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한(前漢) 말(末) 국가제사(國家祭祀)의 중앙집중(中央集中) 편제(編制)

        김용찬 수선사학회 2018 史林 Vol.0 No.66

        以西漢末平帝時期爲准的《漢書ㆍ地理志》里的各個地域擁有些祭祀設施,這些跟從成帝時期開始登場的郊祀應有密切關系。這些是國家權力從秦到西漢末期抓住的全國的祭祀設施中特別被選定的。位置上分開了三個部分。 第一,位于邊境的,它們與邊境外邊的五族――西南夷、越、羗、匈奴和朝鮮等五個異民族――有關系。它們一方面包括‘天下’,另一方面代表五族。五族可以與南郊中營的五星相比。 第二,在邊境內,有五岳四渎。除了淮渎淮水以外,別的都在《漢書ㆍ地理志》內。這似乎是五岳比四渎更優先考慮的,實際上南郊里,五岳在中營,四渎跟四海、名山和大川一起在外營。五岳代表中央和東、西、南、北的‘天下’。 邊境的五族和這里邊的五岳跟南郊中營的五星和五官相比。五族和五星是威脅天地的秩序的,五岳和五官是代表天地的秩序。 第三,幾乎所有的祭祀設施都集中在司隸和齊地域,除了雍――秦以來的祭祀中心――以外,它們的比例相當。 然而,齊地域的一些祭祀設施被復制在司隸,爲了消除齊地域的强大的神力,幷將其力量集中在漢皇帝常住的司隸。齊地域的祭祀設施的中心是齊的八神,其中之核心天主天齊被搬到司隸,幷被降級爲天齊公。結果齊地域的完備的祭祀體制被破碎了。還一些齊地域的祭祀設施在司隸里再現的大部分集中到谷口。如果茂陵視爲天極的話,谷口的位置屬于齊的分野。因此,齊地域的祭祀設施將集中在谷口。此外,茂陵孝武廟、谷口仙人ㆍ天齊公ㆍ五帝、云陽甘泉泰畤的結構導致齊地域的臨淄天齊、朱虛五帝、不其仙人ㆍ明堂ㆍ太一再現的,這個結構是把齊地域固有的祭祀中心移到了司隸的。 司隸本身也一樣。雍是從秦把一百多祭祀設施被集中到,其中心是四畤――爲了各個方位的上帝――,高祖把四畤擴大到五畤。然后,在《漢書ㆍ地理志》的階段,雍的祭祀設施的數量增加到三百三個。此外,雍和周圍的黃帝、黃帝子(玄嚣ㆍ昌意)、黃帝孫(帝颛顼)此祭祀施設布置已成立秦的正統性。漢帝國繼承專注祭祀施設在雍,幷能勾負責秦區。 卽漢帝國把太一、天齊和五帝從齊地域集中到云陽,把五帝和黃帝相關神集中到雍,以漢皇帝親祭爲展示了“天下”的統治地位和絶對性。 這個復雜的祭祀制度雙重體系自成帝時期以來通過郊祀重建到漢皇帝中心的一元的國家祭祀。這個過程中,太一― ―齊地域的最高天神― ―被完全排除,天齊被降級爲天齊公,成爲地方祭祀的對象。五畤― ―秦地域的最高天神― ―也白改造成地方祭祀設施。郊祀登場以前把各個地域的所有的神集中到司隸,司隸里的祭祀設施逐漸增加了,漢帝國的支配力越來越擴大了。郊祀登場以后把集中到司隸的神被統一爲郊祀,‘天下’被系統化爲五岳、四渎、名山和大川。現在,“天下”幷不是各個列國的簡單集合,而是被重新組織爲一個集中的“天下”,其中天上的秩序是由漢皇帝爲中心實施的。象征它是郊祀。

      •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의 「진장성 동단 및 왕험성 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 考)」1) 번역 및 비판

        이덕일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2

        조선총독부는 한국 강점 후 한국사를 반도사의 틀로 가두는 역사 왜곡에 나섰다. 한국사에서 대륙사와 해양사를 삭제해서 반도사로 축소한 후 그 북부에는중국의 식민지인 한사군이 있었고, 남부에는 일본의 식민지인 임나일본부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한사군=한반도설’의 핵심은 ‘낙랑군=평양설’이었는데, 일본인학자들은 이를 위해서 여러 논문을 쓰고 고고 유적·유물을 조작했다. ‘낙랑군= 평양설’을 주장한 주요 논문의 하나가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의 「진장성 동단 및 왕험성 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 考:1910년)」이다. 이나바는 이 논문에서 낙랑군 수성현이 황해도 수안군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논리는 한국 국사학계의 태두로 불렸던 이병도의 『한국고대사 연구(1976)』에 그대로 채용되었다. 또한 동북아역사재단은 국고 47억원을 들여서 『동북아역사지도』를 제작하면서 낙랑군 수성현을 황해도 수안군으로 표기했다. 2015년 대한민국 국회에서 동북아역사재단에 그 근거를 물었을 때 이병도의 『한국고대사연구』의 148쪽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나바 이와기치는 위 논문에서 낙랑군 수성현은 황해도 수안군이고, 진(秦) 나라 만리장성의 동쪽 끝이 황해도 수안군에서 시작한다고 주장했다. 이나바는이런 사실이 『한서 지리지(漢書 地理志)』에 나오니 ‘의심할 것이 없다’고 주장했는데, 『한서 지리지』에는 황해도 수안군은커녕 한반도에 대한 기술 자체가 없다. 모두 이나바 이와기치가 한사군을 한반도에 있던 것으로 왜곡하기 위해서 만든창작인데, 일체의 사료적 근거가 없는 가짜 역사가 지금까지도 한국 고대사학계에 그대로 수용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한서』 지리지 낙랑군 3수의 비정에 대한 검토

        박성현(Park, Sunghyun)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9

        『漢書』 地理志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지리지 가운데 하나로, 그 군현 목록은 ‘元延·綏和之交(전9~전8)’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 樂浪郡 소속 현의 위치 비정은 군의 범위, 더 나아가 武帝 때 4군 및 위만조선의 범위 등을 파악하는 관건이 된다. 위치 비정의 중요한 단서는 自註에 보이는 물줄기의 흐름인데, 낙랑군의 경우 서류해서 바다로 들어가는 浿水, 帶水, 列水의 흐름이 나타나 있다. 조선 후기 이래 여러 연구자들이 그것의 정확한 비정을 위해 노력해 왔다. 일찍이 한백겸이 패수를 청천강, 대수 및 열수를 각각 대동강 및 한강에 비정하였는데, 안정복, 정약용을 거치면서 패수, 대수, 열수를 각각 대동강, 임진강, 한강에 비정하는 것이 정설이 되었다. 일제의 滿鮮史 연구에서는 츠다[津田左右吉]와 이마니시[今西龍]의 견해에 따라 패수를 압록강, 열수를 대동강, 대수를 한강에 비정하였다. 그렇지만 곧 황해도 봉산에서 ‘帶方太守 張撫夷’ 무덤이 발견되면서 서흥강재령강이 대수의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게 되었다. 일본인 연구자들은 자신의 견해를 쉽게 바꾸려 하지 않았지만, 이병도는 3수에 대한 논문에서 패수를 청천강, 열수를 대동강, 대수를 서흥강재령강으로 정리하였다. 해방 후 한국 학계에서는 이병도의 견해가 통설이 되었고, 이것은 중국 학계에서도 대체로 받아들여졌다. 북한에서는 리지린이 열수를 난하에 비정해 보기도 하였지만, 마지막 단계 3수의 위치에 대해서는 분명히 하지 못하였다. 일본에서는 여전히 대수를 한강으로 보기도 하지만, 군현 관련 유적·유물의 분포를 보면 帶方郡의 범위가 멸악산맥을 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사회적으로 낙랑군의 위치에 대한 불필요한 논란이 있는데, 이처럼 3수의 비정은 오랜 시기에 걸쳐 어느 정도 안정화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새로운 자료의 발견에 따라 좀 더 정밀한 현의 위치 비정도 가능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漢 邊郡의 공간 및 사회 구조에 대한 좀 더 진전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Treatise on Geography in the Book of Han is the oldest one in East Asia. It is known that the list of commanderies and counties was made in 98 BCE. Locating the counties of Xuantu and Lelang Commanderies is crucial to know the boundary of these commanderies, four commanderies of Emperor Wu of Han, and Old Joseon. The clue to locate a county is the river in the selfannotation below the county. In the case of Lelang Commandery, there were Paesu, Daesu and Yeolsu (that is three rivers) that flow west into the sea. From the late Joseon period, many scholars have tried to locate them. Han Baekgyeom regarded Cheongcheon River as Paesu, Daedong River as Daesu, and Han River as Yeolsu, but An Jeongbok and Jeong Yakyong thought Paesu is Daedong River. In the late Joseon, An’s and Jeong’s theories were widely accepted.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ManchuriaJoseon by Japanese Imperialism, they pointed out Yalu River as Paesu, Daedong River as Yeolsu, and Han River as Daesu. However, the tomb of “grand administrator of Daifang” was discovered in Bongsan, and SeoheungJaeryeong River became a strong candidate for Daesu. Japanese historians refused to accept the result of archeological discovery. Lee Byeongdo located Paesu on Cheongcheon River, Yeoulsu on Daedong River, and Daesu on SeoheungJaeryeong River. After World War II, Lee’s theory was widely accepted in South Korea and China. In Japan, there are still some historians who regard Han River as Daesu. However, the distribution of remains of Lelang and Daifang Commanderies says their territory couldn’t climb over Myeorak Mountains. Nowadays, there are some disputes about the location of Lelang Commandery in South Korea. However, the location of three rivers has been established for a long time. In future, spatial and social structures of Han Empire’s frontier commandery should be more investigated.

      • KCI등재

        後期桐城派의 ‘三江’ 論爭 — 吳汝綸, 張裕釗를 중심으로

        백광준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3

        This study explores an argument between Wu, Rulun(1840-1903) and Zhang, Yuzhao(1823-1894). It is mainly about the "Three Rivers" issue in "Shang Shu·Yu Gong", which was carried out intermittently from 1887 to 1888. This argument began with an article by Zhang Yuzhao, which was the "Contemplation on “three rivers”in Yu Gong". In this article, he mainly pointed out that Ban, Gu was inevitably wrong in "Hanshu Dilizhi", and then advocated that there is another Nanjiang River other than the Beijiang River and the Zhongjiang River associated with the Yangtze River. This is simply an unprecedented insight, because the Sanjiang theory has always referred to three parts of the Yangtze River or three Rivers diverted from the Yangtze River. As far as the theoretical structure is concerned, Zhang, Yuzhao is mainly based on Guo, Pu's Sanjiang theory: Lijiang, Songjiang, and Zhejiang, which led to the new proposition that Nanjiang is a river. Wu, Rulun verified it in all aspects, and Zhang, Yuzhao refuted it. In the debate, they involve a wide range of academics, sometimes classics, sometimes texts, lexicons, geography, and so on. This shows that they are also well-versed in many academic fields. At the same time, it is commendable that they strive to put the above academic methods and attitudes into education. The "Contemplation on “three rivers”in Yu Gong" mentioned at the beginning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By examin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debate,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o wins or loses, it is estimated that Zhang, Yuzhao’s claim cannot be successfully recognized by Wu, Rulun. However, regardless of the outcome, this controversy makes sense, that is, they absorb new knowledg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boldly challenge academic stereotypes, which are valuable in themselves, especially their profound knowledge of geography. In fact, this is the main background that touches the debate. 문학사에서, 吳汝綸(1840-1903)과 張裕釗(1823-1894) 두 사람은 ‘曾門四弟子’에 속한다. 이 논문은 두 사람 사이에 전개된 한 차례의 논쟁에 대한 연구로, 그 논쟁의 초점은 《尙書》<禹貢> 안의 ‘三江’ 문제에 관한 것이었다. 논쟁은 1887년에 시작되어 1888년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들은 공히 동성파의 적자로서, 문인의 신분으로 경학 상의 논쟁점을 둘러싸고 벌인 논쟁이기에 주목을 끌기에 충분한 것이다. 논쟁의 발단은 장유조의 <禹貢三江考>라는 글에서 출발하였다. 그는 그 글에서 반고의 《한서》<지리지>에 오류가 있다고 지적하고, 특히 장강과 관련된 북강, 중강 외에 별도의 남강이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는 종래에 없던 참신한 주장이라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역대로 삼강의 논의는 기본적으로 장강의 마디를 분할하여, 또는 삼강의 지류 가운데 세 강을 골라서 삼강이라고 논해왔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반고가 말한 ‘分江水’에 주목하면서도, 다른 맥락에서 그를 차용하여 남강이 별도의 강임을 입증하고 그 별도의 강이 바로 浙江이라고 단언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장유조는 주로 郭璞의 삼강론, 곧 岷江, 松江, 浙江이 삼강이라고 하는 주장에 근간하되, 남강이 별도의 독립된 강이라는 주장을 펼친 것이었다. 하지만 오여륜은 이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검토하고 반박하였다. 그들의 논쟁 속에서는 다채로운 논거들이 동원되어, 경학 텍스트의 글쓰기, 고증, 지리 정보 등등 다방면에서의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는 제반 학술에 대한 그들의 깊은 식견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통상 그들은 문인으로 간주되지만, 이 논쟁은 그들이 단순히 ‘詞章’의 울타리에만 머물러있지 않았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더불어 주목해야 할 것은, 그들은 자신들의 학술 방법과 태도를 교육 방면에 경주하였다는 사실이다. 사실 앞서 소개한 장유조의 <우공삼강고> 역시 애초 교육적 목적을 위해 작성되었던 것이다. 당시 장유조는 蓮池書院의 山長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고거, 지리를 포괄한 종합적인 주제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개진토록 하였으나, 흡족한 답을 얻지 못하자 스스로 그 ‘답안’을 작성한 것이 그 글이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논쟁은 장유조의 기권으로 일단락되었지만, 기실 당장 유효한 학술적 토론이 진행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한 것이지, ‘패주’라고 하기는 어렵다. 둘은 그만큼 진지하게 그 논쟁에 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 논쟁이 가지는 의의라 할 것이다. 중국은 당시 근대화의 격변기에 처하여 서구로부터 새로운 지식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그들이 보여준 기존 논의에 대한 과감한 도전은 전통적 질서에 대한 반성, 그리고 새로운 논의의 시도에 대한 열린 자세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또한 그 논쟁 속에서 부각된 지리적 지식의 중요성은 당시 근대지로서 우선 중시되고 있던 서양 지리 지식의 흡수, 그리고 그에 대한 사회적 중시와 일정 정도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와 맞물리고 있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后期桐城派的“三江”论争 - 以吴汝纶、张裕钊为中心

        白光俊(Baek, Kwang-Joon) 한국중어중문학회 2020 한국중어중문학회 우수논문집 Vol.- No.-

        This study explores an argument between Wu, Rulun(1840-1903) and Zhang, Yuzhao(1823-1894)。It is mainly about the “Three Rivers” issue in “Shang Shu·Yu Gong”, which was carried out intermittently from 1887 to 1888. This argument began with an article by Zhang Yuzhao, which was the “Contemplation on “three rivers”in Yu Gong”。In this article, he mainly pointed out that Ban, Gu was inevitably wrong in “Hanshu Dilizhi”, and then advocated that there is another Nanjiang River other than the Beijiang River and the Zhongjiang River associated with the Yangtze River。This is simply an unprecedented insight, because the Sanjiang theory has always referred to three parts of the Yangtze River or three Rivers diverted from the Yangtze River. As far as the theoretical structure is concerned, Zhang, Yuzhao is mainly based on Guo, Pu’s Sanjiang theory: Lijiang, Songjiang, and Zhejiang, which led to the new proposition that Nanjiang is a river。Wu, Rulun verified it in all aspects, and Zhang, Yuzhao refuted it。In the debate, they involve a wide range of academics, sometimes classics, sometimes texts, lexicons, geography, and so on。This shows that they are also well-versed in many academic fields. At the same time, it is commendable that they strive to put the above academic methods and attitudes into education。The “Contemplation on “three rivers”in Yu Gong” mentioned at the beginning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By examin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debate,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o wins or loses, it is estimated that Zhang, Yuzhao’s claim cannot be successfully recognized by Wu, Rulun。However, regardless of the outcome, this controversy makes sense, that is, they absorb new knowledg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boldly challenge academic stereotypes, which are valuable in themselves, especially their profound knowledge of geography。In fact, this is the main background that touches the debate。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와 현도군(玄?郡)의 관계와 책구루(?溝?) 설치 배경 검토

        이종록 ( Lee Jong-rok )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5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고구려 초기의 국가형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현도군과의 대립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으며, 이를 전제로 하여 『漢書』 地理志 및 『三國志』 東夷傳에 기록된 현도군 관련 사료를 통해 현도군과 고구려사회의 관계 및 그 변천을 추적해 왔다. 그러나 고구려와 현도군의 관계는 시종 대립과 항쟁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협으로 유지되고 있던 측면 또한 존재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다. 본고에서는 먼저 현도군은 이전에 설치된 滄海郡이 부활하는 형태였다고 보았다. 또 창해군 은 중국 문물을 토착 세력에게 제공하는 조건으로 설치되었으며, 압록강 중상류의 고구려인들은 창해군이 설치된 예군남려의 28만구의 집단 중 하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가 이후 현도군에서도 이어져, 文物의 제공의 조건으로 현도군의 유지가 가능했을 것으로 보았다. 이후 기원전 75년 이전 夷貊의 침략으로 인해 현도군은 그 치소를 신빈 방면으로 이전해야 했으나, 이와 같은 문물 제공은 유지되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신빈 방면에 이전된 제2현도 군의 구조는 그 속현 수가 불과 3개인데 반해 인구가 지나치게 많은 특성과 더불어,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형태로 高句驪라는 이름이 명시되어 있는 등 그 존재 양식에서 이질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이는 제1현도군을 축출할 수 있었던 정도의 정치적 결집력을 완성시킨 고구려에 대해 기존의 군현지배체제를 유지하려고 했던 한나라의 정책이 상충된 결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 무렵에 설치된 ?溝?는 고구려가 현도군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야 했던 현도군과, 단일 교섭 창구를 통해 중국 문물을 수용하려 하였던 고구려가 합의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구려 와 현도군의 관계는 군의 소속이라는 명목상의 관계와 이를 대가로 중국의 문물을 回賜하는 형태였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이 관계는 창해군 개척때부터 추진되어 온 한나라의 이 지역에 대한 군 현 편제 시도와, 토착 세력의 반발로 인해 이 시도가 무산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변화를 겪으며, 이후 大武神王代에 소멸된 것으로 여겨진다. Many studies had emphasiz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Koguryo's conflict against Xuantu Commandery(玄?郡) in regard to the kingdom's process of state formation. Under this hypothesis, the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Xuantu Commandery through historical sources such as "Treatise on Geography(地理志)" in the Book of Han (『漢書』) or "Biographies of Dongyi" in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Yet, their relationship was not consistently hostile, since there was an aspect that they collaborated for their benefits in a certain exten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ong-lasted relationship and its ramificati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is aspect that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Xuantu Commandery. This paper first examined Canghai Commandery(滄海郡), which was established in 128 BC and Xuantu Commandery's former self. This commandery was installed with the submission of the local residents to the Han dynasty's and this submission wa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ynasty provides the Chinese cultural products. Although the commandery was abolished after a few years, it is likely that Xuantu Commander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ame process. In 75 BC, Xuantu Commandery relocated its capital to the area around Xinbin, Liaoning province, and the commandery's directed interference to Koguryo was severed. Still, the provision of cultural products from the commandery continued, as it was the key element to maintain Koguryo's submission and nominal subordination to the commandery. Ch'akkuru wa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when the small groups of Koguryo refused to separately visits the commandery, but Xuantu Commandery tried to maintain provision of the cultural products.

      • KCI우수등재

        전설과 역사 사이: 山西省의 堯舜禹

        심재훈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1

        Shanxi province has long been recognized as the homeland of Yao, Shun and Yu, legendary sage kings in Early China.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s and the process why and how the legendary figures became history in Shanxi province. By investigating oracle bone inscriptions of the late Shang, bamboo slips of Chu and the Zuozhuan , I find that a quasi-historic narrative in the Zuozhuan contributed to the begin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xi and the legendary figures. Whereas the “Geographical Records” of the Hanshu quoted the narrative only in part, scholars in the Later Han period began to note the connection entirely. It was not until the Northern Wei, Sui and Tang dynasties when the temples and tombs of Yao, Shun and Yu became prominent in southwestern Shanxi and the Taiyuan area. More than ten such places in Shanxi are enlisted in the Yuanhe junxian zhi and Taiping huanyu ji , the representative of historical geographical texts in the Tang and Northern Song periods, respective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xpansion was accompanied with new tombs of Yao, Shun and Yu and, especially, new stories regarding them. This study shows a good case of “inventing history,” in which misrecognitions on the ancient quasi-historical lores caused expansive reproduction of the history regarding Yao, Shun and Yu in traditional China. 山西省은 중국 고대의 성왕인 堯舜禹의 본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설상의 존재인 堯舜禹가 어떻게 山西省과 연관을 지니며 역사화 되었는지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商 후기 갑골문과 戰國시대 楚簡 및 『左傳』에 나타나는 堯舜禹과 山西省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左傳』에 나타난 한 유사역사적 故事가 그 시발점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漢書』 「地理志」에서 班固는 그 이야기의 일부만을 수용했으나, 後漢代 이후의 학자들은 山西省과 堯舜禹의 연관성을 전면적으로 주목되기 시작했다. 魏晉南北朝시대와 隋唐시대를 거치며 山西省 서남부와 太原 일대는 堯舜禹 관련 사적이 부각되며 祠廟나 陵墓까지 조성되었다. 唐代 편찬된 『元和郡縣志』와 北宋代의 『太平寰宇記』에 그 확산 양상이 잘 반영되어 있는데, 이미 山西省의 10여 곳 이상이 堯舜禹의 사적지로 확정되었다. 이러한 확산에 堯舜禹의 陵墓와 역시 새롭게 창출된 관련 故事가 함께 했음은 물론이다. 본 연구는 고대의 어느 시점에 창출된 유사역사적 이야기가 전통시대 역사가들에게 역사적 사실로 오인되어 광범위하게 확대재생산 되어가는 ‘역사 만들기’의 한 전형을 보여준다.

      • KCI등재

        高句麗와 玄菟郡의 관계와 幘溝漊 설치 배경 검토

        이종록(Lee Jong Rok)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5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고구려 초기의 국가형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현도군과의 대립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으며, 이를 전제로 하여 『漢書』 地理志 및 『三國志』 東夷傳에 기록된 현도군 관련사료를 통해 현도군과 고구려사회의 관계 및 그 변천을 추적해 왔다. 그러나 고구려와 현도군의관계는 시종 대립과 항쟁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협으로 유지되고 있던 측면 또한 존재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현도군은 이전에 설치된 滄海郡이 부활하는 형태였다고 보았다. 또 창해군은 중국 문물을 토착 세력에게 제공하는 조건으로 설치되었으며, 압록강 중상류의 고구려인들은창해군이 설치된 예군남려의 28만구의 집단 중 하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관계가 이후 현도군에서도 이어져, 文物의 제공의 조건으로 현도군의 유지가 가능했을 것으로 보았다. 이후 기원전 75년 이전 夷貊의 침략으로 인해 현도군은 그 치소를 신빈 방면으로 이전해야 했으나, 이와 같은 문물 제공은 유지되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신빈 방면에 이전된 제2현도군의 구조는 그 속현 수가 불과 3개인데 반해 인구가 지나치게 많은 특성과 더불어,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형태로 高句驪라는 이름이 명시되어 있는 등 그 존재 양식에서 이질적인 특징이나타난다. 이는 제1현도군을 축출할 수 있었던 정도의 정치적 결집력을 완성시킨 고구려에 대해기존의 군현지배체제를 유지하려고 했던 한나라의 정책이 상충된 결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 무렵에 설치된 幘溝漊는 고구려가 현도군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야 했던 현도군과, 단일 교섭 창구를 통해 중국 문물을 수용하려 하였던 고구려가 합의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구려와 현도군의 관계는 군의 소속이라는 명목상의 관계와 이를 대가로 중국의 문물을 回賜하는 형태였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이 관계는 창해군 개척때부터 추진되어 온 한나라의 이 지역에 대한 군현 편제 시도와, 토착 세력의 반발로 인해 이 시도가 무산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변화를 겪으며, 이후 大武神王代에 소멸된 것으로 여겨진다. Many studies had emphasiz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Koguryŏ’s conflict against Xuantu Commandery(玄菟郡) in regard to the kingdom’s process of state formation. Under this hypothesis, the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ŏ and Xuantu Commandery through historical sources such as “Treatise on Geography(地理志)” in the Book of Han (『漢 書』) or “Biographies of Dongyi” in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Yet, their relationship was not consistently hostile, since there was an aspect that they collaborated for their benefits in a certain exten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ong-lasted relationship and its ramificati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is aspect that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Xuantu Commandery. This paper first examined Canghai Commandery(滄海郡), which was established in 128 BC and Xuantu Commandery’s former self. This commandery was installed with the submission of the local residents to the Han dynasty’s and this submission wa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ynasty provides the Chinese cultural products. Although the commandery was abolished after a few years, it is likely that Xuantu Commander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ame process. In 75 BC, Xuantu Commandery relocated its capital to the area around Xinbin, Liaoning province, and the commandery’s directed interference to Koguryŏ was severed. Still, the provision of cultural products from the commandery continued, as it was the key element to maintain Koguryŏ’s submission and nominal subordination to the commandery. Ch’akkuru wa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when the small groups of Koguryŏ refused to separately visits the commandery, but Xuantu Commandery tried to maintain provision of the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