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연자에 의한 스와힐리 구연민담의 주제 변화

        박정경(Park Jeong-Kyung) 한국아프리카학회 200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23 No.-

        Oral narratives are realized through actual performances, There is no fixed text in oral narrative performances because performers of oral narratives not just transmit stories, but create their works by using traditional images and formulaic expressions in performances, In performances oral performers incorporate their body, face, voice and immediate environment in the creation of mea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dynamic aspects of oral narrative performances, This study examines the thematic change made by performers in two oral narratives which share an identical image. In 'Sultan Majinun'(Sultani Majinuni) collected by E. Steere in the second half of 19th century and 'The Cat of King'(Paka wa Mfalme) performed by Amira Msellem Said in 2006, an image of an ogre which used to be Sultan's beloved cat is observed. While the theme of maturation of youngster is stressed in 'Sultan Majinun,' the performer of 'The Cat of King' emphasizes the theme of unjust ruler in the performance. The meaning of a oral narrative cannot be properly examined without studying its performance, It is individual performers who develop the themes of their stories using artistic techniques in actual performances.

      • KCI등재

        특수외국어교육진흥사업에서의 스와힐리어 학부 교육 내실화 과정 연구

        박정경(Jeong Kyung Park) 한국아프리카학회 2021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2 No.-

        특수외국어교육법과 연계된 교육 진흥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동부 아프리카 지역전문가 육성을 위한 스와힐리어 교육이 한 단계 성장할 기회를 맞이했다. 특수외국어교육진흥사업의 중점 추진 전략은 학부 교육 내실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학부 교육 내실화가 선행되어야만 전문인력 양성이나 교육 저변 확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외국어교육 진흥사업의 지원으로 스와힐리어 학부 교육 내실화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고찰하는 데 있다. 스와힐리어 학부 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첫걸음은 A1부터 B2등급까지의 표준교육과정 수립이다. 이 표준교육과정을 준거로 표준 교재 및 평가인증 문항 역시 등급별로 개발되었다. 스와힐리어 표준교육과정은 아프리카학부 동아프리카어과 전공 과정에 학기별로 반영되었고, A1과 A2등급의 표준 교재가 스와힐리어 교과목에 활용되고 있다. 향후 B1등급 이상의 스와힐리어 평가인증 점수는 동아프리카어과의 졸업 요건으로 적용될 것이다. 특수외국어교육진흥사업은 국내 스와힐리어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1단계 사업 기간에 학부 교육 내실화가 중점 추진 전략이었다면, 다음 단계의 사업에서는 이러한 전문화·체계화된 교육의 결과가 학문 후속 세대 양성 및 스와힐리어 교육 저변의 확대로 이어지도록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of Critical Foreign Languages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various foreign languages which have been less commonly taught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s associated with the Act. It discusses effectiveness of the Act for teaching Swahili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e Division of African Studies at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s been the sole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that offers a major in the Swahili language. In order to strengthen teaching of Swahili at the undergraduate level, the division developed standardized curricula(A1, A2, B1, B2), customized textbooks(A1, A2) and reputable evaluation systems. Standardized curricula for Swahili that are optimized for Korean students can upgrade the quality of education at the division. Evaluation tests for Swahili at various levels will be used to assess students’ proficiency in the language. Once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urricula is completed, customized textbooks will be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a. It is vital to maintain teaching of Swahili with consistency and long-term planning.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urricula, customized textbooks and evaluation system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Swahili at the division.

      • KCI등재

        아프리카 소설과 민속문학 : 치누아 아체베의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린다』에 나타난 속담, 민담, 민요

        박정경(Park Jeong-Kyung) 한국아프리카학회 2007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26 No.-

        From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frican novels written in English began to be published. It is apparent that the emergence of novels in Africa i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literary tradition. Therefore, the novel form was new to African writers. Many of them adopted the elements of African folklore into the novel. Chinua Achebe's Things Fall Apart is probably the most widely read African novel over the years.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in the novel is the writer's use of African folklore. Igbo traditional proverbs, folktales and songs are observed in his tex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role of folklore in Things Fall Apart. It is shown in this study that Achebe reexamined the image of his culture by introducing Igbo folklore in the novel. Furthermore the proverbs, folktales and songs inserted into the work serve as keys to understand the themes that the writer deals with.

      • KCI등재

        특집논문 : 대중가요의 상징성 획득 과정 비교 연구-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

        박정경 ( Jeong Kyung Par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가 한 집단을 표상하는 노래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비교하는 데 있다. 아리랑과 말라이카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미는 한국과 아프리카의 근대화시기 사회 변화에 대한 고찰 없이 제대로 이해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아리랑이 민족의 노래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한 요인을 기존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독립을 전후한 시기 아프리카 사회 변화의 맥락에서 대중가요 말라이카가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노래로 알려지게 된 경위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가수들이 말라이카를 서구 세계에 유행시켜, 이 노래가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된 배경 역시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가 각각 한국인과 아프리카인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노래로 자리매김하게 된 배경에는 두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 나타난 대중문화의 부상이 있었다. 두 노래 모두 전통적 삶을 대체로 유지하던 향촌사회라기보다는 근대 도시 공간에서 대중문화의 형태로 일반대중 사이에 유행하면서 각각 한국과 동아프리카 사회에서 인지도를 높였다. 아리랑과 말라이카가 도시 대중문화의 토양에서 유행했다는 점은 유사하지만, 아프리카의 근대 도시는 한국의 도시와는 달리, "탈민족화"(de-ethnicization)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기도 했다. 파딜리의 <말라이카>가 동아프리카 도시의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이면에는 당시 도시 취향의 리듬과 멜로디에 교통어 역할을 하는 스와힐리어로 가사를 붙여 창작된 이 대중가요의 탈민족적 특성이 작용했다. 한국과 아프리카의 근대화는 제국주의 강점기라는 두 사회 공통의 역사와 겹쳐지며 진행되었다. 아리랑과 말라이카는 피지배 집단의 경험과 정서를 가사에 담아냄으로써 당시 한국인과 동아프리카인들로부터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1920년대 후반 영화 <아리랑>의 성공에 힘입어 당시 한국인의 고통을 대변하는 노래로 널리 인식된 아리랑은 이후 식민지 기간 내내 민족의 표상으로서의 지위를 한국 내에서 확고히 다졌다. 그러나 말라이카가 아프리카인의 집단 정체성과 밀착되는 현상은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가 아니라 디아스포라 아프리카인들 사이에서 일어났다. 전 세계적인, 특히 미국과 남아공의 인종차별 철폐 운동의 역사적 흐름에서 말라이카는 아프리카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노래로 서구 세계에서 재유행되었다. 이렇게 이 대륙 밖에서 아프리카의 노래로서의 지위를 획득한 말라이카는 다시 이 대륙 내로 역수입되면서 아프리카의 일반대중에게도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노래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의 사례를 통해 한 노래가 집단의 표상물로서의 상징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비교해 보았다. 한국의 아리랑이 민족국가의 틀 안에서 오랜 기간 유지해 온 공동체의식의 고취를 바탕으로 민족의 노래가 된 반면, 아프리카의 말라이카는 이질적인 집단들이 비교적 최근에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형성된 유대의식을 기반으로 아프리카의 노래가 되었다. For Koreans and Africans, Arirang and Malaika are considered as songs that symbolize their respective identi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ocess of how they became symbolic songs. The meaning of Arirang and Malaika in Korean and African societies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looking into social changes during modernization period.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e contributing factors of how the two songs became icons of Korea and Africa respectively.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rise of popular culture in urban areas is observed in the both Korean and African societies. Arirang and Malaika became well known to the Korean and African general public as popular songs. Modern cities in the colonial era in Africa were the places where different ethnic groups gathered around and new national identities were emerged. Popular songs in African cities were composed to be accepted to the general public regardless of their ethnic backgrounds. The de-ethnicized characteristic of Malaika contributed to its popularity among the East African people in the early 1960s. Arirang and Malaika were regarded as songs that carried oppressed people`s experiences and sentiments. While Arirang became the symbolic song of Korean nationality mainly in colonial Korea, Malaika began to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song for Africa outside the continent in the late 1960s. In the context of the movement for resisting racial discri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frica, Malaika was revived by famous popular artis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fter acquiring the emblematic status, Malaika was reimported to the African continent and became widely known to its people. This study discusses the processes to be symbolic songs, comparing Arirang of Korea and Malaika of Africa. Arirang became ``the song of nation`` on the base of the heightening sense of unity among Koreans, but Malaika acquired its symbolic status through a bond formed by sharing the common historical experiences among Africans.

      • SCOPUSKCI등재

        장기 혈액투석환자에서 발생한 돌발성 감각신경성 난청을 동반한 양측성 전반부 허혈성 시신경병증

        박정경 ( Jeong Kyung Park ),송민근 ( Min Keun Song ),김선혜 ( Sun Hye Kim ),김혜영 ( Hye Young Kim ),한수진 ( Su Jin Han ),강이화 ( Ea Wha Kang )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3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AION) is rarely reported in end stage renal disease. In particular, AION combined with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SNHL) has not been report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Here we report the first case of this combined condition. A 58-year-old male patient in end-stage renal disease presented on painless bilateral visual and hearing deterioration. Clinical findings and imaging studies were compatible with a diagnosis of AION and SNHL. Despite of high-dose steroid therapy, vision and hearing were not significantly recovered. Uremic patients often have coexisting pathology such as hypotension during dialysis, atherosclerosis and anemia, predisposing to AION and SNHL. We describe a patient of dialysis for 10 years who presented with bilateral visual and hearing loss due to complications of long-term dialysis. Our case suggests that nephrologists have to know and treat more carefully this rare but emergent complications of dialysis.

      • KCI등재

        케냐 해안 지역민의 역사서사: 대안의 역사로서의 전설

        박정경 ( Jeong Kyung Park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5 No.-

        본 연구에서는 최근 케냐 해안 사회에서 회자되고 있는, 분리 독립 운동과 관련된 역사적 전설의 사회적 의미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케냐의 정치권력이 내륙 출신의 엘리트들에게 집중된 상황에서 해안과 내륙 간 지역 불균형은 심화되었고, 해안의 자원 배분에 있어 내륙출신 이주민이 특혜를 누리는 사례가 이어지면서, 해안 지역민의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지위는 지속적으로 주변화 되어 갔다. 케냐 중앙정부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하면서, 자신들을 토박이 집단이라 생각하는 해안 지역민은 자치권을 요구하며 분리 독립을 지지하고 있다. 분리독립 운동이 해안 지역의 주요 정치 이슈로 부상한 가운데, 케냐의 독립이 논의되던 시기, 내륙과 해안의 분리, 혹은 통합 문제를 두고 벌어진 논쟁의 역사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현재 케냐 해안 사회에는 이 시기와 관련된 역사적 전설이 회자되면서 분리 독립에 대한 역사적 정당성을 내세우는 정치적 담론이 널리 유포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역사 서사에는 과거 사실에 대한 왜곡과 조작이 나타난다. 사실에 근거하여 기술된 역사는 거부되고, 분리 독립의 명분을 제공하는 대안의 역사(alternative history)가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기록된 역사에 왜곡과 조작을 가한 전설이 널리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은 현재의 사회적 현실로부터 비롯된다. 본문에서는 케냐 해안의 역사를 분리 독립 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독립 직전의 분리 독립에 관한 역사적 전설이 현재의 사회적 맥락에서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지 고찰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present social implications of historical legends about the political debate on coastal secession during the run-up to independence among coast people in Kenya. The coast people have been marginalised in terms of national politics and economy. They have suffered from poverty and have experienced that the distribution of coastal resources, such as land ownership, job opportunities and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has been executed in favour of the up-country people whose elite members dominate the central government. Because ethnic exclusion has persisted in the coastal society, a movement for coastal secession has attracted popular support. Under this circumstance, the history of Kenya’s coast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Historical narratives concerning the sovereignty of Kenya’s coast are bandied around among the coast people, legitimating their demand for secession and reinforcing their autochthony in the region. The creative process of myth-making is often carried out for the marginalised in order to offer alternative versions of history that give privileges their voices. The historical discourse in contemporary public discussions of the marginalised is constructed to empower their claims of political and economic rights in their homeland and to demonstrate the injustice of outsiders’ continuing exploitation. A thematic analysis of their historical narratives, therefore, is an attempt to articulate their generalised grievances and support for both the political and the social struggle. The focus of the discussion lies in examining how these historical legends legitimate the coast people’s autochthony and aspiration for higher political and economic status in post-independence Kenya.

      • KCI등재

        Memories of Migrant Labor in South Africa : Oral Life-History Testimonies from Msinga

        Park Jeong-Kyung(박정경) 한국아프리카학회 2010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이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그들의 시각에서 논의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주노동 체계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사회에 확립된 이래, 남아공 흑인들 삶은 다양한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직접 체험한 이들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이주노동에 대해 무엇을 기억하고 있는지, 또한 그 경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 조명할 것이다. 최근 학계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역사적 주체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가까운 과거를 새로운 시각을 통해 조망하고자 시도하는 구술사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포스트구조주의 및 포스트모더니즘 패러다임 속에서 서구의 거대 담론이 해체되고 탈근대 · 탈식민에 기반을 둔 사상들이 출현하면서, 새로운 역사 쓰기의 중심이 민족과 국가, 사회라는 거시적 주체에서 지방과 개인이라는 미시적 주체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 소리 없는 주체로 주변화 되었던 사람들의 경험과 기억은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0년 7월15일부터 8월13일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끄와줄루나탈(KwaZulu-Natal)주(州) 음싱가 (Msinga) 지역의 오툴리니 르웨줄루(Othulini LweZulu)와 끄와은짜말랄라(KwaNxamalala) 마을에서 실시된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이 현지조사에서는 이주노동을 체험한 38명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듣기 위한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인터뷰에 응한 음싱가 주민들은 도시로의 단독 이주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그들의 젊은 시절을 회상하면서 이주노동을 둘러싼 그들 삶의 다양한 경험을 피력했다. 본 연구는 음싱가 주민들의 구술생애사 증언을 통해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들의 삶에서 이주노동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본문의 논의에서는 이주노동을 중심으로 경계 지워진 삶의 단계별로 음싱가 주민들의 자기 일생에 대한 증언을 고찰하고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은 1994년 민주화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이주노동 체계가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음싱가 주민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outh African black people's perceptions concerning the effect of labor migration on their lives. Since the migrant labor system was established in South Africa, they have gone through drastic changes in various facets of life. By analyzing the oral life-history testimonies of people who lives in Msinga, the study tries to illuminate what they remember about their labor migration and how they give meaning to the experience. Recently the study of oral history began to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with its new perspective to look into the immediate past. It stemmed from the diagnosis of the inadequacies of the established historical scholarship which alienates ordinary people from historical scenes.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people who were marginalized as the voiceless became recognized as important data for the new history writing. During the field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from July 15 to August 13, 2010 at Othulini LweZulu and KwaNxamalala villages, Keate's Drift, Msinga, Umzinyathi District, KwaZulu-Natal Province, South Africa, 38 people were interviewed.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were old men, ranging from 54 to 93, who migrated into industrial areas for work and have returned to their home after retirement. The interviews were meant to recall interviewees' memories about important events of their lives,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migrant labor. Therefore, their narrations can be taken as reminiscences of their lives. Making use of the oral life-history testimonies of Msinga people,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how they come to terms with their experience of labor migration. They hold on to various memories to tell the story of their life of migration. In the discussion their testimonies in each stage of life, that can be demarcated by labor migration, are examined. The focus of the study relates to the effect labor migration has on the Msinga people and their lives.

      • KCI등재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아프리카어 교육의 과제와 전망

        박정경(Park, Jeong-Kyung) 한국아프리카학회 2018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5 No.-

        지난 2016년 8월4일부터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특수외국어교육법의 발효로 이제까지 공공교육 부문에서 등 한시 되어왔던 특수외국어 교육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신흥시장으로 교역 대상국 확대와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지위 상승으로 신흥국과의 외교 관계 강화 및 개발협력이 증진되고 있으므로 특수외국어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국내 외국어 교육이 제1외국어로서 영어와 몇몇 주요 제2외국어에 편중되어 있는 현실에서, 이 법의 제정은 특수외국어 교육에 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법적으로 제도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수외국어교육법과 연계된 교육 진흥 프로젝트의 형태로 국가의 재원이 효과적으로 투입되면 향후 국내의 아프리카어 교육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 간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교류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아프리카 현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수외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수외국어교육법 관련 교육 진흥 프로그램의 핵심과제는 보다 전문화·체계화된 교육과정, 교재, 평가인증체제, 온라인 공개강좌를 제공하는데 집중되어 있다. 국내 제도권 교육기관 중 유일하게 아프리카어 전공과정을 운영하는 한국외국어대 아프리카학부는 이번 특수외국어 지원사업을 통해 언어 교육의 질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아프리카어 교육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특수외국어교육법의 지원은 아프리카 현지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아프리카어 구사 능력을 갖춘 지역전문가 육성과 아프리카어 교육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을 제고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On the fourth of August in 2016,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ducation Critical Foreign Languages was enacted. With this Act, the government official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various foreign languages, which have been less commonly taught, within its legal framework for public education. The Division of African Studies at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as founded in 1982(then the Department of Swahili), while the government concentrated its diplomatic capabilities on improving relationship with the Third World countries in Africa. It has been the sole educational institution in South Korea that offers majors in African languages. Although the Division has grown in quantity with addition of new African languages courses, it is high time for the Divi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African languages teach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Act and look into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s associated with it. It discusses effectiveness of the Act for teaching African languages and issue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 KCI등재

        아프리카 영어 소설에 나타난 문화충돌 - 아체베와 응구기의 초기작을 중심으로

        박정경 ( Park Jeong Kyu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0 No.-

        식민통치 기간 중 서구 문물과 제도의 유입으로 인해 급격한 변화를 겪은 아프리카 사회와, 서구 문화와 아프리카 전통 문화 간 충돌의 과정을 힘겹게 거친, 이 시기 아프리카인의 삶은 아프리카 현대문학의 주요 주제다. 본 연구에서는 나이지리아 치누아 아체베의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와 케냐 응구기 와 시옹오의 『사이에 흐르는 강』에 나타난 문화충돌주제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 두 작가는 각각 출신 종족집단인 이보와 기쿠유 공동체가 식민지 기간 중 겪은 사회 변화와 이 역사적 소용돌이 속 아프리카인들의 운명을 자신의 첫 소설 작품에서 다루고 있다. 아프리카의 전형적인 반식민주의 텍스트인 이 두 소설에서는 첫째, 식민통치 이전 아프리카 사회가 고유의 전통 문화를 통해 그 나름의 삶의 방식을 유지하고 있었음이 강조되고, 둘째, 식민통치가 아프리카 사회에 미친 영향, 즉 기존의 질서가 붕괴되고 전통 문화의 가치가 경시되는 상황이 제시되며, 셋째, 식민주의를 극복하려는 개인의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고 마는 비극적 결말이 나타난다. 아체베와 응구기는 각각 이보족과 기쿠유족의 전통 의식, 관습, 종교, 신화와 전설 등에 대한 기술을 통해 제 역할을 수행했던 아프리카의 전통 문화를 재구성함으로써 서구 문화 유입 이전 아프리카 사회의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한 해체를 시도함과 동시에, 서구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이를 극복하려는 개인의 비극적 운명을 묘사함으로써 식민주의가 아프리카 사회에 끼친 폐해를 고발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 두 작품에는 이보족과 기쿠유족의 역사·문화적 배경 및 식민지 경험의 차이가 관찰되기도 한다.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into Africa during the colonial period caused drastic socio-cultural changes in the continent. African people had to experience the cultural clash between the West and Africa. In the wake of the African independence movements of the 1950s and 1960s, African writers dealt with the theme of cultural clash in their fictional work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me of cultural clash articulated in Chinua Achebe`s Things Fall Apart and Ngugi wa Thiong`o`s The River Between. These two novels which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anti-colonial texts describe the effect of Western culture in the Ibo and the Gikuyu societies. Both of the writers strive to portray the pre-colonial African society as an organic whole by pointing out that the Ibo and Gikuyu societies had been maintained by their own institutions, religions and customs. The advent of colonialism is depicted as a disruption of the natural order of things in both of the novels. The main characters, Okonkwo and Waiyaki, attempt to rectify the disorder brought by colonialism, but their tragic ending implies the embattled situation of African traditional culture under colonialism.

      • KCI등재

        아프리카 대학의 한국학 현황과 육성방향: 케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정경 ( Jeong Kyung Par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2

        아프리카 국가들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정치적 안정 및 자원 개발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어, 국제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도 최근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교류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아프리카 내부에서도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과 더불어, 비교적 단기 간에 경제 성장을 이룬 한국의 개발 모델이 주목 받으며 한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프리카 지역 한국학의 현황을 대학 교육과정에 한국학 개설 여부 및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한 현 시점에서 한국학이 아프리카 대학에 확고히 뿌리내리는 데 필요한 육성방향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아프리카의한 국가에 한국학이 자리 잡아가는 사례로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동부 아프리카 케냐에서의 한국학 육성 사업의 추진 경과와 성과가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될 것이다. 아프리카의 대학 교육과정에 한국학의 도입이 시작된 지 20년이 가까워 지고 있지만, 아직 일부 국가에서만 한국학 강좌가 실시되며 그나마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러한 현실에서 대학 정규 교과과정에 한국학이 안착한 케냐의 사례는 아프리카 대학에 한국학이 지속가능한학문으로 자리 잡은 성공모델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한국과 케냐 양국간 활발한 학술교류 및 연구협력을 통해 케냐 학계에 한국학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는 토대가 구축되었고, 해외 한국학 진흥을 담당하는 국책기관 이 네트워크 확충, 연구 진작, 교수요원 파견 등을 적절히 지원한 결과다. 아프리카 지역 한국학의 진흥을 위해 우선시 되어야할 과업은 현지 학계에 한국학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기위해 한국 정부의 해외 한국학 진흥 관련 국책기관은 전문화·특화 및 상위 기구의 조율을 통해 체계적·효율적인 지원 사업을 시행해야 한다. Korean studies have remained scare in Africa, because of the Eurocentric and American frameworks that have dominated African academic circles since the colonial era. This situation has changed rapidly in the past decade with Korean studies being included in university curriculum in several African countries. This paper discusses present situations, trends and prospects of Korean studies in African universities. By looking into the case of the Korean studies in the University of Nairobi, Kenya, it deals with the processes of capacity strengthening and infrastructure support in order to implement the Korean studies programs in Kenya. Prospects for promoting Korean studies in Africa are bright based on internalization projects pursued by African universities. Another enabling factor is the foreign policy shift in African countries to an enhanced engagement with 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Nairobi in 2013, two Korean studies programs have been well delivered and growing under the support of the university and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s for promoting Korean studies abroad. As seen in the case of Kenya,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Korean studies in African universities, Korean studies must be encouraged among local African researchers and the support of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s should be well coordin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