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여가시설의 서비스 공정성이 여가만족도 및 기관 신뢰에 미치는 영향

        김용국,김선희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공공여가시설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공정성이 만족도 및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 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여가서비스 제공시 발생되는 문제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모색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경기도 내 교육시설, 체육시설, 공연시설 등 복합 시설로 구성되어 있는 공공여가시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500명의 자료 중 무성의하게 응 답한 45명의 자료를 제외한 45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 며, 연구대상자 특성,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서비스 공정성, 만족도, 신뢰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과 단순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여 가시설의 서비스 공정성 3개 하위 모두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 상호 작용공정성, 절차공정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여가시설 만족도가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여가시설의 서비스 공정성 3개 하위 모두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공정성, 사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was to offer the effect of service justice of public leisure facility on satisfaction and trust. The 500 participants of public leisure facility were chosen from located in Gyeonggi-do. 45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f 5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45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they judged by lack of reliable dat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 20.0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 service justice of public leisure fac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Second, satisfaction of public leisure fac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rust. Third, service justice of public leisure fac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rust.

      • KCI등재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가정책만족의 매개효과

        한진오,정득,이종석 여가문화학회 2019 여가학연구 Vol.17 No.2

        This study aims at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of Korea people’s leisure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is an effort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any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olicy satisfaction in that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influences people’s leisure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aw data entitled 「The 2018 Survey on Public Leisure Life of Korea」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used. The target subjects chosen were 2,973 persons (1,705 males, 1,268 females) who were aged over 19 and had experienced using public leisure facilities. Along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schooling level, income level, and region),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weekly 5-day work system, weekly working hours, and happiness level) were controlled fo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on leisure policy gave positive(+) influences. In addition, Path Analysis proved that leisure policy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course of examining the impact of satisfaction of public leisure facilities over leisure life satisfaction. Such results imply that practical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related leisure policy, both of which can increase the quality of Korean people’s life, must go hand in hand to enhance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public domain, policies and PR measures should be arranged for the minorities and isolated groups to enhance their accessability to public leisure facilities or leisure programs within their life zone. Furthermore, this study implies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regional differences in leisure life satisfaction, we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by establishing leisure polic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in a given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특히 공공여가시설만족도가 여가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여가정책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였고, 공공여가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9세 이상의 2,973명(남자 1,705명, 여자 1,26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력수준, 소득수준, 지역)와 함께 근무환경변수(주5일제, 근무시간, 행복수준)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한 결과, 공공여가시설만족도와 여가정책만족도는 여가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양(+)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통해 공공여가시설만족도가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여가정책만족도가 부분매개하는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공공여가시설과 관련 여가정책이 병행되어야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가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법과 제도의 개선과 함께, 다양한 여가시설, 질 좋은 여가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와 같은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공공영역에서는 취약계층이나 소외계층의 생활권 내 공공여가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과 홍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여가생활만족도의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민들의 특성을 고려한 여가정책 수립으로 공공여가시설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공공체육시설 이용 참여동기와 고객충성 및 지역애착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길(Jong-Gil Kim),전윤수(Youn-Soo Je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2

        이 연구는 여가스포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되고, 다양한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참여 동기와 여가만족도, 고객충성도 및 지역애착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D광역시의 공공체육시설 이용자를 모집단으로 해당 지역을 방문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약800명을 대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지적요인과 사회적 요인, 유능적 요인 그리고 휴식적 요인으로 구성된 참여 동기는 재등록 의사와 타인추천의사로 구성된 고객 충성도와 친분성과 의존성 그리고 정체성으로 구성된 지역 애착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체육시설 이용자들이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지역 공공체육시설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요인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객 충성도와 지역 애착도 여가만족을 향상시키는 요인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공공체육시설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공공체육시설의 활성화는 지역 주민의 사회적 관심을 강화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요 시설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참여동기를 높이는 방안과 개선책을 모색하여, 시설에 대한 고객충성이 좋은 시설환경에서 중요 요인으로 인지되며, 나아가 지역에 대한 애착도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몇 가지 요인들이 여가스포츠에 대한 만족으로 이어진다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적 향상을 더욱 도모 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rising interest, in leisure sports and increasing desire for better quality of life in various aspects among peopl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isure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and community attachment among the user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s made a visit to the concemed areas of user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who were the population, in D Metropolitan City and conducted a survey with approximately 800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or older. As a result, participation motivation, which was comprised of intellectual, social, competence, and resting factors, tumed out to increase customer loyalty, which consisted of re-registration inten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o others, and community attachment, which consisted of intimacy, dependence, and identity, which indicates that user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can be a major factor in the rising interest in the community, further in the activ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the community, and also in the improvement of customer loyalty, community attach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consequently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vitaliz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e activ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will thus work to reinforce the social interest of local residents and offer a major facility venue for the promotion of quality of life, If efforts are made to search for plans improvement, measure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y users and recognize customer loyalty for facilities as a critical factor in good facility environments, local residents will have more attachment to their community. When those several factors lead to satisfaction with leisure sports,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will further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