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국의 정당화, 여성의 타자화__인도 통치와 여성에 대한 제임스 밀과 존 스튜어트 밀의 글을 중심으로__

        구하원 인도철학회 2022 印度哲學 Vol.- No.65

        This article examines the writings of James Mill(1773-1836) and his son John Stuart Mill(1806-1873), two representative thinkers of the period during which British rule over India was being consolidated by the East India Company. I particularly focus on their attitudes towards British rule in India as well as women’s rights. Both James Mill and John Stuart Mill left significant bodies of writing on India while working for the East India Company. James Mill’s The History of British India(1817) became a hegemonic text on Indian history, particularly due to its division of the stages in Indian history and criticism of Indian society and culture. He also argued that the status of women in a society reflected its progress towards civilization, and that the appalling position of Hindu women justified British rule of India. On the other hand, although John Stuart Mill left a large number of despatches on Indian education, the Native princes, and governance of the Company, he rarely mentioned his work or India in his political or philosophical writings. In comparison to his father, John Stuart Mill also displays a more tolerant attitude towards Indian customs and culture, with mentions of Indian women as examples of efficient political rulers. The father and son did not deny the justness of British rule in India, in spite of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such colonial rule as well as in their attitudes towards women and women's rights. This article compared their writings, and how these thoughts were expressed in the policies and rationalization of Company and imperial rule over India, as well as men’s rule over women. I also suggest that their writings were crucial to the rise of Indian intelligentsia and their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women in modern India. 이 논문은 동인도회사를 통한 인도 지배가 확고해지던 시기에 영국의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꼽히던 제임스 밀(James Mill)과 그 아들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의 글을 중심으로 영국의 인도 통치와 여성에 대한 두 사람의 인식을 검토하고자 한다. 제임스 밀과 존 스튜어트 밀은 둘 다 수년간 동인도회사에 재직하며 인도 관련 저술을 남겼다. 제임스 밀은 『영령인도사』(1817)를 통해 인도 사회와 문화를 신랄하게 비판하며 인도사의 서술 방식 등 인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오랫동안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또한 여성의 지위를 통해 문명 여부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인도 여성의 낮은 지위로 동인도회사의 지배를 정당화하였다. 존 스튜어트 밀의 경우, 회사 재직 당시 남긴 공문을 통해 인도의 교육과 왕조 관련 정책, 통치 방식에 대한 그의 입장을 읽을 수 있으나 이 외의 저술에서는 인도에 대한 논의가 거의 전무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 달리 인도의 전통과 관습을 상당 부분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며, 여성의 능력을 보여주는 예로 인도 여성을 꼽기도 하였다. 두 부자는 영국의 인도 지배를 부인하지 않았으나 그 목적에 있어 상이한 입장을 보였으며 여성이나 여성의 참정권에 대한 태도 역시 차이를 보였다. 이 논문에서는 두 사람의 저술에서 보이는 태도를 분석한 후, 동인도회사의 정책과 인도에 대한 제국의 지배, 그리고 여성에 대한 남성의 태도를 고찰하며 이들이 인도 지식인들의 근대적인 역사와 여성에 대한 인식까지 끼친 영향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일본 최초의 인도철학사 강의록에 대한 일고찰

        이태승 ( Lee Tae Seung ) 인도철학회 2016 印度哲學 Vol.0 No.48

        메이지유신으로 시작되는 일본 근대기에 불교의 체계적인 학문연구는 인도철학의 이름으로 도쿄대학에서 시작되었다. 곧 일본 근대기에 있어 인도철학은 불교학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되고 마침내 인도철학 고유의 학문에 대한 연구로 정착한다. 이렇게 순수한 인도철학은 도쿄대학 내에서 다카쿠스 준지로(高楠順次郞)에 의한 인도철학종교사 강좌가 개설된 것에 연유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이해였지만, 실제 그 이전에 순수인도철학에 대한 연구와 강의가 이루어진 사실이 새롭게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마니시 준기치(今西順吉) 씨가 3편에 걸친 논문에서 밝히고 있는 것으로, 이 논문에 의거하면 다카쿠스의 강좌가 이루어지기 14, 5년전에 도쿄대학 최초의 일본인 철학과 교수인 이노우에 데츠지로(井上哲次郞)에 의해 인도철학의 강좌가 이루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노우에 데츠지로는 도쿄대학 개교와 함께 입학하고 제1기 졸업생으로서 독일유학을 거쳐 최초로 도쿄대학 철학과 교수가 되었지만, 그에 대해서는 지금도 상당히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인 것 같다. 하지만 이마니시씨가 밝히고 있는 논문에 의거하면 특히 그의 독일 유학은 새로운 학문으로서 인도철학을 연구하는 시기이며, 따라서 귀국 후 도쿄대학에서도 인도철학을 강의하고 인도철학의 이해증진에 크게 공헌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본 논문은 이마니시씨의 논문에 대한 소개를 기본으로 하여 일본에서 최초로 강의된 인도철학사에 대한 일면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다카쿠스이전에 일본에서 인도철학사가 강의된 역사적 사실을 분명히 하고, 그 강의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A critical and systematical study on the Buddhist thoughts began under the name of course, Indian philosophy in Tokyo University in early Modern Japan departured with the Meiji Innovation.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used as same as meaning of Buddhist studies in those days in Japan, was slowly being extended to include not only the study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but also the study of Buddhist thoughts. According to the general understanding, Takakusu, Junjiro(高楠順次郞) was an important person for making a lecture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for the first time in Tokyo Univ.. H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as well as Buddhist studies. And Kimura, Taiken(木村泰賢) also wrote an important book on Indian Philosophy and received award from the Institution of Emperial Scholar. The new materials, however, which were made known for the first lecture of history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before Takakusu in Tokyo Univ. were found and published in the form of paper by Imanishi, Junkichi(今西順吉). His papers say that the first lecturer of pure Indian Philosophy in Tokyo Univ. was Inoue, Tetsujiro(井上哲次郞) who was the first Japanese professor of Department of Philosophy in Tokyo Univ.. Inoue, Tetsujiro was famous for the collision of the Education and Religion as an important issue of Modern Japanese society, then, the fact of his lecture of Indian Philosophy was forgotten for a long time. Imanishi says that during the six years(1884-1890) of the study in Deuch(Germany), Inoue had studied Indian Philosophy as a new study in Europe and had learned Sanskrit language. Though Inoue`s lectures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was forgotten for a long time, we can understand the fact that Inoue played a key role to settle down the study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through translating a lots of technical terms about Indian Philosophy into Japanese language contributed to the later scholars to study on Indian Philosophy in Japan.

      • KCI등재

        일본 근대 인도철학의 성립과 하라 탄잔(原坦山)의 역할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일본에서 초창기의 인도철학은 불교학 내지 불교철학의 이름으로 강좌가 개설되고 진행된 것으로, 이렇게 불교학으로서 인도철학의 전개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하라 탄잔이었다. 최초로 불교강좌를 담당한 이래 인도철학이란 이름으로서 학문적 지속이 이루어진 것에는 탄잔의 불교에 대한 열정이 있어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그는 조동종의 승려로서 메이지 유신의 폐불훼석의 시련 속에서도 불교를 위한 열정을 불태우고, 도쿄대학에 최초로 불교학 강사가 된 뒤에도 불교학과 인도철학의 정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도쿄대학에서 거의 생애의 마지막까지 강의를 담당하고, 대학의 강의를 그만둔 뒤에도 조동종의 승려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그와 같은 탄잔의 불교에 대한 정열과 열정이 있었기에 일본 근대 폐불훼석의 불교탄압 분위기 속에서도 불교가 새롭게 인식되어 서양의 종교와 우열을 논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불교의 위상이 높아졌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탄잔에 의해 정착된 인도철학은 이후 불교학의 색채를 벗어나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 이어져 간다. 이러한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서는 1906년 다카쿠스에 의한 인도철학종교사 강좌의 개설이 꼽혀지며, 이 강좌의 개설이 실제 일본에서 본격적인 의미의 인도철학의 출범이라고 간주되는 것이다. Notwithstanding the hard times of Buddhism in early modern Japan,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Buddhism was made as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t Tokyo University in 1889. The person who had an important role of formation and progression of Indian Philosophy in early times was Tanzan Hara, a monk of Soto-sect of Japanese Buddhism. He was the first lecturer of the course of Buddhism and a person that chose and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firstly instead of the name of Buddhist philosophy. According to the his works, he took a serious view of the philosophy of Buddhism than the belief of Buddhism.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viewpoint of philosophy, Tanzan Hara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nd since then,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was used for a long time in Japan. In early times, the Indian philosophy was one of the lectures of Departement of Philosophy in Tokyo University. Going through many changes with relation to Indian Philosophy, the departement of Indian Philosophy was estabilished independently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contributors, Zenjiro Yasuda and Shaku Soen etc.. Generally speaking, the beginning of Indian Philosophy in real meaning was made by Zunjiro Takakusu on the formation of the lecture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in India at 1906. During the times of Meiji Restoration, the formation of the Indian philosophy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restoration of Buddhism.

      • KCI등재

        인도 나식(Nasik) 석굴사원(石窟寺院) 시론

        김선희 ( Kim Seon-hee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49

        본고는 인도 `초기 석굴사원`으로서의 학계에 중시되고 있는 나(Nasik) 석굴사원에 관한 시론적 탐색으로 그 창건 시기 및 조영 양식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미술사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인도에는 약 1,200개의 석굴사원이 있는데, 그중 불교 석굴이 75%를 차지한다. 서인도에 불교가 처음 전해진 것은 기원전 3세기 아쇼카 왕 때의 일이다. 그 이후 서인도 중부 데칸 지역은 고대 무역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다양한 사회계층의 후원으로 수천 개의 승원과 탑원이 건립되었다. 그 가운데 유명한 나식 석굴사원은 모두 23개(혹은 24개) 그룹으로 이루어진 대규모의 불교 석굴로, 개착시기에 따라 기원전·후 1세기경의 `전기 석굴`과 기원후 7세기경에 걸쳐 조영된 `후기 석굴`로 구분할 수가있다. 이 기간 동안 상좌부(소승불교)에서 대승불교(大乘佛敎)로의 변화가 있었다. 즉 이것은 테라바다 불교 에서 대승불교 건축양식으로의 변천을 되짚어 볼 수 있는 주요한 발자취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석굴사원의 모습은 초대형 석굴과 간소하고 규모가 작은 석굴 그리고 사원 내에 뒤늦게 세워진 미완성 석굴들이 혼재되어 있다. 특히 후기에 이르면 나식 18굴 차이티야(Caitya)에 한정되었던 예배 대상이 불상으로 대체되어 승려들의 주처로 사용된 비하라(Vihara)에도 표현 되었다. 이는 비하라의 용도가 더 이상 승려들이 거주공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성소의 역할을 겸비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전기 석굴에 비해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나식 석굴사원에는 건축 양식 및 미술작품뿐만 아니라 헌납 명문, 조영 기록 등이 풍부하게 남아있어 당대의 사회사·경제사·정치사·미술사·정신문 화 등을 검증해주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Ajanta, Ellora, Bhaja, Aurangabad, Bedsa, Pitalkhora, Karli, Junnar, Kanheri· 등 서인도 석굴사원의 시원 형식을 살필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인도의 종교문화와 건축문화들은 역사적 변화 발전과정 속에서 이질문화간의 상호 혼합과 결합의 영향을 받아 다양성을 가지고 발전하였으며 그러면서 거기에는 인도 특유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있음이 큰 특징이라 하겠다. This study is a rudimentary exploration of Nasik cave temple, which is regarded as an important part of academia as an `early cave temple` in India, and aims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of establishment period and build style and clarify its significance in the art history. There are about 1,200 cave temples in India, of which 75% are Buddhist caves.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to West India in Ashoka dynasty in the third century B.C. Since then, the Deccan region in the middle of the west Indi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ancient trade route, and thousands of temples and pagodas have been built with the support of various social classes. Among them, the famous Nasik cave temple is a large-scale Buddhist cave consisting of 23 groups (or 24 groups), an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period, they are classified in `caves of the preceding period` in the 1st century B.C. or A.C. and `caves of the latter period` in the 7th century A.C.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a change from Hinayana Buddhism (小乘佛敎) to Mahayanist Buddhism (大乘佛敎). In other words, this is a major stepping stone to look back on the transition from Theravada Buddhism architecture style to the Mahayana Buddhist architecture style. The cave temples that remain at the present time are a mixture of extra large caves, simple and small caves, and incomplete caves which were belatedly built inside the temple. Especially in the latter days, the worship destination limited to Nasik 18 cave Caitya was also replaced by Buddha statues and expressed in Vihara, which was used as the residential area for monks. This shows that the use of Vihara is not the monks` residential area but the role of the sanctuary, which is the biggest change compared to the preceding caves. The Nasik cave temple is rich in architectural forms and works of art, as well as the dedication and documentation records, which provide important clues to verify the social history, economic history, political history, art history, and spiritual culture of the time. Also,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origin styles of the world-famous caves such as Ajanta, Ellora, Bhaja, Aurangabad, Bedsa, Pitalkhora, Karli, Junnar and Kanheri, etc. In sum, the religious and architectural cultures of India have been developed with diversity under the influence of intermixture and combination between heterogeneous cultures in the course of historical change, and in the meantime there i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they maintain the unity of India.

      • KCI등재

        인도 국가소수자위원회(NCM)의 의의와 한계

        최지연 인도철학회 2023 印度哲學 Vol.- No.67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Economic Policy in 1991, India has truly undergone a great transformation in the process of rapidly opening up and globalizing its economy and society. In order for India to advance to the international stage and leap forward as a developed country,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deep-rooted racial, gender, and class discrimination. In this background, the National Commission for Minorities(NCM) was launched and has been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to dat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ctivities of NCM and looked at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e NCM was started to protect marginalized minorities and classes in India and was composed of Muslims, Christians, Buddhists, Parsi, Sikhs, and Jains. Their activities can be summarized as issues of terrorism and violence against religious minorities, protection of rights,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posals for peaceful coexistence among religions as a multi-religious society. And they also played an active role, ranging from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and judicial functions to dispute mediation and preparation of countermeasures. These activities of the NCM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provide a stepping stone to resolve the prevalent conflicts in India through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minority religions and the preparation of safeguards. On the other hand, I considered that the NCM's solution has a limit of being practical help to the minority, a controversy surrou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inority' and an issue of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women and the lower classes due to the conservatism of religion. 인도는 1991년의 신경제정책 실행 이후 경제와 사회가 빠르게 개방되고 세계화되는 과정에서 그야말로 대전환을 맞이하게 되었다. 인도가 국제 무대로 나아가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뿌리깊은 인종, 성, 계급 차별 개선이 필요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가소수자위원회(NCM)가 출범하였고 현재까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NCM의 활동을 조사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조망하였다. NCM은 인도에서 소외되는 소수민족과 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시작되었고 이슬람교, 기독교, 불교, 파르시, 시크교, 그리고 자이나교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활동을 소수종교에 대한 테러와 폭력 문제, 권리 보호, 인권 침해, 그리고 다종교 사회로서의 종교간 평화적 공존을 위한 다양한 제안 개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제도적, 행정적, 사법적인 기능부터 분쟁 조정이나 대책 마련과 같은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NCM의 이러한 활동은 소수종교의 권리 보호와 보호 장치 마련을 통해 인도에 만연한 갈등을 해결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NCM의 해결 방안이 소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소수자'라는 개념의 이해를 둘러싼 논란, 그리고 종교가 갖는 보수성 때문에 생기는 여성과 하층 계급에 대한 인권 침해 문제 등의 한계가 있음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Time Measurement in Tibet: A Critical Introduction to the Works on Kalacakra Astronomy by Dieter Schuh, Premier Scholar in Contemporary German Tibetology

        조석효 ( Jo Sokhyo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1

        현재 티벳학의 선도적 업적들은 거칠게 다음 두 전통으로 양분된다. 첫째는 유럽의 문헌학적 전통이다. 일본 역시 불교학에 치중한 채로 대체적으로 이 전통에 속하며, 서구식의 엄밀한 문헌학은 부재하지만 방대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역사 쪽에 치우치고 있는 중국 역시 이 전통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미국의 인문학적 전통이다. 인도학 · 티벳학 역시 인문학의 한 분야임이 강조되며, 따라서 인문학 제 분야에서 다루는 공통의 이슈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의 전수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근(현)대성 (modernity), 젠더 (gender) 등의 이슈들이 인도나 티벳의 문맥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 지의 문제들을 논쟁적 방식으로 검토한다. 후자의 전통에서 학술적이고 지적인 연구는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글쓰기 능력과 유리되어 있지 않다. 이 글에서 필자는 두 전통 중에서 첫번째 전통에 속하는 독일 학술 전통에서 가장 탁월한 학자인 디터 슈 Dieter Schuh가 이룩한 성취들 중에서 천문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제시한다. 그의 주된 업적은 『티벳 달력 계산의 역사에 관한 연구』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tibetischen Kalenderrechnung (1973) 의 출판이다. 인도 후기 밀교 텍 스트인 Kalacakratantra 문헌에 기반하고 있는 티벳의 천문학 (인도-티벳 천문학 Indo-Tibetan astronomy; skar rtsis) 연구는 여전히 티벳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분야 중의 하나이지만, 그는 당시에 충격적이었고 현재도 놀라움을 던져 주는 상기 단행본을 저술했다. 또한, 그는 중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티벳의 점성술 (중국-티벳 점성술 Sino-Tibetan astrology; nag rtsis)에 대한 연구, 티벳어 사본과 판본에 대한 연구, 티벳어로 된 공식 문서들, 티벳-몽골 외교 관계에 대한 연구, 티벳 법률에 관한 연구, 인구학, 서부 티벳에 관한 지역학적 연구 등등 다방면에 걸쳐 높은 수준의 문헌학에 기초하여 선구적인 업적들을 보여 주었는데 필자의 후속 논문에서 나머지 저작들에 대한 소개도 예정되어 있다. The German scholar Dieter Schuh is one of the contemporary giants of Tibetan studies. His seminal and ground-breaking work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tibetischen Kalenderrechnung, published in 1973, has made a lasting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Tibetan astronomical and historical research, clarifying the essence and calculation bases of Indo-Tibetan astronomy in Tibet (skar rtsis). Further, he has pioneered such new fields in Tibetology as sino-tibetan astrology (nag rtsis), manuscripts and xylographs, historical documents, the diplomatic history between Tibet and Mongolia, law, demography, research into Western Tibet, etc. In this work, I attempt to show the integral components of his scholarship on Indo-Tibetan astronomy by means of presenting the structure and outline of his works. Because I focus on showing the main ideas and contents according to his line of thinking in each work, readers may benefit from easily spotting parts they are interested in. Thereby, this work may serve as a guideline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details of each work. The amount I assign to each work may vary in accordance with the gravity and importance I subjectively assume. Lastly, the aim of this work is simple: numerous quality non-English writings are not easily used simply because they were not written in English.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time-honored German tibetology based on high-level philology has been a great source of inspiration to Tibetan scholars in the world. As a part of bridging the gap between English and non-English scholarship, this work, which introduces Dieter Schuh’s research into Indo-Tibetan astronomy, may be helpful to enrich and foster future research, being another source of inspiration.

      • KCI등재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스며 있는 인도철학적 요소들 -고전의 현대적 해석-

        박애란 ( Ae Ran Park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2

        슈타이너의 사상의 원류를 괴테로부터 찾는 것이 학문계의 일반적 경향이나 이러한 관점은 종종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스며 있는 인도철학적 요소들을 간과하게 한다. 슈타이너의 인지학에는 명백히 인도철학적 요소들이 스며 있다. 슈타이너의 인지학은 윤회와 업설이 바탕이 되고 있으며, 이 둘은 그의 교육적 실천에 적용되고 있다. 슈타이너는 4구성체로 물질체, 에테르체, 아스트랄체, 자아체 4가지를 제시한다. Taittiriya Upanisad에서는 annarasamaya, pranamaya, manomaya, vijnanamaya, anandamaya라는 다섯 가지 층이 제시된다. 그 성격을 고찰해 보면 슈타이너의 물질체, 에테르체, 아스트랄체라는 3층은 annarasamaya, pranamaya, manomaya에 직접 대응하며 자아체는 vijnamaya, 즉 제4층에 근접하고 있다. anandamaya라는 제5층은 궁극적 상태이기에 기체로서의 4구성체 안에서 포섭되지 못하고 슈타이너의 全人7구조론에서 추적할 여지를 가지고 있다. 슈타이너의 全人은 基體로서의 물질체, 에테르체, 아스트랄체를 바탕으로 하면서 자아에 의해 영화된 아스트랄체, 에테르체, 물질체를 갖추고 있는 완성된 인간이다. 이 영화된 3가지는 인간 안에 내재한 영적상태인 ``영적 자아, 생명령, 영인간``이다. 슈타이너는 이 개념을 고대 인도의 지혜로 간주되는 ``마나스, 붓디, 아트만``과 연결시키고 있다. 슈타이너의 3원론은 4구성체가 바탕이 되고 있다. 4구성체설은 다른 요소들에 비해 구체적인 접근이 가능한 것으로서 슈타이너의 인지학의 바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자아에 의해 영화된 3요소는 상키야와 베단타 철학과 유사한 맥락을 보이고 있다. 슈타이너의 인지학에는 동서양이 통합되어 있으며 슈타이너의 독자적인 개념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그의 인지학의 접근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그의 인지학에 스며있는 인도철학적 요소들을 추적해 보는 작업은 슈타이너의 인지학 이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the general academic tendency that we search the root of Steiner`s thought from Goethe. However this viewpoint sometimes overlooks the elements of Indianphilosophy that are permeated to Steiner`s Anthroposophie. In the Steiner`s Anthroposophie, the elements of Indianphilosophy are permeated clearly. Steiner`s Anthroposophie is based on the reincarnation(samsara) and the rule of action (karma), both of them apply to his educational practice. The Steiner`s four composed body theory shares the thread of the five layers(panca-kosa) in the Taittiriya Upanisad. Steiner adduces four kinds as the four composed body(the physical body, the etheric body, the astral body and the self body). In the Taittiriya Upanisad, the five layers which are annarasamaya-self, pranamya-self, manomaya-self, vijnanamaya-self and anandamaya-self are adduced. Cosidering their essentials, three composed body(the physical body, the etheric body and the astral body)which are adduced by Steiner are homologized with the three layers(annamaya-self, pranamya-self and manomaya-self), and the self-body close vijnamaya-self. Anandamaya-self can not be extended to the four composed body Beacause it is the final stsge, but can trace Steiner`s seven constitution theory. The whole man whom Steiner adduce is the man who fulfill seven elements-the physical body, the etheric body, the astral body, the self body, the spirit-self, the life-spirit and the spirit-man. That is, Steiner`s whole man is the completed man who is based on the four composed body as foundation-body and fulfills them which are spiritualized by the self. These spiritualized three are the spirit-self, the life-spirit and the spirit-man, which are inherent in human and spiritual states. Steiner says that ancient indian sages mentioned the spirit-self, the life-spirit and the spirit-man as ``Manas``, ``buddhi`` and ``Atman``, so he illuminates these connections with ancient Indian wisdom. The Steiner`s tree primary theory is based on the four composed body. The four composed body theory can be approached concretely as compared with the other elements and can be said as the foundatin of Steiner`s Anthroposophie. The four composed body theory is similar with the ancient India`s the five-layers(panca-kosa). Morever, the Tree-Elements which are spiritualized by the self share same threads with Sankhya and Vedanta philosophy. In Steiner`s Anthroposophie, the East and the West are combinded, and Steiner`s own conceptions are included. Because of that, we are in the trouble approaching to his Anthroposophie. So, the approach from comparative study can provide a clue for the truth. Tracing Indianphilosophic elements that are permeated in Steiner`s Anthroposophie is expected to give a guide for understanding of his Anthroposophie.

      • KCI등재

        바가바드기따(Bhagavadgītā)의 보편성 : 까르마요가(karma-yoga)를 중심으로

        이거룡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9

        The Bhagavadgītā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Gītā) is perhaps the most famous, and definitely the most widely-read, religious text of ancient India, which is contained in the Bhīṣma-parva of the Mahābharata, the greatest Sanskrit epic. The Gītā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xts that define the essence of Hinduism, and all over the world Hindus chant from The Gītā during most of their religious ceremonies. Mahātmā Gāndhi calls it "the universal mother whose door is wide open to anyone who knocks," and further says that "a true votary of the Gītā does not know what disappointment is. He ever dwells in with perennial joy and peace that passeth understanding." The Gītā deals with metaphysics, religion and ethics, and has been rightly called the 'Gospel of Humanity.'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popularity of the Gītā in India as well as throughout the world, centering on karma-yoga,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essages of the Gītā. First of all, we can find out the basis of universal popularity of the Gītā l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Kṛṣṇa, the most venerated and popular of the incarnations of Lord Viṣṇu. Because Kṛṣṇa was originally a primitive non-Aryan god and became an avatāra of Viṣṇu, he could be acceptable to both Aryans and non-Aryans. Also, as Puruṣottama, Kṛṣṇa in the Gītā has dual characteristics of Īśvara and Brahman, and therefore He is regarded as the meeting point of personal theism and impersonal monism which are the two mainstream of Indian philosophy. Karmayoga makes the Gītā the 'Gospel of Humanity.' As the Gītā said, "None can ever remain really actionless even for a moment."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abstain from action. The universe itself depends on actions. Work keeps up the cycle of the universe and it is the duty of every individual to help it. Karmayoga is the way of renunciation in action. The Gītā points out that the binding quality of an action does not lie in its mere performance but in the motive or desire that prompts it. Karmayoga is not negation of action, but performance of actions in a detached spirit. Again, karmayoga in the Gītā is not opposed to jñānayoga. In fact, the former is possible only when the latter is attained. The Gītā represents a unique synthesis of action and knowledge. I also pointed out that because The Gītā instructed niṣkāmakarma (desireless action) or karmayoga on the basis of the law of karma it could get the universal popularity. 이 논문의 목적은 바가바드기따가 인도에서 뿐만 아니라 서양과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히는 근거를 규명하는 것이다. 우선 기따가 인도 안에서 계급과 지역을 초월하여 널리 읽힐 수 있는 근거는 무엇보다도 기따의 주신(主神)인 끄리슈나(Kṛṣṇa)가 지닌 보편성에서 찾을 수 있다. 끄리슈나는 아리야(Ārya)적인 요소와 토착적인 요소를 동시에 지니며 또한 인도의 유신론전통과 초신론(超神論, super-theism)전통을 동시에 지닌다. 이런 까닭에 끄리슈나는 인도의 모든 사람들에게 거부감이 없는 신일 수 있었으며, 기따의 가르침 또한 인도의 모든 대중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로 다가갈 수 있었다. 기따의 뿌루숏따마 개념이 궁극적 실재의 인격적 측면과 중성적 형이상학적 실재로서의 측면을 구유(具有)한다는 점에서 보면, 기따의 궁극적 실재는 인도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모든 종교전통이 추구해온 궁극적 실재 개념의 접점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기따가 인도를 넘어 범인류적인 구제의 도를 전하는 고전일 수 있는 근거는 기따의 주요 가르침인 까르마요가(행위의 길)에 있다. 까르마요가는 행위 속에서 행위의 초월 또는 행위로 업을 없애는 ‘행위의 기술’이다. 살아있는 한, 행위는 모든 사람이 겪는 보편적인 현상이며, 까르마요가는 지식이나 신에 대한 헌신이 아니라 행위를 통하여 삶의 궁극적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범인류적인 보편성을 지닌다. 해탈에 이르는 길이라는 점에서 까르마요가는 까르마의 법칙과 상충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나, 까르마요가는 오히려 까르마의 법칙을 그 전제로 수용하면서 까르마의 초월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보다 광범위한 보편성을 지닐 수 있다.

      • KCI등재

        힌두이즘의 기원에 대한 재조명__힌두교는 동인도회사(EIC)의 발명품인가?__

        박수영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7

        Hinduism is the world's third largest religion. It is an Indian religion and dharma, or way of life, widely practised in the Indian subcontinent and parts of Southeast Asia. Hinduism has been called the oldest religion in the world. However many scholars, such as R. King, argue that Hinduism was created by British scholars and administrators in the early 19th century. D. Lorenzen et al., On the other hand, argue that it was formed gradually through long-term mutual interactions rather than being suddenly created by certain groups at certain tim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examine the validity of Hinduism as a British invention in the early 19th century, just as a persuasive argument that India as a political unit in modern times is an ideological creation of the British Empire. For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look at the situation of India just before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his is because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East India Company, which was only a private trading company, directly ruled India, is a major turning point in the British policy towards India. At that time, the intellectual atmosphere of the East India Company was mainly the tolerance of the Enlightenment. However, for the same Indians,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British attitude toward Muslims and Hindus. Furthermore, A. Dow and C. Wilkins and others want to keep the Hindu hierarchy for effective colonial rule. In this circumstance, the Judicial Plan by W. Hastings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formation of modern Hinduism. Accordingly,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Judicial Plan of 1772 and its impact on Hinduism. 힌두이즘은 세계에서 3번째 규모를 자랑하는 종교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인도의 종교이자 다르마 또는 생활방식으로써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의 여러 곳에서 폭넓게 신행되고 있다. 그런데 W. C. 스미스 이후 다수의 학자들은 힌두이즘이 19세기 초에 영국의 학자 및 식민행정 관리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D. 로렌젠 등은 특정 시기에 특정 집단에 의해 갑자기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장기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본고에서는 현대에 구축된 정치적 통일체로서의 인도가 대영제국의 이념적 창조물이라는 설득력 있는 주장처럼, 힌두이즘도 19세기 초 영국의 발명품이란 주장이 타당한지에 대하여 재조명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를 위하여 19세기 초가 아닌 그 직전의 인도상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18세기 후반은 사설 무역회사에 불과했던 동인도회사가 인도를 직접 통치하게 되면서 영국의 대인도정책이 급변한 대전환기이기 때문이다. 당시 동인도회사의 지적 분위기는 계몽주의적 관용정신이 주된 흐름이었다. 그렇지만 같은 인도인들에 대해서도 무슬림과 힌두에 대한 영국의 태도는 명백한 차이가 있었다. 더 나아가 A. 다우, C. 윌킨스 등은 효율적 식민통치를 위하여 힌두의 카스트 전통을 지키고자 한다. 이런 분위기에서 W. 헤이스팅스가 실시한 사법개혁은 근대 힌두이즘의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1772년 사법개혁의 전후사정과 그것이 힌두이즘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 KCI등재

        샤이바(Śaiva) 전통에서 『스바찬다딴뜨라』 (Svacchandatantra)의 문헌적 위상 연구 (1) __전승본 비교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 방법론 재고__

        방정란 인도철학회 2022 印度哲學 Vol.- No.65

        인도 샤이바 딴뜨라에서 만뜨라삐타(Mantrapīṭha) 전통은 쉬바(Śiva) 신의 분노 형상인 바이라바(Bhairava) 숭배를 주요한 특징으로 삼는다. 이 전통의 문헌 중 하나인 Svacchandatantra는 스바찬다바이라바(Svacch-anda-bhairava)와 그의 배우자 여신인 아고레슈바리(Aghoreśvarī)의 숭배를 교설하는 핵심 경전이다. 이 문헌은 샤라다 서체로 쓰인 북인도 카슈미르 지역의 사본을 중심으로 편집된 KSTS(Kashmir Series of Texts and Studies) 출판본을 통해 소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북인도 사본 이외에도 네팔에서 이 경전은 Svacchandalalitabhairavatantra라는 이름으로 다수의 고층 범어 패엽 사본을 통해 전해지고 있으며, 남인도 사본들도 다수 남아 있다. 즉, 북인도와 남인도, 그리고 네팔본이라는 세 개의 전승본의 존재는 이 문헌이 인도 전역에 광범위하게 전파, 유통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본고는 Svacchandatantra에서 발견되는 유사 구문의 분석을 통해 이 문헌이 샤이바 싯단따의 Niśvāsa 집성(corpus) 일부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으며, 그 이후 샤이바의 여신지향 비드야삐타(Vidyāpīṭha)의 뜨리까(Trika) 전통의 경전 중 하나인 Tantrasadbhāva에도 다시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더하여 이 경전들이 평행, 유사 게송을 공유하면서도 어떻게 그 안에서 고유의 교설을 반영시키고 있는지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샤이바 문헌의 전승본들(recensions) 연구와 관련된 과제를 재고함으로써, 종교 전통의 발전과 확장을 어떻게 텍스트 분석을 통해 추적할 수 있는지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