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 판본의 특징

        김광철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4

        조선 문종 1년에 편찬이 완료된 『고려사』는 단종 1년 4월 경에 처음으로 인출되었다. 그러나 그 인출 규모가 소량인데다 궁궐에만 보관돰으로써, 이후 추가 인쇄와 반포 요구가 이어졌다. 『고려사』의 반포는 상당 기간 유보되다가 성종 초에 을해자본 『고려사』가 간행되면서 비로소 반포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고려사』는 관료와 지식인 사회에 널리 유통되었다. 성종 5년부터 『고려사』는 경연 자료로 채택되었으며, 현안 문제를 논의하는 데에도 자주 활용되었다.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 읽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개인적으로 『고려사』를 소장하는 등 민간에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광해군 4년 경에는 목판본 『고려사』가 간행되어 지속적으로 인출됨으로써 민간 유통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었으며, 17세기 이후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를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저작에 활용하는 등 그 이해의 폭이 넓혀지고 있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고려사』를 텍스트로 하여 수정, 보완하거나 개편하는 작업도 시도되어 안정복의 『동사강목』과 같은 역작이 나타날 수 있었다.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고려사』 판본의 유통 확대와 그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고려사』 판본을 현재까지 남겨 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확인되는 『고려사』 판본은 80여 종에 이른다. 그러나 대부분 결본이고 완질의 『고려사』 판본은 동아대학교 소장본을 포함하여 5종에 지나지 않는다. 동아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목판본 『고려사』는 75책의 규모인데, 2권 1책을 기준으로 하여 지와 열전의 경우 그 일부를 1권 1책이나 3권 1책으로 묶은 결과이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서울대 규장각 소장의 목판본 『고려사』 85책과 동일한 판본이다. 다만 규장각 소장본에 비해 자면이나 계선에서 나뭇결의 터짐 현상 혹은 탈락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출 시기가 늦은 후쇄본이거나 보관과 유통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목판본 『고려사』에서는 오탈자가 확인된다. 오탈자가 많게 된 것은 편찬 당시 초고에서부터 초간본을 저본으로 한 을해자본의 출현, 그리고 을해자본을 저본으로 복각 목판본을 간행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누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목판본 『고려사』에 오탈자가 많다 하더라도 그 수량은 『고려사』 전체 80여만 자 가운데 극히 일부일 것이고, 이것이 『고려사』 판본의 갖는 가치를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다. Koryo History(『高麗史』) whose compilation had been finished in the first year of King Moonjong was firstly introduced around April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in the Chosun Dynasty. However, a small quantity was publicized inside palace only, which caused a request of its additional printing and publicizing. It was not until the earlier years of King Seongjong that the circulation of Koryo History was distributed with its publication in type of Eulhae(乙亥) letter after reserving its distribution for a long time. Koryo History had been a wide circulation in the society and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since the time of King Seongjong. It had been adopted as a reference text for contests since the fifth year of King Seongjong and frequently used in the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Reading Koryo History spread in the intellectual society and quite a few people owned it individually. Ultimately it began to be distributed in the reading public at large. In the fourth year of King Gwanghae its wood block books were printed in quantity continuously and this made their gradual public distribution possible. Since the 17th century intellectuals had conducted their research concerning Koryo History and used many quotations from it in their writing. Many began to understand it in this way. In this environment the attempt was commenced to revise or supplement it adopting Koryo History as text and as a result a masterpiece like Jeongbok Ahn’s Dongsagangmok(『東史綱目』) could be publishe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expanding the distribution of Koryo History and the broad understanding of it up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period served as momentum for inheriting it to this day. There are 80 editions of Koryo History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but it has more cracking and falling off grains in typefaces and lines compared with one owned by Gyujangkak. They were caused by carelessness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and it proves that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was printed later than one owned by Gyujangkak.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In conclusion,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is never diminishes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in value.

      • KCI등재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판본의 특징

        김광철 ( Gwang Cheol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4

        조선 문종 1년에 편찬이 완료된 『고려사』는 단종 1년 4월경에 처음으로 인출되었다. 그러나 그 인출 규모가 소량인데다 궁궐에만 보관됨으로써, 이후 추가 인쇄와 반포 요구가 이어졌다. 『고려사』의 반포는 상당 기간 유보되다가 성종 초에 을래자본 『고려사』가 간행되면서 비로소 반포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고려사』는 관료와 지식인 사회에 널리 유통되었다. 성종 5년부터 『고려사』는 경연 자료로 채택되었으며, 현안 문제를 논의하는 데에도 자주 활용되었다.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읽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개인적으로 『고려사』를 소장하는 등 민간에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광해군 4년 경에는 목판본 『고려사』가 간행되어 지속적으로 인출됨으로써 민간 유통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었으며, 17세기 이후 지식인사회에서 『고려사』를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저작에 활용하는 등 그 이해의 폭이 넓혀지고 있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고려사』를 텍스트로 하여 수정, 보완하거나 개편하는 작업도 시도되어 안정복의 『동사강목』과 같은 역작이 나타날 수 있었다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고려사』판본의 유통 확대와 그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고려사』판본을 현재까지 남겨 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확인되는 『고려사』판본은 80여 종에 이른다. 그러나 대부분 결본이고 완질의 『고려사』판본은 동아대학교 소장본을 포함하여 5종에 지나지 않았다. 동아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목판본 『고려사』는 75책의 규모인데, 2권1책을 기준으로 하여 지와 열전의 경우 그 일부를 1권 1책이나 3권 1책으로 묶은 결과이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서울대 규장각 소장의 목판본 『고려사』85책과 동일한 판본이다. 다만 규장각 소장본에 비해 자면이나 계선에서 나뭇결의 터짐 현상 혹은 탈락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출 시기가 늦은 후쇄본이거나 보관과 유통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목판본 『고려사』에서는 오탈자가 확인된다. 오탈자가 많게 된 것은 편찬 당시 초고에서부터 초간본을 저본으로 한 을해자본의 출현, 그리고 을해자본을 저본으로 복각 목판본을 간행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누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목판본 『고려사』에 오탈자가 많다 하더라도 그 수량은 『고려사』 판본의 갖는 가치를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다. Koryo History(『高麗史』) whose compilation had been finished in the first year of King Moonjong was firstly introduced around April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in the Chosun Dynasty. However, a small quantity was publicized inside palace only, which caused a request of its additional printing and publicizing. It was not until the earlier years of King Seongjong that the circulation of Koryo History was distributed with its publication in type of Eulhae(乙亥) letter after reserving its distribution for a long time. Koryo History had been a wide circulation in the society and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since the time of King Seongjong. It had been adopted as a reference text for contests since the fifth year of King Seongjong and frequently used in the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Reading Koryo History spread in the intellectual society and quite a few people owned it individually. Ultimately it began to be distributed in the reading public at large. In the fourth year of King Gwanghae its wood block books were printed in quantity continuously and this made their gradual public distribution possible. Since the 17th century intellectuals had conducted their research concerning Koryo History and used many quotations from it in their writing . Many began to understand it in this way. In this environment the attempt was commenced to revise or supplement it adopting Koryo History as text and as a result a masterpiece like Jeongbok Ahn`s Dongsagangmok(『東史綱目』) could be publishe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expanding the distribution of Koryo History and the broad understanding of it up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period served as momentum for inheriting it to this day. There are 80 editions of Koryo History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printed frorn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but it has more cracking and falling off grains in typefaces and lines compared with one owned by Gyujangkak. They were caused by carelessness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and it proves that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was printed later than one owned by Gyujangkak.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In conclusion,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is never diminishes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in value.

      • KCI등재

        『高麗史』가 Asia史의 硏究에서 차지하는 位相 - 國際關係記事의 精密度가 最上으로 評價되는 高麗王朝의 正史 -

        장동익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4 石堂論叢 Vol.- No.88

        『고려사』는 황제의 역사[本紀]와 신료들의 역사[列傳]을 중심으로 서술된 역사책, 곧 기전체(紀傳體)의 정사(正史)라고 호칭(呼稱)되지만, 황제의 역사는 없고 황제가 분봉(分封)한 제후국(諸侯國) 역사인 세가(世家)가 본기로 대체되었다. 그 사연을 알아보기 위해 고려왕조의 국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918년 왕건(王建)이 장군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여 칭제건원(稱帝建元)하였다고 하지만, 칭왕건원(稱王建元)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고려가 문물제도를 정비할 때 전범(典範)으로 당제국(唐帝國, 618~907)의 경우 광활한 강역(疆域)의 확보, 지배체제의 정비, 사회질서의 안정, 경제의 발달, 전통문화의 융성, 그리고 동서문화의 중심지였다는 점에 의해 황제국의 표본이 되었고, 이로 인해 후일 제국으로 명명되었을 것이다. 이에 비해 고려는 이전 왕조인 태봉국(泰封國)이 교류하였던 오대십국(五代十國, 902~979)의 오월국(吳越國, 907~978)과 민국(閩國, 909~945)의 외교정책을 모방하였던 것 같다. 곧 오월과 민은 당시의 시세의 변화에 따라 칭제건원하다가 약체화되었을 때는 번국(藩國)으로 납공사대(納貢事大)를 행한 미완성(未完成)의 황제국, 또는 소제국(小帝國)으로 존속하였다. 이들의 정치행위를 목도하던 궁예(弓裔), 견훤(甄萱), 그리고 왕건도 십국이 취했던 체제, 외교방식 등을 본받아 내제외왕(內帝外王)의 체제를 표방하였던 것 같다. 그렇지만 13세기 후반 몽골제국의 지배질서 하에 편입되어 제후국으로 강등되었고, 뒤이어 등장한 명제국에도 사대외교를 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형편으로 인해 명제국(明帝國)에 잘 순치(馴致)된 제후국(諸侯國)을 자처하고 있었던 15세기 조선왕조의 위정자들은 자신들의 현실인식을 『고려사』의 편찬에 당시의 국제적 사정을 그대로 반영시켜 『고려사』의 편찬에서 본기(本紀)를 설정하지 아니하였던 것 같다. 그래서 『고려사』는 본기가 없는 불완전한 기전체의 사서라고 할 수도 있고, 이 약점이 역사 연구에서 강점(强点)으로 작용할 수 있는 사서로 평가될 수도 있다. 곧 제국(帝國)임을 표방했던 중원의 정사[二十五史]에서 인근 국가와의 접촉, 교섭에 대한 각종 사실은 국가, 민족, 지역 등의 호칭(呼稱)으로 열전편(列傳篇, 外夷列傳)에 수록되었는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시기의 정리[編年]가 연월(年月), 또는 연도(年度)만이 제시되었고, 일진(日辰)이 표기되지 않았다. 이에 비해 『고려사』는 외이열전(혹은 外國列傳)이 편찬되지 않았기에 인근의 국가, 민족, 상인[客商] 등의 내왕(來往), 접촉, 교류 등이 모두 세가편에 기록되었기에 편년(編年)이 잘 될 수밖에 없고, 그 年月日의 정리에 착오[繫年錯誤]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체제상으로 미비한 점이 있는 『고려사』는 당시 사회의 실상을 더욱 명쾌하게 밝힐 수 있는 생산적 결과[効果]도 제공할 수 있다. 또 『고려사』의 가장 특징적인 면의 하나가 여타의 사서에서 볼 수 없는 특정 외교 관계의 사료가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들 외교문서는 당해 왕조의 정사에서는 수록되어 있지 않은 유일한 자료이기에 역사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발급 시기에 만들어진 구어(口語)로 되어 있어 당시의 언어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고려사』는 內陸Asia의 거란, 여진, 몽골족이 발흥(勃興)할 때 그들과 접촉, 교섭했던 사실이 상세히 기록 ... History of Goryeo (高麗史) is a history book that focuses on the history of emperors and courtiers. Although it is designated as a formal annalistic form, there is no account of the emperors' history. Instead, the history of feudal lords divided by the emperor, known as Sega (世家), is used in place of bon-gi (本紀).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ational status of the Goryeo Dynasty. It is said that in 918, Wang Geon ascended to the throne with the endorsement of his generals, adopting the title of emperor and establishing an era name (稱帝建元). However, it is likely that he was referred to as a king and instituted an era name (稱王建元). When Goryeo overhauled its system of civilization, it took the Tang Empire (唐帝國, 618-907) as a model. The Tang became a model of the imperial state because of its vast territorial area, the establishment of the ruling system, the stability of the social order,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 flourish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fact that it was the center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which would have led to its later designation as the Empire. In comparison, Goryeo seems to have imitated the foreign policy of Wu Yue (吳越國, 907-978) and Min (閩國, 909-945) of the Five Dynasties and Ten Kingdoms (五代十國, 902-979), with which the previous dynasty, Taebong (泰封國), interacted. Wu Yue and Min continued to exist as an incomplete small empire (小帝國), calling the monarch the emperor and establishing an era nam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n paying tribute to the big country as a feudal lord when their power weakened. It seems that Gon Gye(弓裔), Gyeon Hwon (甄萱), and Wang Geon (王建), who witnessed their political activities, imitated the system and diplomacy adopted by the Ten Kingdoms, and advocated a system of calling the emperor at home and the king abroad. However, in the late 13th century, they were incorporated under the ruling order of the Mongol Empire and were relegated to the status of princely states. Later, they were compelled to submit to the Ming Empire(明帝國). Due to this situation, it seems that the rulers of the 15th century Joseon Dynasty, who considered themselves princely states following the Ming Empire, did not establish a bon-gi (本紀) in the compilation of History of Goryeo, reflecting their perception of reality as it was at the time. Therefore, History of Goryeo can be described as an incomplete historical record in annalistic form without bon-gi. However, this weakness can also be viewed as a potential strength in historical research, making it a valuable historical document. In the formal history of China, which proclaimed itself as an empire, various facts about contacts and negoti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were recorded in the Biographies (列傳篇) under the names of countries, peoples, regions, etc. Except in special cases, only the year and month(年月) or year(年度) were provided, and the sexagenary cycle(sexagenary cycle) was not indicated. On the contrary, History of Goryeo holds the advantage that, since the Biographies of Foreign Countries (外國列傳) has not been compiled, the comings, contacts, and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peoples, and merchants are all documented in the Sega. Consequently, the chronological record (編年) is likely to be accurate, and there are minimal errors in arranging the year, month, and day. Therefore, despite its deficiencies in the system, History of Goryeo can yield productive outcomes, shedding clearer light on the societal realities of that time.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History of Goryeo, not found in other history book, is the inclusion of specific diplomatic documents. These diplomatic records are not only historically significant as the sole materials excluded from the formal history of the dynasty at that time but are also crucial for st...

      • KCI등재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국역 고려사』의 도전, 그리고 한계

        신은제 ( Eun Jae Shi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4

        2001년 시작된 『고려사』재역 사업이 2011년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마침내 마침표를 찍었다. 30책의 『국역 고려사』가 완간된 것이다. 『국역 고려사』는 동아대학교가 1973년 완간한 11책의 『역주 고려사』를 재역한 것이다. 『역주 고려사』는 난해한 번역, 구식어투, 오역, 그리고 오주와 같은 여러 문제들이 지적되었고 2011년 완간된 『국역 고려사』는 이렇나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여러 관련 문헌들과 연구들을 참조하여 방대한 주석이 부가된 국역본으로 탄생하였다. 총 30책으로 구성된 『국역 고려사』는 16,083쪽의 방대한 분량으로 원고지 매수만 76,991매에 달했고 주석도 23,751개나 되었다. 『국역 고려사』는 조선후기 복각본인 동아대 소장 『고려사』(이하 동아대본)를 저본으로 하고,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한 『고려사절요』(이하 『고려사절요』)와 을해자 활판본인 『고려사』(이하 아세아본), 또 다른 조선후기 복각본으로 연세대에서 영인한 『고려사』(이하 연세대본)를 참고하여 원문을 확정하였다. 그리하여 조선 성종때 인간된 것으로 추정되는 올해자본의 오류, 조선후기 복각본의 오류 등을 바로 잡아 보다 정확한 원문을 확정하였다. 『국역 고려사』의 번역은 쉽고 고운 우리말로 누구나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난해한 외교문서를 쉽게 풀어쓰는 데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기존 국역서에서 오역하였던 고백화문을 다시 번역하였다. 또 몽고인명은 음가대로 기록하였다. 주석의 경우, 기존 『역주 고려사』에 인용된 고전 주석을 되도록 원용하되 쉽게 풀어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묘지명과 문집 등을 이용해 인물의 생몰년, 가계 등을 제시했다. 뿐만 이니라 필요할 경우 표와 수식을 첨가해 일목요연하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본문에서 인용된 글이 있으면 그 출처를 밝혀 당시 지식인들이 어떤 책을 인용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였다. 이상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국역 고려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열전(2006), 세가(2008년), 지(2011) 순서로 출간되어 책 전체가 완전한 일관성을 갖추고 있지 못했다. 예를 들어 열전에서는 몽골인의 이름이 하자에 대한 우리식 음가로 기술된 것이 세가나 지보다 더 많다. 오타, 오역, 오주가 일부 확인되었다. 각 판본과 원문에 대한 대조가 완전하지 않아 오역되거나 주석이 부가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주석부기에 일관된 원칙이 미비하고 중복된 주석이 일부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인명 주석의 경우 인명 다음에 괄호``( )``를 넣은 다음 생몰년을 기입하되 생몰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는 ``(?~?)``로 표기하기로 했으나 이런 원칙에 따르지 않은 주석이 상당하다. 『GukYeok Goryeosa(國譯 高麗史)』 was publshed by some students who belong to Dnog-A University, in 2011. It is consist of the thirty books, and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books, 『YeokJu Goryeosa(譯註 高麗史)』 translated into Korean by Dnog-A University in 1973 and 『Goryeosa(高麗史)』 translated into Korean by North Korea, this book have some attainments. It corrects the mistakes of ``the Goryeosas`` previously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acient Chinese(漢字). There were a lot of mistakes in ``the Goryeosas``, for example mistranslations, the wrong annotation, the incomprehensible translations, and so on. In addition to this, 『GukYeok Goryeosa(國譯 高麗史)』 makes the new forward in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In translation, it trys to translate the acient spoken chinese into the modern Korean. In annotation, basing on previous annotations in 『YeokJu Goryeosa(譯註 高麗史)』, it supplements the new annotations of the historical accidents, temples, figures in Goryeo Dynasty. A lot of sources were used in supplement the annotations. Though the attainments, there are a lot of faults in 『GukYeok Goryeosa(譯註 高麗史)』. Even though there were fewer faults than the previous books in 『GukYeok Goryeosa(譯註 高麗史)』, it still has the mistranslations and the wrong annotation. Besides it was compiled in ununified form. Finally, the task whick is given to 『GukYeok Goryeosa(譯註 高麗史)』 is the web service of it. Many students ask that it should be offered on web site, Dnog-A University have the plan to offer it on web site.

      • KCI등재

        『고려사절요』卒記의 기재방식과 성격

        김난옥 고려사학회 2012 한국사학보 Vol.- No.48

        The description methods used in obituaries (jalgi) during the Goryeo era generally consisted of a mention of government office and peerage followed by praise or censure of tbe deceased. However. while 30% of obituaries consisted of simple descriptions of the office and peerage of the deceased 20% involved lengthy obituaries that included the office and peerage. praise and censure. family pedigree, background, related episodes, and follow up measures. The individuals found in the obituaries (jolgi) were mainly high ranking ministers. 85% of the obituaries involved officials of 2 pum or higher. Over 50% were officials from the Jungseo Munhaseong (Chancellery for State Affairs). By the time late Goryeo rolled around, the number of cases that included descriptions of the status of the deceased based on investitures rather than official titles had increased. 93% of obituaries appeared in both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Moreover, there were only a few cases in which, although an obituary was prepared, such information was not also reproduced in the sega (世家, noble family history) of the deceased. The majority of the sega included only the offices and peerage of the deceased. However, the obituaries found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included biographical information and episodes pertaining to the person, such as the family pedigree and background, and therefore exhibited a wider r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deceased than the sega.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role played by biographies (yeoljeon)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was in many ways replicated by the obituaries (jolgi)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 look at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Goryeo Guksa (高麗國史, History of the Garyeo State)>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obituaries (joigi) found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aryeo History)> were more in keeping with the original form of the <Goryeo Sillok (高麗實錄, Annals of Garyeo Dynasty)> than the biographies (yeoljeon) fOood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aryeo)>. While access to various materials from not only the <Goryeo Sillok (高麗實錄, Annals of Garyeo Dynasty)> but also the epitaphs and works of the deceased ensured a quantitative increase in biographies (yeoljeon), there remained some leeway to include contradictory contents from the original records or to embellish the original contents. Furthermore, the omission of the biographies of Confucian scholarship (yurimjeon) from the biographies (yeoljeon) found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aryeo)>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obituaries (jolgi) found in the (Goryeo Sillok (高麗實錄, Annals of Goryeo Dynasty)> mostly involved high ranking officials. To this end, it was difficult to include Confucian scholars, which maintained a certain dislance from the government bureaucracy, in the biographies (yeolieon) found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 KCI등재

        『고려사』의 편찬과 조선전기 前朝史인식

        김난옥(KIM NANOK)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6

        왕조국가에서 전조사의 편찬에 권력주체인 왕실의 관점이 반영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고려사’ 편찬과정은 고려 멸망의 필연성과 조선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드러내기 위한 계기가 되었다. 태조대 ?고려국사?의 편찬은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이었으나, 매우 적은 분량이어서 前朝史에 대한 정리라는 측면에서는 한계성이 뚜렷하다. 태종대에는『고려국사』가 ‘僞朝’ 이후의 사적이 ‘失眞’하였다는 명분으로 改修가 추진되었으나,『태조실록』의 修撰이 선행되면서 결국 실현되지 못하였다. 세종대에는 여러 차례의 ‘고려사’ 改修를 걸쳐 文宗1년에 드디어 紀傳體인『고려사』가 완성되었다. 완성된 시점은 문종대이지만 ‘고려사’의 편찬체재와 수록원칙 및 내용에 대한 실질적인 확정은 대부분 세종대에 이루어졌다. 세종대 ‘고려사’ 개수는 ?고려국사? 이후 논란이 되었던 공민왕 이후의 史蹟이 최종적으로 정리됨과 동시에 조선왕실 선대의 기록을 새로 보완하거나 추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문종대 이후 前朝史에 대한 인식은 조금씩 변화가 나타났다. 비록 『고려사』가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지만, 科擧과목이나 經筵의 講論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조선의 官制나 儀禮를 정비할 때 『고려사』의 세부적인 사항과 내용이 참고자료로 활용되었다. 이처럼 ‘고려사’ 편찬 과정에는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강조하려는 왕실의 입장이 매우 강조되었다. 이후 시기가 흐름에 따라 前朝史를 냉정하고 합리적으로 이해할 상황이 마련되기도 하였지만, 기본적인 인식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다만 문종대 이후에는 그 이전에 비해 『고려사』를 국정운영과 결부해 실용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In a country of dynasty, compiling jeonjosa(historical affairs of the previous dynasty) is evidently affected by the incumbent royal family in power. In this regard, the process of compiling ‘Goryeo-sa(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gave an opportunity to justify the ruin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legitimacy of establishing the Joseon Dynasty. The publication of ‘Goryeo-guksa(national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reign of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served this purpose, but due to its small volume, it had limitations in capturing the affairs of the Goryeo Dynasty. Later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efforts were made to update ‘Goryeo-guksa’ under the pretext that the records on the wijo(the illegitimate dynasty) and afterwards lacked truth. However, these were not completed due to the earlier compilation of ‘Taejo-sillok(chronicles of the founder).’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Goryeo-sa’ had been updated several times, and completed in the style of gijeonche by the time of King Munjong. The book was fin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but a substantial part of decisions on the publishing style, principles for selecting the materials and actual selection was made during the time of King Sejong. The works on ‘Goryeo-sa’ during King Sejong’s time cleared a controversy over the historical records on King Gongmin’s reign, and were done in a way that complemented and added records on the previous kings of the Joseon Dynasty. After King Munjong’s time, perceptions on jeonjosa began to change slightly. Though ‘Goryeo-sa’ was not distributed widely, it was occasionally included in gwageo(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or gyeongyeon (lectures given to the king). Particularly, details and information in ‘Goryeo-sa’ were used as a reference inorganizing the government structure and ritu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process of compiling ‘Goryeo-sa’ widely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royal family that emphasized the legitimacy of founding the Joseon Dynasty. As time went by, historical affairs of the previous dynasty came to be seen in a more objective and reasonable manner, but the underlying approach hardly changed. It is noteworthy that after King Munjong’s time, a more practical approach was made to reflect materials of ‘Goryeo-sa’ in government affairs.

      • KCI등재

        공민왕대 기사의 수록양식과 원전자료의 記事 전환방식

        김난옥(KIM NANOK)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2

        The annual average numbers of articles in the era of King Gongmin were 61 in the 「Sega(世家)」 in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39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nd thus the former was approximately 1.5 times of the latter. However,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over time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generally proportional. The numbers of articles between the end of the 12th year and the 13th year of King Gongmin and between the end of the 14th year and the beginning of the 13th year of King Gongmin are much smaller compared to other periods because some of materials in original books were omitted or deleted in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Yuan. The most notable thing in the recording systems of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is that whereas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indicated in approximately 85% of articles in the former,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indicated in only approximately 9% of articles in the latter. In the case of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the daily sexagenary cycles were mostly omitted because many articles gathered were synthesized and summarized because of the principle of ’‘summarization’. Articles beginning with ‘this month’ or ‘this year’ were those for events that clearly occurred in the month or year but could not be dated to certain days. However, among the entire articles for the era of King Gongmin, the number of those beginning with ‘this month’ was only 8 and the number of those beginning with ‘this year’ was only 3. The reason why articles related to Hwanjo(桓祖) were included in the extremely small numbers of ‘this month(是月)’ and ‘this year(是年)’ articles was that the articles related to Hwanjo(桓祖) were added when ‘Goryeo History’ was complie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Lee Seong-Gye related articles contained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in the 「Taejo Series(太祖總序)」 and excessively decorated the achievements of Lee Seong-Gye compared to the activities of persons in the era of King Gongmin recorded in the 「Biographies(列傳)」. As with the case of Hwanjo(桓祖) related articles, this was because the achievements of Lee Seong-Gye were unnaturally included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The preface and messages in 〈Mokeunmungo(牧隱文藁)〉 were recorded in detail in 「Sega(世家)」 and briefly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Cases where terms such as proclamation(宣旨) and royal messages(勅書) were irregularly chang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content of the anthology into articles in the 「Sega(世家)」 and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could be found. The reason for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confusion resulted from frequent changes in the principle of compilation of the ‘Goryeo History’ or the carelessness of compilers.

      • KCI등재

        『고려사』 판본과 그 간행 시기

        김광철 ( Kim Gwang Cheol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9

        현재 국내외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사』 판본은 모두 80여 종 정도이다. 그 판종(版種)은 활자본인 을해자(乙亥字)본과 목판본 두 종류인데, 목판본 『고려사』는 을해자본을 저본으로 하여 복각한 것이다. 문종 1년 8월에 편찬을 완료한 『고려사』는 『고려사절요』와 함께 단종 1년 4월에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 때 『고려사』의 인쇄는 소량에 그쳤고, 그것도 궁궐에만 보관하도록 하여 반포되지 않았다. 『고려사』초간본의 형태는 다만 세종대 이후 인쇄 경향과 『고려사절요』와 동시기에 간행된 점을 감안하면, 갑인자(甲寅字)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 판식은 을해자본 『고려사』와는 달리 10행 17자의 행격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사』는 간행되었지만, 반포되지 않음으로써 간행 직후부터 반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계속 이어졌다. 이 같은 반포 요구에 따라 성종은 각종 사서(史書)를 을해자로 인쇄하는 과정에서 『고려사』의 인쇄와 반포를 약속했다. 이는 곧 실행에 옮겨져 성종 6년 말에서 7년초에는 을해자본 『고려사』가 빛을 보게 되었다. 을해자본 『고려사』가 간행됨으로써 경연 과목으로 널리 활용되고 민간 유통도 활성화되어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전쟁으로 수많은 서적들이 소실되거나 흩어지는 가운데 『고려사』 또한 그 피해를 면치못했다. 전쟁이 끝난 후 광해군은 서적의 수집과 간행 등 문예 진흥책을 펼쳤는데, 서적의 간행은 주로 남아 있는 주자본을 저본으로 하여 목판본으로 복각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 『고려사』의 목판본 복각은 『용비어천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과 함께 광해군 2년 말부터 시작되어 5년 9월 이전에 완료되었다.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高麗史)』 in domestic and abroad library these days. Among them, 5 kinds of the book were printed with Eulhae metal type(乙亥字) and the rest of them were printed with woodblock printing(木板本). The woodblock printing 『Goryosa』 was recarved based on Eulhae metal type 『Goryosa』. 『Goryosa』 whose compilation had been finished in the first year of King Moonjong(文宗) was firstly published with 『Goryeosa- Jeolyo(高麗史節要)』 around April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端宗). Considering the printing methods since the age of King SeJong(世宗), we can assume that the first edition of 『Goryosa』 was published with Gapin metal type(甲寅字). And it`s lines and letters are form of 10 lines with 17 letters. The first edition of 『Goryosa』 was printed a small quantity. And It was housed inside palace only, which caused a request of its additional printing and publicizing. By these request of proclamation, King Seongjong(成宗) promised to print and distribute 『Goryosa』 as soon as possible. These pledges was carried into effect, Eulhae metal type 『Goryosa』 was published in the late sixth year and early seventh year of King Seongjong. 『Goryosa』 had been a wide circulation in the society of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after print it using the Eulhae metal type. It had been adopted as a reference text for contests since the age of King Seongjong and frequently used in the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While suffe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so many precious books were burnt or scattered. Even the printed books of 『Goryosa』 was not immune. After the war, King Kwang- Hae(光海君) has done various works to promote literature and book acquisition. The work was cut on blocks and published based on the metal movable type prints. The woodblock printing 『Goryosa』 was printed in the fourth year of King Gwanghae.

      • KCI등재

        『고려사』 판본과 그 간행 시기

        김광철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9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高麗史)』 in domestic and abroad library these days. Among them, 5 kinds of the book were printed with Eulhae metal type(乙亥字) and the rest of them were printed with woodblock printing(木板本). The woodblock printing『Goryosa』 was recarved based on Eulhae metal type 『Goryosa』. 『Goryosa』 whose compilation had been finished in the first year of King Moonjong(文宗) was firstly published with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 around April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端宗). Considering the printing methods since the age of King SeJong(世宗), we can assume that the first edition of 『Goryosa』 was published with Gapin metal type(甲寅字). And it’s lines and letters are form of 10 lines with 17 letters. The first edition of 『Goryosa』 was printed a small quantity. And It was housed inside palace only, which caused a request of its additional printing and publicizing. By these request of proclamation, King Seongjong(成宗) promised to print and distribute 『Goryosa』 as soon as possible. These pledges was carried into effect, Eulhae metal type 『Goryosa』 was published in the late sixth year and early seventh year of King Seongjong. 『Goryosa』 had been a wide circulation in the society of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after print it using the Eulhae metal type. It had been adopted as a reference text for contests since the age of King Seongjong and frequently used in the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While suffe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so many precious books were burnt or scattered. Even the printed books of 『Goryosa』 was not immune. After the war, King Kwang- Hae(光海君) has done various works to promote literature and book acquisition. The work was cut on blocks and published based on the metal movable type prints. The woodblock printing 『Goryosa』 was printed in the fourth year of King Gwanghae. 현재 국내외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사』 판본은 모두 80여 종 정도이다. 그 판종(版種)은 활자본인 을해자(乙亥字)본과 목판본 두 종류인데, 목판본 『고려사』는 을해자본을 저본으로 하여 복각한 것이다. 문종 1년 8월에 편찬을 완료한 『고려사』는 『고려사절요』와 함께 단종 1년 4월에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 때 『고려사』의 인쇄는 소량에 그쳤고, 그것도 궁궐에만 보관하도록 하여 반포되지 않았다. 『고려사』 초간본의 형태는 다만 세종대 이후 인쇄 경향과 『고려사절요』와 동시기에 간행된 점을 감안하면, 갑인자(甲寅字)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 판식은 을해자본 『고려사』와는 달리 10행 17자의 행격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사』는 간행되었지만, 반포되지 않음으로써 간행 직후부터 반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계속 이어졌다. 이 같은 반포 요구에 따라 성종은 각종 사서(史書)를 을해자로 인쇄하는 과정에서 『고려사』의 인쇄와 반포를 약속했다. 이는 곧 실행에 옮겨져 성종 6년 말에서 7년 초에는 을해자본 『고려사』가 빛을 보게 되었다. 을해자본 『고려사』가 간행됨으로써 경연 과목으로 널리 활용되고 민간 유통도 활성화되어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전쟁으로 수많은 서적들이 소실되거나 흩어지는 가운데 『고려사』 또한 그 피해를 면치 못했다. 전쟁이 끝난 후 광해군은 서적의 수집과 간행 등 문예 진흥책을 펼쳤는데, 서적의 간행은 주로 남아 있는 주자본을 저본으로 하여 목판본으로 복각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 『고려사』의 목판본 복각은 『용비어천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과 함께 광해군 2년 말부터 시작되어 5년 9월 이전에 완료되었다.

      • KCI등재

        『국역 고려사』의 도전, 그리고 한계

        신은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4

        2001년 시작된 『고려사』 재역 사업이 2011년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마침내 마침표를 찍었다. 30책의 『국역 고려사』가 완간된 것이다. 『국역 고려사』는 동아대학교가 1973년 완간한 11책의 『역주 고려사』를 재역한 것이다. 『역주 고려사』는 난해한 번역, 구식어투, 오역, 그리고 오주와 같은 여러 문제들이 지적되었고 2011년 완간된 『국역 고려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여러 관련 문헌들과 연구들을 참조하여 방대한 주석이 부가된 국역본으로 탄생하였다. 총 30책으로 구성된 『국역 고려사』는 16,083쪽의 방대한 분량으로 원고지 매수만 76,991매에 달했고 주석도 23,751개나 되었다. 『국역 고려사』는 조선후기 복각본인 동아대 소장 『고려사』(이하 동아대본)를 저본으로 하고,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한 『고려사절요』(이하 『고려사절요』)와 을해자 활판본인 『고려사』(이하 아세아본), 또 다른 조선후기 복각본으로 연세대에서 영인한 『고려사』(이하 연세대본)를 참고하여 원문을 확정하였다. 그리하여 조선 성종때 인간된 것으로 추정되는 을해자본의 오류, 조선후기 복각본의 오류 등을 바로 잡아 보다 정확한 원문을 확정하였다. 『국역 고려사』의 번역은 쉽고 고운 우리말로 누구나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난해한 외교문서를 쉽게 풀어쓰는 데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기존 국역서에서 오역하였던 고백화문을 다시 번역하였다. 또 몽고인명은 음가대로 기록하였다. 주석의 경우, 기존 『역주 고려사』에 인용된 고전 주석을 되도록 원용하되 쉽게 풀어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묘지명과 문집 등을 이용해 인물의 생몰년, 가계 등을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필요할 경우 표와 수식을 첨가해 일목요연하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본문에서 인용된 글이 있으면 그 출처를 밝혀 당시 지식인들이 어떤 책을 인용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였다. 이상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국역 고려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열전(2006년), 세가(2008년), 지(2011년) 순서로 출간되어 책 전체가 완전한 일관성을 갖추고 있지 못했다. 예를 들어 열전에서는 몽골인의 이름이 한자에 대한 우리식 음가로 기술된 것이 세가나 지보다 더 많다. 오타, 오역, 오주가 일부 확인되었다. 각 판본과 원문에 대한 대조가 완전하지 않아 오역되거나 주석이 부가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주석부기에 일관된 원칙이 미비하고 중복된 주석이 일부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인명 주석의 경우 인명 다음에 괄호‘( )’를 넣은 다음 생몰년을 기입하되 생몰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는 ‘(?~?)’로 표기하기로 했으나 이런 원칙에 따르지 않은 주석이 상당하다. 『GukYeok Goryeosa(國譯 高麗史)』 was published by some students who belong to Dnog-A University, in 2011. It is consist of the thirty books, and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books, 『YeokJu Goryeosa(譯註 高麗史)』 translated into Korean by Dnog-A University in 1973 and 『Goryeosa(高麗史)』 translated into Korean by North Korea, this book have some attainments. It corrects the mistakes of ‘the Goryeosas’ previously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acient Chinese(漢字). There were a lot of mistakes in ‘the Goryeosas’, for example mistranslations, the wrong annotation, the incomprehensible translations, and so on. In addition to this, 『GukYeok Goryeosa(國譯 高麗史)』 makes the new forward in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In translation, it trys to translate the acient spoken chinese into the modern Korean. In annotation, basing on previous annotations in 『YeokJu Goryeosa(譯註 高麗史)』, it supplements the new annotations of the historical accidents, temples, figures in Goryeo Dynasty. A lot of sources were used in supplement the annotations. Though the attainments, there are a lot of faults in 『GukYeok Goryeosa(國譯 高麗史)』. Even though there were fewer faults than the previous books in 『GukYeok Goryeosa(國譯 高麗史)』, it still has the mistranslations and the wrong annotation. Besides it was compiled in ununified form. Finally, the task whick is given to 『GukYeok Goryeosa(國譯 高麗史)』 is the web service of it. Many students ask that it should be offered on web site, Dnog-A University have the plan to offer it on web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