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금 기초 운궁법 교육에 대한 고찰

        박두리나(Park, doorina) 한국국악교육학회 2017 국악교육 Vol.43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해금 기초 교본의 운궁법 교육의 실태와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해금 초급입문 운궁법 교육의 발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하는데 있다. 해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찰현악기로 활의 쓰임이 올바르게 교육되지 않으면 중급 고급의 연주에서도 그 활용에 문제가 생긴다. 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판매 되고 있는 입문 해금 기초 교재에서 어떠한 방법과 예시를 두어 운궁법이 교육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입문자를 위한 해금 기초 교본은 13종으로 그 중 11종이 판매되고 있다. 그 중 7종에서 운궁법 이론 교육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내용과 교육 방법은 다 다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7종의 해금 기초 교본이 운궁법 교육을 비교하면 각자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운궁법의 명칭과 활대 방향 표시, 악보 설명 등 같은 내용을 통일되지 않은 용어를 사용하였다. 셋째, 이론 교육후에 운궁 방법만을 위한 연습곡은 현행 해금 교본 11종중에 4종에만 포함되어 있으며 그 방법에서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현행 해금 기초 교본의 운궁법 비교 연구 결과 운궁법 명칭 통일, 운궁법 교육 분량 확대, 운궁법 연습곡 확대, 연주곡 운궁 방법 설명 등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고 해금 교육의 확대를 위하여 해금 기초 교본의 발전 방향을 제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 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찰현악기 해금의 대중적 확대성과 해금 기초 교육의 발전을 위한 현행 해금 기초 교본의 운궁법 내용을 분석 비교 하였다. 해금은 활대를 다루는 악기로 초급자에게는 어려움이 많은 악기이다. 앞으로 초급 교본의 발전을 위해 본 연구를 통하여 운궁 교육법에 있어서 좀 더 확장되고 통일된 체계적인 교육 방법이 연구되길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education about introductory bowing of Haegeum (Korean fiddle)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status and details of education about bowing of Haegeum shown in current basic Haegeum textbooks. Haegeum is Korean typical rubbed string instrument. If students who learn how to play Haegeum do not have an opportunity to use a bow in playing Haegeum properly, they will have a difficulty in playing it later. This study examined how bowing is taught in basic Haegeum textbooks being used at prese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irteen kinds of basic Haegeum textbooks for beginners and eleven kinds are selling. Seven kinds of basic Haegeum textbooks contain education about bowing theory. Seven kinds of basic Haegeum textbooks vary in content and method of bowing. Second, seven kinds of basic Haegeum textbooks have different terms for bowing. They are different in names of bowing, indication of direction for bow and description of musical note. Third, only four kinds out of eleven kinds of Haegeum textbooks contain etude for bowing following theory education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hods. Fourth, it is necessary to unify names of bowing, increase time of education about bowing, expand etude for bowing and increase the description of bowing.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of basic Haegeum textbooks for improvement.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details of basic Haegeum textbooks for developing basic education about Haegeum, Korean typical rubbed string instrument. Beginners have a difficulty in playing Haegeum as it is not easy to handle a bow. The author of this study expect that the findings of this thesis may be of help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bout bowing.

      • KCI등재후보

        해금연주법고찰

        이기설(Ki-seol Le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0 국악교육 Vol.30 No.30

        이 글은 해금 연주법에 관한 각종 지도서 및 문헌을 중심으로 해금연주법을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찾아 이를 바이올린과 북한해금과 비교하여 더 좋은 지도서를 개발하기 위한 디딤돌로 삼기 위한 글이다. 본문에서 주로 연주자세, 운지법, 농현, 운궁법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문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의자에서의 연주 자세를 북한에서와 같이 대체로 두 발은 연주자 어깨넓이만큼 벌리고 악기는 무릎에서 약 10센티미터 올라와 양쪽 무릎 사이에 고정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둘째, 운지법의 경우 한국 문헌에선 손가락 짚는 법, 왼손 짚는 법만 설명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운지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문에서 언급 한 것과 같이 바이올린의 풍부한 음량과 음색을 내게 하는 운지법과 북한해금의 운지법인 손가락 운동을 한국해금의 운지법에 응용 보완되어 진다면 좀 더 향상된 연주를 할 수 있는 운지법이 될 것이다. 셋째, 농현의 경우 한국문헌에서는 농현의 종류 4가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만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북한해금의 깊은 농현, 얕은 농현, 느린 농현, 빨라지는 농현, 미분음 농현 같은 농현을 한국음악에 산조, 정악, 창작곡에 두루 응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 북한해금과 바이올린의 농현을 할 때 손의 운동력, 관절의 힘 빼는 방법, 손 짚는 법, 연주방법 등의 구체적인 방법이 보완된다면 좀 더 다채롭고 깊이 있는 농현을 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운궁법의 경우 활 잡는 법, 그리고 활의 속도와 마찰력, 활의ㆍ접촉점, 등 여러 부문에 관해 본문에서 언급 한 것과 같이 바이올린의 운궁법을 참고하고, 북한해금의 오른팔 기본동작, 족, 활을 당기고, 밀고, 바꾸는 구체적인 운궁법도 참고 응용 하면 좋은 해금 운공법이 될 것이다. ◎특히 “활의 접촉점(sounding point)부분에서 손가락의 줄짚는 위치가 원산(bridge)의 위치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활의 접촉점은 높아지고 반대로 줄짚는 위치가 원산 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접촉점은 낮아진다. ◎좋은 음을 내기위한 바람직한 활의 각도는 줄과 활의 정확한 수직이어야 하며, 활의 압력은 진폭의 규모에 따라 공명에 영향을 미친다. 속도를 중심으로 소리를 내면 소리는 부드럽고 가벼우며, 압력을 중심으로 소리를 내면 소리가 무겁고 충만하다. ◎활을 바꾸는 동작에 있어서는 손이 멈추는 순간 없이 팔을 연속적으로 당겨줌으로 미는 활과 당기는 활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부분은 특기해야 할 부분이다. 지금까지 해금의 주법을 바이올린, 북한 개량해금과 비교해 본 바 바이올린, 북한해금, 한국해금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사점이 있다. 연주법에 있어서 서로의 장점을 참고하여 해금음악을 발전시킨다면 한국음악 발전에도 도움이 되는 일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해금의 향상된 연주와, 이 연구를 기초로 더욱 구체화된 연주법 연구, 그리고 그에 따른 교재 연구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고찰

        정은경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5 국악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해금 관련 내용들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범위는 2014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로 그것은 10종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와 3종의 음악과 진로 교과서의 총 13종이며, 연구 내용과 방법은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의 해금 관련 내용들을 살펴보고, 둘째,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수록 현황을 살펴보며, 셋째, 해금과 관련된 지도내용 및 학습활동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 및 영역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음악과 생활과 음악과 진로, 총 13종의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모두 해금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심도 있게 해금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사진을 수록하는 정도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음악교과서에 제시된 해금 관련 학습활동을 보면, 대부분 해금이 포함된 악기 편성을 알아보는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이와 관련된 악곡으로는 정악곡에서는 영산회상, 종묘 제례악, 가곡, 수제천 등을 가장 많이 소개하고 있고, 민속악에서는 시나위와 산조를, 창작곡에서는 ‘그 저녁 무렵부터 새벽이 오기까지’의 곡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금의 영역별 지도내용 및 학습활동을 살펴보면, 음악과 생활 교과서의 두 가지 내용 체계 가운데 대부분 10종 교과서에서는 음악적 표현과 소통 영역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문화적 산물로서의 음악 영역에 대한 내용은 10종 모두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음악과 진로 교과서의 두 가지 내용 체계 중 3종의 교과서 모두 음악의 경험과 현장 영역에 대한 내용보다는 음악의 진로와 특성 영역에 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것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체제가 검정교과서에서 인정교과서로 바뀌면서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전 영역의 내용을 골고루 모두 다 엄격히 준수하지 않는 교과서도 있으며 또한, 해금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국악의 비중도 출판사마다 그 비율의 차이가 매우 크고, 집필진에 따라 국악의 내용이 거의 다루어지지 않는 교과서가 있어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음악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가 제작될 때, 바람직한 국악교육의 방향에 대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contents related to Haegeum includ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In accordance with the goal, the scope of research covers 13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in total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pplied since 2014.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first, the substance relevant to Haegeum of, music curriculum was investigated, second,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ents about Haegeum in the music textbooks were studied, and third, the guidance and learn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Haegeum were analyzed in the content system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and each category. With these research goal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13 kind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of music and life and music and career included contents relevant to Haegeum. Yet, most of the textbooks just had its pictures rather than deal with it in depth. Second, with regard to the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Haegeum suggested in the music textbooks, almost all of them were about the formation of instruments including Haegeum. As for the music relevant to it, Yeongsanhoeisang(the Vulture Peak Assembly), Jongmyo Jereak(royal ancestral rites music), songs, Sujecheon and etc. were being most frequently introduced in case of traditional classical music, Sinawi and Sanjo in case of folk music, and 'Since around the evening till dawn comes' in case of created songs. Third, regarding to the teaching subjects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ch area of Haegeum, in the system of the two contents of music and daily music textbooks, music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in the 10 kinds of the textbooks, while music as the cultural outcome was being rarely mentioned about in all the 10 textbooks. As for the two contents system of music and career music textbooks, all the 3 kinds of textbooks were proved to cover music and career and characteristics with more emphasis on than experiences of music and field area.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out that as the high school music textbook system changed from authorized textbooks to recognized ones, some textbooks of certain publishing companies were not strictly abiding by the contents of all areas clearly stat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rate of the contents not only about Haegeum but also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was big among publishing companies. It's a pity that there were some textbooks where Korean music was scarcely covered depending on their writing staff, which failed to give learners the opportunities to learn various kinds of music.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give different implications abou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en a textbook is developed following a new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해금과 ‘이용악 시’의 재규정

        김선우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4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rocess of Lee Yong-aak and his poems being officially deleted after the foundation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being restored after the ban was lifted, thus reviewing the circumstances of his poetry being called "national poetry" in the "Critics of Lee Yong-aak" published right before the ban was lifted in 1988. On July 19, 1988,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proclaimed that the ban was lifted on the authors that were kidnapped or defected to North Korea based on a certain set of selection criteria. The core of the criteria included "issues of ideology" and "those that must be reviewed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1930s." Lee Yong-aak is still included on the list of authors whose ban was lifted. Yoon Young-chon, however, published his "Critics of Lee Yong-aak" on February 10, 1988 before the announcement of the list, which is a case showing that the ban was lifted by the stages. Thanks to the "Critics of Lee Yong-aak," the poet was included in the history of Koran literature as a "poet that created national poetry." There were two reasons behind this: first, his ideological geography before the liberation did not exceed the ideological issues set by the government in 1988; and second, the poet and his poems raised no problems as the subjects of research in the "restoration of literary history" based on the "reevaluation theory for the 1930s" argued by the literary circles as a legitimate cause for the lift on the ban. Yoon Young-chon defined Lee's poetry as "national poetry," which was a methodology to exceed no criteria of lifting the ban and read Lee and his poems after the liberation and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Nation," which is the most political and also non-political awareness system, made the outside of the criteria of lifting the ban thoroughly oblivious. The viewpoint of "nation" even made the "issues of ideology," which were set as clues to lift the ban by most of the subjects, disappear. As far as the investigator is concerned, the "theory on Lee Yong-aak" shows this clearly among the "theories on the authors that were kidnapped or defected to North Korea" submitted before and after the lift on the ban. Lee's left-wing actions including the membership of Korean Writers Alliance and activities in the South Korean Worker's Party before he defected to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were rendered ideology-less for his "national poetry." This shows the dramatic process and irony of lifting the ban. 이 글은 이용악과 그의 시가 남한 정부 수립 이후 공식적으로 삭제되고 해금 조치로 복원된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용악 시가 1988년 해금 직전 발표된 ‘이용악론’에서 ‘민족시’로 명명될 수 있었던 남한 문학장의 사정을 살펴보았다. 1988년 7월 19일 문화공보부는 일정한 선정기준에 의거해 (납)월북작가에 대한 해금을 공표했다. 기준의 핵심은 ‘이데올로기의 문제’와 ‘30년대 문학사에서 반드시 검토돼야 할 대상’이었다. 이용악도 선정기준에 의해 해금 작가 명단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명단이 공표되기 이전인 1988년 2월 10일 윤영천의 ‘이용악론’이 발표되었다. 이는 해금이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이용악론’에 의해 이용악은 ‘민족시를 작성한 시인’으로 한국문학사에 기입될 수 있었다. 이 글은 해금 작가 명단이 공표되기 이전에 ‘이용악론’이 발표될 수 있었던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파악했다. 첫째, 해방 이전까지 이용악의 사상지리가 1988년 시점에서 정부가 설정한 이데올로기 문제를 초과하지 않았다. 둘째, 해금의 당위성으로 문학계에서 주장한 ‘30년대 재평가론’을 통한 ‘문학사의 복원’에서 이용악과 그의 시는 연구 대상으로서 문제가 없었다. 윤영천은 이용악의 시를 ‘민족시’로 규정했다. 이는 해금의 기준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해방 후와 월북 이후 이용악과 그의 시까지 독해할 수 있는 방법론이었다. 가장 정치적이면서도 비정치적이라 여겨지는 ‘민족’이라는 인식체계가 해금 기준의 외부는 철저하게 망각시킬 수 있던 것이다. ‘민족’이라는 시각은 해금을 위해 대부분의 주체가 단서로 달았던 ‘사상의 문제’까지 무화시키기도 했다. 이 글은 해금 조치 전후로 앞다투어 제출되었던 (납)월북작가들에 대한 ‘작가론’ 중 ‘이용악론’이 이를 잘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해방 후 월북 전까지 조선문학가동맹 가입, 남로당 활동 등 이용악의 좌익 행적이 ‘민족(시)’을 통해 무사상화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는 해금의 드라마틱한 과정과 아이러니를 동시에 그리고 두드러지게 보여준다.

      • KCI등재

        해금 문화의 변천양상과 음악사적 의의

        이한나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8 No.-

        본고는 한국음악사에서 해금 문화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고 변천되었는지를 살피고, 그 음악사적 의의를 모색한 글이다. 먼저 해금의 형태를 살펴보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해금의 구조는 16세기 음악의 향악화와 더불어 악기 연주법이 경안법(輕按法)에서 역안법(力按法)으로 발전되면서 그에 용이하게 변화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줄을 당겨서 연주하는 역안법을 사용하게 되면서 이전보다 줄을 느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두 줄을 감잡이에 연결하게 된다. 주아(周兒)의 위치도 이전 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윗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연주할 수 있는 줄의 길이를 늘려주어 음역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음악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산성(散聲)의 매듭 위치도 주아 아랫부분에서 주아 윗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줄을 한껏 조여 매줌으로써 두 줄의 간격을 좁혀 연주에 더 용이하고 줄을 긴장시켜 소리가 잘 날 수 있도록 해준 변화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해금 연주법의 발달은 운궁법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데, 활대에 가죽을 사용함으로써 손의 장력을 이용하여 음악에 강약의 변화를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해금 연주법의 변화와 악기의 구조 변화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악기 형태의 변화를 통해 점차 발전된 해금은 조선시대 궁중음악에서 민간음악에 이르기까지 각 음악문화에 두루 사용되며 그 역할을 톡톡히 하게 된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해금이 그 역할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고, 그 음악적 가능성은 근대에 비로소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해금 악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팔음(八音)론이 음악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되기 시작하고, 해금 악보가 편찬되었으며, 해금 산조라는 새로운 음악 레퍼토리의 기악독주곡이 창작됨으로써 해금 음악은 진정한 예술음악으로 발돋움하게 된다. 해금 문화의 이러한 위상 변화는 음악사의 흐름 안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졌으며, 그 전통은 오늘날의 해금 음악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이와 같이 해금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도태되지 않고 더욱 그 가치를 빛내며 꾸준히 우리 음악 전반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우리 음악문화의 레퍼토리를 더욱 풍부하고 새롭게 발전시켰으며, 아직도 그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s examined how haegŭm 奚琴 (Korean fiddle) culture has developed and changed in Korean music history depending on the current of the times and groped for the musical significance. To begin with, the form of haegŭm has been researched and it is as follows. The structure of haegŭm has changed with ease according to the fact that music became hyangak 鄕樂 (native Korean music) in the 16th century and the instrumental techniques changed from kyŏnganbŏp 輕按法 (light touching method of string) to yŏganbŏp 力按法 (heavy touching method of string). By using yŏganbŏp, heavy touching method, two strings are connected to kamjabi 甘自非 (a part of connecting string) in order to be loose compared to previous times. As the position of chua 周兒 (peg) moved into relative upper part, the extension of the length of string playing makes it possible for the range of notes to be broaden and for musical expression to be various. The knot position of sansŏng 散聲 (sound of open string) changed from the lower part than chua to the upper part and this makes it easy to play by more tightening a string so that it can narrow the space between two rings and play with ease and make the strings tense; these are the changes for playing well. This development of haegŭm techniques influenced un'gungbŏp 運弓法 (bowing technique) and music dynamics could change with hand tension by making a bow rack of leather. Based on this, it turns out that the change of haegŭm techniques and structure are closely related. Gradually advanced haegŭm came to be widely used in every music culture from court music to folk music in the Chosŏn 朝鮮 dynasty and played its own role through the change of instrument form. However, haegŭm received attention less than its role in the Chosŏn dynasty and the musical potential did not distinguish itself until the modern times. The theory of 8 notes were discussed among musicologists that gives meaning to haegŭm and haegŭm score published and haegŭm music advanced to genuine art music by creating new musical repertoire musical instrumental solo, haegŭm sanjo 奚琴散調 (solo instrumental music for haegŭm). This status of haegŭm culture changed naturally with the current of musical history and this tradition remains intact in present haegŭm music. Haegŭm is worthy of note in that it has not become useless in the changing times and has continuously stood out and has been used usefully all over Korean music. Also, it makes the repertoire of Korean music culture more abundant and newly advanced and it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potential to develop is still infinite.

      • KCI등재후보

        해금 창작 음악의 경향 분석

        한서영(Han Seo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09 국악교육 Vol.28 No.-

        본 논문에서는 해금 창작곡이 처음 등장하는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시기를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해금 창작 음악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시기별로 해금 창작 음악의 경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60년대는 서양의 고전음악의 선율을 답습하거나 변주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창작이라고 하기에는 미흡한 상태의 작품이 작곡되었다. 그러나 우리 음악에 서양 음악의 형식을 도입하여 창작 음악 작곡을 시도한 해금 창작 음악에 있어서 의미 있는 시기이다. 1970년대는 단순한 서양 음악의 답습에서 벗어나 해금 창작곡에 전통적인 요소를 계승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서양 음악 기법의 도입이 좀 더 적극적이고 세밀하게 이루어졌으며 추성, 퇴성, 잉어질 등 전통 해금의 연주 기법을 창작 음악에 도입하여 작곡하였다. 또한 개방현과 중음주법이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1980년대는 서양 음악의 기법이 해금의 전통적인 연주 기법과 어울린 독특한 해금 연주곡들이 탄생하였고 이전 시기에 비하여 많은 작곡가들이 등장하였다. 해금 협주곡이 본격적으로 작곡, 연주되기 시작하였다. 조의 변화, 무박 연주와 폭넓은 음역 사용 등 다양한 방식이 시도되었다. 해금 고유의 성음과 특색을 잘 살린 묘사음악이 처음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1990년대는 서양 음악의 모방에서 벗어나 해금의 전통적인 특성을 살리면서도 새로운 현대적인 해금 음악이 정착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해금 고유의 특성을 잘 살리면서도 세련된 표현방식과 현대화된 연주 기법을 갖는 대표적인 현대 해금 창작 음악들이 등장하였다. 이 시기에 표제음악도 많이 작곡되었다. 또한 우리 음악의 현대화에 걸 맞는 악기 개량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2000년대는 서양 음악의 기본을 충실히 익힌 여러 작곡가들이 해금을 비롯한 우리 음악의 작곡에 많이 참여하는 시기로서 우리 음악이 더욱 세련되고 형식미를 갖추게 되는 시기이다. 서양의 재즈, 크로스오버, 퓨전 음악 등에 영향을 받아 대중적인 다양한 소품들이 작곡되었고 이를 연주하는 유명 연주가들이 많이 등장하여 해금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우리 음악의 현대화에 악기 개량은 필수적인데 이러한 움직임은 2000년대에 들어 더욱 본격화되었다. 개량된 해금을 바탕으로 새로운 곡들이 작곡 되고 연주되었으며 해금의 개량으로 음역이 많이 넓어져 고음과 저음 해금을 사용한 해금 중주곡들도 많이 연주되었다. This thesis classified the period from 1960s to 2000s into the decades and analyzed how the haegum (a type of Korean fiddle) creative music has changed and developed. The trend of the haegum creative music by the decade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1960s, composition works merely followed the melodies of Western classical music or were limited to variations of such melodies, which were not qualified enough to be referred to as creative music. However, the period was meaningful in that the Western music elements were introduced to and employed in our music. In 1970s, musicians struggled to move beyond the mere variation of the Western music and inherit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elements to haegum creative music. The employment of the Western music techniques became more active and refined. Additionally, traditional haegum performing techniques such as Chuseong, Toeseong, and Ing-eojil were introduced to the creative music in composing. Also, open string and jungeumjubeob were newly experimented. In 1980s, the unique haegum music pieces that harmonized the Western music techniques with the traditional haegum performing techniques were produced, and more composers emerged as compared to the previous decade. Haegum concertos started to be composed and performed prominently. At this time, diverse methods such as variation of musical keys, tempo-free performance, and employment of a broad range of pitches were experimented. Particularly, imitative music that manifested unique sou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egum first appeared. In 1990s, while the trend were moving out of imitating the Western music,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egum were well manifested and a new modern-style haegum music was settled. The representative modern haegum creative music appeared, display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aegum, elaborate expression techniques, and modernized performing techniques. In this period, many program music works were composed. In addition, musical instruments were actively modified to suit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In 2000, various composers with a solid foundation on the Western music composed many music works, refining our music and establishing the formal beauty in our music. Influenced by Jazz, Crossover, and Fusion of the West, various popular short pieces were composed, and they were played by many famous performers,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the haegum. In order to adapt the haegum to the modernized music, modification of the instrument is essential, and such movement turned more active in 2000s. Based on the modified haegum, new music pieces were composed and performed. With broader range of pitches by modification of the instrument, many duet and trio music were performed with high pitch and low pitch haegums.

      • KCI등재

        해금 운지법 원리 연구

        김정미(Kim Jeong mi) 국립국악원 2015 국악원논문집 Vol.31 No.-

        This study analyzed the fingering techniques of Haegum as shown in Haegum Sanhyungs, pictorial representation of notes, in the book Akhak Gwebeom, and the fingering techniques of Haegum in playing Korean Minyo, Sanjo and Jeongak. The types of positions and position shifts in traditional music such as Minyo, Sanjo and Jeongak vary,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s of each genre. Minyo and Sanjo have relative tonal centers that move flexibly instead of fixed positions, and the Yuhyon index finger is decided based on that center. Position changes in Sanjo and Jeongak occurred when tonal range expanded or modulations to limited tonal intervals appeared. Position types and position shifts occurred based on the fingering technique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music, yet the analysis also found that a single common fingering technique was us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details of the common techniques were as follows. The Haegum Sanhyung fingering techniques in Akhak Gwebeom differentiates Pyeongjo and Gyemyeonjo based on the distinction of Gyeongan technique, but the position change to perfect 5th was made unilaterally. A common fingering technique was used in the same Jo except for a single tone in Gyemyeonjo. The fingering techniques in Minyo limited the Yuhyon index finger, which was done by Minyo-chung, to either doh or sol positions regardless of the scale or appearing notes. In fingering technique types where the Yuhyon index finger is positioned on doh or sol , tone interval between fingering techniques was identical and the fingering change in third finger were always major 3rd or perfect 4th. The fingering techniques in Sanjo allow free movement of positions and a wide variety of Jo structures. However, the Yuhyon index finger is limited to two positions only, doh and sol , which is not different from the restrictions applied to Minyo. The Yuhyon index finger shifted from doh to sol or sol to doh or sol to sol , which shows that positions shift when tone range extension or modulations appear. Therefore, position types with Yuhyon index finger on do or sol and position shift types share common fingering techniques, in which, tone intervals between fingering techniques was identical and the fingering change in third finger were always major 3rd or perfect 4th. The fingering techniques in Jeongak was fixed position change with limited position change among major 2nd, minor 3rd and perfect 4th. The study analyzed position shifts that occurred during the extension of tonal range and those that occurred regardless of the range. This is how the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fingering techniques regarding positions and position changes were formulated to establish a common fingering technique to play Haegum. As Minyo and Sanjo, this is the same technique used in the common fingering technique with identical tone intervals between fingering and fingering change in third finger were always major 3rd or perfect 4t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regarding the fingering techniques used in traditional music was as follows. The fingering techniques used in Minyo, Sanjo and Jeongak h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s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show that common fingering techniques were established to minimize the confusion of fingering techniques during performanc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establish fingering techniques for contemporary music that do not have structuralized forms. The basic position with tonic doh as the Yuhyon index finger was determined, considering the fact that Haegum is an open string instrument using the movable-doh system with no temperament. A shift from major 5th to dominant sol occurs when position shift appears due to extension of tonal range. 본 논문은 『악학궤범』의 해금산형에 나타난 해금 운지법·민요·산조·정악의 해금 운지법을 분석하였다. 전통곡인 민요·산조·정악의 포지션 유형과 포지션 이동 유형은 각 장르별 특징대로 상이(相異)하게 나타나고 있다. 각 곡의 운지법의 특징을 보면 민요와 산조는 정해진 포지션 없이 유동성을 지닌 상대적 중심음을 기준으로 유현식지가 결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조와 정악은 제한된 음간격으로 전조되거나 음역이 확장될 때 포지션 이동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렇듯 포지션과 포지션 이동이 각 곡의 특징에 맞는 운지법에 따라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전통곡 운지법은 결국 한 가지의 공통된 운지법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곡에 쓰인 공통된 운지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악학궤범』의 해금 산형에 나타난 운지법은 비록 경안법의 차이에서 평조와 계면조가 서로 다르게 구분되고 있지만 포지션의 이동이 완전5도로 동일하게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계면조에서 한음을 제외하면 같은 조에서는 한가지 형태의 공통된 운지법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민요의 운지법은 유동성을 지닌 민요청이 음계나 출현음과는 상관없이 유현식지를 도 나 솔 의 두 가지 포지션으로 한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유현식지가 도 나 솔 인 포지션 유형의 운지 형태는 운지 간의 음간격이 동일하고 무명지에서만 장3도 또는 완전4도의 운지변화를 지닌 공통 운지법을 갖는다. 산조의 운지법은 다양한 조구성과 함께 포지션 이동이 자유롭다. 그러나 일정하게 유현식지를 도 나 솔 의 두 가지 포지션 유형으로 한정하고 있어서 민요와 같다. 포지션 이동은 전조와 음역의 확장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유현식지가 도 에서 솔 이나 솔 에서 도 , 솔 에서 다시 솔 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현식지가 도 나 솔 인 포지션 유형과 포지션 이동 유형은 운지형태에서 운지 간의 음간격이 동일하고 무명지에서만 장3도 또는 완전4도의 운지변화를 지닌 공통 운지법을 갖는다. 정악의 운지법은 고정된 포지션과 함께 제한된 장2도, 단3도, 완전4도의 포지션 이동을 한다. 포지션의 이동을 음역이 확장될 때 이루어지는 것과 함께 음역과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지션과 포지션 이동의 운지법이 한 가지 공통 운지법으로 연주하기 위한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것은 민요·산조와 같이 운지 형태에서 운지 간의 음간격이 동일하고 무명지에서만 장3도 또는 완전4도의 운지변화를 지닌 공통 운지법과 같은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통곡 운지법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민요·산조·정악의 운지법은 차이점과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과 공통점은 결국 연주할 때 운지의 혼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통 운지법이 성립 된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는 정립되어 있지 않은 창작곡 운지법을 도출해 볼 수 가 있다. 해금이 개방현 조율음이 없는 이동도법의 악기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조성에 따른 으뜸음 도 (tonic)를 유현식지로 하는 기본 포지션이 성립된다. 또한 음역의 확장으로 포지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완전5도 위인 솔 (dominant)로 이동한다. 이러한 결론은 지금까지 전통곡의 공통점에서 밝힌 것과 같이 운지 간의 음간격이 동일하며 무명지에서는 장3도 또는 완전4도를 연주하는 유동성을 지닌 운지법이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악학궤범』의 해금 산형에 나타난 운지법을 비롯한 전통곡 전반의 민요·산조·정악의 운지법 분석을 통해 창작곡 운지법의 체계를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앞으로 각 조성에 맞는 창작곡의 포지션과 포지션이동에 따른 통일된 운지법을 제시하는 연구를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해금 창작곡을 통한 현대음악 분석 연구

        변종혁(Jong-hyuk Byu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0 국악교육 Vol.30 No.30

        본 논문은 해금창작음악을 대상으로 하여 이 시대에 한국음악의 발전에 해금이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지, 한국음악의 정체성을 지닌 모습으로 청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해금 음악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돌아보자는 취지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방법으로써 먼저 그 효시로 꼽는 김흥교의 “해금과 장구를 위한 소곡(小曲)”(1966)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창작실태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실질적인 사례로서 해금이 독주악기로서 대중들에게 널리 애호되어 부각되기 시작한 1980년대의 작품중 이성천의 〈쥐구멍에 별들었어도〉(해금독주국 35번)와 김영재의 〈비〉가 지니고 있는 악식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여 보았다. 1966년부터 1970년대 말까지 이루어진 창작해금음악은 독주곡과 협주곡을 합하여 10곡 내외 정도에 불과하지만, 1980년애 이후로는 많은 작곡가들에 의해 100여 곡 이상의 독주곡과 협주곡들이 발표되어 마침내 해금이 가야금과 쌍벽을 이루어 대중의 인기를 모으는 최고의 입지를 공고히 하게 되었다. 이러한 창작해금음악의 실태는 기본적으로 해금음악의 레퍼토리 확보에 크게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량의 뛰어난 해금연주가들을 배출시킴으로써 해금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나아가 해금이 세계적인 악기로 부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리고 이성천의 〈쥐구멍에 별들었어도〉와 김영재의 〈비〉의 분석에서 확인된 악식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쥐구멍에 별들었어도〉는 음악 어법에 있어서는 5음 음계의 계면조를 활용하거나 화음을 내는 등 전통음악의 틀을 근간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전통적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곡 상의 묘사를 위하여 새로운 주법을 사용한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데, 중음기법과 서양 현악기 운궁법의 도입 등 다양한 해금 연주기법을 시도한 점은 이후의 창작해금음악에 적잖은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비(悲)〉는 완전히 전통적인 음악 어법을 사용한 작품으로서 선율ㆍ연주 양식ㆍ장단ㆍ리듬 등의 요소들은 전통에 기반하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농현ㆍ음색ㆍ활대의 강한 표출력 등을 통하여 기준의 시나위나 산조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연출해내고 있다. 특히 서구식의 작곡개념과는 다른 전통적 즉흥연주 양식이 적절히 활용되어 연주자의 자율성을 살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러한 양식에는 그때그때 자유로이 연주할 수 있는, 닫힘이 아닌 열림의 미학이 담겨져 있어 연주자의 창작정신을 살려주는 작품으로 중요하다고 하겠다. 끝으로, 해금음악의 현대적 창작의 체계화와 대중화라는 과제에서 해금만이 가진 고유의 성음과 전통해금음악이 지니고 있는 특색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나아가 해금음악의 정서와 예술성이 향후 우리 민족 뿐만 아니라 세계인들도 공감할 수 있는 우수한 해금음악세계가 확립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이 시대에 한국음악의 발전에 해금이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지, 한국음악의 정체성을 지닌 모습으로 청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해금 음악은 어떠해야 하는지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is is a musical study on the identity of Haegum's creative music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t notes the first Haegum creative song A music for Hagum and Jangku(1966) by Mr.Kim. In this thesis, I analyze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following work: fortune knocks at our door by turns(op.35) which is very well-known music by Mr.Lee & also Rain by Mr.Kim. There were only 10 creative Haegum songs in the late 1960s, however, it has been increased a lot after 1980s. Many Haegum songs make people participate in the Haegum world so that Haegum could be one of the most popular musical instrument gradually. This study reveals that structural features of music by Mr.Lee & Mr.Kim: Based on the traditional music, Mr.Lee's work is an influence on the contemporary Haemgum music with new playing skills such as multiphonics and Western bowing. On the other, Mr.Kim's work is in the neo traditional pattern which is improvised by musician's autonomy. In conclusion, through this case of contemporary Haegum music study, I consider that music is ever a work-in-progress, something that is continually created and re-created. This study shows that authentic Haegum characteristics is inherently related to the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identities. It enables us to understand important aspects of the traditional Korean Haegum music and also the comtemporary Haegum world. It can be used as an musical study basis to find more effective ways of popularizing Haegum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고찰

        정은경(Jung, Eun-Gye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7 No.37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해금 관련 내용들을 고찰해 보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는 2013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총 17종이며, 연구 내용과 방법은 우선, 음악과 교육과정의 해금 관련 내용들을 살펴보고, 두 번째는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수록 현황을 점검하며, 세 번째는 해금과 관련된 지도내용들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현, 감상, 생활화의 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 출판사는 총 17종 가운데 세곳을 제외한 14종의 음악교과서에서 해금과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특히 표현, 감상, 생활화의 영역 중에서 감상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은 표현 영역이었으며, 생활화 영역에서는 직접적으로 해금과 관련해 다루어진 내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과서에서 제시된 해금 관련 학습활동을 보면, 대부분 해금이 포함된 악기 편성을 알아보는 활동과 음악을 들으며 악기 음색을 구별하는 활동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하기 위한 관련 제재곡으로는 정악에서는 수제천과 가곡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고, 민속악에서는 시나위와 산조, 창작국악곡에서는 이성천 작곡의 ‘청소년을 위한 국악관현악 입문’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금의 영역별 지도내용은 표현 영역에서는 주로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하기 활동이 제시되었는데, 특히 가곡과 관련한 노래 부르기 활동에서 가곡 연주에 해금이 편성되는지를 알아보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악기 연주하기 활동으로 해금이 제시된 음악교과서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해금 운지법에 대한 설명이 없어 현실적으로 수업이 가능할지 우려된다. 또한, 감상 영역에서는 주로 악곡의 특징과 국악사와 관련해 해금의 내용이 기술되어 있지만, 대부분 간단한 악보 소개와 더불어 음악을 감상하는 단순 활동이 많았으며, 국악사에 있어서는 고려 시대에 등장한 해금을 소개하는 내용이 매우 간단히 제시되어 있었다. 이상으로 현대에 들어 해금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학습내용과 학습활동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 related to haegeum -a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 in secondary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ith 17 music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corresponding to the 2009 revision that have been in use since 2013, the study reviewed the content on haegeum, examined the inclusion of the haegeum-related content, and then analyzed instructional content regarding haegeum by content section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ractice in daily lif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n haegeum was contained in 14 among 17 music textbooks from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 In particular, the appreciation was the largest part in the related content, followed by the expression section, and the practice in daily life sect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on haegeum.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haegeum-related activities suggested in the textbooks, it i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activities were recognizing the instrumental organization that includes haegeum, and distinguishing the tones of the instrument while listening to music. As related musical pieces, Sujecheon and Gagok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court music, Sinawi and Sanjo in folk music, and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for Young Persons by Seong-cheon Lee in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as for instructional content of haegeum by each section,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were mainly presented in the expression section, and in particular, the activity of singing Gagok-related songs consisted largely of identifying whether haegeum is included in playing Gagok. Since music textbooks proposing haegeum for an activity of “playing an instrument” didn’t include any basic explanation on haegeum fingering, there is a concern about applying it to actual classes. In addition, although the appreciation section described haegeum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pieces and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music, it mainly contained simple activities of appreciating musical pieces with a brief introduc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music, a very brief introduction was provided on haegeum that first appeared in the Koryo Dynasty. As a result, haegeum was found to be used in varied learning content and activities in the schoo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해금 교육 도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정은경(Eun-gyeong J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2 국악교육 Vol.33 No.33

        본 연구는 ‘2007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국악 기악교육의 다양화를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학생들에게 해금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 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08년에서 2011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연수원의 방학 중 해금 교사연수 프로그램(30시간)에 참여한 초, 중, 고 교사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총 6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설문으로, 그 내용은 국악교육 및 해금에 대한 관심과 해금의 초등교육 도입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응답자들 가운데 이전에 국악연수 경험이 있는 비율이 66명(57.4)으로 경험이 없는 비율 49명(42.6%)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국악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해금 교사연수에도 관심을 가지고 참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응답자들에게 해금 교사연수에 참여하게 된 배경을 묻는 문항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평소 해금에 관심이 있어서’가 55명(47.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최근 들어 해금에 대한 관심이 얼마만큼 높은 지 알 수 있다. 둘째, ‘국악에 대한 관심 및 흥미도’, ‘국악교육에 대한 관심도’, ‘해금에 대한 관심도’, ‘해금의 학교교육 도입’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알아본 결과, 4가지 영역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셋째, 초등학교에서의 해금 교육 도입 시기에 대한 문항 분석 결과는 ‘5학년’이 적당하다고 응답한 비율(38.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응답자들은 해금 교사연수에 참여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으로 ‘정간보 보기’(22.6%)를 들었다. 이것은 응답자들 가운데 중, 고등학교 교사의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들 중 음악교과가 아닌 타 교과 전공의 교사들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응답자들에게 연수 후 해금을 더 배우고 싶은 지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배우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105명(91.3%)으로 나타나 거의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계속해서 해금을 배우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묻는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 학교 음악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가 47명(40.9%)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어 교사들 특성상 무엇보다도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해금 교육을 도입하게 된다면, 앞으로의 국악 기악교육은 보다 질적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fiddl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following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 and pursue diversification of classical instrumental education. The research subjects are 11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took the teachers’ training program (30 hours) for Korean fiddles in Elementary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uring a vacation from 2008 to 2011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The test tool was a survey consisting of six categories in total, whose questions were about th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Korean fiddles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fiddles in elementary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first, those with the training experienc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were 66 (57.4%), which was more than 49 (42.6%) without experience, among the respondents, so the teachers with the training experienc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were interested and participated in the teachers’ training of Korean fiddles. Also, the analysis into the questions asking the respondents of their motivation to join the teachers’ training of Korean fiddle showed the biggest reason was because they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Korean fiddles with 55 respondents (47.8%). Second, a preliminary and a post test were conducted about their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music,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interest in Korea fiddles,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fiddles into schools and their changes were examined, and all four categories were proved to have positive reaction. Third, most people(38.3%) answered that the appropriate time to introduce Korean fiddle education into elementary schools would be during the fifth grade. Fourth, many respondents (22.6%) answered what was most difficult during the teachers’ training of Korean fiddles was reading music, e.g. Jeongganbo. The reason for this can be analyzed that the rate of middle or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 among the respondents, and that there were more teachers majoring in the subjects other than music. Fifth, with regard to the question asking them whether they wanted to learn Korean fiddles after the training or not, 105 respondents (91.3%) answered they wanted to, so most of them wanted to continue to learn Korean fiddles. The biggest reason was analyzed that they wanted to use it in their music class for the future with 47 respondents (40.9%), which proved that for the specific characters of teachers, the most important aim was using it in the class. If Korean fiddle education is introduced into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uture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al education is expected to get qualitatively goo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