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및 그 이전 국어의 부정(否定) 표현에 보이는 몇 가지 문제 -구결, 향찰, 이두 자료 사이의 차이를 중심으로-

        최성규 구결학회 2023 구결연구 Vol.51 No.-

        This article deals with some of the negations of gugyeol, hyangchal, and idu that look different or peculiar. First, regarding the long-form negation and short-form negation distributed partially according to the kinds of borrowed notation method, we looked at some uncertain cases that can be seen as short-form negation in the idu literature. Second, we understood hyangchal’s “*modɔl (毛冬)” as a polysemy, and pointed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word had a real meaning and was grammaticalized as negation. We assumed that ability negation arose later than simple negation. In this regard,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ɔk (不只)” of gugyeol and “*modsil (不得)” of idu. Third, we dealt with the phrase ‘stem + negation’ mainly discussed in idu. In the study of gugyeol,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ending is omitted in notation, and the corresponding cases of idu may also be omitted in notation. Fourth, in the noun negation of hyangchal, we looked at examples tha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negator preceded noun phrase. Although examples are ra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not be just an exception because there are a few similar cases in the 15th century Korean language. 이 글에서는 구결, 향찰, 이두의 부정법 가운데 서로 달라 보이거나 특이하게 보이는 부분 몇 가지를 다룬다. 먼저, 차자표기 방식의 종류에 따라 치우쳐 분포하는 긴 부정 및 짧은 부정과 관련하여, 이두에서 짧은 부정으로 볼 만한 일부 불확실한 사례 몇 가지를 살펴보았다. 둘째로는 향찰의 ‘*모ᄃᆞᆯ(毛冬)’을 다의어로 이해하고, 실질 의미를 지녔던 단어가 문법화하여 부정어로 쓰이게 되었을 가능성을 짚어보았다. 그렇게 가정한다면 ‘몯…’ 계통의 능력부정이 부정법 체계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은 것은 나중의 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결의 ‘*안ᄃᆞᆨ(不 )’과 이두의 ‘*몯실(不得)’ 사이의 관계도 짚어 보았다. 셋째로는 이두에서 주로 논의된 ‘용언 어간+부정어’ 구문을 다루었다. 석독구결 연구에서는 실제로는 어미가 있었으되 표기상 생략된 것으로 보는 흐름이 있는데, 이두의 해당 사례 또한 표기상으로만 생략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로, 향찰의 명사류 부정에서 부정어가 명사(구) 앞에 왔다고 볼 만한 예들을 살펴보았다. 예가 드물기는 하나 15세기 국어에도 관련된 사례가 있으므로 단순한 예외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 KCI등재

        《諺解 胎産集要(언해 태산집요)》에 나타난 17세기 국어 부정법 고찰

        이태욱(Tae Wook Lee) 언어과학회 2003 언어과학연구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egations shown in ≪Eonhae Taesangjibyo≫, a text of the early of the 17th century, in order to formulate the types of negations of the 17th century and modern Korean language. In ≪Eonhae Taesanjibyo≫, the short forms of `ani` negations are shown as `ani stem`, `Chinese characters etymon ani hΛ(??)/ani`, `stem+ge ani hΛ`, `stem+eo ani h(ㅎ)`, and `adverb ani`. The form of `ani stem` is used with adjectives as well as intransitive verbs and transitive verbs. The long forms of `ani` negations are shown as `stem+di anihΛ/anih/ani`, `Chinese characters etymon+ti arhΛ/ani`. According to the suffix next to `anihΛ` in the `ani` negations, the alternation into `h` and apocope of `hΛ` are shown more than the keeping of `hΛ`. The representative form of `ani`negations is `stem+di anilΛ`. The short forms of `mod` negations are shown as `mod stem`, `Chinese characters etymon mod hΛ`, `pure Korean etymon mod hΛ`, and `noun+auxiliary mod hΛ`. The form of `mod stem` is used with intransitive verb and transitive verb but not adjective. The long forms of `mod` negations are shown as `stem+di modhΛ` and `Chinese characters etymon+ti modhΛ`. The representative form of `mod` negations is `stem+di modhΛ`. The `mod` negations are shown in only `modhΛ` keeping `hΛ` no matter which suffixes appear next to `modhΛ`. This is the most different point between `ani` negations and `mod` negations and it does not appear in the literary works of the 15th and 16th centur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