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가정 아동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연구-창원시를 중심으로-

        임미정 한국가정보육학회 2008 가정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다문화 보육에 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보육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보육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으로 다문화보육아동의 보육유무와 함께 부모의 국적과 다문화 가정 형성원인은?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보육 유·무에 따른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다문화가정보육아동이 있는 경우 일반아동과의 보육 상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다문화보육에 대한 어린이집의 보육활동, 보육시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활동 보육내용 및 보육환경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창원시 전체 374개소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9월 15일부터 10월 10일까지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16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보육은 이중 언어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기에 아동의 이중 언어에 교육의 필요성은 ‘필요하다’고 응답한 수가 87.1%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이중 언어 교육의 장소는 ‘보육시설이 되어야한다‘가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보육아동은 또래와 연합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보육과정 중 보육아동의 적극적인 참여와 긍정적 보육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보육시설 종사자들이 인지발달영역에서 다문화가정 보육아동과 일반아동을 차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보육환경에 있어서 다언어적 안내 표지판이 거의 없었으며, 다문화가정 아동이 보육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보육적 환경이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daycare centers' workers on the multi-cultural daycare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in order to establish an improvement way in the daycare policy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Based 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specific issue on this study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First, in general issues on the daycare for multi-cultural home, what are the causes of the forming of multi-cultural home including parents with different nationalities and the presence of daycare in their children?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daycare centers'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aycare in children and in the daycare of children between the regular home and the multi-cultural home? Third, how are the daycare program and environment in the daycare center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and for the relation to local social communities? The subjective of this study was determined by 374 daycare centers in Changwon from Sep.15 to Oct. 10 and the study distributed 300 questionnaires in this period. Then, the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for final 116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swer for 'Yes' for the necessity of bilingual education showed a high rate of 87.1% due to the need of bilingual daycare in which the answer for the place for the bilingual education was 'Daycare Center' as the highest rate of 40.5%.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showed associated plays. Also, in the workers for the daycare program, they contributed to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positive daycare environments in the daycare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It means that the daycare centers' workers showed were no discriminative treatments in the daycare of children between the regular and the multi-cultural home in the cognitional development. Third, there were very few signs on the bilingual guidance in daycare environments and lacks in daycare environments for allowing the approach to the daycare facility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 전북 가정보육시설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서금택,김경중,한용기,이미정 한국가정보육학회 2008 가정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한국가정보육시설 학부모의 가정보육시설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학부모의 욕구를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써, 가정보육의 발전방향을 조망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한 것으로, 연구문제는, 가정보육시설 학부모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가정보육시설 중 전주 4곳, 익산 3곳, 군산 3곳으로 총 10곳을 임의 선정하여 총 197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별로 응답내용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가정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이유는 “자녀를 돌봐 줄 사람이 없어서가” 53.8%, 자녀양육에 대한 결정은 “부모 및 조부모가 함께” 50.8%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 “신뢰할 수 있는 보육기관이 있다면 직업을 가질 것이다”가 59.9%, 부모와 가정어린이집과의 관계는 “부모와 가정어린이집의 수평적 관계”가 82.2%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 이상”이 76.6%, 교사의 자격 요건은 “영아들에 대한 애정과 경험”이 83.3%로 높게 나타냈다. 둘째, 가정어린이집의 선택기준은 “보육시설과 보육비용”때문이 61.9%를 나타냈으며, 가정어린이집에 대해서 가장 원하는 교육 영역은 “정서발달이” 5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선 사항으로는 “교육과정과 건강”이 59.4%의 높은 욕구수준을 나타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rents awareness of home-based day care center in Korea and investigate needs of the parents for these centers accurately. Then, this study proposes a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home-based day care center .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parents awareness of home-based day care center. A total of 10 home-based day care center, such as four centers established in Jeonju, three centers in Iksan, and three centers in Gunsa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also 197 parents were surveyed in this study. The obtain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it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for each answ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asons that the parents want to care their children in such centers are 53.8% for "there are no people to care children". The decision of child care was decided as 50.8% for "both parents and grand parents". In the awareness of the occupation in mothers, they want to occupations about 59.9% for "they want some occupations if they have certain reliable cen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enters, it was recorded as 82.2% for "a horizontal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enters". Regarding their satisfaction for the centers, it was presented as 76.6% for "more than they want in general". In addition, the qualification of teachers showed 83.3% for "devotion and experience for child care". Second, the selection guide of the centers was 61.9% for "its centers and costs in child care". In the most need in these centers was recorded as 53.3% for "development of emotion". Also, the need in improvement was 59.4% for "education programs and health".

      • 보육시간에 대한 보육시설 운영자의 실태 조사 연구

        오복희 한국가정보육학회 2008 가정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시간연장형 보육서비스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는 높은 반면 공급자인 보육시설의 시간연장형 보육서비스 운영실태가 저조한 이유를 밝히고자 전라북도 익산시의 보육시설 운영자 47명을 대상으로 시간연장형 보육의 실시 여부와 시간연장형 보육 실시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보육시설의 시간연장형 보육서비스 운영 현황은 모든 시간연장형 보육에서 ‘실시안함’,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연장형 보육을 원하는 부모가 없어서’, 추후 실시 의향은 모든 시간연장형 보육서비스에 대하여 ‘실시의향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면접조사 결과, 미지정 시간연장 보육시설에서의 시간연장 보육 형태는 다양하였으며, 시간연장 보육시설로 지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계속적인 시간연장 보육이 아닌 단속적인 시간연장 보육이 대부분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y childcare facilities provided poor prolonged childcare service despite the high demand for the service from the consumers. For that purpose,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7 managers of childcare facilities in Iksan City, Jeollabuk Province. They were asked if they provided prolonged childcare service and how they thought of such service.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they “didn't provide prolonged childcare service” of any types and that their formal and informal reason was “because there were no parents wanting prolonged childcare service.” The biggest number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y had “no intention” to start prolonged childcare service of any types in future. The interview results how tha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prolonged childcare service at the childcare facilities that were not appointed to provide such service. Those facilities were not appointed because most of their prolonged childcare service was intermittent as opposed to continuous.

      • 보육시설 안전관리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김경중,서금택 한국가정보육학회 2008 가정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보육시설의 안전사고와 안전관리에 관한 총체적인 문제점을 진단하고, 효율적이면서 현실적인 최선의 대응방안을 제안 할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유아 안전사고와 관련된 문헌을 전공서적, 연구논문, 보험개발원, 노동부, ERIC(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Google, ProQuest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문제점은 첫째, 안전사고 예방기능의 문제점, 둘째, 보상 범위 한도의 문제점, 셋째, 시설 및 교사의 부담 과중, 넷째, 보상 처리과정의 비효율성, 다섯째, 체계적 정보관리 체계 및 홍보 부재, 여섯째, 보상제도의 홍보부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은 첫째, 재난안전 관리의 이해와 인식, 시각의 전환을 위한,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다. 둘째, BCP지원서비스의 개발과 지원체계 구축이다. 셋째, 유비쿼터스시대의 통합적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general problems in the safety accident and safety management in day care centers and propose a practical and optimal action plan for these problems. For achiev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some materials in the books of specialty, research studies,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Labor, ERIC(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Google, and ProQuest. As a result, the problems drawn in these materi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blems in the function of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second, problems in the limitation of coverages; third, problems in the overloads of teachers and centers; fourth, problems in the inefficiency of coverages; fifth, problems in the lack of systematic information management and public relations; and sixth, problems in the short of the public information on the covera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me programs for the action plans for these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a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changing its understanding; second, the development of a BCP service system and establishment of a support system; and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total safety management system corresponding for this ubiquitous time.

      • 시,도 간의 초등학교 표준교육비 비율 및 배분준거 분석

        한용기,최준렬,서금택 한국가정보육학회 2009 가정보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표준교육비를 적용하고 있는 16개 시·도교육청의 초등학교 표준교육비 비율과 학교재정배분의 준거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광역시와 도 간의 초등학교 표준교육비 비율을 살펴본 결과, 광역시 교육청이 도교육청 보다 전체적으로 학교재정 예산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면, 첫째, 학교교육비의 배분율이 시,도 간에 동등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단위학교에 배분된 예산을 자율과 책임에 의하여 집행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 셋째, 학교재정을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적절한 표준교육비 산출이 요구된다.

      • 교원 신분보장에 관한 판례 분석 연구

        강대중,최준렬,서금택 한국가정보육학회 2009 가정보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교원의 신분보장에 관한 법규정을 토대로 준거권을 설정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판례를 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한국 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판례연구 등을 실시하였으며 이 과정을 거쳐 연구된 분석을 통해서 개선방안을 마련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선택권과 교수내용의 재량권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교원에게 학생의 징계나 처벌에 관한 안내서를 배포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원의 인사 상 징계는 징계사유에 따른 징계 기준을 명료화할 필 요가 있다. 넷째,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 재심할 수 있는 재심사유를 포괄적으로 적용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원소청심사위원회의 영역을 알선, 중재, 화해기능까지 포함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원의 공무상 질병이나 재해를 포괄적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적극적으로 유도, 촉진할 수 있는 보수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