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정보연계성의 함의와 환경인문학의 역할 ― 친환경 식량생산과 음식문화

        김대영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2

        Recently, environmental humanities which try to respond to anthropocene environmental degradation mainly pursue to enhanc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Environmental humanities try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phenomena and to make up proper policies with Interdisciplinary study and to encourage the public actively to participate in the policies. These rol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be supported by information-connectednes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though industrial revolution might cause recent anthropocene issues, new kind of information-connectedness can challenge the existing limit of industry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is study, therefore, scrutinizes how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enhanc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with information-connectedness, especially, for alternatives of food production system and culinary culture. Studi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for agriculture and related culture can be important because these studies can giv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eoretically,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dismantle dichotomy between human and nature with agricultural perspective. Practically, it can suggest realistic alternatives for human-nature symbiosis. So, studi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for local agriculture and culinary culture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onds for anthropocene era. This kind of study can give some space to discuss how human can coexist with nature through enhancement of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in environmental humanities as well as, can expand the horizon of study of environmental literature with various genres. 최근 환경인문학은 인류세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학제간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추구한다. 환경인문학의 학제간 연구는 현 상황을 정확하게 규명하여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게 하며, 대중과의 소통은 환경문제 대응책에 대중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인문학의 시대적 역할은 4차 산업혁명의 정보연계성으로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비록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현재의 환경문제의 요인일 수 있지만, 정보연계성은 기존 산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한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인문학이 정보연계성으로 어떻게 학제간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는지, 특히 대안적 식량생산방안을 학제간 연구로 접근하여 대중에게 소개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지역농업과 요리문화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연구는 환경문학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현재의 환경문제에 인문학적 통찰력과 대중의 환경인식고취를 추구하는 환경문학연구는 환경인문학의 다 학제간 연구로 인간-자연의 이분법적 경계를 허물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농업방식과 요리문화를 타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식량생산과 활용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연구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논의하여 현 인류세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인문학이 4차 산업혁명의 정보연계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계와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방안을 논의할 뿐 아니라, 환경문학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에 대한 검토

        오현진(Oh, Hyeon-jin) 문학과환경학회 2017 문학과 환경 Vol.16 No.2

        이 연구에서는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 중인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환경 교육이 자연과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인문학적, 사회과학적, 예술적 측면 등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전제에서 국어 교육과의 통합 지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교과서에는 당시 환경 정책이나 주류 이론이나 이슈 등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환경 교과서를 검토해 봄으로써 국어교육 상황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이나 환경 교육과 통합 교육이 이루어질 때의 접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환경 교과서들은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 및 영역별 교육 내용을 충실히 담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학이나 환경 공학 등 자연과학적 측면의 이론적 지식이 주로 제시되어 있어, 환경 문제에 대한 통합적 인식이나 가치관 변화를 기반으로 한 환경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실천이나 지속적인 행동을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생태인문학적 내용이 보완되어야 하며, 환경 감수성 및 가치관, 태도등 정의적 영역을 길러줄 수 있는 다양한 문학 작품 및 토론 논제 등이 발굴, 제시되어야 한다. 사회과나 과학과와 변별될 수 있는 환경이나 생태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안목이나 통합적 관점 제시함으로써 교과로서의 독자성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환경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선집 발간, 주제별 또는 상황별 작품 발굴 및 정리, 국어 능력을 기반으로 한 환경 교육 방법 및 활동 구안 등을 통해 현재 환경 교육에서 부족한 국어교육적 접근이나 정의적 영역에 대한 보완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fic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and Green Growth〉, the textbook that is currently in use in middle schools. In the sense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not only be carried out in natural science but also be integrated with humanistic, social science, and artistic aspect,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point of integration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al textbooks faithfully follow the content system and contain the contents of different subjects specified in the curriculum. However,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natural sciences such as environmental scienc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s mainly presented, so there is the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take active action or continuous efforts on environmental problems based on the integrated awareness or changes of value concerning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lac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the affective area in the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by publishing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inding and organizing works by themes or situations, and seeking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and activities based on Korean language abilit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정보연계성의 함의와 환경인문학의 역할

        김대영(Kim, Dae-young)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2

        최근 환경인문학은 인류세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학제간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추구한다. 환경인문학의 학제간 연구는 현 상황을 정확하게 규명하여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게 하며, 대중과의 소통은 환경문제 대응책에 대중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인문학의 시대적 역할은 4차 산업혁명의 정보연계성으로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비록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현재의 환경문제의 요인일 수 있지만, 정보연계성은 기존 산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한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인문학이 정보연계성으로 어떻게 학제간 연구와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할 수 있는지, 특히 대안적 식량생산방안을 학제간 연구로 접근하여 대중에게 소개하는 방안을 탐색한다. 지역농업과 요리문화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연구는 환경문학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현재의 환경문제에 인문학적 통찰력과 대중의 환경인식고취를 추구하는 환경문학연구는 환경인문학의 다 학제간 연구로 인간-자연의 이분법적 경계를 허물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농업방식과 요리문화를 타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식량생산과 활용에 대한 환경인문학적 연구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논의하여 현 인류세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인문학이 4차 산업혁명의 정보연계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계와 대중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방안을 논의할 뿐 아니라, 환경문학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것이다. Recently, environmental humanities which try to respond to anthropocene environmental degradation mainly pursue to enhanc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Environmental humanities try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phenomena and to make up proper policies with Interdisciplinary study and to encourage the public actively to participate in the policies. These rol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be supported by information-connectednes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though industrial revolution might cause recent anthropocene issues, new kind of information-connectedness can challenge the existing limit of industry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is study, therefore, scrutinizes how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enhance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with informationconnectedness, especially, for alternatives of food production system and culinary culture. Studi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for agriculture and related culture can be important because these studies can giv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eoretically, environmental humanities can dismantle dichotomy between human and nature with agricultural perspective. Practically, it can suggest realistic alternatives for human-nature symbiosis. So, studies of environmental humanities for local agriculture and culinary culture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onds for anthropocene era. This kind of study can give some space to discuss how human can coexist with nature through enhancement of interdisciplinary study and public communication in environmental humanities as well as, can expand the horizon of study of environmental literature with various genres.

      • KCI등재

        대학 생태환경 교양교육을 위한 교육 방안 모색

        오현진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2

        이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교양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생태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것의 의의와 한계를 검토하는 데 목표가 있다. 학교 주변의 생태를 탐방하는 경험을 통해 자연에 대한 가치와 인간의 책무를 체득하는 ‘생태 체험형 교육’과 생태적이고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실생활에서 체험한 뒤 그 변화를 스스로 점검하고 확인하는 데 주안을 둔 ‘생활 실천형 교육’이 있다. 그리고 문학작품이나 책을 읽으면서 발견한 생태 문제를 관련 텍스트를 읽고 토의하는 과정에서 심화・확장한 뒤 글로 표현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내면화하는 ‘영역 융합형 교육’과 오늘날 현실 세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문제를 팀 프로젝트를 통해 함께 이해하고 해결 방안을 찾아가는 학습자 주도의 교육 방법인 ‘학습자 주도의 프로젝트형 교육’도 있다. 이와 같은 교육 방법들은 대학 교육 환경이나 강의실 상황에 따라 제약을 받을 수 있으므로 대학 생태환경 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대학 교육으로서 독자성과 초중등 환경교육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학 생태환경 교육의 거시적인 목표에 대한 학술적, 교육적 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생태환경에 대한 이론 강의를 바탕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 시작하는 교육 방법을 대신할 다양한 유형의 교육 방법과 모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대학 생태환경 교육이 이뤄낸 교육적 성과를 정리하고, 대학 생태환경 교육만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학술적, 교육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환경 인문학 담론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 연구

        차봉준(Cha, Bong-Jun)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3

        환경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대안 모색을 위해서는 관련 학문들 간의 유기적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대학 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문제에 대한 종합적 인식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교육과정 제공이 어느 때보다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 단일 학분 영역에서 제각각 제공되고 있던 환경 담론을 보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 변화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동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운동의 역사와 현재적 중요성을 짚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환경 교육의 담론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시론적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또한 S대학에서 2013학년도부터 개설한 〈환경과 인문학〉 강좌의 교과과정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적 담론이 어떻게 환경문제 인식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환경철학, 환경신학, 환경문학의 틀에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대학 교과과정에서의 환경 인문학적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아울러 문학교육을 통한 환경 인문학적 사유의 형성 가능성에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가 지닌 의미이다. For diagnosis for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and search for alternative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disciplines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curriculum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these problems is strongly required in university education. 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in order to open possibilities to approach with various dimension for environmental discourses which have been offered from every single field. To cope with this changed circumstance and need,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y of environmental movements and the recent meanings of those through preceding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an experimental approach for which direction the discour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an develop to in various fields. Also, it suggests how the poetic discourse can contribute to environmental awareness under the frame of ecosophy, ecotheology, and eco-literature in the case of educational curriculum for “Environment and Humanities” opened since 2013 in S universit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expect proliferation of consensus for need of Environmental Humanities in the university’s curriculum, and to set the possible basis of forming environmental humanistic thought through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환경 역량강화를 위한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 동국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윤재(Kang, Yunjae)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2

        이 글은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찾기 위한 출발점으로, ‘환경 역량강화’라는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환경문제가 단순한 참여를 넘어서서 문제해결 역량을 갖추는 것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환경 관련 활동 및 정책에서도 전문성에 포획되지 않고 시민적 자율성을 유지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동국대의 환경 교양교과목인 〈지구, 환경, 공생〉에서 비롯되었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주요한 이론적 개념은 ‘환경 역량강화’와 ‘시민과학’이다. 전자가 환경 교양교육의 목표라면, 후자는 유용한 수단이자 새로운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 사례로는 동국대의 교양수업인 〈지구, 환경, 공생〉에 주목하고 있고, 실패를 통한 학습의 차원에서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에 필요한 교훈을 도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국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 역량강화를 목표로 하고자 했을 때 요구되는 환경 교양교육의 과제를 시론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민과학의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look at the new direction and possibilities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Even though citizen engagement is regarded as having a key role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evaluated to be unsatisfactory in our case. In turn, we need good programs for civil education of environment, and, as part of those,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can be given as a good option. Based on the case study of 〈Earth, environment, symbiosis〉, the course of general education in Dongguk Univ., I try to search for the new direction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and explore what we have to do for good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suggest two key concepts: ‘environmental empowerment’ and ‘citizen science’. Especially, I want to focus on ‘citizen science’, because large parts of citizen science programs include in ecological research area and have a potential to be good tools for new direction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Based on my experience on running the course of 〈Earth, environment, symbiosis〉 and case studies on that course, I try to suggest some factors for reconstructing the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by interconnecting between citizen science programs and the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for environment in colleges. 이 글은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찾기 위한 출발점으로, ‘환경 역량강화’라는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환경문제가 단순한 참여를 넘어서서 문제해결 역량을 갖추는 것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환경 관련 활동 및 정책에서도 전문성에 포획되지 않고 시민적 자율성을 유지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동국대의 환경 교양교과목인 〈지구, 환경, 공생〉에서 비롯되었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주요한 이론적 개념은 ‘환경 역량강화’와 ‘시민과학’이다. 전자가 환경 교양교육의 목표라면, 후자는 유용한 수단이자 새로운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 사례로는 동국대의 교양수업인 〈지구, 환경, 공생〉에 주목하고 있고, 실패를 통한 학습의 차원에서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에 필요한 교훈을 도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국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 역량강화를 목표로 하고자 했을 때 요구되는 환경 교양교육의 과제를 시론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민과학의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look at the new direction and possibilities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Even though citizen engagement is regarded as having a key role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evaluated to be unsatisfactory in our case. In turn, we need good programs for civil education of environment, and, as part of those,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can be given as a good option. Based on the case study of 〈Earth, environment, symbiosis〉, the course of general education in Dongguk Univ., I try to search for the new direction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and explore what we have to do for good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suggest two key concepts: ‘environmental empowerment’ and ‘citizen science’. Especially, I want to focus on ‘citizen science’, because large parts of citizen science programs include in ecological research area and have a potential to be good tools for new direction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Based on my experience on running the course of 〈Earth, environment, symbiosis〉 and case studies on that course, I try to suggest some factors for reconstructing the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by interconnecting between citizen science programs and the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for environment in colle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