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전학회 20년과 한국 사전학의 과제

        남길임,안의정 한국사전학회 2022 한국사전학 Vol.- No.40

        본 연구는 2003년 한국사전학이 발간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전학이 변혁기를 거쳐 온 과정과 발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사전학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03년 한국사전학회의 창립 전후부터 지금까지 한국사전학이 도출한 성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2장), 사전학 관련 논문에서 사전학의 연구 경향을 각각 거시구조적 측면과 미시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3장), 최근 20년간의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전학계가 말뭉치 혁명과 컴퓨터와 IT의 발달, 사용자의 참여 확장 등 사회 변화에 따른 요구를 한국사전학계가 어떻게 수용해 갈 것인지를 함께 논의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모든 논문이 주요 대상이나, 『한국사전학』 이전에 사전학 전문지로서 관련 주제들을 담당했던 『사전편찬학연구』와 이외 KCI 학술지 중 현대 한국사전학의 주요 성과를 모두 포함한다. 또 분석의 체계는 사전학 이론의 내적 체계인 이론사전학과 사전편찬학의 체계를 따르는 한편, 국내외 사전학계의 주요 연구 동향을 참고하기 위해 한국사전학회, 아시아사전학회, 유럽사전학회의 주요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논의한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사전의 현황과 과제 -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중심으로 -

        이윤미(Lee, Yoonmi)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1

        이 글의 목적은 첫째,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을 기존에 이루어진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한 논의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짚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때 한국어 학습사전의 요건에 대하여 다룬 기존의 논의를 살피며 이 요건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특히 미시 구조에서 뜻풀이와 용례를 일반 국어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한국어기초사전』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사전을 편찬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rst, to compare and analyz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Basic Korean Dictionary with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an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To this end,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 y were analyzed closely. At this time, by examini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quirements of Korean learner’s dictionaries, it was confirmed how well they met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definitions and usage examples in the microscopic struc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Standard Korean Dictionary , a general Korean language dictionary.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cro- and micro-structur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y , we looked at the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compiling a Korean learning dictionary in the future.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 개관 (pp.7-51)

        배주채(Bae Juchae) 한국사전학회 2009 한국사전학 Vol.- No.14

        Korean dictionaries for foreigners(hereafter KDF) has a long history of 900 years or so, if Gyerimyusa(鷄林類事) is considered the first of them. But many of us would be stricter about the qualification for a KDF so that one of New Korean-English Dictionary(1968), Cosmos Korean-Japanese Dictionary(1988), Shogakukan Korean-Japanese Dictionary(1993),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2006) should be the first one. The first three are bilingual dictionaries and the last is a monolingual dictionary.Learner’s Dictionary of Korean(2006) was made with the help of two corpus-based Korean dictionaries for Koreans(hereafter KDK), i.e. Yonsei Korean Dictionary(1998)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1999). So it has many good points that the preceding KDKs didn’t have. But its Achilles’ heel is that it was written only in Korean, so most of Korean learners below advanced level cannot understand the dictionary texts. It is urgent to translate it into foreign languages. In addition to this regular KDF, many special KDFs have been published home and abroad since 2000. There is a good outlook for KDF.

      • KCI등재후보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유현경(Yoo Hyunkyung) 한국사전학회 2011 한국사전학 Vol.- No.17

        This paper is aimed at describing the trends and prospects for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and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e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from medial 19th century to the present and the theoretical problems in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at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compiling process.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started as a bilingual dictionary around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planned and discontinued because of political and social causes. In this time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a cultural event to not only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inguistics but also the whole society along with unification of notation. From the end of 19C to the present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including 〈Keunsajeon〉, has been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Korean culture and the work that arranges and unifies Korean was materialized by lexicography. These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 dictionary continued while compiling dictionary and also after publication. Especially, the study of theoretical lexicography and practical lexicography centered on the laboratory performed the crucial role in raising Korean lexicography to academic level. After 2000,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xicography was founded and it has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Korean lexicography. From now on web dictionary will be the mainstream among Korean dictionaries and recently it is a trend that mobile dictionary growing fas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외래어사전』(1970)의 구조 및 의의

        김아영(Kim, Ayoung)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1

        이 글에서는 『한국외래어사전』(배양서 1970)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분석하고 그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 이후 첫 외래어 사전인 『한국외래어사전』은 1960년대의 외래어 사용 현실을 충실히 보여 주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한국외래어사전』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표제어를 선별하기보다 유입 시기, 분포 등에 관계없이 당시에 사용되던 외래어를 망라하였다. 1만1000여 표제어를 평음, 경음, 격음의 구분이 없는 순서로 배열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현실 발음을 반영하여 순음 뒤의 ‘우’ 표기, 경음 표기를 하고 장모음은 표기하지 않음으로써 표기와 발음을 최대한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의미 기술에는 유의어 제시, 서술형 풀이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였다. 간접 외래어의 경우 차용 경로를 상세히 밝히는 등 원어 정보를 충실히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전문 분야 표지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Korean Loanword Dictionary , published by Pae, Yang-seo in 1970, and to consider its significance. Korean Loanword Dictionary , the first loanword dictionary since Lee Jong-geuk’s Modern Joseon Loanword Dictionar y(1937), is valuable enough as research material since it shows the reality of loanword usage in the 1960s faithfully. It listed loanwords used at the time regardless of the time of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rather than selecting headwords according to certain standards. About 11,000 headwords are arranged in order without distinction between plain, tensed, and aspirated consonants. Reflecting the actual pronunciation, u(우) was written instead of eu(으) after the labial sound, tensed consonants ㄸ, ㅃ, ㅆ were used, and the long vowel was not marked. In this way, it was tried to match the notation and pronunciation as much as possible. For semantic description, various methods such as the presentation of synonyms or descriptive expressions were used. Information on the original language was faithfully provided, includ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orrowing path of indirect loanwords. In addition, field labels of various terminology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어기초사전』의 구 단위 표제어 선정 방안 연구

        손연정(Son, Yun Jung),강현화(Kang, Hyoun Hwa)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1

        본 연구는 『한국어기초사전』에 수록할 ‘구’ 단위 표제어 목록의 구체적인 선정 범위와 선정 방법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교육용 구 단위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구 단위 표제어의 범위를 정하기 위한 선정 기준과 방법, 절차를 살피고자 했다. 우선, 구 단위의 유형은 ‘문법적 구 단위’, ‘관용어 구 단위’, ‘담화 표지적 구 단위’, ‘어휘적 구 단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들 모두는 한국어 교육이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단위로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선정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한국어기초사전』의 편찬 지침은 명확하지 않았으며, 유의미한 목록 산정을 위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고는 선행 목록을 바탕으로 하여, 사용 빈도, 연어성, 복합성 등의 준거를 바탕으로 한 1차 평정과, 교육적 적용성을 판정하기 위한 한국어 교육 전문가 집단의 2차 평정을 거치는 목록 평정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 총 3848개의 구 단위를 선정하여 제안하였다. 구 단위 사전 표제어 선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고, 한국어 교육에 특정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초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phras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be included in the Basic Korean Diction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lso, to discuss the specific methods, procedures and scale for these phrase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is end, the types of phrase were classified and the scale for the Basic Korean Dictionary was organized. The types of phrase could be divided into grammar phrase, idiom phrase, discourse marker phrase, and vocabulary phrase.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compilation guidelines of the Basic Korean Dictionary, it was examined whether each type is suitable for the Basic Korean Dictionary,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limit the scale of phrase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Since it is difficult to set standards on what vocabulary is necessary for foreign learners, the scale can be limited through the evaluation of a group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3,848 phrases were selected for the Basic Korean Diction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e entire phrase in the learners dictionary, and the list of phrase for the Basic Korean Dictionary was selected.

      • KCI등재

        『한국어기초사전』의 뜻풀이 개선 방안 연구 - 명사 표제어를 중심으로 -

        장채린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2

        본 연구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구축 및 운영해 오고 있는 『한국어기초사전』에서의 뜻풀이 원칙과 뜻풀이 구조의 체계적인 개선을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전체 표제어 중 명사를 중심으로 이들의 뜻풀이를 정교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예시를 들어 살폈다. 본고에서는 크게 두 가지 작업을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논의된 뜻풀이 기술의 원칙과 사전의 뜻풀이 지침 검토에 대한 논의를 거쳐 학습자 사전에서 지향하여야 할 뜻풀이 기술의 원칙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사전에서는 일반 국어사전보다 ‘구체성, 실용성, 용이성’이 추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학습자 사전인 『한국어기초사전』의 명사 표제어 뜻풀이를 대상으로 하여, 뜻풀이 유형별로 어떻게 정비될 수 있을지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뜻풀이에 사용된 상위어 메타어 빈도 분석, 뜻풀이 전체에 대한 어절 빈도 분석, 유의어 추출 방법이 사용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systematic refinement of the principles of definitions and the structure of definitions in the “Korean Basic Dictionary,”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pecifically, the focus lies on the organization of sense definitions, primarily within nouns among the entire headword set, with illustrative examples provided for elucidation. The present paper undertakes two major tasks. Firstly, through a review of the principles of definition description discussed in prior researches and examinations of the guidelines for definitions in dictionaries, it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principles of definition description to be pursued in learner’s dictionaries. Consequently, the need for “specificity, authenticity, and user-friendliness(easy meta words)” emerged as essential qualities to be prioritized in learner’s dictionaries as opposed to other dictionaries. Secondly, the discussion centers on how sense definitions for noun headword in the learner’s dictionary “Korean Basic Dictionary” can be organized according to various sense definition types. To accomplish this, methodologi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of hypernyms used in definitions, word frequency analysis for the entire sense definitions, and synonym extraction methods were employed.

      • KCI등재

        사용자 기반 한국어 학습사전의 쟁점

        강현화 한국사전학회 2023 한국사전학 Vol.- No.42

        본고는 바람직한 한국어 학습사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외 사전을 분석하고 현행 기초사전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초사전이 발전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설문 대상자는 국내외 학습자(222명)와 한국어 교육기관 교수자(131명)로 총 53명이다. 우선, 기존 학습자 사전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개선할 요소들을 진단했다. 다음으로는 선행 연구 및 국외 학습사전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을 통한 필요도를 진단했다. 또한 주관식 설문을 병행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개방적으로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향후 바람직한 학습사전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1) 학습자 숙달도 수준을 고려한 사전이 필요하다. 이에 표제어의 숙달도별 등급과 뜻풀이와 예문의 숙달도별 제시가 필요하다. (2) 표제어와 예문은 일상생활의 실제성과 시의성을 반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빈도 신어와 외래어를 선정하고, 예문의 실제성을 높여야 한다. (3) 번역 제공을 제공하여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특히 연동된 다국어대역사전은 단순한 대당어 제시를 넘어서서, 대조분석 결과와 학습자 오류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4) 온라인 사전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숙달도 수준별 선택적 검색이 가능해야 하며, 모바일 기반 학습 활동 지원도 높여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 desirable Korean language learning dictionar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current basic dictionaries and foreign dictionar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trie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basic dictiona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sirable future direction of the learning dictionary is as follows. (1) It should be a dictionary that reflects the learner’s mastery level. It is necessary to present headings by mastery level and definitions and example sentences by mastery level. (2) It must be practical for daily use and reflect the changing times. To this end, new words and foreign words should be actively selected, and the practicality of example sentences should be increased. (3) It should provide translations to support understanding. Interlinked multilingual dictionaries should go beyond simple translation of headings and actively utiliz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and learner errors. (4) A variety of additional devices should be developed to make online dictionaries more accessible. They sh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search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obile-based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