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전 · 그래픽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무엇을 연구할 수 있는가?

        강지우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 디자인연구소 2022 창의융합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비전 그래픽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 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공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교육 예체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기반을 가진 연구자들에게 비전 그래픽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의미 있는 연구 사례들을 공유하여 인공지능을 통해 무엇을 해볼 수 있는지 어떤 융합을 진행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보고자 한다.

      •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조은채,진미경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연구소 2024 창의융합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ECR-R),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PSPS-K),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척도(ASTPH)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Hayes(2013)의 Process Macro v 4.2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불안정애착(회피애착, 불안애착),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의 하위요인인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여향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불안정애착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수준이 중요함을 증명함으로써 개인의 애착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개입해야 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insecure attachment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conclusion, this study facilitates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Furthermore, by proving that the level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is important for increasing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flexibly intervene according to individual attachment strategies.

      • 디지털 융합 신발 산업 성장을 위한 성인여성의 신발 구매 및 착용 실태에 대한 분석

        정희원,임호선,이종규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연구소 2024 창의융합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온택트 방식으로의 소비환경 변화에 상응하기 위해 디지털 융합 신발 산업에게 요구되는 신발 소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성인여성의 발 유형, 신발 구매 및 착용실태, 발의 불편한 사항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 S소재 대학교 학생 및 교직원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 유형은 엄지발가락이 긴 이집트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화와 구두 사이즈는 240-245mm를 많이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집단과 대학원생/교직원 집단 간의 신발 구매 및 착용 실태조사 결과, 연 평균 신발 구매 비용, 신발 종류, 선호하는 소재, 구두 소유 개수, 구두 및 운동화 착용 횟수에서 p<.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대학원생/교직원 집단이 대학생 집단보다 구두 구매 비용 및 착용 횟수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구두 종류별 선호도에서는 로퍼, 플랫슈즈, 메리제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동화 종류별 선호도는 캐주얼 스니커즈, 런닝화, 워킹화 순으로 나타났다. 신발 구매 시 가장 우선시하는 것은 착화감, 디자인, 가격 순으로 나타났고, 구매장소는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주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발 착용 시 과반수 이상이 불편함을 경험하였으며, 특히 발이 피곤하고 발가락이 아픈 것에 대한 불편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발 부위별로 살펴보면, 새끼발가락, 엄지발가락 뼈돌출, 새끼발가락 뼈돌출 부위에서 가장 불편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발바닥에서는 앞쪽(전족부) 부위에서 불편함을 나타냈다. 신발 착용으로 인한 발 변형의 경우에는 발에 맞지 않는 사이즈가 주된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착화감과 디자인을 고려한 합리적 가격의 신발을 선호하나, 발 형태를 반영하지 않고 제작된 신발들로 인해 발 변형을 겪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shoe consumption for the digital convergence footwear industry to cope with the shift to on-contact consumption with the accele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foot type, footwear purchases and wearing status, and footwear discomfort among 3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faculty, and staff in Seoul.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gyptian type was the most common, and the most popular sneakers and shoe sizes were 240–245 m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 < .01) in the annual average footwear purchase cost, footwear type, preferred material, number of shoes owned, and number of shoes and sneakers worn between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faculty and staff groups. In particular, the postgraduate/faculty and staff groups had higher shoe purchase costs and numbers of shoes worn than the undergraduate group. Third, in terms of preference by shoe type, loafers, flat shoes, and maryjanes were the most popular, in that order, and preference by sneaker type was in the order of casual sneakers, runners, and walking shoes. The priority when purchasing shoes was fit, design, and price, in that order, and the place of purchase was mainly online rather than offline. Fourth,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omfort when wearing footwear, especially when their feet were tired and their toes hurt. In addition, discomfort was common in the areas of the little toe, the big toe bone protrusion, and the baby toe bone protrusion, and the sole of the foot showed great discomfort in the front (paw) area. The main cause of foot deformation due to footwear is an improper size for the foot. These results confirm that consumers prefer reasonably priced shoes considering the fit and design, but suffer from foot deformation due to shoes made without reflecting the shape of the foot.

      • A Study on Integrating Futures Thinking into the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for Wearable Technology

        JI SUN LEE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연구소 2024 창의융합연구 Vol.4 No.1

        The impact of wearable technology on our lives has significantly expand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ighlighting its importance as an area for future development.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design methodology for developing wearable technology that is more convenient, useful, creative, and innovative from the user’s perspective. First, it analyzes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wearable technology, identifying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fashion and the need for an enhanced UX (user experience) design. It also emphasizes the application of Futures Thinking to foster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ideas. Second, it compares different approaches to fashion, design, and technology in the context of wearable technology. By merging elements from these fields, a new design methodology is proposed. Third, a wearable technology design workshop was designed and conducted to apply and refine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a comprehensive methodology for designing wearable technologies. This approach underscores the crucial role of design in technology-related convergence fields and has significant soci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both academic research and the industrial sector. 웨어러블 테크놀로지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크게 증폭되었으며, 미래 발전 분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관점에서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개발하기 위한 향상된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째, 웨어러블 기술의 발전 궤적을 분석하여 패션의 중요성의 증대와 UX(사용자 경험) 디자인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한다. 또한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촉진하기 위한 미래 사고의 적용을 강조한다. 둘째, 이 연구는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의 맥락에서 패션, 디자인, 기술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비교한다. 이를 통하여 각 분야의 요소를 융합하여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한다. 셋째,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하고 구체화하기 위해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디자인 워크숍을 기획하고 진행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웨어러블 테크놀로지 개발을 위한 종합적인 방법론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테크놀로지 관련 융합 분야에서 디자인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며, 학술 연구와 산업 분야 모두에 중요한 사회적, 실무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 애자일 방법론을 이용한 사용자 멘탈모델 연구: 유아 영양 식단 구성 앱을 중심으로

        이규진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연구소 2023 창의융합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사용자가 과업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다양하여 니즈가 복합적으로 존재할 때, 최적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사용자 멘탈모델 이론과 애자일 프로세스를 융합한 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분석 방법론에 대한 문헌조사를 진행하였고, 사용자 멘탈모델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사용자의 니즈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인 ‘유아 영양 균형 식단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 멘탈모델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멘탈모델을 바탕으로 앱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애자일 방법론을 융합하여 반복적인 평가와 수정 과정을 거쳐 사용자 멘탈모델을 정교하게 반영한 UX 디자인을 완성하였고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니즈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멘탈모델 구축을 통해 추측을 배제하고 정확한 사용자 태스크를 설계함으로써 디자인 방향성을 명확하게 할 수 있었다. 둘째, 애자일 방법론을 활용한 UX 디자인 개발을 통해서 사용자 멘탈모델과 구체적으로 일치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셋째, 사용자의 니즈가 복합적인 UX 디자인 개발에 있어, 사용자 멘탈모델과 애자일 방법론을 융합한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디자인의 완성도는 높이고 개발 시간은 절약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이 사용자의 니즈와 태스크가 복합적인 다양한 주제의 UX 디자인 개발 과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methodology that combines user mental model and agile process to efficiently design optimal user experience when users have various needs due to various purposes that they want to achieve in the situation of task. To this end, a literature survey on the user analysis methodology was conducted, and the effect of the user mental model was identified. The user mental model was designed with a focus on the 'composition of an infant nutrition balanced diet', a situation in which user needs exist in combination. Based on the designed mental model, a prototype of the app was created and the agile process was fused to complete user experience design that elaborately reflected the user mental model through repeated evaluation and developing processes, and the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when user needs exist in combination, the design direction could be clarified by excluding speculation and designing accurate user tasks through the user mental model. Seco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UX design using the agile process, a user experience design that specifically matches the user mental model was completed. Third, in the development of UX designs with complex user needs, the design methodology that combines the user mental model and the agile process could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design and save time. It is hoped that this methodology will help the UX design development process of various topics in which user needs and tasks are complex.

      • 대학 무용전공자의 예술인복지법 현황 및 인식도 조사

        하지원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 디자인연구소 2022 창의융합연구 Vol.2 No.1

        Contemporary society’s culture and art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nation’s power. However, unlike the culture and arts that chang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rights of the artists and the welfare system for them have not been provided with realistic aids. The Artist Welfare Act was enacted in 2011 for the basic status and rights of artists, which had been neglected, and the Korea Artist Welfare Foundation was also established. Thereafter, measures have been taken for the artists’ welfare such as promotion of numerous businesses and various system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However, the dance field, where the focus is creative activities, still suffers from difficulties such as the limitation of measuring working hours and difficulties in securing social insurance. These facts describe the negative reality of the dance field and the vulnerability for the lack of social protections. Therefore, unless there are practical policy improvements that reflect the current situation, it will be difficult to reap the benefits of the artist welfare system in the futu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atus and awareness of the Artist Welfare Act for dance major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wareness of the Artist Welfare Act of Dance Majors” question, “I have heard of it, but I do not know the content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Second, regarding “the path I found out about the artist welfare project,” “I don't know at all” was the foremost response. For “the project that I participated in or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supporting fund for artistic creation,” “artist pass,” and “proof of artistic activity” got the highest response. Third, for “the most necessary welfare for dance artists,” “supporting fund for artistic creation” was the leading answ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llege dance majors are in a state of insufficiency in overall awareness related to the Artist Welfare Ac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e greatest interest in economic welfare through dance performance projects, such as “supporting fund for artistic creation” and related support system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artistic activities and economic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ollege dance majors are closely related. Thus,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artistic choreographic activities of university dance majors, suggesting means to promote them and improving their living stability. These findings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lture and arts industry as a foundation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creative fusion of dance and artistic activities.” 본 연구는, 대학 무용전공자들의 무용예술창작활동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며, 무용예술창작활동 증진 및 생활안정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현 시대의 문화예술은 개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에 큰 기여를 하며 국력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급변하는 사회에 맞추어 변화하는 문화예술과는 다르게 예술인의 권리 및 이들을 위한 복지제도는 현실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 간 등한시되어온 예술인의 기본적 지위와 권리를 위한 사안으로 2011 년 예술인복지법이 제정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설립되었다. 이후 고용보험법 개정을 통한 다양한 사업 증진, 각종 제도 등 예술인 복지정책을 위한 움직임이 마련되었지만, 창작활동이 주된 무용분야는 작업시간 책정의 한계 및 사회보험 보장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를 여전히 겪고 있다. 위와 같은 사실은 제도적 보호에 취약한 무용분야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현 상황을 반영하는 실질적인 정책 개선이 없다면 앞으로도 예술인복지제도의 수혜를 받기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예술인복지법 현황 및 인식도 조사를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예술인복지법 인식’ 설문의 결과는 ‘들어본 적은 있지만 내용은 잘 모른다’가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둘째, ‘예술인복지사업을 알게 된 경로’는 ‘전혀 모른다’가 가장 높았으며, ‘시행사업 중 참여했거나 참여하고 싶은 사업’의 설문 결과는 ‘창작준비금 지원’ 및 ‘예술인패스’, ‘예술 활동 증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용예술인을 위해 가장 필요한 복지’의 결과를 살펴보면 ‘예술활동 창작 준비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 무용전공자들은 예술인복지법과 관련된 전반적인 인식이 미비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술활동창작준비금이나 관련 지원제도와 같은 무용공연사업을 통한 경제적 복지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이는 대학 무용전공자들이 체감하는 예술활동의 현실적인 어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이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 ‘이상한 나라’의 찰스 도지슨: 루이스 캐럴이 꿈꾸는 창의적 개인과 사회

        류연지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연구소 2024 창의융합연구 Vol.4 No.1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은 19세기 영국사회에서 학식을 갖춘 백인 남성임에도 주류 집단에 속하길 거부했던 찰스 도지슨(Charles Dodgson)의 필명으로, 그는 새 이름을 내세워 당시 지배 가치에 반하는 새로운 이야기들을 하기 시작한다. 1865년 첫 출간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 in Wonderland)는 캐럴의 대표작으로 출간과 동시에 그를 영국의 위대한 작가 반열에 오르게 하며, 후속작 「거울 나라의 앨리스」(Through the Looking Glass and What Alice Found There)를 탄생시킨다. 본고는 두 작품에서 개인과 사회의 모습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이상한 나라’와 ‘거울 나라’라는 기존 사회가 규정한 지식과 질서가 철저히 차단되고 전복된 상상의 나라들을 그리면서 도지슨/캐럴은 ‘틀’ 안에 갇힌 우리사회를 보게 하며, 그 안에서 혼란을 겪는 앨리스에게서 우리 개개인의 모습을 보게 한다. 본고는 보편의 개인을 대표하는 앨리스가 마주하게 된 새로운 세상이 그녀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 관찰하고 있다. 그리고 두 나라를 거친 뒤 다시 현실로 돌아와 일상을 살게 되는 앨리스를 통해 도지슨/캐럴이 꿈꾼 새로운 지식과 질서가 허용되고 자유로운 사고가 가능한, ‘창의적’ 개인과 사회에 대해 고찰한다. This study analyses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and Through the Looking Glass and What Alice Found There as representative of 19th-century British children’s literature. Lewis Carroll is the pen name of Charles Dodgson, the author of both works. As an educated white man in English society at the time, Dodgson was expected to be part of the mainstream, but he refused. He spent most of his time with children rather than in intellectual company, making up stories to tell them, which led to the publication of the Alice stories. The Alice series reflects the 19th century British society, and through these works Carroll criticises the dominant social order and values of the British Empire. This paper examines Carroll’s critique of the society of his time and his new vision of the creative individual and society through the ‘Underground World’ and the ‘Mirror World,’ where the dominant British order is thoroughly blocked and subverted.

      • 유아의 발레체험을 위한 인공지능 튜터 시스템 기획

        이예슬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 디자인연구소 2022 창의융합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따라 유아의 비대면 발레 체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머신러닝 기반으로 유아의 포즈를 인식하여 그와 유사한 발레 동작을 인공지능 튜터가 시연함으로써 유아가 아바타를 통해 자연스럽게 발레를 체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기획하기 위하여 비대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 무용 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유아를 위한 인공지능 튜터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향과 세부 절차를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관련 연구 자료에서는 무용 동작의 데이터화, ICT 기술을 융합한 초연결 · 초지능 · 초실감적인 발레 실기 교육, 율동 로봇과 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 온라인 교육에 즉각 반응할 수 있는 일치성이 강조되었으며, 실제 개발 사례에서는 아바타를 통한 증강현실 기반의 창의 발레 교육, 인공지능 기반 클래식 발레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련 연구 및 사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첫째, 아바타 생성, 둘째, 인공지능 튜터와의 상호작용, 셋째, 유아의 포즈 인식, 넷째, 발레 동작 시연 및 따라하기, 다섯째, 유아의 움직임을 기록한 동영상 감상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더불어 해당 서비스를 실제 구현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을 통해 향후 교육산업 현장에서 이와 관련된 무용 체험 및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발레를 통한 유아의 건전한 성장 발달과 발레 예술의 저변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 non-face-to-face ballet experience system for toddlers according to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encourage toddlers to naturally take in ballet through avatars by recognizing their poses based on machine learning, which in turn providing similar ballet movements demonst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utors. In order to pla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ok at non-faceto-face cases of early childhood dance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detailed procedures for develop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tutoring system for youngsters. As a result, related research data emphasized the datafication of dance movements, hyper-connected, superintelligence, surreal ballet practical education blended with ICT technology, and the importance of rhythmic robot and infant interaction. Existing cases of non-face-toface ballet education were studied, which were found to include augmented reality-based creative ballet education and AI-based classic ballet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lated studies and case studies, the running process of this system consisted of first, avatar generation, second, interac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utor, third, pose recognition of kids, fourth, ballet movement demonstration and dancing, and fifth, video watching. In addition, a guide for implementing the service was presented. Through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on the development of dance experience and educational system related to this in the educational industry in the futur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sound growth of toddlers and expansion of ballet art.

      • KCI등재후보

        A Holistic Approach to Enhancing User Experience with AI-Driven UX in a Diet App: Case Study of the ‘Endiet’ application

        나유미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연구소 2024 창의융합연구 Vol.4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gration of User Experience (UX)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development of ‘Endiet’, an innovative application aimed at enhancing obesity management. Current health applications often lack personalized care, leading to suboptimal user engagement and health outcomes. ‘Endiet’ addresses these challenges by leveraging AI to offer adaptive and intuitive UX design, thereby providing a holistic approach to obesity management. Through comprehensive user research, including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identifies key user needs and preferences, informing the design and functionality of the app. The AI-driven features of ‘Endiet’ include personalized diet plans, real-time feedback, and predictive health insights, which collectively aim to improve user adherence and health results.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combining AI with user-centered design to create effective health application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by showcasing a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I in personalized healthcare, offering insights into future developments in health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