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CT 인프라 이상탐지를 위한 조건부 멀티모달 오토인코더에 관한 연구

        신병진,이종훈,한상진,박충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1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ICT 인프라의 이상탐지를 통한 유지보수와 장애예방이 중요해지고 있다. 장애예방을 위해서 이상탐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다양한 이상탐지 기법 중 최근 연구들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하고 있으며 오토인코더라를 활용한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오토인코더가 다차원 다변량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편 학습 시에는 많은 컴퓨터 자원이 소모되지만 추론과정에서는 연산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오토인코더에 2가지 요소를 가미하여 이상탐지의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먼저 다차원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속성별 특징을 최대한 부각하여 활용하기 위해 멀티모달 개념을 적용한 멀티모달 오토인코더를 적용하였다. CPU, Memory, network 등 서로 연관이 있는 지표들을 묶어 5개의 모달로 구성하여 학습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시계열 데이터의 특징을 데이터의 차원을 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하여 조건부 오토인코더(conditional autoencoder) 구조를 활용하는 조건부 멀티모달 오토인코더(Conditional Multimodal Autoencoder, CMAE)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CAME 모델은 비교 실험을 통해 검증했으며, 기존 연구들에서 많이 활용된 오토인코더와 비교하여 AUC, Accuracy, Precision, Recall, F1-score의 성능 평가를 진행한 결과 유니모달 오토인코더(AE)와 멀티모달 오토인코더(Multimodal Autoencoder, MAE)의 성능을 상회하는 결과를 얻어 이상탐지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특집논문 : 대중가요의 상징성 획득 과정 비교 연구-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

        박정경 ( Jeong Kyung Par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가 한 집단을 표상하는 노래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비교하는 데 있다. 아리랑과 말라이카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미는 한국과 아프리카의 근대화시기 사회 변화에 대한 고찰 없이 제대로 이해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아리랑이 민족의 노래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한 요인을 기존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독립을 전후한 시기 아프리카 사회 변화의 맥락에서 대중가요 말라이카가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노래로 알려지게 된 경위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가수들이 말라이카를 서구 세계에 유행시켜, 이 노래가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된 배경 역시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가 각각 한국인과 아프리카인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노래로 자리매김하게 된 배경에는 두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 나타난 대중문화의 부상이 있었다. 두 노래 모두 전통적 삶을 대체로 유지하던 향촌사회라기보다는 근대 도시 공간에서 대중문화의 형태로 일반대중 사이에 유행하면서 각각 한국과 동아프리카 사회에서 인지도를 높였다. 아리랑과 말라이카가 도시 대중문화의 토양에서 유행했다는 점은 유사하지만, 아프리카의 근대 도시는 한국의 도시와는 달리, "탈민족화"(de-ethnicization)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기도 했다. 파딜리의 <말라이카>가 동아프리카 도시의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이면에는 당시 도시 취향의 리듬과 멜로디에 교통어 역할을 하는 스와힐리어로 가사를 붙여 창작된 이 대중가요의 탈민족적 특성이 작용했다. 한국과 아프리카의 근대화는 제국주의 강점기라는 두 사회 공통의 역사와 겹쳐지며 진행되었다. 아리랑과 말라이카는 피지배 집단의 경험과 정서를 가사에 담아냄으로써 당시 한국인과 동아프리카인들로부터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1920년대 후반 영화 <아리랑>의 성공에 힘입어 당시 한국인의 고통을 대변하는 노래로 널리 인식된 아리랑은 이후 식민지 기간 내내 민족의 표상으로서의 지위를 한국 내에서 확고히 다졌다. 그러나 말라이카가 아프리카인의 집단 정체성과 밀착되는 현상은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가 아니라 디아스포라 아프리카인들 사이에서 일어났다. 전 세계적인, 특히 미국과 남아공의 인종차별 철폐 운동의 역사적 흐름에서 말라이카는 아프리카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노래로 서구 세계에서 재유행되었다. 이렇게 이 대륙 밖에서 아프리카의 노래로서의 지위를 획득한 말라이카는 다시 이 대륙 내로 역수입되면서 아프리카의 일반대중에게도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노래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의 사례를 통해 한 노래가 집단의 표상물로서의 상징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비교해 보았다. 한국의 아리랑이 민족국가의 틀 안에서 오랜 기간 유지해 온 공동체의식의 고취를 바탕으로 민족의 노래가 된 반면, 아프리카의 말라이카는 이질적인 집단들이 비교적 최근에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형성된 유대의식을 기반으로 아프리카의 노래가 되었다. For Koreans and Africans, Arirang and Malaika are considered as songs that symbolize their respective identi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ocess of how they became symbolic songs. The meaning of Arirang and Malaika in Korean and African societies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looking into social changes during modernization period.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e contributing factors of how the two songs became icons of Korea and Africa respectively.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rise of popular culture in urban areas is observed in the both Korean and African societies. Arirang and Malaika became well known to the Korean and African general public as popular songs. Modern cities in the colonial era in Africa were the places where different ethnic groups gathered around and new national identities were emerged. Popular songs in African cities were composed to be accepted to the general public regardless of their ethnic backgrounds. The de-ethnicized characteristic of Malaika contributed to its popularity among the East African people in the early 1960s. Arirang and Malaika were regarded as songs that carried oppressed people`s experiences and sentiments. While Arirang became the symbolic song of Korean nationality mainly in colonial Korea, Malaika began to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song for Africa outside the continent in the late 1960s. In the context of the movement for resisting racial discri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frica, Malaika was revived by famous popular artis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fter acquiring the emblematic status, Malaika was reimported to the African continent and became widely known to its people. This study discusses the processes to be symbolic songs, comparing Arirang of Korea and Malaika of Africa. Arirang became ``the song of nation`` on the base of the heightening sense of unity among Koreans, but Malaika acquired its symbolic status through a bond formed by sharing the common historical experiences among Africans.

      • KCI등재

        정근식·강성현 저,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한국전쟁 연구의 국제비교학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정의진 ( Jung Euij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정근식·강성현의 저서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의 30번 째 단행본으로 2016년 5월에 출간되었다. 저자들이 미군 사진부대 사진병들이 찍은 한국전쟁 사진들을 별도의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한국전쟁에 대한 한국인들의 기억을 점하고 있는 다수의 사진들이 이들에 의해 촬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사진의 수용과 분석이전에 사진촬영 주체의 성격을 규명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전쟁 상황에서 사진을 통한 심리전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직된 군 사진부대의 특수성을 염두에 둘 때, 미군 사진병들의 시각과 사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저자들의 입장이다. 동시에 사진이라는 외부 피사체 기술복제 기기의 과학적 사실성이 내포하는 매체적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저자들은 미군 사진병들의 사진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군 사진병들이 생산한 사진들의 사각지점들을 해명하면서, 저자들은 적 진영에서 생산한 사진들이나 민간 사진가들이 생산한 사진들과의 교차연구를 통해 한국전쟁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새로운 냉전구도가 형성될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재의 동북아 정세 속에서, 이러한 냉전구도의 역사적 기원인 한국전쟁에 대한 평화지향적인 관점확립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저자들은 한국전쟁에 대한 국제비교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 볼 때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자료조사 분석방법, 미학과 미디어 연구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학이 결합된 사진 매체론 및 포토저널리즘에 대한 연구, 사회적 기억에 대한 역사철학적·사회학적 연구 등을 아우르는 학제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진행되었다. 한국전쟁의 복합적인 성격, 냉전적 사고의 여파가 낳은 은폐된 사실들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학제적 연구는 필수적이다. 연구가 사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사진이라는 기술복제 미디어에 관련된 포괄적인 사회문화론적 지식 또한 필수적이다. 나아가 치열한 미디어 전쟁, 복잡한 국제적 여론전을 동반한 한국전쟁의 성격을 고려할 때,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국제비교학적 연구에 학제적 연구가 결합될 때 최적의 연구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는 이를 위한 중요한 기초를 놓았다. This paper reviews the book, Historical Sociology of Korean War Photograph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written by Jung Keun Sik and Kang Sung Hyun. This book suggests several points about our memories on Korean War, which are framed by the photograph of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 According to the authors, though Korean War is a sixty five year old past, it is still the source of memory reproducing the power to construct the present, and at the center are situated war photographs taken by American soldiers. This book intends not only to examine the photographs on Korean War, but also the activities of the photography units at the US Army during Korean War. Through grasping the scene the photographs are showing, this book tries to understand the scene they are not showing accordingly. To reach the object of the studies, this book make full use of the concepts and method of several fields : history, sociology, media, communica-tion, political philosophy, etc. This book can be a model case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Korean War.

      • KCI등재

        일반논문 : 박인환 시에 나타난 언어적 불안과 부끄러움-한국전쟁을 중심으로

        여태천 ( Tae Chon Ye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2

        이 논문은 한국전쟁 동안 박인환이 겪었던 정신적 고통의 양상이 언어적차원에서 어떻게 드러났는가를 시적 주체의 불안과 부끄러움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현실참여적인 시에서 센티멘털에 가까운 시로의 변화 계기에 대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한국전쟁의 비극적 체험을 중요한 원인으로 제시하고 있을 만큼, 한국전쟁이라는 사건은 박인환의 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 한국전쟁 전후에 박인환이 사용한 언어는 환멸과 우울의정서를 담고 있으며, 다른 시인에게서는 볼 수 없었던 그만의 특별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에는 멜랑콜리를 환기하면서 감상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언어들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한국전쟁 동안 박인환이 언어를 그 이전과 어떻게 다르게 운용하고, 그 언어에 의해 어떤 이미지가 돌발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세밀하게 고찰하고 있지 않다. 박인환은 전쟁이라는 참혹한 상황 속에서 시와 산문을 통해 전쟁이라는 특별한 사건을 어떤 식으로든 증언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전쟁 동안 발표된 시와 산문을 중심으로 그 이후의 시가 보여주는 변화의 원인을 시적 주체가 느끼는 부끄러움에서 찾고자 했다. 한국전쟁동안 박인환 시에 나타난 언어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그의 시에 대한 합당한 평가를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take a look through how the emotional distress that Park In-hwanhas suffered, visualized level of the linguistic aspects, focused on the anxietyand shame of the poetic subject during The Korean War. His poems is changedfrom a participatory one thing to be sentimental. Many researchers think TheKorean War is a significant cause of the tragic experience. Therefore The KoreanWar is the key to understanding Park In-hwan’ poetry. The Korean War andafter, Park In-hwan used the language to contain the emotion of disillusionmentand depression. He has his own unique voice could not be seen from anotherpoet. Especially after The Korean War, Park In-hwan used a lot of languagewhich showing the melancholy and sentimental images. However, previousstudies have not closely investigated how Park In-hwan operated the languagedifferently from the past and why the image was accidentally been shaped bythat language. Any way, Park In-hwan testified The Korean War was a specialcase through poems and prose in the context of war. In this paper was lookingat the reason for the change of poetry after that is to feel shame poetic subjectthrough poems and prose published in The Korean War. In this paper haveanalyzed and confirmed the linguistic variation of Park In-hwan’ poems whileThe Korean War. This study will help make a reasonable assessment of ParkIn-hwan’ poetry.

      • KCI등재

        제3세계론의 계보와 냉전의 문학사 : 박연희, 『제3세계의 기억: 민족문학론의 전후 인식과 세계 표상』, 소명출판, 2020

        이만영 ( Lee Manyo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3

        이 글에서는 _제3세계의 기억_(소명출판, 2020)에 제기된 주요 논점들을 논의함으로써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제3세계론이 문학 담론과 교섭해왔던 양상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 책은 제3세계론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한국의 사상적·문학적 동향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미소 간 진영 대립의 프레임으로 한국문학의 정체성을 서술해왔던 연구 관행을 벗어나, 미소 양극체제를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제3세계론’으로 초점을 이동시킨 성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저자는 ‘모더니스트’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김기림이나 박인환과 같은 작가를 소환하면서 해방기에 제출되었던 탈식민적 목소리의 실체와 그 의미를 해독하고자 했다. 해방기 김기림은 민족주의와 식민주의가 착종되었던 근대적 사유로부터 탈피하기를, 그리하여 비서구 주변부라는 자기인식에 결박되지 않고 한국이 세계민족의 일원이자 해방적 민족주체로서 호명되기를 간절히 소망했다. 한편 해방기에 미국에 대한 부정적 담론을 생산했던 박인환은 한국전쟁을 경험한 이후 그는 미국을 우방국이자 선진적인 국가 표상으로 간주하는 한편 한국의 후진적 지위에 대해서 자각하게 된다. 둘째, 미국의 대아시아 문화지원정책과 이를 기반으로 ‘세계문학의 길’로 나아가려는 한국 문단의 동향을 검토하였다. 아시아재단은 전후 아시아 지역의 개인 및 단체를 후원하는 미국의 민간원조 단체로, 비블록화된 아시아를 미국식 자유주의체제로 재구조화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당시 펜대회 경험을 했던 문인들은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적 위상을 갖기 위해서는 한국전쟁과 반공사상을 기반으로 한 휴머니즘을 내세울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사실 이는 아시아재단을 주축으로 한 미국 문화원조 전략의 궁극적인 목적에 합치되는 것이기도 했다. 말하자면 한국 측에서는 한국문학의 세계 문학적 가능성이 공론화될 수 있는 계기를, 미국 측에서는 냉전의 주변부에 속해 있었던 한국을 자신의 세력권 안에 재편입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던 셈이었다. 셋째, 1960년대 중후반부터 1980년대 이르는 기간에 제출되었던 제3세계적·탈식민적 민족주의를 고찰하였다. 1970년대에는 백낙청을 중심으로 한『창작과비평』 계열의 필진들이 민족문학론, 민중시 담론, 제3세계문학론 등을 주창했다. 1970년대 창비 계열 지식인들은 당대를 분단 시대로 규정하고 통일과 민족문학의 당위성을 적극적으로 개진했다. 그리고 그들은 1970년대 민중문학론의 표본으로 신경림을 내세우고 제3세계문학을 수용·전유하면서 ‘흑인문학’을 재발견했다.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유신체제에 저항한 시인으로 통념화된 김지하를 제3세계문학 담론에서 중요한 인물로 부각시켰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 이 책은 ‘제3세계’라는 키워드로 냉전의 사상사/문학사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In this article, by discussing the main issues raised in “Memories of the Third Worl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aspects of third world theory negotiating with literary discourse from liberation to the 1970s. This book focuses on the ideological and literary trends of Korea that developed around the third world theory. First, the author summoned writers such as Kim Ki-rim and Park In-hwan, who we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Modernist, and tried to decipher the substance and meaning of the decolonial voice submitt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Second, the trend of Korean literature to move toward ‘the path to world literature’ based on the US cultural support policy in Asia was reviewed. Third, the third global and postcolonial nationalism submitted during the mid- to late 1960s to the 1980s was considered.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is book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thought and literature of the Cold War under the keyword “third world.”

      • KCI등재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압력 하에서 동시대 한국영화산업의 변화

        하승우 ( Seung Woo Ha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3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한국영화산업은 특히 배급/투자 구조에서 큰 변화를 겪었다. 일각에서는 한국영화와 같은 작은 규모의 내셔널 시네마가 글로벌 시네마의 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것에 대해 우호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지만, 이 논문은 이와는 다른 시각에서 동시대 한국영화산업이 변형되어 온 조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려고 한다. 본 논문은 한국영화산업의 변화를 ‘형식적’ 포섭과 ‘실제적’ 포섭이라는 관점에서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변화를 전지구적 시각 경제의 보다 넓은 자장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며, 한국영화산업의 변화 과정에서 국가가 어떤 역할을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영화산업의 변화를 설명하기위한 비판적 관점을 명료화하고자 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 세계 체제적관점에서 한국영화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이 지닌 중요성을 검토하고자한다. 그러나 세계체제적 관점에서 한국영화산업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는 것의 유의미성과 효과에 대해 충분히 긍정하면서도, 본 논문은 마이클하트와 안토니오 네그리를 따라 제국론의 관점에서 한국영화산업의 변화를 추적하려고 한다. 전지구적 시각 네크워크의 모든 구성 요소들이경향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는 상황 속에서, 한국영화산업은 세계체제적 관점에서 반-주변부로 위치 지어지기 보다는 전지구적 시각 체제 속으로 실제적으로 포섭된 것으로 설정될 때 보다 정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re have been dramatic chang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tarting from the 1990s to the early 2000s, especially in terms of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investment structure. While many authors have celebrated the way in which a small national cinema has entered global cinema, this paper aims to interrogate the terms by which the contemporary Korean film industry has been changed. By examining the shifts via Marxian concepts such as ‘formal’ and ‘real subsumption’, it seeks to situate the contemporary Korean film industry in a wide force field of the global visual economy. Moreover,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view how the South Korean state played a role in the shift of the domestic film industry. Rather than merely affirming the state`s role in the course of the film industry`s change,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state`s role. This paper also clarifies its critical perspective by contrasting it with a world-system approach. While fully recognising the significance of a world-system approach and its relevance to the Korean film industry, this study follows the line developed by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 in Empire (2000). As the new forms of cultural traffic in the current global film industry are exercised in every part of the network, and subsequently all the parts of the global visual network are tendentially interwoven with one another, the Korean film industry can best be understood as having been subsumed into the global visual system, rather than located in the phase of the semi-periphery in terms of a world-system perspective.

      • KCI등재

        ‘조선전쟁’의 기억과 마이너리티 연대의 (불)가능성 : 사키 류조의 「기적의 시」(1967)를 중심으로

        김려실 ( Kim¸ Ryeosil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1

        베트남전쟁 중인 1967년에 씐 사키 류조의 소설 「기적의 시」는 한국전쟁 특수로 번영했던 일본 최대의 제철소 야하타제철소를 배경으로, 일본 사회가 이웃의 전쟁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를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일본어에서 市는 문맥에 따라 시가(市街)나 시장(市場)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적의 시(市)’란 한국전쟁 특수로 기적의 도시가 된 야하타시와 미국이 주도하는 냉전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동시에 가리키는 이중적인 제목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났으며 일본공산당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는 이 작가는 한국전쟁을 배경화한 일본 작가들에 비해 ‘조선의 식민화-대동아전쟁-패전과 점령-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전쟁기억의 연쇄와 오버랩 속에서 한국전쟁을 바라 보았다. 중학생 주인공의 1인칭 시점으로 식민 지배의 과거를 잊어버리고 한국전쟁 특수를 환영했던 일본 사회의 속물주의가 풍자되며 그와 같은 ‘망각의 경제’ 가장 밑바닥에서 생존을 도모했던 귀환자-프리케리아트와 재일조선인이 겪은 한국전쟁이 그려진다. 그러나 작가가 취한 미숙한 소년의 시점은 냉전과 분단의 심화에 따라 재구축되고 재분절화되었던 재일조선인의 복잡한 정체성을 제대로 드러내지는 못했다. 한편, 이 소설은 이차대전 때 미국과의 전쟁에서 아버지를 잃은 소년의 반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해 점령의 문제를 다룬다. 사춘기 소년의 과장된 남근적 욕망에는 명백히 불안이 내포되어 있는데 그의 좌절된 욕망은 페티시로 전치되며 복수의 환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점령군을 향한 복수는 결국 덜 위험한 대상으로 전치되며 아들은 보상을 받고 냉전 질서에 타협하는 길을 택한다. 이 소설에서 작가는 한국전쟁 특수를 베트남전쟁으로 다시 열린 ‘기적의 시장’을 비추어보는 거울로 삼았다. 한국전쟁 특수로 전후 부흥을 이루어낸 일본은 과거의 침략전쟁에 대한 정당한 배상 대신 미국과 공동으로 진행한 냉전 근대화 프로젝트를 통해 개도국이 된 아시아태평양의 과거 식민지들을 원조한 것으로 배상을 끝냈다고 간주했다. 그러나 정당한 배상이야 말로 탈식민화의 지난한 과정을 오래도록 겪어야 했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아직도 끝나지 않은 냉전을 종식시킬 평화의 기초가 될 것이다. Ryujo Saki’s novella the Miracle City(奇跡の市), written in 1967, during the Vietnam War, sheds light on how Japanese society viewed neighbors’ war, the Korean War, in the backdrop of the Yahata Steel Mill, which flourished with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by U.S. In Japanese 市 means city or market. Therefore, the title refers to Yahata City, which became a miracle city due to the Korean War, and also the Cold War capitalist market economy led by the U.S. at the same time. Born in colonized Chosen and having a history of joining the Communist Party of Japan, the author looked at the war in the chain of war memories and overlaps leading to the colonialization of Chosen, the Great East Asian War, the defeat and occupation of Japan and Korean War, compared to other Japanese writers who set the Korean War only in the background.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of a middle school student, the story satires the snobbery of Japanese society, which forgot the past of colonial rule and welcomed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nd depicts the Korean War experienced by the repatriate-precariat and Zainichi Koreans in Japan, who sought survival at the bottom of such an "Economy of Forgetting." However, the immature boy’s point of view does not properly reveal the complex identity of Zainichi Koreans in Japan, which had been reconstructed and re-divided following the deepening Cold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Meanwhile, the story deals with the issue of U.S. occupation over Japan through the anti-American Oedipus complex of the boy who lost his father in the war against the United States during World War II. His exaggerated phallic desire clearly contains anxiety, and his frustrated desire is transferred to fetish and translated into revenge fantasies. However, revenge toward the occupation forces is eventually transferred to less dangerous targets, and the son takes the path of compensation and compromising the Cold War order. As such, the Miracle City used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s a mirror to reflect the “Miracle Market” reopened through the Vietnam War. Japan achieved post-war revival with the Korean War special procurement and regarded its war reparation was over by providing aid to its former colon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ch have become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a joint Cold War modernization project with Japan and the U.S. instead of right reparations for its past colonial wars. But legitimate reparations will be the basis for peace that will end the unfinished Cold War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ch has undergone a long and arduous process of decoloniz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 속의 통과의례에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지혜로운 추녀」와「얽고 검은 고동지」를 중심으로

        김환희 ( Hwan Hee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2

        오늘날 우리 사회에 팽배해 있는 외모지상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작가들은 여성의 미추가 선악과 비례하는 것으로 설정된 옛이야기의 틀을 전복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과 유대에서 전승되어 온 구전설화가운데 이미 지혜로운 추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설화가 다수 존재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한국의 <이인으로 바뀐 못난 여자>유형과 유대의 <동물의 얼굴을 가진 여자> 유형에 속하는 설화에서 추한용모를 지닌 주인공은 혹독한 통과의례를 치루고 허물을 벗고 행복을 쟁취한다. 또한 이 두 유형의 설화는 지리적인 거리가 큼에도 감금, 소박, 변신이라는 세 모티프를 공통으로 담고 있어서 비교연구의 대상으로 삼을만하다. 본고는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에서 외모 차별을 체험한 옛여성들이 어떻게 ‘감금’과 ‘소박’이라는 시련을 극복하고 변신을 이루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에서 추한 외모를 지닌 여성은 모두 밀폐된방에 감금되어 구멍밥을 먹는 시련을 겪는다. 유대 설화에서 주인공은 태어나자마자 아버지에 의해서 감금되지만 토라와 탈무드를 학습하면서지혜로운 여성으로 성장한다. 한국 설화에서 주인공은 결혼식을 치른 첫날밤에 남편에게 소박맞고 밀폐된 방에 감금된다.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감금’ 모티프는 두 가지 층위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표면적 층위에서 감금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신체적인 결핍을 지닌여성에 대한 차별이 심각했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신화와 민담에서 감금이란 미녀와 왕에게도 일어난 일이어서 다른 시각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보편적인 설화에서 ‘감금된 여성’은 대부분 초경을 시작한, 결혼과 임신이 가능한 사춘기의 소녀이다. 하지만 추녀변신설화에서 여성의 감금은 사춘기나 월경혈과는 무관한 것이어서 프레이저가 황금가지에서 언급한 바 있는 ‘신비한 에너지’를 지닌 존재에 대한 두려움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세계 민담에서 감금된 많은 미녀는 ‘잠자는공주’이거나 남자의 구원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여성인 반면에, 추녀변신설화 속의 주인공은 밀폐된 방에서 책읽기와 바느질로 자신을 다스리고 표현하는 ‘의식이 살아있는 적극적인 여성’이다. 한국과 유대의 설화에서 주인공의 통과 의례가 통합으로 이르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한 바느질과 ‘조력자-아들’이라는 모티프는 전통의 계승과 전복이라는 양면성을 지닌다. 한국의 추녀변신설화에서 유독 강조되고 있는 바느질 솜씨는 조선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면서 동시에 자신이 처한 부당한 현실을 외부에 적극적으로 알리고 자신의 고통과 소망을 표현하는 강력한 전복의 수단이기도 하다. 또한 한국 설화에서 주인공은 초자연적인 조력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변신을 이룬다. 이와는 달리, 유대 설화에서 주인공의 변신은 자율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아들과 엘리아의 도움을 받는다. <동물의 얼굴을 가진여자> 유형이 토라에 정통한 여성 지도자가 등장한 19세기 중엽 이후에 전승되어 온 사실을 고려할 때, 이 유형의 설화에 삽입된 ‘조력자-아들’모티프에는 토라와 탈무드의 지혜를 습득하고 독신으로 신앙생활에 헌신하려는 신여성의 출현과 그러한 신여성들이 가져올 수 있는 가정의 해체로부터 ‘작은 성소’인 가정을 지키려는 유대인의 전통이 반영되어 있다. The article discusses the rites of passage of the ugly girl transformed intoa beautiful girl in the tales from Korean and Jewish traditions: “The UglyGirl Transformed into an Extraordinary Woman” and “The Woman with theAnimal Face.” The common elements of those tales can be described as thefollowing three motifs: confinement, abandonment, and transformation. Thereare other similarities between them that can be seen as family resemblances. On the other hand, the ugly-girl tales have their own particularities. Theparticularities of the Korean folktales called “The Ugly Girl Transformed intoan Extraordinary Woman” are summed up as follows: (1) she is confined byher husband or parents-in-law in a secluded place; (2) she has marvelous skillin needlework and embroidery; (3) she helps her parents-in-law to overcomethe crisis or her husband to make his fortune; (4) she transforms into a beautifulwoman without the help of supernatural beings. As for the rites of passage, most of the ugly-girl tales in the both traditionsemphasize the rites of transition in an enclosed room. The rabbi’s daughtercould hardly complete a sequence of rites of separation, transition, andincorporation at her birth and her parents did not assimilate her into her family and kinship. For all ugly girls, their marriage ceremony can hardly functionas a rite of incorporation because they have been abandoned by her husbandon their wedding night and since then had a transitional period in an enclosedroom without being incorporated into the society of her husband andfamily-in-law. After her transformation into a beautiful woman, she can completeher rite of passage from separation through transition to incorporation. Theseclusion of the ugly girl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seclusion of the beautifulgirls in that the former are secluded after their marriage ceremony, while thelatter during their puberty. Moreover they have such a clear consciousness asto be occupied with reading and needlework, unlike Snow White or SleepingBeaut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ow the ugly girls between Korean and Jewishtraditions overcome trials and tribulation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eKorean ugly girls overcome their hardships through her needlework, embroidery,and reading, while the rabbi’s daughter through her wisdom and belief in God. The ways in which the ugly girls in each tradition achieve their metamorphosesshow remarkable differences. Most of the ugly girls in Korean folk tales, whenthe time has come, transform themselves into beautiful women independently,without the help of supernatural beings. The Rabbi’s daughter transforms herappearance, thanks to her son who has obtained a bottle of miraculous waterfrom the Prophet Elijah.

      • KCI등재

        특집논문 :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의 아리랑 논의에 대한 분석적 고찰

        김승우 ( Seung U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본고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국내에서 활동했던 미국인 선교사 호머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訖法, 轄甫)[1863-1949]가 아리랑에 관해 남긴 기록을 정교하게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논의 내용을 항목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헐버트는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특징을 고유성과 보편성이라는 두 지표로 파악하였고, 특히 한국시가는 순수한 표현과 격정적인 서정이 주조를 이룬다고 보았다. 한국시가의 이러한 특질을 헐버트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지만, 개별 작품을 거론할 때에는 본래의 단형 시가를 일정 정도 장형화 또는 서사화된 형태로 변형하여 번역하거나 소개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그 같은 방식은 아리랑을 다루는 문맥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헐버트는 한국의 민요 텍스트에 내재된 시적 의미가 항상 복합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에 아리랑과 같은 작품에 접근할 때에는 예사 이상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제하였다. 그의 설명을 바탕으로 19세기 말 아리랑의 향유 양상을 추적하면, 적어도 1883년 이전의 어느 시점부터 아리랑이 사람들 사이에 점차 확산되던 추세에 있었고 그것이 1883년을 기점으로 대중들의 애호를 받기 시작하였으며, 1896년 무렵 이후부터는 시정에 대단한 인기를 끌었던 것으로 정리된다. 한편, 헐버트가 한국에 체류했던 1880-90년대에 들어서면 ``아리랑``의 본래 어의가 이미 희석되었던 사정도 드러난다. 헐버트는 아리랑의 후창 부분 가운데 ``□ □어라``라는 관습구에 집중하여 후창 전체의 의미를 풀이하였다. 즉, 한국의 노래는 고전적 양식과 대중적 양식을 막론하고 유흥이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며, 술은 물론 뱃놀이와 같은 다소 이색적 놀이문화조차 유흥의 상징으로서 아리랑의 관습구에 개재된 것이라 분석하였다. 관습화된 후창과는 달리 선창에 해당하는 부분은 그 변이가 매우 다양해서 어떠한 내용이든 담아낼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헐버트는 무한정 확장되는 아리랑의 수많은 연들이 의미상 일정 정도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을 엮어서 따로 일관된 서사를 추출해 내기는 어렵다고 인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헐버트는 아리랑이 한편으로는 세계인의 정서와 상상력을 모두 감싸 안는 보편적 성격을 지니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인의 삶과 감수성을 깊이 있게 체현해 내기도 한다고 결론지었다. 더 나아가 인간의 보편적 감성이란 어느 곳에서나 일치된다는 긍정적 세계인식을 아리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출해 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그가 한국문학 전반의 성격을 고유성과 보편성의 양대 자질로 파악하는 구도를 정립하는 데에도 아리랑이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리라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American missionary, Homer B. Hulbert`s writing on Arirang in the Korean Repository in 1896. Hulbert concluded that Korean literature had two main characteristics: uniqueness and generality. Korean poetry is not only much shorter and simpler compared to Western poetry but it is also dominated by passion. In spite of his affirmative view of such features, he refused to translate Korean short poems or songs literally into English language. Instead, Hulbert usually attempted to present them as if they originally had certain narrations and plots; consequently, song of Arirang was also introduced to the Western world partly by such way through his writing. Hulbert thought that the text of Korean folksongs always had compound meanings of which foreign observers had to take notice. According to him, Arirang, which could represent the whole Korean folksongs at that time, started to capture the public fancy in about 1883 and won popularity until 1896. However, he finally could not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word ``Arirang`` because it had already been forgot by 1880s and 1890s when he stayed in Korea. Hulbert interpreted the whole meaning of the chorus of Arirang focusing on its habitual verse "Launch the Boat." He presumed that pleasure and amusement were the main interests of Korean songs, regardless of classical and popular, so the boating excursion as well as drinking composed the notable part of the chorus as the symbol of recreation. While the chorus was fixed, the leading dictions could include almost any contents in them and also were relatively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Hulbert concluded that Arirang was universal enough to cover every human feeling or imagination and that the song was so unique that it could fully express Korean life and emotion at the same time. Moreover, from his review of Arirang, Hulbert derived a positive conviction that human nature`s thinking is fundamentally the same all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we can assume the following: Arirang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to make him believe that uniqueness and generality were the two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향한 문학적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교류 텍스트 구성과 번역을 중심으로

        정명교 ( Myeong Kyo Je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필자는 2013년 9월 1일 프랑스 엑상 프로방스에 도착하여 11개월 체류하며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문학적 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과제 수행을 위해 초청기관인 엑스-마르세이유 대학의 ‘아시아 연구소’(IRASIA), 그리고 엑상프로방스에 설립된 한국문학 전문 출판사인 Decrescenzo 출판사와 긴밀히 교류하였고, 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다달았다. 한국문학은 그 매체가 철저히 지역어에 국한되어 있다는 특징 때문에 세계의 독자들에 의해 수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곤란에 직면하였다. 이 난제를 타결하기 위해 한국문학은 불가피하게 번역이라는 매개 장치를 도입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문학을 세계에 널리 알리려는 번역자들의 노력에 의해 한국문학은 유럽의 독자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문학에 대한 세계 독자의 인지도는 아주 낮은 상태에 머물러 있다. 그리고 한국문학에 얼마간 호의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던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조차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은 점차로 높아졌다기보다 거꾸로 하강 추세에 놓여 있다. 이렇게 한국문학의 세계화가 지지부진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특히 한국문학의 맥락에 대한 이해의 절대적인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다시 말해, 한국문학을 하나의 일련의 역사적 흐름으로 이해시키는 문학사에서부터 시작하여, 한국문학을 한국사 및 한국사회의 구도 안에 위치시켜 한국인들의 일반적 정신현상과 연결시키는 한편, 한국사회와 한국사를 세계사의 일반적 흐름과 지형 내에 위치시켜 한국인들의 삶을 세계인의 삶의 영역 안으로 진입시키는 작업이 지극히 결핍되어 있었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문학을 세계문학의 구도 내에 위치시키는 데에 한국문학작품의 수준과 특성 외의 광범위한 주변 조건들의 충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기획에서부터 구체적인 실행 방책에 이르기까지 전면적인 재검토와 변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 역사적(정치경제사적) 층위, 문화적 층위, 교섭사의 층위, 순문학적 층위에서의 주변 텍스트의 적극적 개발 2. 세계인들에 의한 한국문학 수용 양태의 분석과 수용 방식의 변화를 위한 방안을 상호간 이해 가능성의 시각에서 모색. 3. 출판 기획에서부터 시작해 일반 독자의 손에 쥐어지기까지의 한국문학의 전 유통과정에서 한국문학이 분명한 이정표 하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의 구축. I have stayed from the September 1 2013 to August 1 2014 in Aix-en-Provence of France for the Sabbatical year. During this period, I’ve connected with the diverse researchers of the East-Asian Culture and Literature and some publishers who have published or are publishing now the Korean Literary Works translated by French and examined the situation of the publishing house of the Decrescenzo which had been founded in order to spread the Korean Literature. I have inspected the circulation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and Korean cultures and I saw against my hope, the miserable degree of the reception of Korean literature by French readers. There was above 20 years that the Korean literature presented oneself at the book market in Europe, and since above 10 years the European people has been acquainted with the Korean culture through the K-Pop music and Korean dramas. Nevertheless the Korean literature is far from the horizon of the expectation of European readers. In the background of this situation, there are several causes which constraint the dissemin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the aesthetic values of Korean literature. First of all, the European cultural field is barely furnished with the mediating dispositifs, especially books which could explain the Korean literature systematically in the context of Korean History and in the interrelations with other literatures and so hence could help the European readers to understand the Korean literature and realize solidly the experiences and the troubles in the Korean Literature. Secondly, the European media is hardly interested to the Korean literature and moreover, they was in the state of the overwhelming unknowingness of that. This situation is associated with the respective disinterest about the Korean culture against the two big East-Asian cultures and also with the fact that even well-known Korean cultures aren’t estimated highly in the spiritual qualities of culture, so therefore aren’t venerated as important references. Thirdly, the personnel in the circulation system of the cultural things including the booksellers aren’t prepared with the ability to present Korean literature to the public. They have no manuals to do it in spite of the increase of the will about the more vending of Korean literary works. To struggle these irritated situations, we should endeavor after not only the expansion of the aesthetic values of the Korean literature, but the opening the traffic for the clear and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the realistic experience of that literature. This way, above all, demands the multiple publications of the manuals about the Korean literature including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In addition to it, we should grope for the linking between the enjoying of the Korean mass culture and the hopefully enthusiastic reading of Korean literature. Lastly, we should try to resettle the circulation space of the literature to the direction of Korea-friendl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