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지배 지향성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조절효과

        황세영,강정석,강혜자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지역과 세계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dominance orientation(SDO),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welfare policy to the need, social distance toward migrants). To examine this, 293 college student-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pertaining to SDO,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 Th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1)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DO and empath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DO and 2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 respective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mpathy and 2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 respectively, (2)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 between SDO and 2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 respectively, and (3) only in women,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between SDO and social distance toward migra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지배 지향성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지배 지향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의 관계에서 공감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지배 지향성, 공감 및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빈곤층을 위한 복지정책에 반대하는 태도와 이주민에 대한 호감을 나타내는 사회적 거리감)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구성하여, 293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상관분석 및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지배 지향성, 공감 및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의 상관분석 결과, 사회지배 지향성은 공감과는 부적 상관,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복지반대) 및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는 각각 정적 상관, 그리고 공감은 복지정책에 반대하는 태도와,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각각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사회지배 지향성과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 및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각각의 관계에서 공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효과를 성별로 나누어 검증한 결과, 남성의 경우에는 사회지배 지향성이 복지정책에 반대하는 태도 및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이 공감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았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지배 지향성과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사회지배 지향성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며, 사회지배 지향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에서 공감이 조절효과를 갖는다는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사람들의 사회지배 지향성을 낮추고 공감력을 높이는 것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이 시사된다. 끝으로, 사회지배 지향성 감소 및 공감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Kuhn's Paradigm and Lakatos Research Programme

        Park, Chae Kyu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8 지역과 세계 Vol.24 No.-

        본 연구는 토마스 쿤의 파라다임과 라카토스의 리서치 프로그램을 비교론적 시각에서 검토하면서 그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쿤의 파라다임 개념에 비해 라카토스의 프로그램 개념이 사회과학의 발전을 설명하는데 상대적으로 얼마나 더 유용한지 논의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비록 쿤의 파라다임 개념이 소개된 이후, 그 개념은 사회학, 심리학, 정치학, 경제학 등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더욱이, 쿤의 파라다임 전환은 과학(학문)공동체가 공유한 신념에 의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회학적인 설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파라다임 설명은 지나치게 사회-심리학적인 요소를 중시함으로써 과학적인 요인보다 오히려 이데올로기, 즉 정치적 영향력에 의해서 어떤 이론이 지배적인 파라다임으로 군림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토마스 쿤이 이론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하고 있는 기준들은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으며, 그 기준 또한 지나치게 과학공동체의 동의에 의존하고 있다. 결국 그의 이론은 이성적인 판단 가능성과 파라다임 선택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을 부정하고 있다. 반면에 라카토스의 리서치 프로그램은 단일 파라다임을 넘어 다원적 파라다임을 인정하면서, 과학적 이론의 성장은 결국 다양한 파라다임들간에 경쟁을 통해 약점이 보완되고 정교화되면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라카토스의 리서치 프로그램은 다양한 기제들을 통해 하나의 이론(파라다임)이 어떻게 성장하고, 퇴보하과, 혹은 정체하는가 등에 관한 전체적 과정을 보여주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사회과학의 이론발전을 설명하는 틀로서 라카토스의 리서치 프로그램이 쿤의 파라다임보다 좀더 유용하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과학적 혁명과 과학에서 진보는 사실이나 자료의 수집이나 혹은 최소의 실험수행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는 사실 보다는 이론에 강조점을 부여하고 있는 라카토스의 입장에 동의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개념적 이해와 실천적 함의: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원,김정석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지역과 세계 Vol.46 No.2

        In the past few years,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has been a key issue in policy and academic discussions related to caring for the vulnerable. However, the meaning and content of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differs to a great extent depending on the discussants and the context of the discussion. Conceptual confusion involving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results in a stumbling block for practical and academic efforts toward its achievement. This paper intends to derive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by examining how it appears and is described in policy and academic fields. In this process, the paper to suggests a few points considered in planning and developing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policy discourses in Korea and England, community care and integrated care appear to be tied or mixed with each other, but each has independent backgrounds, meanings, and issues. To analyze the nature of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revealed in the academic arena, text analysis was conducted on 162 academic journal articles on this topic published since 2018. Text mining result indicates that the key words of these articles were organized into four topics: integration and linkage of community care, continuous residence in community, daily life performance and environment, and elderly care services. This shows the tendency to separate integration and bonding from community residence in terms of the research topic, and it resembles the contrast between integrated care and community care. According to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 words related to the elderly we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network, while the key words related to the disabled appeared in the periphery. This shows that the current integrated care research is focused on the elder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o approach community based integrated care as a combination of three: community role (in, by, of the community), integration point (needs, care sources and delivery system, care target, etc.) and intensity of integration (linkage, coordination, full integration). It is expected that such approach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community-based integrated care programs with locality and Sustainability. 지난 몇 년간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취약계층돌봄과 관련된 정책적, 학술적 논의에서 핵심이슈가 되어왔다. 그러나 정작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뜻과 내용은 논의주체와 논의맥락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개념적 혼란은 지역사회 통합돌봄으로 향하는 실천적, 학문적 노력의 걸림돌이 된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 통합돌봄이 정책과 학문의 장에서 어떻게 등장하고 묘사되는지를 점검함으로써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대한 개념적 이해의 틀을 도출하고,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 통합돌봄이 주목하여야 할 지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한국과 영국의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문헌을 검토한 결과, 지역사회돌봄과 통합돌봄은 서로 묶이거나 혼용되지만 각자 독립적인 등장배경, 의미, 쟁점 등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학술영역에서 드러나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해서 2018년 이후 이를 주제로 한 학술지논문 162건에 대한 텍스트분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트마이닝 결과에 의하면 해당 논문들의 키워드는 총 4개의 토픽으로 정리되었다: 커뮤니티케어 통합 및 연계, 지역사회 계속 거주, 일상생활 수행, 노인 돌봄 서비스. 이는 연구주제 상 통합 및 연계가 지역사회 거주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통합돌봄과 지역사회돌봄의 대조를 닮아있다. 의미연결망 분석에 따르면 노인 관련 키워드가 네트워크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반면, 장애인 관련 키워드는 주변부에 나타났다. 이는 현재 지역사회 통합돌봄 연구가 노인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에 대하여 지역사회역할(in, by, of the community)과 통합지점(욕구, 지원주체 및 전달체계, 돌봄대상), 통합강도(연계, 협력, 완전 통합)라는 세 가지 축의 조합으로 접근하기를 제안한다. 이러한 접근이 현장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지역사회 통합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 경험: 이론과 모델과 기술의 습득 및 적용 중심으로

        최옥채 ( Ok Chai Choi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지역과 세계 Vol.3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모델을 모색하기 위한 전 단계로 한국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 경험을 파악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 방법을 통해 사회복지실천과 관련하는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모델과 기술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자료 수집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5년 이상 경험한 사회복지사 4-6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심층좌담(Focus Group Discussion)을 서울, 경기, 부산, 대전, 전북 지역에서 각기 실시하였다. 표적집단심층좌담에서 얻은 자료는 꼴라이찌(Paul Francis Colaizzi)가 제시한 다섯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① 대학이나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충실한 교육과 지도감독을 철저히 실시해야 함, ②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여법한 활동을 위해 사회복지실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이론이나 모델 및 기술을 익히는 데 노력해야 함, ③ 사회복지사는 익힌 이론과 모델과 기술을 실천을 통해 응용하면서 이의 한국화를 위해 노력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preparatory study for Korean social work practice models,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practice focused on the acquirement and application of theories, models, and skills. For this study, major concepts related with social work practice have been reviewed by literature.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 composed by 4-6 social workers who had experienced more than 5 year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practice. Each Focus Group Discussion has been completed in 5 provinces, Seoul, GyeongGi, Busan, Daejeon, and Jeonbuk. The gathered data has been qualitatively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ree proposal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as follows; firstly, universities and fields of social work have to provide substantial education and supervision promoting the professionality of social workers, secondly, social workers need to endeavor for learning various theories, models, and skills acquired in social work practice, and finally, social workers must apply the learned theories, models, and skills through their faithful practice for Koreanizing the theories and so on.

      • KCI등재

        지역기반 사회적경제를 위한 이론적 기반의 탐색적 연구: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사상을 중심으로

        전지훈 ( Gi Hoon Jeon ),강현철 ( Hyun Chul Ka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사회에서 사회적 양극화와 배제의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는 사회적 경제 영역에 있어서 지역사회와 공동체 가치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근거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자유주의에 기반한 시장자본주의와 달리 지역사회에 기반한 사회적 경제의 사상적 기반과 단초로 Sandel을 비롯해 MacIntyre, Taylor, Walzer의 현대 공동체주의자들의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이론적 논의는 공통적으로 추상적인 자유주의 관점의 비판과 사회적 맥락에 기반한 현실적 정체성의 강조와 사회와 상호관계와 대화를 통한 구성적 공공선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기반의 사회적 경제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공동체주의 사상에 의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기반 사회적 경제는 지역의 연고성과 공동체성을 토대로 활동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공동체에 있어 공공선의 내재적 실천을 영위해야 하고, 이러한 활동의 강한가치 평가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경제 관련 지원제도에 있어서 공동체의 내재적 선과 덕의 강한가치에 부합하는 제도적 설계가 중요하며 주요 행위자와 구성원의 공동체 덕성이 강조된다. 셋째, 공동체의 공공선 형성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원의 민주적, 공공적 참여를 위한 적극적 파트너십과 거버넌스 협력체계가 필요하다. 넷째, 공동체의 숙의적 공공성 형성을 위해 절차적 공론장이 아닌, 실천적 추론을 통한 참여의 사회비판적 공론장의 형성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으로 공공성을 파괴하는 가치의 지배현상을 극복하고 복합평등 실현을 위한 감시자와 훈수꾼의 역할자로서 사회적경제의 활동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oretical foundations and basis about significance of values for the local society and communities in the field of the social economy. This study examined closely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modern Communitarians like Sandel, MaCintyre, Taylor, Walzer, from the viewpoint of the base ideas of social economy. The ideas of Communitarianism suggest us virtues of the common good on the opposite view point of the Liberalism(to be exact Rawls`` Liberal Egalitarianism) Through this analysis of Cummunitarianism, this study drew som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economy, by the idea of Communitarianism. First, The local based social economy needs to the strong-value evaluation in order to activate on the basis of the community spirit and the pull of community. Second. It is important to institutional design in accord with the strong-value of immanent goods in communities in terms of support system of the social economy. Third, It is needed to positive partnership and the cooperative system of governance for public and democratic participations by community members in terms of formation of public goods. Fourth, It is needed to formation of not procedural public sphere but the critic public sphere for formation the deliberative public sphere of communities. Finally, It is needed to activitie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s an inspector for to realize of the complex equality and to overcome dominant phenomena of demolition of the public.

      • KCI등재

        집단 응집성, 동료노력지각 및 작업조건이 사회적 태만과 사회적 보상에 미치는 영향

        노재영 ( Jae-young Nho ),석동헌 ( Dong-heon Seo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지역과 세계 Vol.42 No.1

        Karau와 Williams(1997)는 높거나 낮은 집단 응집성과 동료능력지각이 사회적 태만과 사회적 보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 바 있다. 사회적 보상이 나타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낮은 동료능력지각 또는 낮은 동료노력지각인데, 본 연구에서는 Karau와 Williams(1997)가 연구하지 못했던 동료노력지각 변인을 조작하여, 이 변인이 집단 응집성과 함께 사회적 태만과 사회적 보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동료능력지각을 조작했던 Karau와 Williams(1997)의 연구 결과와는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162명이 2(집단 응집성: 고/저) × 2(동료노력지각: 고/저) × 2(작업조건: 개별공동수행/집합적 수행) 피험자 간 설계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다. 집단 응집성이 높은 집단은 친구와 함께 집단을 이루어 과제를 수행하는데, 과제수행 전에 두 사람의 태도가 매우 유사하다는 정보를 주었고 또 이 태도유사성을 더 강화시킬 수 있는 토론 활동을 함께 하도록 하여 응집성을 높였다. 집단 응집성이 낮은 집단은 낯선 사람과 함께 집단을 이루어 과제를 수행하는데, 과제 수행 전에 두 사람의 태도가 매우 다르고 또 이 태도 비유사성을 더 강화시킬 수 있는 토론 활동을 함께 하도록 하여 낮은 응집성을 갖도록 조작하였다. 동료노력지각은 동료수행자의 노력수준을 거짓으로 알려주어 동료수행자가 과제수행에 노력을 매우 많이 들일지 아니면 전혀 노력을 들이지 않을지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는 방식으로 조작하였다. 2인 집단은 동일한 행동을 하지만 수행 결과가 개인적으로 측정되는 개별공동수행 조건과 집단의 수행결과만 측정되는 집합적 수행 조건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어 7분 2회의 본시행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동료가 매우 열심히 노력하리라 지각하는 경우에는 집단 응집성이 낮은 조건과 높은 조건 모두에서 사회적 태만 효과를 보여 주었고, 동료가 전혀 열심히 노력하지 않으리라 지각하는 경우에는 집단 응집성이 낮을 때만 사회적 보상이 나타났고 집단 응집성이 높은 경우에는 유의한 수행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사회적 보상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Karau와 Williams(1997)의 결과가 비교되었고, 이번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hesion, perception of co-worker effort and work condition on group performance using an experiment. In this experiment, group cohesion was manipulated by pairing friends or strangers as a group and also giving them information on their attitude similarity and opportunity to discuss the agreed-upon issues or dispute on a disagreed issue to persuade the other person depending on the group cohesion condition. Perception of co-worker effort manipulation was manipulated by swapping cards to indicate how hard the colleagues would perform for the following task performance. The work condition manipulation was manipulated by letting them know how the results would be evaluated(ie., coactively vs.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group cohesion, perception of co-worker effort and work condition was significant. When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co-worker would work very hard, the performance of the collectiv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action condi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group cohesion. When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coworker or coactor would not work hard., the performance of the collectiv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action condition. However, this performance difference was not resulted in the high group cohesion condition. Comparison between this results and the results of Karau and Williams(1997),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사회복지정책 심의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기 군산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례를 중심으로

        강영숙 ( Young Sook Ka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사회복지정책 심의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질적 분석과 양적분석을 사용한 혼합분석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대표위원과 실무위원이다. 연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사회복지정책 심의과정에 영향을 주는 열두 가지 하위범주는 “참여위원들의 인식”, “의사결정구조”, “정책결정자의 의지”, “위원들의 개인적 측면(노력)”, “의제설정을 위한 노력 (대안존재)”, “의사소통방법(시스템)”, “의사전달행태”, “정책 환경으로부터의 압력”, “사회적 사건발생”, “사회적 욕구에의 반응”, “경제적 상황”, “위원들의 전문성”으로 나누어졌다. 이 12가지 범주는 다시 네 가지 상위범주인 “정책심의구조”, “정책심의과정에의 참여자”, “이슈화”, “정치·경제·사회적 욕구에의 반응”으로 분류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welfare policy consideration process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research adapted the mixed methods research. 16participants who were a member of were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joined for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12 dimensions were categorized: the percep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the structure of decision making, the willness of the social policy makers, the personal endeavor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the effort of the constructive, the communication methods, the communication behavior, the pressure of the political environment, the social situation, the response of the social needs, the economic circumstance,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community welfare committees. These 12 dimensions were re-classified in 4 dimensions: the structure of the policy making and the social welfare policy consideration process, the participants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consideration process, the existence of the agenda of social welfare problems, an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tates.

      • KCI등재

        성인 ADHD 성향 집단과 우울 성향 집단의 대인관계 문제와 사회인지 결함

        박소리,이수경,김호영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지역과 세계 Vol.46 No.3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auses various difficulties in social interaction as well as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s. Depression, one of the comorbidities of ADHD, also impairs social functioning. This study explore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ults with ADHD and their underlying social cognition deficits by comparing them with non-ADHD adults with depression and normal adults. A group of 29 adults with ADHD, a group of 17 adults with depression, and a group of 31 normal adults participated. All subjects were examined with the following assessment tools: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KIIP-SC),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Attribution and Emotional Response Questionnaire (SIP-AEQ),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Problem Fluency Test (K-SPFT), the Korean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K-QCAE), and the Korean-Multifaceted Empathy Test (K-ME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DHD and depression groups experienced more interpersonal problems and showed more hostile attribution than the normal group. (2) The group with ADHD generated fewer socially sensitive and practically effective responses than the normal group in the K-SPFT. (3) In the K-QCAE, a self-rated empathy test, the group with ADHD showed higher emotional contagion but lower perspective-taking than the normal group.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성인 ADHD는 인지기능 손상과 함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동반한다. 그런데 성인 ADHD에 흔히 동반되는 우울증 역시 사회적 기능 손상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ADHD가 아닌 우울한 성인, 건강한 정상 성인들과의 비교를 통해 성인 ADHD가 경험하는 대인관계 문제와 그 기저의 사회인지 결함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로 ADHD 성향 집단 29명, 우울 성향 집단 17명, 정상 집단 31명을 모집하였다. 사회인지검사로 객관적 수행검사인 한국판 다면적 공감검사(K-MET), 한국판 사회적 문제해결 유창성 검사(K-SPFT)와 자기보고 검사인 한국형 대인관계 문제 검사 원형척도 단축형(KIIP-SC), 한국판 사회정보처리-귀인 및 정서 질문지(SIP-AEQ), 한국판 인지-정서 공감척도(K-QCA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인관계 문제, 적대적 귀인에서 ADHD와 우울 성향 집단은 정상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DHD 성향 집단은 정상 집단에 비해 사회적 상황에서 문제해결에 효과적이면서도 사회적으로 민감한 해결방안을 더 적게 생성하고, 더 낮은 조망수용을 보였으며 정서 전염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ADHD는 대인관계 문제를 경험하기 쉬우며, 사회인지, 공감, 사회적 유창성 측면에서도 결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와 치료적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복지사의 일상생활 기능방해 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윤명숙 ( Myeong Sook Yoon ),김요섭 ( Yoseb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4

        본 연구는 코로나 19 재난상황에서 증가한 사회복지서비스를 공공·민간 영역에서 전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일상생활 기능방해 정도와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 미치는 코로나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사회복지기관 4,240개소를 사회복지 영역별, 시설유형 별로 할당 표집하여 선정한 전체 50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1,000명을 대상으로 2020.7.28.-8.30 기간 동안 온·오프라인 병행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응답한 932명의 자료를 SPSS 22.0 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로나 19에 따른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여가활동 기능, 가정생활 기능, 직업기능의 방해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코로나 스트레스 경험수준이 일반인의 3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우울 위험군이 19.0%로 일반 국민 우울 위험군과 비교하여 5배 이상 높게 나타났고, 특히 여성 사회복지사와 농촌지역 사회복지사의 우울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19로 인한 일상생활 기능방해 정도는 우울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관계에서 코로나 스트레스는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재난 상황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경험하는 기능방해 및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우울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aily life dysfunction(social, occupational, family life) caused by the COVID-19 on depre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who delive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VID-19 stress. The study subject were 932 social workers from 50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ollabuk-do and date were collected from July 28 to September 30, 2020.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ers under COVID-19 had a high degree of interference in social/leisure activities, family life functions and occupational functions, and the level of experience in corona stress was also high. Second, the risk group of depression among social workers was more than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public and in particular, the risk of depression among female social workers and social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were high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daily life dysfunction caused by COVID-19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and in this relationship , COVID-19 stres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 to enhance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s in the practice field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파레토의 행위 이론: 개관

        이병희 ( Byoung Hee Rhe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4

        이 글은 파레토의 대저 『일반사회학』에 바탕을 두어 그의 비논리적 행위를 분석하고 있다. 파레토 이전, 루소와 마르크스, 칸트, 헤겔, 벤담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상가들은 3개의 수레바퀴 ― 오로지 존재하는 것이란 수레바퀴, 무엇이 되어야만 하는가란 수레바퀴, 그리고 예언자들이 말하는 미래에 무엇이 될 것인가란 수레바퀴 ― 가 달린 수레를 끌었지만 우리를 객관적 지식과 경험의 세계로 인도하지 못하고 삐걱삐걱하였다. 탁월한 파레토는 자인(Sein)이란 하나의 수레바퀴만 달린 수레를 끌고 우리를 지식과 경험, 과학의 세계로 명쾌하게 이끌고 있다. 인간 심리인 감정과 본능 그리고 파생과 잔기에 근거한 그의 비논리적 행위 이론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부터 20세기 이르는 역사적 사건을 실증적 자료로 활용하여, 사회 형태의 결정, 사회적 이질성, 사회적 균형, 엘리트 순환, 사회 운동, 사회체계와 구조, 선동적(군사적) 금권정치에 대하여 총합적 설명을 할 수 있는 사회 행위 이론의 기초를 마련한다. 그를 고전(현대) 사회학의 창건자로 자리잡게 할 수 있다. 정치사회적 미로에서 우리가 경험-과학적 지식을 찾으려고 하는 한, 파레토의 행위 이론과 『일반사회학』은 사회 과학의 안내자 역할을 여전히 할 것이다. The paper deals with Pareto’s nonlogical action detailed in his opus magnum the Trattato di Sociologia Generale. Thinkers before Pareto, such as Adam Smith, Kant, Rousseau, Aristoteles, Hegel and Bantham, tried to lead social scientists to the realm of objective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three wheel ― Sein, Sollen and Prediction ― wagon, but produced a creaking sound, as a result their views were incomplete. Howerver, Pareto clearly leads the way to the experimental-scientific world by one wheel - Sein - wagon. I argue that his theory of nonlogical actions coming from psychological factors, residues and derivations, has a great contribution to synthetically and lucidly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of social structure, social system, social heterogeneity, social equilibrium, circulation of elite, demogogic(military) plutocracy, and social change, for more than a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