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고대왕권과빈례(賓禮)

        정진아(Jung Jin ah)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고려 및 일본의 조하 의식과 연회를중심으로 각각의 의례가 가지는 특이성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먼저일본과 달리 팔관회에 외국인을 위한 조하 의식이 별도로 규정되었는데, 이는 조공을 바치러 온 상인들을철저하게 외부인자로 파악하려는 의도라 볼 수 있으며, 고려왕과 외신 관계를 맺지 않은 점도 이를뒷받침한다고 하겠다. 일본의 경우도 외국사절들은내신과 구분되는 존재였으나 고려와 달리 일본의 귀족들과 함께 조하 의식에 참가하며 천황과의 외신 관계를염두에 둔 일련의 의식 절차가 행해졌다. 고려와 일본의 연회의 특징을 정리하면, 팔관회의 경우 참석 자격이 9품의 문무관에 이르기까지 대상 범위가 넓은 연회 의장이며, 왕이 하사하는 하방형(↓) 의례와 군신(君臣) 간의 헌상⇔하사의 쌍방형 의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실제적인 상호 간의 행위성이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왕을 중심으로 한 군신 질서의 재확인과 유대감의 극대화야말로 팔관회를 관통하는 중심 이념이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일본 의원 일체 회는 위계라는 것이의식의 흐름을 관통하는 황금률로 작동하고 있었다. 오 위 이상의 문관에게만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는 점과, 위계에 바탕을 둔 상하질서에 따라 입장하며, 천황에게 술을 하사받은 것도 대표자에게 한정되었던 것처럼, 팔관회와 달리어 왕과 군신 간의 상호성이배제된 수직 하방형의 구조라고 할 수 있겠다. 민족 고유의 성격이 강한 팔관회에 외국인 조하 의식이제정된 것은, 11세기 초 귀 주대첩으로 거란과의 전쟁이종결된 후 고려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상승하면서 나타난 대외적인 정치력의 표출로 이해되기도 한다. 즉 실질적인 외교관계에 바탕으로 둔 국가적인 위상과 자의식에 연동되어 외국인 조하 의식의 설정과 같이의식 규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외 질서의 역학계에 따라 참석자가유동적일 수밖에 없는 팔관회의 조하 의례에서, 외국인과 같은 외부인자들과 외신을 맺는 대신, 의식과 연회에서 고려왕의 덕화를 흠모하여 조공을 바치는고려적인 천하 관내에서 구성 분자로서의 역하라 규정으로 충분하였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반면, 일본의 의례를 관통하는 중심축은바로 천황과 군신과의 인격적인 결합으로 상질되는 관료제 질서의 틀 속에서의 일체성을 강하게 내포한다. 엄격한 위계제 질서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행위성이배제된 상징적인 군신 쌍방향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반복 확인하는 구조였다. 특히 율령제 국가의 확립과 함께‘동이의 소지에 국’이라는 폐쇄적인 화이논리를 설정하여 신라와 발해를 번국으로 설정하게 된다. 고려의 유동적인 대외환경과 달랐던 고대 일본의 대외 구도는 신라와 발해로 고정될 수밖에 없었으며 발해와 신라는 영구적인 번국으로 자리매김되었다. 따라서 외국사절들에게 상징적인 위계 하사를 통한 영구적인 외신의 설정과 함께, 연회에서도 번 객들의 참석을염두에 둔 본국 악의 연주라는 상징적인 복속 의례규정을마련하였다. 나아가조서를통한상대국왕과의커뮤니케이션 구도를 통하여 실재를 넘어선 천황 중심의 과잉이이데올로기를 대외 영역에까지 확대재생산하려고 했던 것이다. 고려와 일본 모두 외부인자들은양국의 화이 질서의 당위성을 입증하는 구성 분자로서의 역할을수행하였다. 하지만 고대 일본에서는 물리적인 영역의 확장성과 반비례하며 의식에서 권력이 표상하는 상징성은농후하게 표출되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ficity of each rite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Joha rituals and banquets in Goryeo and Japan. In both countries, foreign agents such as foreign envoys and merchants were used as devices to strengthen internal governance, but the differences were confirmed. Unlike Japan, the Joha ceremony for foreign merchants was separately defined in the Palgwanhoe. This can be seen as an intention to hold the merchants who came to the tribute to be thoroughly outsiders, and it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y did not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king of Goryeo. In the case of Japan, the foreign envoy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but unlike Goryeo, they participated in the Joha ceremony with the Japanese nobles, and a series of rituals were conducted with the emperor in mind.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and Japan banque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Palgwanhoe, the scope of the banquet is broad, ranging to officials of the 9th rank and military courtiers, and as downward direction type royal rituals (↓) and the two?way rituals of the servants are combined, practical mutual behavior was regarded as important. Above all, reaffirming the military order and centering on the king, and maximizing the bondage, could be said to be the central idea that penetrated Palgwanhoe.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the Japanese one-sided society is a vertical downward structure in which the hierarchy functions as a golden rule that penetrates the flow of consciousness and excludes the reciprocity between the king and the military. Goryeo changed the consciousness regulations such as the setting of the foreigner Joha ceremony linked to the national status and self-consciousness based on actual diplomatic relations. I think that the Joha ritual, a participant in a floating relationship with the dynamics of the external order, was sufficient as a constituent molecule in a considerable underworld, instead of establishing external factors such as merchants.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axis penetrating Japanese ritual strongly implies the unity in the framework of the bureaucratic order, which is symbolized by the personal combination of the Emperor and the military. In particular, the external composition of ancient Japa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flexible external environment of Goryeo, had to be fixed by Silla and Balhae, and Balhae and Silla became permanent tributary states. Therefore, through the symbolic hierarchical setting of the foreign envoy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king through the letter of the Emperor (Imperial message), the emperor- centered excess ideology beyond reality would be expanded to the outside world.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靖国神社)와 천황제 이데올로기 - 야스쿠니의 천황중심 사상과 반사회세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이충호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4 No.-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Yasukuni shrine and Japanese Emperor system ideology, focusing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Japanese people. The Yasukuni shrine is a peculiar religious facility that connects the Japanese Emperor with the shrine and the military and is not a simple memorial where people come to honor and pray for the repose of the dead. Instead it was built to praise those who fought and died for the Japanese Emperor. In the sense that memorial services at the shrine are held for all the Japanes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 Japanese Emperor, regardless of their status, occupation and gender, the Yasukuni shrine is a democratic religious facility where all are equal in the eyes of the Japanese. If we viewed the surroundings of the Yasukuni shrine on the just passed August 15th,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we would see some people at the Yasukuni shrine expressing their complaints about the present administration and society with megaphones while others distributed flyers. This demonstrates that the energy which supports Yasukuni is not provided only by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honored there but also by those wishing to voice their dissatisfaction with Japanese current affairs. Such a rebellious and anti-government atmosphere at Yasukuni on the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can be said to have its foundation in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public. The Yasukuni shrine was constructed in modern Japan and is supported by the logic of the peculiar power structure of Japan that unites those with rebellious ideologies and those who have dropped out of society or are on its peripheries with the Japanese Emperor and his leadership. The origins of the shrine lay in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civil war dead which was carried out by patriots who respected the Emperor, aimed to repel foreign intruders and developed the movement to overthrow the bakufu, thus helping the Japanese Emperor take the throne. It is such a history that invests the Yasukuni shrine with the symbolic meanings and power to connect the Japanese Emperor’s ideological religious authority with the people. 본고는 야스쿠니신사와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천황과 일본 민중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야스쿠니신사는 천황과 신사와 군을 연결한 특이한 종교시설로 단순한 추도․위령의 시설이 아니라 천황을 위해서 싸워 전사를 한 국민을 칭찬하는 현창의 장이다. 따라서 천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일본국민이라면 신분, 직업, 성별 등에 관계없이 제사지낸다는 의미에서 야스쿠니신사는 일본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민주적이고 평등한 종교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8월 15일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신사의 풍경을 보면, 삐라를 나눠주고 확성기로 현 정권과 사회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야스쿠니신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등, 야스쿠니를 지탱하고 있는 에너지는 유족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참배객만이 아니라, 현재의 일본정부의 정책에 불만이 있거나 사회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는 세력이 집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전기념일의 야스쿠니의 반체제적이고 반사회적인 불온한 공기는 이전부터 이어져온 천황과 민중의 특수한 관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야스쿠니신사는 근대일본에서 건립되었지만, 역사적으로는 권력쟁취를 위하여 일본사회의 하층부의 에너지를 이용한 천황과 사회의 중심부에서 탈락하여 주변부로 전락한 반체제적인 사상을 지닌 민중들이 천황이라는 대의명분을 통하여 결집하는 일본만의 독특한 권력구조의 논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지탱하는 근본사상이라 할 수 있다. 막말(幕末)에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을 옹립하는 운동을 전개한 존왕양이의 지사들이 내전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제사지낸 초혼제가 야스쿠니신사의 기원이 되었다는 점은 야스쿠니신사가 천황의 이데올로기적 종교적 권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시설이라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 KCI등재

        『日本書紀』 한반도관계기사에 보이는 吉備氏에대하여

        洪性和(Hong, Sung-hwa)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Korea-Japan relations in the an-cient through the Kibi clan of the articl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Ibonseogi. When we examined the Kibi clan’s articl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we could know that Baekje supported advanced cultural heritage and Wa dis-patched the military to Baekje. In the end, the Kibi clan could be understood as the clan related to the ocean based on the Seto Inland Sea and the Kibinoamanoatai clan could be described the background of the Kibi region as a maritime power connected with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Kibinoamanoatai clan appear through the contact of the Baekje, Koguryo people and they are likely to come from the Korean pen-insula as the people who are fluent in Korean language including Baekje.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people, places and relics of the ancient Kibi area are highly related to Baekj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ncient Kibi area should be judged preferen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Kibi. 본고는『日本書紀』에 나타나는 吉備氏의 한반도 관계 기사를 통해 고대 吉備 지역의 한일관계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吉備氏에 대해서는 천황중심주의로 윤색되었던 『日本書紀』의 사관 때문에 任 那經營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는 인식이 전제가 되었다. 하지만, 吉備氏의 한반도 관계 기사를 고찰하면 백제가 선진문물을 지원하고 왜의 군사 파견이라는백제와왜의기본적인구도안에서한반도와의교류현황을살펴볼수있다. 결국 吉備氏의 경우 본래는 세토내해를 기반으로 한 해양과 관련 있는 씨족으로 파악 할 수 있으며 吉備氏의 성격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 吉備海部直의 존재는 한반도와 연결 되는 해상 세력으로 吉備 지역의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吉備海部直은 백제의 선진문물을 보유한 渡倭人의 인도, 백제 日羅의 소환, 고구 려 사신과의 접촉 등을 통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언어적인 문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이다. 때문에 이들 吉備氏가 백제어를 비롯한 한반도 언어에 능통한 인물로서 한반도에서 왔던 인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고대 吉備 지역에서 보이는 渡倭人들의 人名, 地名, 遺跡 또한 백제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고대 吉備 지역의 한일관계는 우선적으로 百濟와 吉備 의 관계 속에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재조일본인’ 사회의 형성에 관한 고찰 인구 통계 분석과 시기 구분을 통해

        이동훈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29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of a Japanese settler’s community from the opening port era to the mid-1920s by reconsidering population statistics and social conditions. In this article, Japanese settler’s history is classified into 6 periods and mainly first half period is examined. To reconsider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settler’s community, this study recounts commonly used statistics produced by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Using primary sources―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ocuments―an approximate figure of population is acquired. And the population inflow into Korea and child birth of second and third generation were considered to understand social conditions of Japanese settler’s community. Analyzing graphs and statistics, the fact that Japanese transplanted the most during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of Korea and the early 1910s is confirmed. Also the emergence of second and third generation of colonizers and gender ratio imbalance are verified by analyzing population pyramid of 1925. First half period of Japanese settler’s history is categorized as the opening port era, formation era, settling down era. This period division is named by characteristics of social conditions. First, expansion of Japanese residence is considered during the opening port era. And the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triggered Japanese immigration during the formation era. After the war, Japanese settler’s population increased explosively. During settling down era, Japanese settlers started to consider permanent settling. After Japan’s annexation of Korea, Japanese settler’s tendency towards permanent residency reinforced. 본 논문에서는 재조일본인 사회가 형성된 시기를 중심으로 인구 통계와 사회 양태를 고찰했다. 재조일본인 사회의 역사를 여섯 시기로 구분하고 식민자 사회가 형성되는 전반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개항부터 러일전쟁 시기까지의 거류민인구를 재검토했다. 거류지 밖 내륙 지역에서 거류 중이던 일본인이 존재했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를 얻기 어려우나 지금까지 이용되어 온 통계에 비해 보다 근사치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조선에서 출생한 2세・3세 인구와 유입인구를 그래프화하고 인구 피라미드를 작성하여 지금까지 간과되어 온 점들을 고찰했다. 시기별로 보면 통감부 시기와 1910년대에 유입 인구가 가장 많았으며 이후로 감소한 것이 확인되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매년 출생자수가 만 명을 넘어섰고 러일전쟁 이후 출생한 아동이 성인이 되어 사회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하여 1920년대 중반에 재조일본인 사회가 성장기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했다. 정치적 변동와 함께 식민자 사회의 변용을 고려하여 시기별로 사회 양태를 고찰했다. 재조일본인 사회가 형성되는 전반기를 개항 시기, 형성 시기, 정주 시기로 특징지우고 도항과 이주에 영향을 미친 제도와 사회 양태에 주목했다. 개항 시기는 일본인 거류지 확산을 부추긴 시대적 배경들을 살펴보았다. 형성 시기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등을 계기로 거류민이 증가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배경에는 ‘자유도한’을 위한 거류민 사회의 청원과 ‘이민보호법’의 개정 등의 요인이 있었다. 정주 시기는 일시적 거류가 아니라 정주를 고려하게 된 거류민사회의 의식변화를 다루었다. 통감부 설치에 이은 ‘한국병합’은 거류민들의 정착을 낳았고 식민자 사회가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재조일본인 사회의 형성 과정에서 주목되는 점은 일찍부터 민간인의 이주가 가능했다는 점이다. 대량의 식민자 사회가 형성되는 과정은 시기별로 복합적이었다. 다양한 요인에 의해 거류지가 확산되었고 집단 거주지가 형성되었다. 이 기간 동안 식민자 사회의 특성이 발현되었기 때문에 재조일본인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형성 과정을 주의 깊게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고령사회 일본의 민속예술 전승양상

        신근영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2 일본연구 Vol.37 No.-

        Both Korea and Japan have something in common: rapid economic growth and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In the case of village-based folk art, there are quite a few folk cultures that maintain only the reputation because an appropriate transmission system has not been established. This paper first reviewed the case of Japan, which experienced the problem of population change, and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proposed in Korea were considered. In the case of Japan, it has long been based on the opinions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local festivals, and has emphasized the cooperation of local elders i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method, focusing on folk art accompanied by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process of preserving and inheriting traditional culture. Cases of Kantomatsu-ri in Akita Prefecture, and Asakura Ladder Lion in Aichi Prefecture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aspects of folk art in response to the problem of population change. The value of folk culture includes the value of community culture,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the value of cultural diversity, cultural ecological value, and the value of cultural capital.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s of these various folk cultures will function properly in a super-aged society and serve as a cultural basis for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and urban regeneration. I hope that it will help to revive the Korean local community and present a new approach to inherit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by using Japan’s precedent, which is experiencing a super-aged society first, as a stepping stone. 한국과 일본 모두 급격한 경제성장과 초고령사회 진입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마을을 기반으로 하는 민속예술의 경우, 적절한 전수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민속문화들이 상당히 많다. 본고는 인구변화의 문제를 먼저 경험한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국내에 제안할 수 있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민속문화를 보존 전승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지역공동체의 해체를 막는 길이 최우선이다.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민속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마을의 단위는 급격히 해체되고 있다. 정책적으로 귀농 인구의 유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지 않는다면 현실적으로 민속문화는 단절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특히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지방의 경우 민속문화의 보존과 계승은 이전 방식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으며, 지자체의 노력과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반드시 요구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오래전부터 지역축제 운영조직과 구성에 지역민의 의견과 참가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세대 간 전승활동과 교육활동에 지역 원로들의 협조를 중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민속예술을 전승하는 사람들이 담당자 부족 문제에 직면했을 때 어떤 대응책을 취하는지 두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아키타현 간토마쓰리는 국가 지정 민속문화재인 만큼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받고 있어 후계자 문제에서 자유로울 것 같았지만, 실상은 단기간의 경험자들을 대거 양성하는 데 치중한 나머지 먼 시야에서 간토기예를 담당할 연희자들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을 중심의 참가 제한을 기업과 단체로 넓혀 참여단체의 수를 확대시켰고, 참가자의 폭을 여성들에게도 허락해 많은 여성들이 하야시 반주음악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아사쿠라 사다리사자의 경우 기예를 책임지는 청년조직이라는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조직의 재편성을 시도해 현상에 적응시키려는 모습을 알 수 있다. 아사쿠라 조직에서는 청년조직 연령층 확대와 함께 연령계제의 제도도 변화했다는 형태적인 특질도 보여준다. 민속문화의 가치는 공동체 문화의 가치, 전통문화의 가치, 문화 다양성의 가치, 문화생태적 가치, 문화자본의 가치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민속문화의 가치가 초고령사회에서도 제 기능을 수행하고, 지역공동체 활성화 및 도시재생의 밑거름이 되는 문화적 바탕이 될 것을 기대한다. 초고령사회를 먼저 경험하고 있는 일본의 선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한국의 지역공동체를 부흥시키고 전통문화의 가치를 계승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제국 일본의 식민지 도시 건설과 전통 사회의 변화

        이정욱(李正旭)(Lee, Jung-wook)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는 조선의 개항 초기부터 유곽이 대중화되는 1930년 전후를 기점으로 조선의 유곽을 보편성은 물론, 지방 도시 군산이라는 지역적 특수성과 함께 유곽 문화의 정착과정을 살펴보았다. 1900년대 초반 ‘블루오션’이었던 유곽산업은 화류계 여성들을 기반으로 막대한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했다. 일본에 의해 조선 전역에 형성된 유곽은 기예를 중시했던 조선 의 기생제도의 변질을 가져왔으며 화류계 여성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였으며 매춘의 번창으로 이어졌다. 또한 조선에 체재한 일본인들에게 유곽은 경제적인 풍요를 의미하던 지역이었으며 지방 도시인 군산의 신흥동 일본인 거류지와 유곽지역의 조성은 조선인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았다. 또한 신흥동 일본인 거주 지역과 개복동 조선인 거주 지역으로 분리시킨 지리적 차별은 유곽을 통해서도 유흥문화의 차별을 도모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신흥동 유곽의 상황을 사진자료 등을 통해 군산의 화류계가 대도시에 버금갈 정도의 유흥문화를 이루었음을 살펴보았으며 유곽 문화가 한일 양국의 문화가 융합된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음을 밝혔다. 유곽 문화는 제국 일본이 식민지 조선의 전통 문화를 강제적으로 말살하며 일본화를 시도했던 다른 분야와는 상이함을 엿볼 수 있었다. 이는 문화적인 이유보다는 경제적인 이유를 우선시했던 유곽문화의 특징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이식된 유곽 문화는 1945년 해방과 함께 단절된 것이 아니며 이후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집창촌으로 이어졌으며 일부는 현재까지도 ‘아픈 역사’를 대변하고 있다. 제국 일본의 식민지 도시 건설에서 유곽이 차지하는 의미와 함께, 지역 전통사회에 끼친 영향을 밝히고자 한 본고는 100여년의 근대 한일관계사에서 지역적인 특수성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향후 한일 양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This material covers from the opening of a port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around the 1930s, at which time licensed red-light districts were becoming popular. I will examine how red-light district culture took root, particularly in Gun-san. At the beginning of 1900s, red-right district industries were booming, feeding off the economic benefits created by prostitution. The red-light districts widely spread across Joseon by Japan had a great impact on Joseon's gisaeng system. Furthermore, such districts meant economic abundance for the areas settled by Japanese. One local city, Shinheung-dong in Gun-san, benefited financially by building a Japanese settlement and red-light district. One aspect of this was the geographic discrimination between Shinheung-dong, the Japanese settlement and Gaebok-dong, where native Koreans resided, and the creation of red-light districts in each area catering to either Japanese settlers or Korean locals. From the research material, including photographs, it was found that the sex industry in Gun-san was as quite big as in larger cities, Similar to what Imperial Japan did to other fields of industry and activity in Joseon, the Japanese settlers worked to obliterate the traditional culture and replace it, in this case, with Japan's version of red-light culture. Such a change placed financial motives over cultural imperatives. This transplanted red-light culture did not wither and die when Korea was liberated in 1945. It continues today as a system of brothels, including those which were established near American military bases. In looking at how red-light districts figured into Japanese colonization plans and goals, I would like to show how local communities in Joseon were affected and traditional customs changed by cultural hegemony.

      • KCI등재

        일본어교육을위한통역훈련법의 응용가능성에관한연구

        권연수(Kwon Yon soo)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7 No.-

        본고에서는 한국과일본의 전문통역사교육기관에서 실시되고있는 통역훈련법에 주목하여 일본어교육을위한응용가능성을탐구하였다. 예비통역사를위한통역훈련법은청해및커뮤니케이션능력, 메모리능력향상을지향하며, 주의력과 집중력을 바탕으로 반복훈련을 실시한다. 여기에 순발력강화 및 정보처리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훈련법에 이르기까지, 통역훈련법은 외국어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요소를 두루갖추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통역훈련법을 어학교육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전문통역사가 되기위한 목적과 어학능력을 향상시켜외국어로읽기/쓰기/듣기/말하기기능을제고시키고자하는 목적의 차이를 인식하고 교육목적에 맞는방법을 고안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통역훈련법의종류 와훈련법을 살펴보고 각각의 훈련목적 및방법에 따라 분류, 정리하여 어학교육에 응용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에서 실시되고 있는 훈련법들의 장점을 조합함으로써 어학교육의 목적에 최적화 된응용방안을모색해야한다는관점을제시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통역훈련법 및 응용방안은 일본어라는 언어의 특성 및 각수업의 학습목표, 학습환경 및 학습상황에 따라 변형, 수정하여 적용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일본어 교육분야에서 보다 많은교수자 및 연구자들에 의해 더욱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수학습법이 제안되길 기대한다. It is pointed out that the ratio of research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s low, compared to other fields at Japanese study of academic societie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first investigates a current interpreter training methods conducted in Korea and Japan, clarifies what effects are brought about, then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effective Japane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paper reports how to apply interpreting training method to Japanese teaching and learning one, and these methods will be helpful for Japanese teacher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 KCI등재

        이즈미류교겐(和泉流狂言)의 가능표현에 관한 고찰

        양미석(Yang, Mi-seok)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3 No.-

        본 논문에서는 이즈미류교겐 중에서 최고(最古)의 대본과 비교적 늦은 시기의 대본을 대상으로 하여 가능표현 형식의 이동(異同) 및 의미에 관해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天理本狂言六義 新撰狂言集 和泉流狂言大成에서 사용되는 주요 가능표현을 분석함으로써 중세 일본어에서 근세 일본어까지의 일본어 가능표현의 변천 과정을 파악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일본어의 가능형식은 상대(上代)에서 중고(中古), 중세(中世), 근세(近世)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형식의 소장(消長)이 주목되는데, 특히 중세일본어에서 다종다양한 가능표현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본이라는 언어자료를 통해 중세일본어의 대표적인 가능형식인 「え+부정」, 「V.연체형+ことがなる/N+がなる」, 「V.미연형+るる․らるる」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고, 어떤가능의 의미를 실현하고, 어떤 유형의 구문을 취하고 있는지에 관해 검토를 행했다. 그 결과, 「え+부정」과 「V.연체형+ことがなる/N+がなる」형식이 쇠퇴하고, 「V.미연형+るる․らるる」형식이 증가하는 변화상을 제시하고 변화의 요인에 관한 소견을 피력했다. In this study, variations in possibility expression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se variations a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e oldest and relatively late script of Izumiryukyougen (和泉流狂言). To be specific,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stages in Japanese possibility expressions by examining the major possibility sentences from Tenribon (天理本),Izumiryukyougentaisebon (和泉流狂言大成本), and Shinsenkyougenshubon (新撰狂言集本). It is notable that Japanese expressions of possibility demonstrate an ebb and flow over time,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ages, and in particular, the diversity found in the Middle Ages is worth studying.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presentative forms of possibility in the middle ages-「e+denial」, 「~ruru․raruru」, 「~kotoga naru/N+ga naru」- are used, what significance they have, and what structure they build through the script used. Through this process, the causes of the decline in 「e+denial」「~kotoga naru/N+ga naru」 and the increase in 「~ruru・raruru」 are also studied.

      • KCI등재

        曲亭馬琴の 「懲惡」 と讀本の世界『椿說弓春月』と『南總里見八犬傳』における<惡>の問題

        김학순 ( Kim Hark-soo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구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7 일본연구 Vol.27 No.-

        本論文では、『椿說弓春月』と『南總里見八犬傳』の長編構成及び構想を「勸善」ではなく、「懲惡」に注目して分析した。「勸善懲惡」を江戶時代を代表する思想の觀点ではなく、一つの構想の要素として捉えたわけである。また、「勸善懲惡」をモチ一フとする小物語の反復と連鎖が『八犬傳』をつらぬく構成原理になっていることについて考察した。江戶後期では、理解水準が低い讀者層のため、物語の單純化、定型化、讀み切りの完結性などが求められた。馬琴の長編讀本は、その完結した小さな筋立てが反復·連鎖することによって長編物となっているが、その完結した小物語のモチ一フとして本作品で注目されるのが「勸善懲惡」のテ一マである。また、その勸善懲惡の「懲惡」に注目し、「惡人」を中心にして考察した。 さらに、絶對的善惡論とは、『弓張月』の物語が內包している話型を構成する二元論的世界觀であった。その世界觀に善惡の價値が結びついていた。それでは、なぜ馬琴は二元論的世界觀に着目したであろうか。本論は、その背景に、馬琴の時代、これまでの傳統的世界觀(中華思想にもとづく華夷的世界觀)に對立するかたちで西洋傳來の地圖的世界觀が現實感をもって台頭してきたことを指摘した。そして世界觀の衝突と對立があり、幷行現象が見られて、<知>の轉換があったことを主張した。多元的世界觀の衝突への驚きが見られ、そのような<知>の擴大が馬琴讀本に多元的世界觀(『弓張月』では二元論的)を意識させていったと考える。<知>の轉換期といわれる時代にあって、この歷史的規定の樺組の中に、關係構造と物語內容の關連があることに着目したのである。 本論文で對象とする『八犬傳』には、多元論的世界觀はもはや見られない。あくまでも南房總安房國という領國を物語世界とする、一元論的世界が樺組をなしている。しかし二元論的世界觀と善惡の結びつきは、實は『八犬傳』の人物造型、すなわち善人と惡人、とりわけ惡人造型に集約されている。『八犬傳』においても、絶對的善惡論に支えられた「勸善懲惡」はつらぬかれているのであって、善人は善人、惡人は惡人として物語構成を分割する。惡人は父子、母娘といった血筋關係の間を、そして惡の靈魂(「玉」)が生まれ代わり死に代わる人物たちの間を遊離、憑着していく。そのような物語構成は、どうあっても二元論的世界觀の縮圖繼承とみてよく、この惡人造型こそが馬琴に獨自なものなのである。 In Bakin`s Yomihon, the view that the logic of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and that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governs the work has been regarded as the common opinion. In addition,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has been analyzed in the viewpoint of ideology of Confucianism in the Edo era. Because the writer Bakin is a writer in the Edo era, Yomihon he wrote as well has been discussed in this viewpoint. Rather than analyses of the contents of the work, antiquated ideological interpretation has been the main. However, although the Edo-era was the premodern society, the society should not be determined as only a simple Confucian society. Of course, the term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can be seen as Confucian ideology for edification. However, it is thought that analysis of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evil in the work not through such Confucian ideas is also an important job. Nakamura Yukihiko indicates that the charm of Bakin`s Yomihon is the description of evil. The writer also thinks that the evil in Bakin`s Yomihon has large width which cannot be easily understood only with Confucian ideas. Namely, it can be seen that the evil of Baki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ontext of non-Confucian society. Based on such critical mind, this thesis analyzed the world of Yumiharizuki and Hakkenden in the viewpoint of evil not in the viewpoint of good. The description of evil of Yumiharizuki has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ideology of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By tracing such a process, the problem of evil in the work was contemplated.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shown in the work Hakkenden was not regarded as the purpose of edification in the Confucian society. The fact that the absolute good and evil theory governs the work was discovered by analyzing many villains who appear in the work. Especially, under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that supports the absolute good and evil theory, the story that virtuous men were thoroughly virtuous men, and the wicked are thoroughly the wicked is composed. The wicked are in blood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son, or between mother and daughter or spirit of evil resurrects to become the wicked. The fact that such shaping of the wicked was the characteristics of Bakin`s Yomihon was analyzed. Like the above, this thesis contemplated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of Bakin`s Yomihon with the concept of absolute good and evil not with the traditional ideological viewpoint.

      • KCI등재

        근대전환기 일본인의 서양체험

        방광석(Bang, Kwang-suk)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에서는 1862년 에도막부가 유럽에 파견한 분큐사절단과 1871년 메이지 정부가 미국과 유럽에 파견한 이와쿠라사절단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근대전환기 서양체험의 실상과 그 의의, 서양문명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분큐사절단과 이와쿠라사절단의 일차적인 임무는 외교교섭이었지만 서양문물과 제도를 세밀히 견문하고 조사한다는 사명도 띠고 있었다. 외교교섭에서 분큐사절단은 개항․개시의 연기에 성공했으나 이와쿠라사절단은 첫 방문지인 미국에서 조약개정 교섭이 좌절되고 말았다. 분큐사절단의 외교교섭에서는 서양나라들이 일본의 국내 정치 상황을 현실적으로 인식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두 사절단의 규모는 비슷했으나 구성면에서 이와쿠라사절단이 정부 지도자를 중심으로 파견했기 때문에 중량감이 있었으며 정부 각 부문의 주요 관리가 이사관으로 임명되어 조직적으로 전문분야를 분담해 상대적으로 치밀한 조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또한 분큐사절단은 ‘양이’의 상황 속에서 귀국 후 견문의 성과가 막부의 정책에 직접 반영되지 못하였으나 사절단 참가자가 정권을 장악한 메이지정부에서는 이와쿠라사절단의 경험이 여러 경로를 통해 실제 정책에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국박람회는 사절단의 서양체험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분큐사절단이 참관한 제2회 런던만국박람회는 일본정부가 공식적으로 참가한 것은 아니었으나 주일 영국공사가 스스로 출품물을 수집해 일본전시장을 마련했다. 분큐사절단은 암스트롱포를 비롯한 서양의 산업, 기계제품에 압도당해 에도막부가 만국박람회의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골동품 같은 공예품만 전시된 데에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이에 비해 빈만국박람회는 메이지정부가 본격적으로 일본을 서양세계에 알리기 위해 준비해서 참가한 첫 만국박람회였고 이와쿠라사절단이 참관했다. 아직 근대산업이 발달하지 못한 일본에서 눈에 띄는 공업제품을 출품할 수 없었던 것은 당연하지만 박람회에 대한 일본인의 이해는 10년 전인 런던박람회 시기와는 비할 수 없이 깊어졌다. This paper probes into the meaning of Japanese experience of the Western nations and the Japanese changing understanding of Western civilization by comparing the Bunkyu Mission in 1862 under the Edo Bakufu and the Iwakura Mission in 1871~1873 under the Meiji Government. The primary goals of the Bunkyu and the Iwakura Missions were to carry out diplomatic negoti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Western cultures and institutions. As for the diplomatic negotiations, the Bunkyu Mission succeeded in deferment of opening ports and cities, but the Iwakura Mission failed in revising unequal treaties. As for the investigation of Western cultures, the experience of international exposition was important. Visiting the 2nd London International Exposition, the Bunkyu Mission was overwhelmed by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mechanical product of the West. Contrarily, as seen in the Vienna Exposition, the Meiji government was prepared to show Japan to the Western worl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Japanese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civilizations deepened under the Meiji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