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2010-2014)’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최병연,이명숙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에 최근 5년 동안 발표된 논문 중 영재 혹은 영재교육에 관한 86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 영재성 영역, 연구주제, 연구 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이들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연구 대상은 초등학생(37%), 교원(22%), 중학생(18%), 고교생(7%), 전문가(7%), 그리고학부모(5%)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성 영역으로는 과학(54%), 수학(17%), 발명(10%), 언어(7%)의 순으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셋째, 이들 연구에 대한 연구 주제는10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영재성 및 특성(36%),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12%),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10%), 교수-학습 전략(9%), 선발 및 판별(8%), 영재교육동향 및 정책(7%), 교원의 전문성(6%), 진로 및 상담(5%), 부모 및 가족(5%), 특수영재(2%) 등의 순으로 연구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의 유형으로는 조사연구(44%), 문헌연구(20%), 혼합연구(15%), 질적연구(12%), 실험연구(9%)의 순으로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최근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의 결과에근거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민사고를 통해 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이경화(Kyunghwa Lee),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해 보고자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사례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외 융합영재교육의 동향을 조사하였고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방문 및 면담을 통해 민사고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실현을 위한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민사고는 민족적 주체성을 가진 국제적 지도자 육성을 위해 중요한 경험적 사례를 제공하며 한국적 정체성을 겸비한 국제적 인재양성의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한국적 정신’ 및 ‘융합형 영재 교육’에 대한 개념을 더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적 실현을 위해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모형’에 기반한 체계적 교육과정의 수립‧운영이 요구된다. 한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숙고는 민사고라는 특정 학교만의 과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 에서 문화적 주체성을 가진 지도자 양성의 방향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domestic/overseas convergent gifted education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introduced the distinction of curriculum of KMLA through questionnaire, site visitation and interview to debate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een through KMLA. Then,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was debated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In conclusion, KMLA provided the important empirical case to cultivate international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and showed the positive possibility of cultivating international elite with Korean identity. However, more obvious conceptual embodiment of ‘Korean spirit’ and ‘convergent gifted education’ is necessary and establishment‧ operation of systematic curriculum based on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model is required for specialized realization. Meanwhile, the speculation over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cultivating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in the national level instead of task of specific school called KMLA.

      • KCI등재

        정보화시대의 영재와 영재교육

        최지영(Jiyoung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05 영재와 영재교육 Vol.4 No.2

          현대사회는 수많은 정보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생산, 분배, 조작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정보화 사회이다. 또한 테크놀로지가 중요한 학습의 도구가 되며, 학습과 관련해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테크놀로지를 사용할 수 있느냐로 문혜의 개념을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는 ‘테크놀로지 문해’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는 영재교육과 관련하여 정보를 다루는 능력과 관련된 영재성의 개념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정보화 시대에 대두되는 영재들을 제대로 판별하고 그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글은 정보화시대에 요구되는 영재성의 개념정립과 영재교육을 위한 몇 가지 중요한 논쟁점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글의 본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째, 정보관련 영재성에 관한 국내외의 최근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보영재, 정보과학영재, 컴퓨터 영재, 테크놀로지 영재 등 여러 관련 연구들에서 혼용되고 있는 정보관련 영재성의 개념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둘째, 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영재를 판별하는 과정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내외 판별 도구 및 판별 절차의 특징을 비교한 다. 셋째,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보영재나 컴퓨터 영재를 위한 교육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향후 정보관련 영재의 지적, 정서적, 행동적 특징을 밝히고, 제대로 판별해 내기위한 도구 개발 및 합리적인 절차에 대한 후속연구들이 더욱 많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재교육과 관련해서 윤리교육과 협동학습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Our society is information society becaus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creation, distribution, and manipulation of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21st century, "giftedness" comes from various domains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technology literacy. Students should know how to use and apply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goals in a learning situation. However, the conceptualization and identification procedures of gifted in the information area have not yet been examined systematically. Students who are gifted in the area of information, computer, and technology may not be identified by traditional methods because there is little research concerning the identification and the examination of the personality,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gifted children. With respect to th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ddress the issue of conceptual complexity of information gifted, information-science gifted, computer gifted and technology gifted which can be us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compare identification instruments and procedures, analyz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that could promote potentials and abilities of the information gifted children, and discuss how we design future research studie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gifted children. The implications of using ethics educ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영재학급 컨설팅을 통한 영재교사의 요구 분석

        김민정(MinJeong KIM),최병훈(ByoungHoon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1

        본 연구는 실제 초등영재학급 컨설팅 사례를 대상으로 영재교사들이 영재학급을 운영하는데 있어 고민하고 있는 분야가 무엇이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양적 분석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영재교사들의 실질적인 요구 사항을 파악해보고, 향후 바람직한 영재학급의 운영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교사는 주로 영재교육 운영방법 개선 및 학부모 학생 상담 및 연수, 영재교육 교수 학습방법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선 분야에 대한 순으로 고민이 컸으며, 특히 교육과정의 구 성, 프로그램의 공유 및 재구성, 교수 학습방법, 강사운영, 영재학급의 운영전반, 예산 측면에 대한 어려움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요소들에 대한 지원을 마련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what are the troubled fields in a gifted class and what kind of support is needed for elementary gifted class consultation. We tried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gifted teachers need and to get suggestions on the gifted education operation methods for the fu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field needing consultation for a gifted class is gifted education methods of operation improvement, counseling and training for parents and gifted students, teaching the gifted and learning methods, and gifted education program improvement. Typically, it accounted for a large percentage of sub-elements by area like organization of curriculum, sharing and reorganization of program, teaching-learning methods, instructor operations, general management of the gifted class, and budget. Thus, this enables us to be a able to offer suggestions that can provide support for elements necessary for gifted classroom teachers.

      • Contemporary Models of Giftedness

        김옥분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한국영재교육학회 콜로키움 자료집 Vol.2010 No.5

        영재들을 이해하고, 판별하고 연구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높은 기준들을 충족하는 이론 기반(thoery-based) 모델을 살펴보는 것이다. 현대 영재성 모델은 지능 관점이 더욱 복잡해져 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달하였다. 첫째, 현대 영재 모델에 포함된 최근 지능 이론인 3층(three-stratum) 이론,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 삼원성공지능(triarchic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3가지를 살펴볼 것이다. 둘째, 통용되는 몇몇 영재성 모델에서 제시된 영재의 근원(sources), 사회적 책무성, 창의성, 성별 그리고 환경 역할 등의 5가지 추가적 요인들이 논의될 것이다. 각 요소의 예시로 제시된 모델들은 (a)적절한 가정과 이론적 결과들을 근거로 하고 있는지 (b)잘 규정되고 이해하기 쉽고 왜곡되어 있지 않은지 (c)경제적인지(economical) (d)영재성 판별과 육성(fostering)에 관한 실제적인 안내를 제공하고 있는지 (e)시대와 상황에 걸쳐서(across) 영재 행동을 묘사하고 설명하고 예측해 주는지 (f)영재분야의 발전을 가져다주는 새로운 연구와 적용을 생성해 냈는지에 관하여 설명되고 분석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기술하고 제언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세종 · 정조 영재성의 실증적 고찰 및 비교

        최선일(Sun Ill Choi),이은영(Eun Young Lee),류숙열(Sook Ryeol Rhyou)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뛰어난 군주이자 영재로 보편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세종대왕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한 실증적 자료들을 분석하여 영재로써의 세종과 정조를 비교하고자 하였고, 나아가 현대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함이다. 연구를 위하여 조선왕조실록, 홍재전서, 악학궤범, 보한재집, 훈민정음 등 1차 사료를 직접 번역한 번역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되, 세종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자료를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Renzulli(1978)와 Gardner(1999)의 영재성에 대한 정의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종과 정조 모두 일반 지적 능력, 과제집착력, 언어 지능, 음악 지능, 창의성, 대인 관계 지능 등에서 우수한 영재성을 나타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과 정조의 영재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비교 · 고찰해 볼 때, 언어 지능에서 세종은 언어학적으로, 정조는 언어 활용과 창작에서 우수하였고, 음악 지능에서 세종은 음악 창작에서, 정조는 음악 시스템 구축에서 우수한 영재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세종이 우수한 발명을 위한 창의성을 소유하고 있었다면, 정조는 빼어난 신체 운동지능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사회적 · 문화적 ·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한 영재교육의 다각적인 방향성 모색을 위하여 세종과 정조의 양육방식의 차이, 민족에 따른 가정에서의 양육방식의 차이, 세종의 창의성 및 정조의 회복탄력성, 평범한 환경에서 살았던 영재들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 data in order to compare the natural giftednes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both of whom have been universally recognized as respected kings and figures of natural intelligence. Additional objectives considered the implications and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for gifted education today. The primary data for this research was collected through ancient literary works written during the dynastie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HongjaeJeonSeo, the AkHakGweBeom, the BoHanJaeJip and the HunMinJeongEum. From these works, the focus was narrowed down to specific data that directly mentioned the natural giftednes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The aforemention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definition of giftedness inspired by a combination of definitions from Renzulli (1978) and Gardner(1999).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both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demonstrated outstanding giftedness in general intellectual ability, task commitment,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verbal-linguistic intelligence, King Sejong excelled linguistically, while King Jeongjo demonstrated specific excellence in the use and creation of language. In the area of musical intelligence, King Sejong excelled specifically in musical creation, while King Jeongjo excelled in the construction of musical systems. The biggest difference, however, between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is that King Sejong demonstrated brilliant creativity as an inventor, while King Jeongjo demonstrated superb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in order to seek a multilateral directional approach to gifted education considering our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specificity, as in the parenting styles of King Sejong and King Jeongjo, the difference in parenting styles in different families based on ethnicity, King Sejong’s creativity, King Jeongjo’s resilience, and the gifted people that lived in a normal environment.

      • KCI등재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한기순(Han Ki-S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1

          영재교육의 키워드는 단연 프로그램이다. 영재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에는 물론 영재를 올바르게 선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판별된 아동들을 위한 성공적인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재들을 교육하는 교사들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명제적, 절차적 지식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집중적으로 프로그램 관련 이슈와 문제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기하였으며, 현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차별화 방안 및 대안의 하나로 문제 중심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영재교육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끝으로 현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트렌드와 전망을 영재교육의 전문화, 다양화, 특성화, 개별화, 그리고 확산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방향성과 과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Though desire of the gifted children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children, it is an undesirable reality that we have not developed sufficient researches and programs in conformity with the necessary desire and demand of the gifted children. So this study is about program issues in gifted education. The present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current status, controversial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programs are reviewed. Second, problem based learning(PBL) approach is suggested as a way to differentiate current gifted education program.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in the domain of science necessitates markedly the specializations for the specific areas of the contents, the processes, and the products of studies. In an effort to provide the optimum learning experience for the gifted, this study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pbl program and its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Finally, issues such as specialization, diversification, differentiation, individualization, and dissemination of gifted education program are discussed in depth to seek for future prospects and directions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초·중등 영재교육 담당교원 인식 비교

        박후휘(Hoo Hwi Park),최호성(Ho Seong Cho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2

        본 연구는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으로서 교사 실천사항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하여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초·중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분석한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의 학습과 발달, 평가, 교육과정 설계 및 수업, 학습환경,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계발의 6개 영역과 각 영역별 교사 실천사항에 대해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중등교사 모두 학습과 발달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행도는 다소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설계 및 수업 영역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만큼 실행도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프로그램 운영 영역은 초·중등교사 모두 가장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가장 덜 실행하고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영역 내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순위는 초·중등 교사 간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가적 기준이 없는 우리나라 영재교육 상황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교사 실천사항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practices of gifted education programming standar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more highly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did in six areas(Learning & Development, Assessment, Curriculum Planning & Instruction, Learning Environment, Programm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s’ practices in each area. Second,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greed that Learning & Development was the most important area, but it had lower performance. They also recognized that Curriculum Planning & Instruction was performed well as much as its importance. Whereas, bo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Programming had the lowest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areas. Thir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ad different priorities for teachers’ practices in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se results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practice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in the absence of national standard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경화(Kyunghwa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1

        최근 우리나라에는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영재교육은 여러 영역에서의 영재교육이라기 보다는 수학과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의 정서와 문화적 수준을 높여 문화발전에 기여하며 삶을 윤택하고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서는 언어영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영재의 개념을 확인하고 언어영재교육을 위한 고려점을 개괄하는 한편 국내의 언어영재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다양한 영역의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 중에서도 특히 언어영재를 위한 언어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유치원에서 초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도전적인 교육과정으로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Gifted education in Korea has typically focused on science and mathematics. However Gifted education programs for language arts are needed for the promotion of our emotional and cultural level in order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ulture and to improve life quality. Therefore,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diverse domains should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as soon as possibl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aspect of giftedness. Language arts programs for the gifted should present opportunities for challenging curriculum throughout K-12 continuum. One way to enhances such possibilities is to redirect and refocus the traditional language arts strands in such a way as to make them more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gifted learner at the appropriate state of developmental readiness. Second, it is important to treat the strands of language, literature, writing, and oral discourse as separate domains of study as well as find suitable ways to interrelate them. Even gifted students need to feel they have gained some control over a tool skill such as writing or oral communication. The separate and integral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again allows a level of competence to precede work in interdisciplinary areas. Third, educators in language arts programs for the gifted need to organize subject mater carefully over the years these students are in school so that needless repetition and redundancy is removed from their curriculum experience. Standards can be combined or truncated to allow for deeper exploration or accelerated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such efforts would be to address the needs of the gifted population directly and find alternatives for advanced learners that truly challenge and enrich their earning in the verbal arts.

      • KCI등재후보

        영재 어머니의 심리상태 관찰을 위한 투사적 접근

        한기순(Han, Ki-Soon),태진미(Tae, Jin-Mi),양태연(Yang, Tae-Yo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1

        기존에 영재의 심리상태나 스트레스, 정서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영재부모의 심리상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왔다. 한편 영재의 주 양육자인 영재 어머니의 심리상태는 영재의 정서, 인지, 사회적 성장 발달을 위한 일상의 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영재어머니의 심리상태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영재의 어머니들로 하여금 ‘현재의 나’ 에너지 파이 표기활동을 하게함으로써 영재 어머니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심리적인 에너지의 배분을 살펴보고 둘째, ‘바뀌고 싶은 나’ 에너지 파이 표기활동을 통해 영재의 어머니가 기대하는 변화의 방향을 탐색하며 셋째, ‘정서적 유대인물을 심리적 거리로 표현하기’를 통해 정서적 유대인물 및 유대인물과의 심리적 관계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While the psychological state, stress or emotion of gifted children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parents with gifted children has been hardly studied. Considering that daily breeding for emotion, recognition and social growth/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may be directly affected by psychological state of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the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is very important. Thu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activities: first, to check the distribution of psychological energy currently used by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by making the mother fosterer indicate energy phi of 'myself at present'; second, to search the direction of change expected by the mothers with gifted children through the activity of indicating energy phi of 'myself that is wished to be changed'; third, to express the emotionally related person by psychological distance so as to investigate the property of psychological relation with emotionally related person and related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