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간본(朝鮮刊本) 《정간보주동파화도시화(精刊補註東坡和陶詩話)》 수록 소식시(蘇軾詩) 원문 연구

        김보경 한국중문학회 2014 中國文學硏究 Vol.0 No.54

        本文對朝鮮刊本《精刊補註東坡和陶詩話》(以下簡稱《詩話》)所收錄的蘇軾 和陶詩原文進行了文獻考證及校勘硏究。下面槪括本文中討論的內容。 第一、筆者首先探討了《詩話》本所收錄蘇軾和陶詩原文的底本問題。其結 果表明:就現存的資料來看,我們無法考證나個系統的版本是《詩話》的底本。 有些學者認爲《詩話》似乎是以《和陶詩》來作爲底本校錄蘇詩的,而這個判斷値得我們商교。不過,本文又發現《詩話》的編者在編撰過程中,曾經參考幷利用 過以往的一些版本。 第二、將《詩話》所收錄的蘇詩原文與其타版本中的文字進行比較,能구發現《詩話》具有與諸本不同而比較合理的文字,同時還具有與若干版本一致而與 通行本却有出入的文字。這些異文都在蘇詩的校勘上具有흔大的價値。 第三、《詩話》本還有較多的可以與其타版本互相替換的文字。但是타還具 有不少版本上的訛誤,尤其是形近之訛比較多。幷且,與其타版本相比,某些 地方在思想內容的表現上稍遜一籌。由此看來,在校勘蘇詩的時候,我們應該 積極參考《詩話》,但同時還需要保持一定程度的謹愼。 筆者希望以上的硏究能구提高讀者對《詩話》的了解,幷且能구對日後的蘇詩硏究及校勘有所裨益。

      • KCI등재

        일반논문 : 『陶靖節集(도정절집)』과 조선시대 自挽詩(자만시) -<擬挽歌辭三首(의만가사삼수)>의 수용 경로를 중심으로-

        임준철 ( Jun Chul Lim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6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는 주로 조선시대 간행되거나 通行本으로 유통된 도연명 문집을 통해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다. 중국본의 유입상황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간행된 도연명집의 판본은 전기가 5종, 후기가 2종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유형원 개인이 편찬한 필사본이 1종 전한다. 또 도연명의 문집은 아니지만, 그의 시와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精刊補註 東坡和陶詩話』가 전기 <擬挽歌辭> 수용에 一翼을 담당했다. 이 글에선 조선시대 刊本 및 通行本에 수록된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에대한 문헌적 검토를 바탕으로, 이 작품이 조선 전기 문인들에게 수용된 경로와 그것이 자만시 창작에 미친 영향을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조선 전기에 비해 후기 간본이 가진 한계로 인해 후기 자만시 창작이 편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전기의 경우 蘇軾의 和陶詩에 대한 주석과 비평서 성격의 『精刊補注東坡和陶詩話』가 도연명에 대한 재인식은 물론 자만시 창작에 미친영향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조선시대 문인들의 도연명 <의만가사> 수용 경로가 모두 이같이 분명히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글은 <의만가사삼수>에만 초점을 맞추어 검토했던 까닭에 거시적인 부분에선 충분한 논의를 진행시키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앞으로 조선 간본 도연명집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함께 보완될 필요가 있다. Tao Yuanming`s Trilogy of Pseudo Self-elegy(擬挽歌辭三首, hereinafter “Trilogy”) were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mainly through several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 some were published in Joseon, some were imported from China. Though it is not known exactly how Chinese versions were imported, according to the data until now, there are five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published in early Joseon and two in late Joseon. And there also is a manuscript by Yoo Hyong-won. In addition to it, Comments on Dongpo`s Responsive Poetry to Tao Yuanming with Fine Print and Supplemented Notes (精刊補註東坡 和陶詩話, hereinafter “Comments”) had an influence on reception of Trilogy. In this article, I examined Tao Yuanming’s Trilogy in several editions in Joseon to figure out how this work was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and how it influenced on Self-elegy writings of Joseon. As a result, I assume Self-elegy writings in late Joseon are biased due to the limits of versions distrubuted in that era. And in early Joseon, the Comm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of Tao Yuanming and Self-elegy writings. But it needs further research to understand how Joseon literati received Tao Yuanming`s Trilogy. This article mainly focused on the Trilogy, so did not fully progress discussion from the wider perspective. These problems will be complemented with further examinations on Tao Yuanming Anthology publications in Joseon Dynasty in progress.

      • KCI등재

        한국본『정간보주동파화도시화 (精刊補註東坡和陶詩話)』교독(校讀)

        黃瑄周(Hwang, Seon-joo),楊焄(Yang Xun) 중국어문학연구회 2011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1

        The text of Taoyuanming(陶?明) can be newly discovered in Korean edition Jingkanbuzhudongpohetaoshihua(精刊?注?坡和陶??) which is a reprinted version of Yuanben(元本) originally editted by Caizhengsun(蔡正?). New text has three cases. Firstly, any other edition does not have same letter, for example the reasonable expression such as ‘?或不才, 亦已焉哉(命子)’ is other than ‘?之不才, 亦已焉哉(汲古?本 等). We have several other reasonable expressions. Secondly, other editions already have same expression, but we can newly identify it. For example, ‘文?’ has same expression of ‘如何捨此去, ??至西?(辛丑?七月赴假?江陵夜行?中)’ other than ‘南?’ in general editions, we can newly admit this expression because of ‘精刊?注?坡和陶??’. Thirdly, we can discover possible expressions, in other words, exchangeable expressions of 30 letters. For example, ‘荏苒?七?, ??人所?(?? 10)’ other than ‘十年’ in general editions. These new expressions cannot change the image of ‘陶?明’, but his image become more correct through these expressions.

      • KCI등재

        陶淵明의 <擬挽歌辭三首>와 조선시대 自挽詩

        임준철(Lim Jun chul)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이 글은 자만시의 始原이라 할 도연명의 자만시를 중심에 놓고 중국 역대의 자만시들을 참조의 대상으로 삼아 조선시대 자만시와 비교 검토한 것이다.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는 주로 조선시대 간행되거나 通行本으로 유통된 도연명 문집을 통해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다. 특히, 元代 李公煥이 箋注한 『箋注靖節先生集』과 明代 何湛之가 校刊한 『陶靖節集』 등이 큰 영향을 미쳤다. 또 도연명의 문집은 아니지만, 그의 시와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精刊補註東坡和陶詩話』가 전기 <擬挽歌辭> 수용에 一翼을 담당했다. 하지만, 조선시대 문인들의 도연명 <의만가사>에 대한 수용경로는 대체로 분명히 드러나지는 않는다. 또 조선시대 모든 자만시 작가들이 같은 이해 방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도 아니다. 자만시의 내용을 통해 볼때 조선시대 시인들은 臨終詩로서의 성격에 주목하는 경우와 의중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자기표현의 시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었음이 확인된다. 발생과 유래란 측면에서 중국과 조선시대 자만시 사이에는 근원적인 간극이 있다. 조선시대 시인들은 자만시를 임종시와 동일시하거나, 우리 모두가 아니라 '나'의 죽음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내밀한 개인사들이 드러나기도 했다. 또 죽음에 대한 도가적 달관ㆍ초탈의 정신자세를 수용하는 데 소극적인 편이어서 이를 유가적 가치관으로 변주시키기도 했으며, 자신의 죽음 문제를 선대와 후대에 대한 부채와 책임의 문제로 연결시키는 유가적 가족윤리가 중심이 되는 작품이 많았다. 한편으로 전기엔 정치현실에서 내몰린 이들에 의해 자만시가 창작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후기엔 자만시의 점증에 따라 글쓰기와 구성에서 새로운 방식이 시도되기도 했다. 특히 도연명의 <의만가사>와 달리 자신의 葬儀에 사용할 목적으로 자만시가 창작된 경우도 있다. 이렇게 조선시대의 자만시는 <의만가사>를 수용하면서도, 때론 그것을 바꾸어 사용하고 때론 어떤 부분만을 수용하거나 배제하는 방식으로 자문학적 특수성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In this study, I compared Tao Yuanming's elegy works with the elegy works in Chosun Dynasty. Tao Yuanming's <Pseudo Elegy Trilogy> were introduced to Chosun writers through Tao Yuanming anthologies published in Chosun Dynasty. But it is not so clear how Chosun writers accepted Tao's <Pseudo Elegy>. And each Chosun writers understood the works from different way. Some writers paid attention to the works as the poetry of dying while some regarded them as a way of self expression. Chinese self-elegy poetry differs from that of Chosun Dynasty in origin. Chosun writers saw self-elegy as a kind of poetry of dying or focused on dying of 'me' not 'us'. As a result Chosun writers often expressed their private personal history through self-elegy. And they were not willing to accept the spirits of Taoist disinterestedness, so often replaced them with Confucian value. For example, some works linked their death with the problem of debt or responsibility of their ancestors or future generations. In early Chosun, self-elegy were mainly written by the writers who were in political crisis. And in late Chosun, there appeared some new attempts in writing skill and form. Some self-elegy were written for the writers' own funeral. Self-elegy poetry in Chosun Dynasty accepted <Pseudo Elegy Trilogy> in various way, sometimes modifying them, sometimes accepting or excluding some parts from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