비즈니스 정보획득, 한상대회 홍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50% 이상이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참가목적 또는 비즈니스 성과에 대한 만족, 네트워크 구축에 도움이 되었음, 밍글링 만족도는 40%의 빈도, 그리고 적합한 파트너 만남은 10명 중 3명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세계한상대회의 발전 방안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업 참가와 전시품 진열, 성과 유발을 위한 기업 매칭, 개최지의 전 세계 확대, 참가업체의 사전 정보 제공, 1:1 비즈니스미팅의 취소 금지, 대회 활성화를 위한 민간기구 및 정부 지원, 운영 준비의 철저, 신규 세미나 개설 등은 10명 중 5명 정도가 동의한 반면에 회의에서 전문 통역의 필요성에 대해 30% 정도가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국내 기업인과 재외한상의 적합한 매칭 어려움에 대한 보완책을 준비하여 많은 한상들의 대회 참여를 유인해야 한다. 둘째, 뉴커머 재일한상들은 참여업체의 사전 정보제공 미흡에 불만을 갖고 있었다. 재외동포재단은 매년 홈페이지를 통해 참가 기업의 사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응답자의 대회 운영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다. 주최측은 대회 운영의 전반에 대한 홍보에 치중해야 한다. 셋째, 뉴커머 재일한상들은 세계한상대회의 개최지를 전 세계로 확대하자고 주장하였다. 대회의 한국 개최는 중소기업 제품의 수출 및 재외한상들의 모국 투자의 촉진과 관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본 취지에 부적합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ccomplishments, and development plans of participating in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newcomers residing in Japan. First, the experience and the purpos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was to establish a human network, and the most preferred program was an enterprise exhibition. Second, more than 5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effort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nvention network of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business information acquisition, Korean Business Convention promotion,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Satisfaction with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or business performance, effectiveness in network establishment, 40% frequency of mingling satisfaction and three out of ten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meeting with the right partner. Third, as for the development measures of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bout 5 out of 10 agreed about participation in various companies and exhibition display, matching companies for performance inducement, enlarging the venue worldwide, providing advance information of participating companies, prohibiting cancellation of 1:1 business meeting, support for private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to revitalize the competition, thorough preparation for operation, opening of new seminar and etc. On the other hand, about 30%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interpretation at the meeting.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upplementary plan for overcome the matching difficulties of domestic and overseas businessmen and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many Korean companies in the business convention. Second, the newcomers in Japan were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prior information provided by participating companies. Since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provides preliminary information of participating companies through the homepage every year, respon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vention’s operating system was low. The organizer should focus on promo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etition. Third, the newcomers suggested that the host of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should be extended to the whole world. The hosting of the competition in Korea is inappropriate for its purpose, as it is related to the expor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roducts and the promotion of overseas Korean companies’ home country investment.

      • KCI등재후보

        1980년대 말 니가타(新潟)의 결혼이민과 뉴커머 한국 여성의 삶 (3) - 다문화가정의 가능성 -

        양아람 ( Yang Ah-lam ),이행선 ( Lee Haeng-seo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8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3 No.-

        1988년 10월 한국에서 니가타(新潟)로 결혼이민을 간 다카하시(高橋)는 29년간 일본에 거주하며 뉴커머 한국 여성으로서 살아가고 있다. 농부인 남편은 쌀농사를 하고 있다. 성인이 된 두 자녀 중 딸은 사무직에 근무하다가 일본남자와 결혼하여 도쿄(東京) 치바(千葉)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아들은 건축학과를 졸업한 후 건축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다. 다카하시의 삶의 궤적을 살펴보는 것은 뉴커머 한국 여성의 삶과 198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결혼이민을 통해 일본으로 건너간 뉴커머 한국 여성의 ‘현재’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흔히 우리는 국제결혼과 다문화를 생각할 때 해당 지자체의 다문화 행정 제도사를 고찰하고 제도의 영향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자체의 행정이 실제적으로 잘 닿지 않는 농촌가정에서 국제결혼과 다문화가정의 성공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이를 고찰하기 위해 본고는 굴곡진 이민실패의 사례가 아니라 두 가지 정체성을 조화롭게 조정하며 일본사회안에서 성공적으로 영위해가는 다카하시의 삶의 맥락을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이는 본질적으로 외국 동경(憧憬)에서 비롯된 결혼이민과 다문화 공생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기획이다. Takahashi, who married in Niigata in October 1988, has lived in Japan for 29 years and is living in Japan as a Zainichi Korean. Her husband is a farmer. Her daughter worked as an office clerk and married a Japanese man. They lives in Chiba, in Tokyo. Takahashi’s son works in a building company after graduating from architecture department. The aim of Takahashi's life is to examine the life of Korean women living in Japan and to identify the ‘current’ of Korean women who have moved to Japan through marriage immigrants since the end of the 1980s. Often, when we think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and multiculturalism, we tend to think about the history of multicultural administration and focus on the influence of institutions. However, how can the suc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families be possible in a rural home where the administ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s practically inaccessible? In order to examine this, I tried to look at the context of Takahashi’s life, which harmonizes two identities and is successful in mind in Japan. This is a project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marriage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 symbiosis originating from foreign dreams.

      • KCI등재후보

        뉴커머 재일한상의 모국 네트워크 : 세계한상대회를 중심으로

        지충남,양연희,슈쿠로바 메흐리니소 한국지방정치학회 2019 한국지방정치학회보 Vol.9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homeland networking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eight Korean business New comers residing in Japan and running businesses in Toky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y had a positive consensus on participating in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the homeland networking had been maintained due to the necessity of business operation. Related to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firs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as executive members of the Korean business group in Japan was not high. Second, Job fair, Young business leader forum, Corporate exhibition, and 1:1 business meeting were considered to be excellent programs. Third,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in purchase pushing of Korean products, in presentation of abstract amount of counseling, in lack of meeting a person, in diversify of programs, in participation in events by voluntary will, and in displaying excellent products. Fourth, they were well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vention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integration of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and the World-OKTA Convention. Second,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its substantial value rather than trying to show the results to the outside world. 이 연구는 도쿄를 중심으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8명의 뉴커머 재일한상들의 세계한상대회 참여를 통한 모국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고 있다. 분석 결과, 이들은 세계한상대회 참여에 긍정적 공감대를 갖고 있으며, 모국 네트워크는 기업 운영의 필요성 때문에 유지되고 있었다. 세계한상대회와 관련하여 첫째, 단체 임원으로 참석한 재일한상의 참여동기는 높지 않았다. 둘째, 우수 프로그램은 취업박람회, 영비즈니스리더포럼, 기업전시회, 1:1 비즈니스 미팅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개선점으로 한국 상품의 구매 강요, 상담금액의 추상적 성과 발표, 미팅 상대의미흡, 프로그램의 다양화, 자율 의사에 의한 행사 참여, 우수 상품의 전시등이다. 넷째, 세계한상대회와 세계한인경제인대회의 차이점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 세계한상대회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기술하면 첫째, 세계한상대회와 세계한인경제인대회의 통합 추진이다. 둘째, 세계한상대회는 외부에 보여주려는 성과보다는 대회의 내실화에 치중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