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관 가계 형성의 사례 검토

        이상규 ( Lee Sang-gyu ) 한국계보연구회 2011 한국계보연구 Vol.2 No.-

        이 글에서 필자는 지금까지 왜학역관의 가계를 검토한 점을 확대해서 역관 가계의 일반론으로 전개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천녕현씨 가계,진주강씨 강우성 가계,남양홍씨 홍희남 가계,김해김씨 김근행 가계를 사례로 들어서 역과를 비롯하여 중인층 내의 의과, 주학 등 전공의 분포도를 살펴 보았다. 이들 가운데 천녕현씨 가계의 3개파는 공히 역관을 다수 배출하였다. 현무 파에서 의과ㆍ주학. 운과 전공이 역과를 압도하는 현상이 있기도 하였으나 나머지 현용 파ㆍ현호 파에서 공히 역과 배출자가 나왔다. 따라서 천녕현씨는 역관 전공을 다수 배출한 전형적인 가계라 할 수 있다. 진주강씨 강우성 가계는 강우성의 손자대 이후로는 기록이 단절 되어 역관 가계가 형성되는 점을 명확하게 관찰할 수 없었다. 강우 성은 주학을 대대로 전하는 집안에서 태어나 본인도 주학 전공을 계승했다가 임진왜란 피로인 경험을 살려서 왜학 전공 역관이 되었다. 가계 내에서 주학 전공이 많았고 역과,무과, 의과 전공도 배출 되었다. 17세기부터 천녕현씨 가문과 통혼하여 중인 가계끼리 혼인이 이루어지는 관행에서 어긋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남양홍씨 홍희남 가계는 홍희남 자신이 아버지의 공훈에 힘입어 17세기를 대표하는 왜학역관으로서 다대한 업적을 보였다, 왜학역관의 대명사로 불리우는 홍희남은 인조-현종대 초반까지 조ㆍ일 관계의 현안을 풀어가는 데 혁혁한 성과를 보였다. 홍희남의 후광에서 그의 증손대까지 왜학 전공으로 역관 계통이 유지되었다. 홍희남가 계는 여타 남양홍씨 가계와는 전혀 상관이 없고 끊어진 가닥에다 자신들의 선대를 이어놓았다. 김해김씨 김근행 가계도 역시 일반 김해김씨 가계와는 연관성이 없다. 김근행의 조부 김복장은 역관이었고 그의 딸이 1580년 선조 (宣祖)의 후궁으로 지정되었다. 아버지도 역관이었다. 김근행은 1640 년대부터 숙종대 초반인 1678년까지 조일관계의 중대 사안을 처리 하는 역관으로 부각되었다. 역관 계승은 김근행까지 3대에 그치고, 중인 전공을 다수 배줄하지는 못했다. 4개의 사례에서 역관 가계가 형성되는 시기를 방목(榜目), 원종공 신녹권(原從功臣錄券),금석문, 족보 등에서 나타난 사실과 연대기 자료를 대조하여 검토하였다. 방목 등에서 역관 가계는 16세기 후반에 나타난다. 연대기 자료에서는 1660년대부터 역관들도 선대 묘를 화려하게 꾸미고 비문에다 추증된 관직을 써넣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난다. 사대부 관료들은 이러한 현상을 신분 질서를 문란하게하는 점으로 받아들이고 금지령을 내려서 제한하고자 했으나, 1710년대에 이르면 역관 가계에서 선대 묘를 화려하게 꾸미는 관습은 일반화되었다. 역관 가계의 출현은 17세기 이전에도 나타난 예가 있으나,양반 사대부처럼 선대 묘를 만들고 가전(家傳) 자료를 만드는 등 위선 사업을 펼치는 것은 1660년대 이후의 사실이다. 역관 가계를 이룰려면 현달한 인물이 나와야 했다. 4개의 사례 중에서 천녕현씨는 두루 역관을 배출했으나 홍희남ㆍ김근행과 같은 비중있는 역관은 배줄하지 못하였다. 강우성ㆍ홍희남ㆍ김근행 모두 자신이 발군의 업적을 내어 역관 가계의 기반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was to generally develop the Official Japanese Interpreter lineage by expanding what the writer has examined the Official Interpreter lineage so far. First of all, it examined distribution level of majors such as Medical Examinations and official arithmetician in middle class including Interpretaion Examinations by taking a case of Cheonnyeong-hyeon family(川寧玄氏) lineage, Jinjugang-family(晉州康氏) Gang U-seong(康遇聖) lineage, Namymghong-fandly(南陽洪氏) Hong Hui-nam(洪喜男) lineage, and Gimhaegim-family(金海金氏) Kim Geun-haeng(金謹行) lineage. Among these things, 3 factions of Cheonnyeong-hyeon lineage virtually produced a number of the Official Interpreters. There was even a phenomenon of being overwhelmed Interpretation Examinations by majors of Medical Examinationsㆍofficial arithmeticianㆍofficial astronomer in the Hyeonmu(玄武) faction. However, the remaining Hyeonyong(玄龍) factionㆍHyeonho(玄虎) faction produced virtually produced a number of the Official Interpreters. Accordingly, the Cheonnyeong-hyeon family can be said to be typical lineage that produced a number of the Official Interpreter majors. The Jinjugang-family Gang U-seong lineage was discontinued a record following the generation of Gang U-seong’s grandson, thereby having been unable to be observed clearly a point of being formed the Official Interpreter lineage. Gang U-seong was bom in a family of delivering official arithmetician generation after generation. Thus, he himself also succeeded to official arithmetician major, and then became the Official major Interpreter by reviving experience of abductee during Imjinwaeran. There were many majors in official arithmetician within lineage. Even majors in Interpretation Examinations, Military Examinations, and Medical Examinations were produced. It could be known not to be contrary to the habitual practice that marriage is made between family lines in the middle class by marrying with the Cheonnyeong-hyeon family from the 17th century. As for the Namyanghong-family Hong Hui-nam lineage, Hong Hui-nam himself showed great achievement as the Official Interpreter of representing the 17th century by virtue of his father’s merits. Hong Hui-nam, who is called as the pronoun of the Official Japanese Iinterpreter, showed the illustrious performance in proceeding with a pending question about the Joseon Japan relationship until the opening part in the dynasty of king Injo-king Hyeonjong. The Official Japanese Interpreter line as the Official Interpreter major was maintained from Hong Hui-nam’s halo to his great-grandson generation. The Hong Hui-nam lineage isn’t related to other Namyanghong-family lineages at all and led their previous generation to the discontinued strip. Even the Gimhaegim-family Kim Geun-haeng lineage has no relation to general Gimhaegim-family lineage. Kim Geun-haeng’s grandfather Kim Bok-jang was the Official Interpreter. His daughter was designated as a royal concubine of King Seonjo in 1580. Even his father was the Official Interpreter. Kim Geun-haeng was highlighted as the Official Interpreter who handles important issue in Joseon-Japan relationship from the 1640s to 1678 when is the opening part of the king Sukjong dynasty. The succession of The Official Interpreter stopped in the 3rd generation up to Kim Geun-haeng. A number of middle class majors failed to be produced. In 4 cases, the period of being formed the Official Interpreter lineage was examined by comparing facts and chronicle materials, which were shown in Bongmok(榜目:list of the past successful candidates), WonjonggongsMmokgwon(原從功臣錄券:docmnet of merits, which is given to a person of having even trivial merit in addition to a meritorious retainer), Geumseokmun(金石文:epitaph), and genealogical table. The interpreter lineage in Bangmok and others is indic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In the chronicle materials, from the 1660s, even The Official Interpreters began to colorfully decorate the grave of previous generation and to write to put the government post of having been Chujeung(追赠:what was postthumously given as the honorary post) in the epitaph. The bureaucrats in Sadaebu aimed to restrict by issuing the ban with accepting this phenomenon as a point of making the standing order disorganized. However, reaching the 1710s, the habitual practice of decorating the grave of previous generation colorfully in the Official Interpreter lineage was generalized. The appearance of the Official Interpreter lineage has an example that was shown even before the 17th century. However, what spreads Wiseon(爲先) project such as making the grave of previous generation and making Gajeon(家傳) materials like Yangban Sadaebu is a fact following the 1660s. To achieve the Official Interpreter lineage, the eminent character did need to be produced. Among 4 cases, the Cheonnyeong-hyeon family thoroughly produced the Official Interpreter. However, the important the Official Interpreters like Hong Hui-nam Kim Genn-haeng failed to be produced. All of Gang U-seongㆍHong Hui-namㆍKim Geun-haeng can be said to have made the foundation of the Official Interpreter lineage by making their own achievements in excavation.

      • KCI등재

        17세기 倭學譯官의 제도 정비와 위상

        이상규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3

        The matters argued and expl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 Hong Hee-nam(洪喜男) suggested to Ministery of Rites(禮曹) to compile the textbooks that were mainly made with literary style up until the 1650s to textbooks focusing on everyday conversational dialogic style, and his suggestion was accep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associatively infer upon the time that the dialogue style Japanese language textbook ‘Cheophaeshineo(捷解新語)’ was published. Ueocheong(偶語廳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training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in Sayeokwon of Joseon Dynasty) that was implemented in Sayeokwon(司譯院translation, interpret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of Joseon Dynasty) in 1682 picked up locals or Koreans who were captured and returned as instructors at the end of King Hyeonjong and beginning of King Sukjong’s reign to recommend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Second, Joseon government that experienced wars with foreign nations adopted foreign language interpreter recommendation policies within a limited scope throughout the 1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suggested to restore the number of positions that were reduced due to financial issues and requested to soothe burdens to purchase rare palace medicinal herbs. Third,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s were ranked low in importance among four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but the number of 30 month Yokhakhundo(譯學訓導 position in charge of fore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in Joseon Dynasty) and the number of 12 month Yokhakgyumgunkgan(譯學兼軍官 position receiving treatment as a military officer but in charge of foreign language Interpreter duties) was even to or higher than that of Mongolian and Qing Chinese language interpreters. The ranking was given from a nominal perspective, but the duties on foreign affairs were not ranked low. The Yokhakgyumgunkgan position required officers to work faraway from the central power and was in charge of diplomacy work and cadet training, while only being treated as a military officer, so most language interpreter avoided this position. 이 논문에서 논증,해명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왜학역관 홍희남은 1650년대까지 사용된 문어체(文語體) 교재를 대화체의 일상회화 중심의 교재로 편성할 것을 예조에 건의하여, 수용되었다. 이로 인해 회화체 일본어 교재인 『첩해신어』가 간행되는 시점과 연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게 되었다. 1682년 사역원에 도입된 우어청(偶語廳)은 현종 말년~숙종 초반 해당국의 현지인 또는 현지에서 붙잡혀갔다가 돌아온 사람을 훈장으로 발탁하여 외국어 학습을 권장한 방식이었다. 둘째, 양란을 겪은 조선 정부는 17세기 내내 제한된 범위에서 역관 권장책을 채택하였다. 이에 반해 역관 자신들은 재정 궁핍으로 줄어들은 자리를 회복할 것을 건의하고 희귀한 궁중 약재의 구매 부담을 완화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셋째, 왜학은 4개 외국어의 순위에서 하위였지만 30개월의 역학훈도의 자릿수나 12개월의 역학겸군관의 자릿수에서도 몽학ㆍ청학보다 대등하거나 앞섰다. 그것은 명목적 관념에서 매겨진 순위였고 외교의 직무로서는 하위에 있지 않았다. 역학겸군관의 자리는 중앙에서 멀리 떨어져 근무해야 했고 외교 업무와 생도 교육을 담당하면서도 대우는 군관에 지나지 않아서 역관들이 부임하기를 기피하였다.

      • KCI등재

        17세기 倭學譯官의 제도 정비와 위상

        이상규 ( Lee Sang-gyu )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83 No.0

        The topics and issues discussed and expl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 Hong Hee-nam(洪喜男) suggested to Ministery of Rites(禮曹) that the ministry textbooks that were primarily composed in the literary style the 1650s be changed to textbooks that focused on everyday conversational style, and his suggestion was accep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associatively infer when the dialogue style Japanese language textbook ‘Cheophae Shineo(捷解新語)’ was published. Ueocheong(偶語廳), or the Bureau of Interpreters, which was the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training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in the Office of Interpreters(K. Sayeokwon 司譯院) in the Joseon Dynasty, implemented translation, interpret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in 1682. The office selected local people or Koreans who had been captured and subsequently returned to Joseon to be instructors at the end of King Hyeonjong’s reign and beginning of King Sukjong’s reign and to recommend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Second, the Joseon government, which had experienced wars with foreign countries adopted foreign language interpreter recommendation policies within a limited scope throughout the seventeen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suggested restoring the number of positions, which had been reduced due to financial issues, and requested soothing burdens by purchasing rare palace medicinal herbs. Third,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s were ranked low in importance among four groups of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but the number of thirty-month appointments as Yokhak hundo (譯學訓導, or positions in charge of fore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number of twelve-month Yokhak gyeomgungwan positions (譯學兼軍官, which were treated as military officer positions but were in charge of foreign language Interpreter duties) wa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ongolian and Qing Chinese language interpreter positions. The rank was given nominally, but the duties regarding foreign affairs were not ranked low. The Yokhak gyeomgungwan positions required officials to work far away from central government, and those officals were in charge of diplomatic matters and cadet training, while being treated merely as a military officer, thus most language interpreters avoided this position.

      • KCI등재

        仁祖代 전반 問慰行 연구

        李尙奎(Lee, Sang-Gyu)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5 No.-

        問慰行은 1620년대부터 1860년대까지 260년 이상 지속해온 조일간 외교사절이었다. 역관이 정사가 되어 상?중?하관을 인솔하여 대마도주가 에도에서 還島한 것을 위로하고 關白의 경조사를 축하?조위하는 목적으로 대마도로 파견되었다. 17세기 중반까지 木綿 紛爭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야나가와(柳川) 사건을 정탐하는 일로서,硫黃貿易에 답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이 글은 17세기 왜학역관의 활동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문위행으로 분야를 넓혀서 서술된 것이다. 17세기 문위행의 활동 중에서 인조 초반기에 주목하였다. 이 시기에는 공목분쟁이 격화되면서 동래부 훈도?별차가 담당한 공목 회계가 제대로 인수인계되지 않거나 대마측에 未收公木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문위행이 파견되었다. 제도면에서 고찰한다면 문위행은 1606년에 全繼信 등이 회답겸쇄환사 파견 전에 對馬의 실정을 파악하고 돌아온 것을 선행적 형태로 잡기도 한다. 武人 출신으로서 일본 사정에 밝은 전계신은 1617년 회답겸쇄환사의 파견을 앞두고 대마의 실정을 탐문하는 사자로 지명되었다. 조선은 국가 경영의 차원에서 긴급한 일이 생겼을 때 일본에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었다. 광해군대에 명나라 사자를 응대하기 위해 倭館의 은을 차용한 일이 있었고 회답겸쇄환사가 받아온 答禮銀을 宮闕營建 비용에 충당하기도 하였다. 李造의 선봉군을 막지 못하여 왜관에 무장력을 요청할 것을 검토하였고, 정묘호란을 당한 후 성능 좋은 일본산 鳥敍을 사기 위해 對馬島로 譯官을 보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올 정도였다. 역관사행으로서 문위행은 조선이 대일관계에서 공무역품의 결제 수단으로 쓴 목면을 미지급하는 사태가 심해져서 인조대 이후 대마측이 공목 분쟁을 제기할 때에 나타난다. 1629년 대마 사자인 겐포(玄方)가 上京했을 때 정묘호란 후 조선의 실정을 탐색할 목적도 있었지만,光海君代에 받지 못한 목면을 일괄하여 받아가려고도 하였다. 이 때 미지급된 목면 600同이나 드러나서, 인조 정부는 역관 등의 사절을 보내 대마측의 불만을 무마하려고 나섰다. 1629년 문위행 邪?吉? 崔義吉 등은 6개월 전에 겐포가 요구한 600동을 지급유예하기 위해 대마로 갔다. 도주가 에도에서 還島한 것을 위로할 목적도 있었다. 1631년 문위행은 2년 전에 약속한 목면 600동을 지급할 수 없게 된 사정을 설명하고 1614년 공목을 유예하기 위해 대마로 파견되었다. 당시 島主와 야나가와씨 간 분쟁이 생겨서 출발이 지연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1632년 문위행은 도주가 귀환한 것을 위로하고 쇼군의 喪에 조위하고 야나가와 사건의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띠었다. 이 때는 목화 흉작이 겹쳐서 당년 목면 지급분도 주지 못할 정도가 되어 대마측에 미수공목을 무마하기가 더욱 곤란해졌다. 1635년 문위행은 역관 洪喜男과 馬上才를 에도로 보내서 야나가와 세력에 고립되어 곤궁해진 도주를 변호하였다. 홍희남은 쇼군이 여러 가지로 회유하고 협박했지만 시종일관 도주의 처지를 옹호하였다. 1636년 문위행은 1년 전 사행에 이어져서 도주가 야나가와 분쟁에서 승리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특히 1635년에는 홍희남 일행이 귀로인 대마도에서 대마 무역선의 渡海 횟수를 감소하는 협상 兼帶制를 타결시킨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야나가와 사건은 1636년 통신사 외교로서 종료되지만 목면 분쟁은 심각도가 날로 더해져갔다. 동래부의 역관들이 목면을 지급하는 회계를 하지 않고 이임하거나 파직?처벌당하여 목면 분쟁의 파고는 갈수록 높아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