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불교 연구현황과 과제

        이철헌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For 30 years after liberation, study could not be free. The Koreanscholars, who studied under Japanese scholars during Japanese colonialera, were influenced by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t the time ofmilitary dictatorship, nationalism led the study. Control of the pressprevented free research activities. The pro-democracy movement of 1980s trod the path ofknowledge. People could do scholastic research using free and diverseinterpretations. As academic exchange with scholars from North Koreaand relationship with foreign Buddhism scholars began, Buddhismresearch became active. General universities except Buddhist universities turned outstudents who majored in Buddhism by opening Buddhist lecturesinviting Buddhism major professors. Thus, research on philosophy andreligion, society and economy, literature and art as well as research onBuddhist history and idea came to life and brought rapid progressquantitatively. Looking at data about Goryeo Buddhism for the last 40 years, thenumber of papers has increased as time went by. The subjects of papershave also changed from the life and idea of a person or idea of schoolto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For the subject of a research and plan about Goryeo Buddhism,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Data Base establishment should bedone firstly. Secondly, fusion and integration of studies need to beaccomplished. Next, research about regional Buddhism, faith of peopleand Buddhist culture ought to be achieved. Fourthly, comprehensiveexamination and various explanation about studies are nencessary. Lastly, exchange with scholars from North Korea and abroad isrequired. Studies about Goryeo Buddhism should not end up staying insidethe country but inform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ia of learnedcircles of history. It is also demanded to make an effort at mutualinterchange with foreign scholars. 해방후 30여 년간 학문은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일제 강점기 일본 학자들에게 수학한 학자들은 식민사관에 물들었고, 군부 독재시절엔 국수적 민족주의와 국가주의가 주도했으며, 남북한의 극한 대치로 학문의 교류를 막았고 언론의 통제는 자유로운 연구 활동을 차단했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으로 학문의 숨통을 열어 자유롭고 다양한 해석으로 학문을 연구할 수 있었으며, 북한학자와의 교류도 조금씩 이루어지고 해외 불교학자들과의 유대관계도 맺어지면서 불교연구도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불교계의 대학 이외에 일반대학에서도 불교학전공 교수를 초빙하여 불교관련 강좌를 개설하면서 불교를 전공하는 인력을 배출했다. 그리하여 불교사학과 사상 이외에도 철학과 종교학, 사회와 경제, 문학과 미술 분야의 연구도 활발히 일어나 양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지난 40년간의 고려불교 관련 자료들을 정리해 보면 세월이 지나면서 점차 논문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물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학파의 사상에서 벗어나 사회․정치․경제․문화 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 논문들이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려불교에 대한 연구과제 및 방안으로서는 첫째 기초사료에 대한 전수조사 및 DB구축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융․복합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지역불교와 민중들의 신앙과 불교문화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넷째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해석을 해야 하며, 다섯째 북한과 해외 학자와의 교류가 필요하다. 고려불교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 머물지 않고 국제 불교학계나 역사학계에 널리 알리고 해외학자들과 상호 교류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조선 태종대 世子와 明 帝女의 혼인 논의와 그 정치적 맥락

        정다함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5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post-1945 south Korean historiography where Korean historians began undertaking their sacred mission to rewrite their “own” history of their “own” nation state as an independent and self-contained national history, main stream historiography of Chosŏn history has largely overlooked the discussions on the marriage between Chosŏn royal house and Ming imperial house in early Chosŏn and their meanings. Going beyond this nationalist master narrative of the post-1945 south korean historiography, this paper seeks to rethink the discussions on the marriage between Chosŏn's crown prince and Ming emperor's princess in king T'aejong's reign and seeks further to reconsider their meanings within this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of early Chosŏn where the kings and the Yangban ruling elites continuously represented them in many different ways by recalling and redefining the past of the marriage between Koryŏ royal house and Yuan imperial house. 조선 초기 태조대와 태종대에, 조선 왕실과 명 帝室 사이의 혼인 논의가 진행된 것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연구가 미진하였다. 아마도 그 이유는, 해방 이후의 한국사 연구가 근대국민국가 역사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고려후기 고려와 몽고의 관계를 최대한 “자주적”으로 재정의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 중 하나가 원 제실과 고려 왕실의 혼인 관계였다는 사학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선초 태조대와 태종대 명 제실과의 혼인 논의는, 공민왕대 이후에서 鮮初까지의 “대외관계”를, 元을 중심으로 설정되었던 동아시아의 광역적 통치질서로부터 고려가 벗어나는 과정과 명에 대한 조선의 “사대”가 지니는 “자주성”에 주로 초점을 맞춰 설명해 왔던 통설과는 달리, 그러한 과거의 광역적 통치질서 자체가 이 시기의 특정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다시 재구성되고 조선도 그 질서에 다시 연동되는 관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앞으로 우리가 그 의미를 더욱 고민해보아야 할 지점을 제시해준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해, 조선 태종대 세자와 명 帝女 사이의 혼인 논의가 어떠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전개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피는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혼인 논의가 진행된 태종 3년의 역사적 맥락과 다시 이 논의가 재개되는 태종 7년의 역사적 맥락을 비교/검토하되, 그 사이에 발생한 조선 조정에서의 권력구조의 변화와 두 혼인 논의의 추이를 연동시켜 분석함으로써, 태종대 세자와 明 황제 딸의 혼사 논의를 보다 맥락적으로 이해하려 한다. 나아가 태조대 조선 왕실과 명 제실 사이의 혼인 논의와도 비교해 그 역사적 의미를 파악해보려 한다.

      • KCI등재후보

        高麗 睿宗代 道敎 振興의 배경과 추진세력

        김병인 전남사학회 2003 역사학연구 Vol.20 No.-

        Encourage by his father Suk-jong(肅宗), Ye-jong(睿宗) was in charge of the ceremonies of Daoism from his early days of rule as Crown Prince. In early of Suk-jong's reign, several bureaucrats related some unusual changes in the weather to the misrule of the King, who tried to turn over the situation by using Daoism and divination by configuration of the ground. Ye-jong himself also tried to promote Daoism to overcome national crises and stabilize hardship of the people. Koryo had long been suffering from war and natural disaster. King Ye-jong want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by promoting Daoism. Lee Joong Tak(李仲若) and Eun Won Chung(殷元忠)·Han Ahn In(韓安仁) were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promotion of Daoism. Lee Joong Yak, in particular, led the construction of Bok Won Gung(福源宮) through the essentials of Daoism from Song of China.

      • KCI등재

        논문 : 고려시대 친위군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宋寅州 한국중세사학회 200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16

        This study has examined existing studies and their problems of the royal army among Goryeo military organizations. Although there have been unresolved problems such as vague understanding of the term, Geunjang, a critical ground to see Igun as a kind of the royal army, the military balance of power between Igun and Geumgun, and the total size of Geumgun. it seems that Geumgun, as a special force, was the royal army. It is proved by the facts that Geumgun included several individual forces such as Gyeonyonggun, that there were some peculiar title, such as Jiyu and Haengsu in officer positions of Geumgun, that the people who held the positions of Jivu and Haengsu came from various human sources, that three Guns, six Wis, and 42 Dobus were described in Gunbusajungsincheongsagi of Jolgocheonbaek written by Choi Hac, a typical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ime over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Igun and Geumgun. The future study will have to distinguish between Igun and Geurngun as the central army in Gorveos military structure. Igun which included local forces also could be seemingly regarded as the army of the king, the highest commander-in-chief. But Geumgun was a quite different military organization from Igun in its duty and character, and could be considered the royal army of royal fo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