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약제생집성방』에 수용된 『성제총록』과 ‘금원사대가’의 의미 -고려시대 의학이론의 전개 과정-

        이경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3 No.-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조선초기 의학이론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1399년)을 연구하였다. 특히 『향약제생집성방』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성제총록(聖濟總錄)』과 최초로 소개되기 시작한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본문에서는 먼저 『향약제생집성방』이 의존하고 있는 의서들에 대한 양적인 분석과 질적인 분석을 통해 『성제총록』과 금원사대가의 비중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서 『향약제생집성방』에 담긴 의료제도 측면의 배경과 의학이론 측면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는 『향약제생집성방』 단계에서 『성제총록』과 금원사대가를 수용했던 현상이 고려시대 의학지식과는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신집어의촬요방(新集御醫撮要方)』·『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향약제생집성방』 등의 병인론(病因論)을 주축으로 삼아, 이들 의서가 계승될 수 있었던 의학이론의 내적인 흐름을 종합하였다. 고려시대 이래의 의학이론의 변화 과정을 요약한다면, 『신집어의촬요방』에서는 내상론(內傷論)에 기반하였고, 『향약구급방』에서는 외감론(外感論)으로 관심을 돌렸으며, 조선초의 『향약제생집성방』에서는 외감론을 계승하였다. 여말선초 의학계가 급변했던 표면적인 이유는 원대(元代)에 새로 간행된 『성제총록』이나 점차 명성을 쌓아가던 금원사대가의 새로운 학설 때문이었다. 하지만 내적으로는 고려시대 이래로 전개된 병인론을 둘러싼 의학이론의 변동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처럼 내적 원인과 외적 원인이 결합하여 나타난 외감론 중시가 한국 중세사에서 『향약제생집성방』이 차지하는 의학사적인 의미였다.

      • KCI등재

        장서각 소장본 『향약집성방』의 판본가치 재조명과 「향약본초부」 초부편의 향명식물 목록화 연구

        김일권(Kim, Il-gw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1

        본고는 민족지 식물학(ethnographic botany)의 관심 아래, 한반도 생태기반에서 접근되는 전통민속식물의 역사적 명칭 수립과 변천 문제에 주목하고서, 이에 관해 가장 체계적이고 가장 이른 문헌인 조선초 『향약집성방』(85권 30책, 세종 15, 1433)의 향명식물 목록화를 시도한 연구이다. 사물에 이름이 부여된 바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고 계기가 있을 것인 바,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식물명이 언제 어떻게 성립하여 전개되었는지를 규명하는 일은 우리말 식물명 계보학 수립이란 과제를 제기하며, 전통식물지식 연구의 기초이자 넓게는 한반도 자연지식의 규명으로 나아가는 일이다. 이 역사식물명 연구는 간행시기의 표기 문제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데, 그 출발점이 되는 『향약집성방』에 대한 판본연구를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귀중본(貴7-79) 『향약집성방』(인조 11, 1633년 중간본, 훈련도감 소활자본. 藏J017341~4, 28책 79권, 13책·17책의 2책 6권 낙질)이 완질에 가까운 국내 최우량 현전본임을 새로이 확인하게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이를 주목하지 않은 것은 흑백마이크로필름으로 접근되는 판독의 한계로 인함이 아닐까 추정되었다. 본고가 관심을 두는 향약식물은 말미의 「향약본초편」(권76~85, 27~30책) 10권분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 부분의 장서각본은 전량이 보존상태가 극히 우량하여 그 판본적 가치가 크게 주목되었다. 이 「향약본초편」에 수록된 식물편은 草部, 木部, 果部, 米穀部, 菜部의 5부로 편장되어 있고, 이 중 〈초부〉는 수록된 표제 항목이 상품 52항, 중품 61항, 하품 66항의 총 179항에 달하고, 식물 종수로는 상품 50종, 중품 55종, 하품 52종의 총 157종으로 추산되었다. 이들 목록 중에서 세종조 당시 사용하였던 우리말 식물명을 ‘鄕名’ 형식으로 표기한 경우가 상품 27건, 중품 29건, 하품 33건의 총 89건(50%)으로 절반에 달하여, 초부 전체 179건의 절반 가량에서 우리말 식물명이 붙여진 정도임을 보여준다. 다음 ‘卽稱’ 형식은 상품 4건, 중품 6건, 하품 0건으로 총 10건(6%)이었으며, ‘一名稱’ 형식은 상품 1건이었다. 이 책의 사용자가 붓글씨로 붙인 ‘필기속명’은 상품 16건, 중품 10건, 하품 23건의 총 49건(27%)이었다. 이들 유형들은 조선전기 우리말 식물명의 개황을 짐작하는 하나의 시준점을 보여주는 자료 가치가 있다. 이상 「향약본초편」의 〈초부〉 식물명이 어느 정도의 전승력을 지니는지를 가늠하기 위해 180년 뒤에 간행된 『동의보감』(1613) 「탕액본초편」과 비교를 하면, 분류 범주가 바뀐 경우가 사삼, 생강, 해조, 곤포, 해대, 길경 등 9건은 〈채부〉로, 율무쌀 1건은 〈곡부〉로, 청대 등 3건은 품등이 변경되었다. 다음 『향약집성방』은 한자를 가차하여 향명을 표기한 반면, 『동의보감』은 직접 언문으로 향명을 기록하고 있어, 우리말 식물명의 훈독과 음독의 표기 상황을 드러내는 의의가 컸다. 이 과정에서 한자어 草의 우리말로 ‘풀’이 주류이나, 일부 가사새, 장구새, 박새, 속새, 항가새, 조방가새 등에서 ‘새’로도 읽히고 쓰였음을 보게되어, 우리말의 외연을 넓히는 흥미로운 지점을 짚을 수 있었다. 또 항목이 없어진 경우(3건), 우리말 향명이 사라진 경우(6건), 향명이 바뀐 경우(10건)가 관찰되었다. 끝으로 『향약집성방』 초부의 향명 구조를 분석한 결과, 훈독+훈독(10건), 훈독+음독(11건), 음독+훈독(13건), 훈독·음독 중복(13건), 음독+음독(3건), 음독만인 경우(30건), 한자어인 경우(2건), 직접적이지 않은 경우(7건)로 분류되었다. 이상에서 개발한 향명식물명 연구방법론은 추후 다른 식물부로 확장하는 기반이 될 것이며, 본고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이른 시기의 조선초 『향약집성방』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크게는 한반도 향명식물의 역사적 식물명 분류기준을 마련한다는 연구의의가 기대된다. 이는 한반도 민속식물의 토착성과 분포성 및 전승성 연구의 첫걸음이기도 하다. This study, on behalf of ethnographic botany, explores the historical vicissitudes of nomenclature of native plants, approached from the ecological basis of the Korean Peninsula, engages in catalog-making for the native plant names in Hyang’yak jipseongbang (Compilation of Native Korea Prescriptions, 1433). This material consisted of 85 volumes and 30 treatises. Concerning rational of naming process,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origin and transmission of the names, as it raises issues for the need of genealogical studies and furthermore knowledge of the native plants, and ultimately Korean naturology research. In the preliminary process to examine writings of the era, the woodblock printed books of Hyang’yak jipseongbang (1633) in Jangseogak Archive was discovered as exceptionally preserved volumes and prints. The well-preserved Hyang’yak bon chobon (Vol. 76-85, Treatises 27-30) with medicinal plant names is the basis for this study. The treatise on Vegetations consists of five categories: Plants, Trees, Fruits, Grains, and Vegetables. The “Plants” section records quality grades in three levels, such as the high 52, the medium 61, and the low 66, thus 179 items in total. Among these 89 (50%) were under the title of Hyangmyeong (native names) from the era of King Sejong (r. 1418-1450), and 49 (27%) were under the Hand-Written with brush. These examples and others provide valuable sources to view the vernacular plant names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n examination of nomenclature transmission, a comparison between Hyang’yak jipseongbang and Dong’eui bogam (Exemplar of Korean Medicine, 1610) apart by the 180-year distance, was made. The discoveries include alterations in the taxonomic classifications and quality grades, however, most meaningful was the discovery that the borrowed Chinese names formerly used had changed into vernacular names. It indicates thus that there was the tendency to expand the usage of native names in the early Joseon. The methodology developed here not only paves a way for future studies regarding plants, but also by focusing on Hyang’yak jipseongbang, the earliest of Josean and the most systematic material, provides the basis for historical taxonomy of plant names of Korea. This is the first step to study indigenousness, dispersion, and transmission of native Korean plants.

      • 『鄕藥集成方』 「諸咳門」에 나타난 朝鮮前期 鄕藥醫學의 특징

        강연석(Kang Yeon Seok),안상우(Ahn Sang Woo) 한국의사학회 2003 한국의사학회지 Vol.16 No.1

        In researches done previous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angyak medicine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 shown in 「HyangyakBoncho(鄕藥本草)」 in Vol. 76-85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and 「Sanghan section(傷寒門)」 in Vol. 5-8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was investigated. 「Cough section(咳嗽門)」 in 「Various Diseases volume」 of 『Dongeuibogam(東醫寶鑑ㆍ雜病篇)』 Vol. 5 and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Vol 24-25 which is a paragraph related to 「Sanghan section(傷寒門)」 was compared. The variety of the Hyangyak, processing methods and forms of the Hyangyak were shown by comparing each oriental medical botany(本草) used for treating cough(咳嗽) in 『Dongeuibogam(東醫寶鑑)』. Subsequently, the difference between each structure and medical theory was speculated. The facts revealed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uses only the Hyangyak, and no foreign medicines were used for treating cough (咳嗽) in 『Dongeuibogam(東醫寶鑑)』. Second, in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medicines related to diet and medicines taken raw were widely used, and various forms of medicine such as extracts, plasters, and gruels were used. Third, like other medical books in earlier periods,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describes the medical theory with conciseness, and keeps the structure of symptom classification focused on treatment and prescription. Fourth, as [Hyangyakboncho(鄕藥本草)] extensively uses the knowledge of oriental medical botany(本草) from two of Four Masters of GeumWon(金ㆍ元); JangWonSo(張元素) and LeeDongWon(李東垣),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quotes the books of JuDanGae but does not adopt the theory and prescriptions of ‘replenishing yin and downbearing fire (滋陰降火)’. To find a more descriptive picture of the Hyangya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ough(咳嗽)’, a comparatitive study between the books written in the same period -『Euibangyuchui(醫方類聚)』 and books compilated in China should be done, and there should be more profound researches done on individual medicines and prescriptions.

      • KCI등재

        고려후기 의학지식의 계보 -『비예백요방』과 『삼화자향약방』의 선후관계 재론 -

        이경록 ( Kyung Lock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6 No.-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 의학지식의 흐름을 이 해하기 위해 『비예백요방』과 『삼화자향약방』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그동안 논란이 되었던 『비예백요방』과 『삼화자향약방』의 선후관계를 집 중적으로 다루었다. 의서의 선후관계에 대한 확 정은 향후 질병사 연구의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중국의 원처방을 찾아서 『비예백요방』과 『삼 화자향약방』의 인용문을 비교 검토한 결과, 『삼 화자향약방』이 먼저 만들어지고 『비예백요방』 은 이를 계승했음이 밝혀졌다. 한편 『향약구급방』과 『삼화자향약방』 사이 에는 직접적인 인용이 드물어서, 두 의서는 별개 의 계열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의서에 나타난 의학지식의 전승 경위를 유형화시켜보면, 『비예 백요방』에서는 전혀 다른 계열의 의서인 『향약 구급방』과 『삼화자향약방』이 통합되고 있었다. 여기에 『비예백요방』 편찬시에는 중국 의서의 처방들이 추가되었다. 요컨대 고려시대에 의서들은 지속적으로 계 승 통합되는 한편 새로운 외래 지식도 수용함으 로써 의학지식을 발전시켜 나갔다. I discussed the order between the Biyebaengnyobang(備預百要方) and the Samhwajahyangyakbang(三和子鄕藥方)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Goryeo medical knowledge. The Biyebaengnyobang was proved to be the Goryeo medical book recently, so the confirming on the chronological relationships of two books will build a foundation for the disease history research. The Samhwajahyangyakbang was made first, Biyebaengnyobang turned out to have succeeded the Samhwajahyangyakbang. On the other hand, the cited relationship between the Samhwajahyangyakbang and the Hyangyakgugeupbang(鄕藥救急方) was very rare, it can be evaluated as a separate series. It meant that the Biyebaengnyobang had integrated the Hyangyakgugeupbang and the Samhwajahyangyakbang which were completely different series of medical books. In addition, during the editing of the Biyebaengnyobang, the prescriptions of the Chinese medical books had been added. In short, medical knowledge of the Goryeo had been developed out by taking new foreign knowledge while the Goryeo medical books had been handed down to each other. * Director, Handok museum of medicine and pharmacy, Eumseong, Korea.

      • KCI등재

        장서각 소장본 『향약집성방』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 목록화 및 북송대 『증류분초』 식물부와 비교 연구

        김일권(Kim, Il-gw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이 글은 국내 최우량 완질본으로 새로 부각된 장서각 소장본 『향약집성방』(인조11, 1633년 중간본, 훈련도감 소활자본, 藏J017341~4)의 판본가치를 주목하고, 「향약본초편」의 이른바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에 대한 식물목록화를 수립하면서, 장서각본에 표기된 중간본(1633)의 향명표기를 전면 재검토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그간 선행연구는 우량본 없이 이런저런 여러 잔본을 합성한 채로 연구한 까닭에 향명표기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일정 개선하는 연구의의가 있다. 5부 중 가장 분량이 많은 〈초부〉는 별도 연구로 수행하여 논문게재하였고(『장서각』 41, 2019), 본고는 그에 이어 나머지 4부(목과곡채)를 후속 연구하였고, 이 결과로서 본고 말미에 〈『향약집성방』 「향약본초편」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 종합목록표〉를 수록할 수 있었다. 우선 수록항목에는 식물이 아닌 것도 포함되어 있어서 이를 분리하는 분류작업을 고찰하였고, 그 내역 결과는 제1 〈초부〉 179항 157종, 제2 〈목 부〉 79항 52종, 제3 〈과부〉 27항 27종, 제4 〈미곡부〉는 36항 24종, 제5 〈채부〉는 41항 40종이며, 총 362항 300종으로 추산되었고, 이 전체를 목록화하였다. 이들 목록에서 우리말 鄕稱(鄕名과 卽稱)을 재분류하면, 〈초부〉는 157종 중 97종(62%), 〈목부〉는 52종 중 23종(44%), 〈과부〉는 27종 중 8종(30%), 〈미곡부〉는 24종 중 9종(38%), 〈채부〉는 40종 중 28종(70%)에 매겨져 있었다. 전체로는 총 300종 중 165종(55%)에 이르므로 과반수 가량에 향칭을 매긴 상황이다. 이때 〈채부〉의 향칭비율이 가장 높아 당시 우리말 식물지식의 착근 정도가 매우 높았음을 보이고, 〈초부〉가 그 다음 높고, 〈과부〉와 〈미곡부〉는 가장 낮은 비율이어서, 15세기 세종시대 당시 우리말 향칭의 면모를 짐작케 한다. 이 향칭 분석 과정에서 〈목부〉 명칭의 혼동 상황이 종종 확인되었으며, 욱리인(산매자)과 곡약(조리참나무)은 반대로 된 경우이고, 유피(楡皮)는 느릅나무, 무이(蕪荑)는 느름나무로 재정의할 만하고, 안식향은 황칠나무, 오배자는 북나무로 대비할 만하다고 보았다. 〈과부〉의 순우리말 향명 중 이스랏(櫻桃), 오얏(李), 먿(柰), 가얌(榛子) 등의 표기법을 다시 활성화하는 문제를 제기하였고, 〈미곡부〉의 우리말 향칭은 불과 수수□(秫米), □동□(靑粱米), □보리(穬麥), 모밀(蕎麥)의 4종에 불과하였으며, 그외 출미(秫米)는 『향집』이 수수쌀, 『동의』는 찰기장쌀로 달리 불렸고, 광맥(穬麥)은 『향집』이 쌀보리, 『동의』는 것보리로 달리 불렀고, 찹쌀의 한자명이 『향집』은 도미(稻米), 『동의』는 나미(糯米)로 다르게 표기한 점 등을 검토하였다. 가장 높은 비율로 향칭이 매겨진 〈채부〉에서 『향집』 기준으로 동와(冬瓜), 겨자(芥), 고사리(蕨), 파(葱), 미나리(水斳), 가지(茄子) 등 12종에는 향칭이 없는 문제가 주목되었다. 또 구(韭)는 소불(蘇勃), 해(薤)는 부추(付菜)라 향명을 매겨 『동의보감』과 반대인 상황이었다. 또 상추(白苣)의 향명이 사라부로(斜羅夫老)인데 『동의보감』의 부루(萵苣)와 통한다 보였다. 덧붙여 향칭한 식물종이 『향약집성방』에 330종이던 것이 『동의보감』에서 459종으로 크게 150% 증가된 흐름을 검토하여, 조선초기와 중기 사이에 우리말 전통식물지식의 확장 국면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끝으로 북송대 『증류본초』가 『향약집성방』의 식물목록으로 수록된 문제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 〈초부〉는 449종 중 157종(35%), 〈목부〉는 262종 중 52종(20%), 〈과부〉는 53종 중 27종(51%), 〈미곡부〉는 48종 중 24종(50%), 〈채부〉는 65종 중 40종 (62%)을 수록하여, 가장 높은 비율이 〈채부〉 〈과부〉 〈미곡부〉에서, 가장 낮은 비율은〈목부〉와 〈초부〉에서 찾아졌다. 양자의 목록 순서가 동일하고, 내용 역시 부분 편집전재한 방식이어서, 조선초 향약식물지식의 성립과 전개에 북송대 식물학의 성취와 체계에 대해 향후 더욱 주목하여 심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전망되었다. This is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the vernacular names of plants appeared in Hyang’yak jipseongbang (Compilation of Native Korean Prescriptions, the second edition, 1633) of Jangseogak Archive. This edition is recognized for its invaluable quality in its print condition and containing the Native Plants in Five Classifications, namely Herb, Wood, Fruit, Grain, and Vegetables in the chapter Hyang’yak boncho ( Native Korean Prescriptions). Having established the catalog-making which provides a central reference, this study significantly improved upon the previous studies that dealt with the collection of scattered names from various sources. Following the Herb research (published in Jangseogak 41, 2019) the other four parts are now studied and resulted in the “Comprehensive List of the Five Classifications: Herb, Wood, Fruit, Grain, and Vegetables.” This includes respectively 179 examples in Herb, 79 in Wood, 27 in Fruit, 36 in Grain, and 41 in Vegetables thus to a total of 362 articles. Among these more than half (55%) is written in vernacular names, in which 70% of Vegetables, 62% of Herbs and lower percentages in Fruit and Grain names are included. This and various other indicatives reveal the aspects of vernacular naming during King Sejong period in the 15th century. Additionally,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Hyang’yak jipseongbang (1433) and Dong’eui bogam (Exemplar of Korean Medicine, 1610) which revealed a 150 % increase of vernacular names from 330 types to 459 types. It indicates the increase in the usage of traditional Korean names of plants, which occurred in the period between early Joson and mid Joseon. Finall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the knowledge of plants, Hyang’yak jipseongbang is compared to Jeongryuboncho of Northern Sung (960-1127)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이경록(Lee, Kyung-Loc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0 泰東古典硏究 Vol.26 No.-

        조선의 본초학은 세종대를 기점으로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였다. 세종대에는 약재 종류의 급증은 물론 군현별로 품질까지 파악하였으며, 적극적인 증산 정책도 추진되었다. 세종대 향약의 개발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 경상도지리지≫, ≪향약채취월령≫, ≪향약집성방≫, ≪세종실록ㆍ지리지≫등을 분석 하였다. 특히 약재 생산의 변동과 그 의미를 양(量)과 질(質)의 두 방향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우선 양의 측면에서는 지리지 편찬으로 전국의 실태를 파악하면서 약재 생산 지역을 확장하는 동시에 외래 약재의 토산화를 진행하였다. 질의 측면에서는 토산 약재의 약성에 관한 이해가 심화되면서 채취ㆍ포제법ㆍ사용법 연구 성과를 ≪향약채취월령≫과 ≪향약집성방≫ 향약본초 등에 담았다. 전자는 약재 종류 및 생산의 폭을 넓히려는 노력이고 후자는 약재 활용의 깊이를 더하려는 시도였다. 향약 개발을 위한 양과 질의 두 방향에 걸친 노력은 ≪세종실록ㆍ지리지≫에서 종합되었다. ≪세종실록ㆍ지리지≫에서는 약재 384종을 수록하면서 종양약 재(種養藥材) 항목까지 설정하였다. 향약의 파악과 증산이 성과를 거두면서 조선 전기 의료의 확대를 뒷받침하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Hyangyak(鄕藥, Korean traditional herbs)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in the Chosŏn(朝 鮮) Dynasty. The herbal medicine of the Chosŏn entered the new stage at the era of King Sejong. In the reign of Sejong, there had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kinds of herbs. Besides understanding the quality of herbs by provinces, the Chosŏn government also had pushed ahead with increase policy of herbs. This article analyzes the ≪Gyeongsandojiliji(慶尙道地理志)≫, ≪ Hyangyakchaechuiworlryung(鄕藥採取月令)≫, ≪Hyangyakjipseongbang(鄕 藥集成方)≫, geography of ≪Sejongsilrok(世宗實錄)≫ to determine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Hyangyak. Especially, this study argues the change of herbs production and its meaning in terms of both quality and quantity. By quantity measures, understanding the nationwide actual condition of herbs was carried out by the medium of compiling geographies such as ≪Gyeongsandojiliji(慶尙道地理志)≫. It leaded to expanding the growing area of herbs and indigenizing the foreign herbs. By quality measures, improving their knowledge about the traditional herbs was included in the medical books such as ≪Hyangyakchaechuiworlryung(鄕藥採取月令)≫ and ≪Hyangyakjipseongbang(鄕 藥集成方)≫. The former was effort to extending the kinds of herbs and its production, while the latter was exertion to deepen the use of herbs. The unremitting endeavor to the development of the Hyangyak was synthesized by compiling the geography of ≪Sejongsilrok(世宗實錄)≫. It contains 384 entries of traditional herbs, and create the ‘plantation herbs for each province.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herbs and the successful increase of its production supported the enlargement of medical care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Chosŏn.

      • KCI등재

        『土名對照鮮滿植物字彙』(1932)의 식물생활민속지적 의의와 『鄕藥集成方』(1433) 초부 상품과의 관계성 고찰

        Nomura Michiyo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4

        This article selected Domei taisho senman syokubutsu jii (土名對照鮮滿植物字彙) as analysis data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 modern plant names and scientific names, the outcome of modern plant classification, as part of preparatory work to access botanical ethnographic knowledge in the pre modern era, and selected Sangpums (上品) 1∼52 of Chobu (草部) (Part of Herbs) from Hyangyak jipseongbang (鄕藥集成方) as data about pre modern plant names. The composition and ethnographic significance of Domei taisho senman syokubutsu jii were determined,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omyeong 1daejo seonman singmul jahwi and Hyangyak jipseongbang was conside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omei taisho senman syokubutsu jii contains descriptions very relevant to life culture thanks to the author’s field survey as well as the Korean names, Chinese names, Japanese names, and scientific names of plants, and thus that it also has botanical ethnographic value. In addition, modern scientific names for Sangpums of Chobu in Hyangyak jipseongbang were identified, and the position of each of Sangpums of Chobu from Hyangyak jipseongbang under the modern classification were also identified. The present article has limitations in that its objects of analysis were limited to Sangpums of Chobu from Hyangyak jipseongbang, and thus the analysis of their contents and the contrast with Domei taisho senman syokubutsu jii ended up being within the limits. And yet, it was possible to grasp tendency even from the partial port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maining portions are also worth detailed investigation. 본 연구는 전근대시기의 식물 명칭을 근대적 식물분류와 연결시킨 자료를 발굴하여 그것으로 전근대시기의 식물민속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목적에 적합한 자료로 『土名對照鮮滿植物字彙』(1932)를 선택했으며, 전근대 식물 명칭의 자료로서 『鄕藥集成方』(1433)을 선택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土名對照鮮滿植物字彙』는 다른 식물학 책과는 달리, 식물학적 내용뿐만 아니라 식물과 관련된 의식주와 각종 관습을 알 수 있는 단서가 되는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저자의 무라타도 식물채집과 문헌연구만이 아니라 조선과 만주를 몇 차례에 걸쳐 방문하고 현지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인물이었다. 그의 작업은 일반 사람들을 대상으로 현지에 가서 조사를 해 그 결과를 민속지로 기록하는 민속학의 연구방법과 상통한다. 그래서 이 책은 단순히 식물의 사전이라는 범주를 넘어, 저작된 당시의 생활문화를 담은 민속지적인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鄕藥集成方』의 관계성 분석을 통해 『鄕藥集成方』 초부 상품에 해당되는 각 식물의 근대식 학명을 알 수 있었다. 조선시대 초기의 식물 명칭이 근대의 어느 학명에 해당되는지를 밝힘으로서 전근대시기의 식물민속지식에 접근할 방도를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근대적 분류에서 『鄕藥集成方』 초부 상품의 각 식물의 위치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고는 분석 대상이 『鄕藥集成方』초부 상품에 해당되는 부분에 한정되어, 내용 분석과 『土名對照鮮滿植物字彙』과의 대조가 그 범위 안에 머무른 점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그러나 그 일부분에서도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남은 부분도 상세하게 검토할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 의서 『향약집성방』중에 실린 상한(傷寒) 논의 연구

        오재근(Chae-Kun Oh) 한국의사학회 2012 한국의사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the features of cold damage clinical medicine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Chosun(朝鮮 period by analyzing discussions on cold damage published in the official medical book of the Chosun period, Compendium of Prescription from the Countryside(鄕藥集成方, CPC). Cold damage was one of the typical diseases in East Asia where there was constant seeking of the utilization of prescriptions, ways of preparations, and awareness regarding cold damage as shown in Zhang, Zhongjing(張仲景)’s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傷寒論, TCDD) below.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hich possessed the medical universality of East Asia also was no exception and through an analysis of the part on cold damage in CPC, it is expected that medical features of cold damage in Korea passed down from the Koryo(高麗) Dynasty to the early Chosun period will be revealed. For this, first there needs to be an organization of past discussions on cold damage surrounding the existence of infection and after checking the issues, exploring which of the writings related to TCDD and editions are being utilized through an analysis on citing literature of Cold Damage Disease Literature(傷寒門) and Heat Pathogen Disease Literature(熱病門 which have developed discussions on cold damage in CPC. In addition, by comparing Peaceful Holy Benevolent Prescription(太平聖惠方, PHBP) and Complete Record of Sacred Benevolence(聖濟總錄, CRSB), known to have greatly influenced CPC and Cold Damage Literature and Heat Pathogen Disease Literature, features of form and content used by CPC were analyzed. Features of form were examined through pattern of organization and number of citing literature were examined and for features of content, cold damage infection, classification, syndrome differentiation method, and utilization of materia medica among prescriptions were examined. Discussions on cold damage as being uninfectious as stated in Treatise o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Diseases(諸病源候論) unlike pestilence(疫癘), epidemic pathogen(時氣), warm pathogen disease(溫病), and heat pathogen disease were excluded in PHBP. PHBP opened the possibility of cold damage infection and later writings, CRSB and CPC also follow this. As a result of analyzing citing literature of the part on cold damage in CPC, it is uncertain which edition of TCDD is being utilized; howeve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was that Classified Emergency Materia Medica(證類本草) and not writings specializing in cold damage are in use. In general, although CPC in terms of form is similar to CRSB, content creation predominantly depended on PHB. More specifically; first, in terms of the existence of cold damage infection, arguments of PHBP and CRSB are maintained. Second, in terms of cold damage classification, although CRSB is followed, heat pathogen disease is classified separately developing PHBP as is. Third, in terms of method, as Bock of Keep Healthy(南陽活人書) and CRSB compiled in later times are cited, it is deemed that arguments were raised to a certain extent regarding six-meridian syndrome differentiation(六經辨證). Fourth, although the majority of utilized materia medica among cold damage prescriptions utilize Materia Medica from the Countryside(鄕藥本草) in CPC and materia medica from Korean Peninsula, this is due to the desire for the compilation performance of CPC to be propagated to ordinary citizens and not the ruling class. CPC as the official medical book compiled in the early days of the Chosun period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Song(宋 Dynasty’s medical books, PHBP and CRSB shows that cold damage medicine in the early Chosun Period indeed possesses the medical universality of East Asia. Furthermore, the features of published medical theory and prescriptions reveal the existence of the cold damage medical tradition of the Chosun period serving as clues for cold damage research tradition among Korea’s medical history.

      • KCI등재

        『朝鮮の生活と文化』(1924) 수록 조선 주요 민속식물 연구

        노무라 미찌요(野村美千代)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본고는 한국민속의 토대가 될 식물민속지식(Botanical folk knowledge)에 접근하기 위해, 어떤 식물이 중요한 민속식물(folk plants)이었는지를 알기 위해 수행되었다. 『朝鮮の生活と文化』(1924)에서는 조선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식물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서 그 부분에서 식물명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그렇게 추출된 147종의 식물을 당시 조선의 주요 민속식물로 보고자 했다. 다음으로 『土名對照鮮滿植物字彙』(1932)를 이용해 조선의 주요 민속식물 147종의 근대적 학명을 밝혔다. 식물의 한자표기 명칭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학명이 해석에 도움이 된다. 또한 조선의 주요 민속식물 147종의 전근대시기 위상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적으로『鄕藥集成方』(1433) 수록식물과의 대조를 시도했다. 『鄕藥集成方』은 藥劑의 집대성이므로 생활에 필요한 식물을 모은 『朝鮮の生活と文化』와 집필의도가 다르기 때문에 대조 결과에 지나치게 의미부여를 할 수 없지만 70%가 부합하였다. 본고는 조선의 주요 민속식물 147종을 추출하기 위해 『朝鮮の生活と文化』에만 의존한 점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해독이 어려운 근대 일본어로 서술된 자료의 소개와 해석, 정리를 한 점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roach the Botanical Folk Knowledge, the foundation of Korean folk and examine which ones are important folk plants. It abstracted and arranged botanical names from the part that describes important plants in daily lives of Joseon people, in Life and Culture of Joseon (朝鮮の生活と文化, 1924). It regarded 147 kinds of plants abstracted as the contemporary main folk plants in Joseon. Next, it elucidated the modern botanical names of them by using Tomyeongdaejoseonmansikmuljahui (土名對照鮮滿植物字彙, 1932). Since the Chinese character notations of plants are not consistent, the botanical names contribute to the interpretation. In addition, it attempted to contrast 147 kinds of the main folk plants with those listed in Hyangyakjipseongbang (鄕藥集成方, 1433). Hyangyakjipseongbang is the collection of medicines, so its writing inten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Life and Culture of Joseon』 collecting plants necessary for daily life, but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m is as high as 70%, though it’s not possible to give excessive meaning to the results of the contrast. This study has a limit, as it depended only on Life and Culture of Joseon. This study is, however, thought to have an implication, in that it introduced, interpreted and arranged data described in modern Japanese, which cannot be easily deciph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