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의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 분석

        양미석(Yang Mi Seok),김정겸(Kim Jeong Kyo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성별과 학교급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잠재평균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집단 확인 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 동일성, 측정 동일성, 절편동일성 가정이 충족되어 중·고등학생의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는 성별과 학교급별 에 따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평균분석결과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자기주도성, 리더십, 시민성과 문화의식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력, 리더십, 시민성과 문화의식 등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가 성별과 학교급별에 관계없이 공동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단일 척도로의 개발이 타당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scale for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and the school level and if it shows differences concerning the latent mean. The researcher conducted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to confirm the research purpose and ran a latent mean analys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regarding gender and the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scale for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regardless of gender and school level, as the configural, metric, scalar invariance were satisfied. Second, from the result of latent mean analysis,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male students in the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elf-directedness, leadership, civility and cultural recognition; high-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operation, leadership, civility, cultural recognition, etc. From these outcomes, the research provides a rationale for developing a singular scale by confirming that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scale for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can be used commonly regardless of gender or the school level.

      • KCI등재

        가상훈련 콘텐츠 운영기관 인식을 통한 활용도 제고방안 연구

        양미석 ( Miseok Yang ),오창헌 ( Chang Heon Oh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K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의 가상훈련 콘텐츠 활용을 높이는 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운영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활용경험, 콘텐츠 인식, 현장실습 대체, 요구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20년 K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이 보급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운영한 12개 기관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최종 인터뷰한 11개 기관의 인터뷰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상훈련 운영기관의 콘텐츠 활용경험은 교육환경의 변화, 이론학습의 보완, 실무감각의 향상이 목적이었다. 둘째, 가상훈련 콘텐츠 인식을 조사한 결과, 콘텐츠의 중요도와 활용도가 높다고 인식한 경우에는 구비가 어려운 시설과 장비의 경험, 흥미유발 및 주의집중에 도움, 안전교육에 유용, 비대면 수업시 현장실습에 대체 가능한다고 응답했다. 셋째, 현장 실습에 대체에 대한 인식은 다수의 경우, 현장실습의 사전 교육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없지만 현장실습을 대체하기에는 어렵다고 응답했다. 넷째, 콘텐츠 질 개선사항으로 콘텐츠 질 제고, 콘텐츠 접근 및 조작 개선, 전용 기기 개발, 교수자 대상 연수 실시, 교육과정 체계화로 요약할 수 있다. 다섯째, 기관의 요구사항으로 가상훈련 콘텐츠 자체의 질 제고, 장비지원, 교육과정 체계화 및 특성화, 체계적인 교육과정 및 세부 콘텐츠 목적 공유 등이며, 홍보방안으로 교수자 대상으로 연수 진행하며 가상 훈련 콘텐츠 활용에 대한 자세한 안내, 가상훈련 콘텐츠 활용과 타 사업 연계, 콘텐츠 활용방법 소개 및 활용 강사모집 등이었다. 본 연구는 가상훈련 콘텐츠 운영기관의 인식을 바탕으로 가상훈련 콘텐츠 활용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how to increase the use of virtual training content at K University’s onlin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this study examined the use experience, content recognition, field practice replacement, and requirements, focusing on the examples of operating institutions. To this end, 12 institutions that operated virtual training contents distributed by the K University Online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2020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terviews of 11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experience of using the contents of the virtual training operating institution was aimed at chang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pplementing theoretical learning, and improving the sense of practice. Second,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virtual training content, if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the content are high, it can be replaced by on-site practice in non-face-to-face classes, such as experiences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ttracting interest and attention. Third, in many cases, the perception of replacement for field practice is not unreasonable to use as a pre-training material for field practice, but it is difficult to replace field practice. Fourth, content quality improvements can be summarized as content quality improvement, content access and manipulation improvement, dedicated device development, training for instructors, and curriculum systematization. Fifth, institutional requirements include improving the quality of virtual training content itself, equipment support, curriculum syste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systematic curriculum and detailed content sharing, detailed guidance on using virtual training content, introducing how to use content, and recruiting instru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ways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virtual training content based on the perception of virtual training content operating institutions.

      • KCI등재

        이러닝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양미석 ( Miseok Yang ),김정겸 ( Jeongkyoum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러닝 디지털 리터러시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기초문항을 토대로 대학에서 이 러닝을 수강하였거나,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370부 배부하여 최종 분석에 299부를 사용하였다. 최종 사용한 299명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 후 추출된 이러닝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별 상관계수는 r= .241~ .626(p<.01)로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왜도 ±2와 첨도 ±4의 분포를 보여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였다. 구성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기술적 활용은 .853, 정보 활용 및 구성력은 .767, 비판적 사고는 .715, 학습상호작용은 .795, 메타인지는 .733, 문제해결력은 .776이었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89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구성 개념 신뢰도는 추천 기준치인 0.7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분산 추출 값도 추천기준치인 0.5보다 높게 나타나 각 구성개념에 대한 대표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대학생의 이러닝 디지털 리터러시 구인 타당성 검증 결과, 세 개의 구성영역인 기술적 영역에서 기술적 활용, 지식적 영역에서 정보 활용 및 구성력, 비판적 사고, 태도적 영역에서 학습상호작용, 메타인지, 문제해결력 등의 6요인 모형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이러닝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를 실증적으로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 for college students’ e-Learning digital literacy and test of its validity. For that, survey questions based on former studies are distributed to 370 students who had taken or are taking an e-Learning class. 299 survey results are used and analyzed by some statistical tool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rstly, correlation coefficient by sub factors of e-Learning digital literacy extracted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r=.241~.626(p<.01) and quite fine, and satisfied the hypothesis of normal distribution showing ±2 skew coefficient and ±4 kutosis. Reliability correlations by sub factors are: .853 for technological practical use, .767 for informational application and formation, .715 for critical thinking, .795 for learning interaction, .733 for meta cognition, .776 for problem solving, and total reliability correlation was .899, very high. Secondl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by each forming concept shows very high, more than 0.7, recommended standard, extracted value of average and variation shows higher than recommended standard 0.5; they could have representativeness for each forming concept. As the result of verification the validity of college students’ e-Learning digital literacy, six-factor model came up from three compositional areas: technological utilization from technological area,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with organizing power and critical mind from knowledge area, and learning interaction, metacognitive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from attitudinal area. This study has signification due to its empirical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 for college students’ E-Learning digital literacy.

      • KCI등재

        가상훈련 콘텐츠 보급기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양미석 ( Mi-seok Yang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3 No.3

        본 연구는 K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이 보급하는 가상훈련 콘텐츠를 운영하는 기관의 교육형태,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가상훈련 콘텐츠 보급기관의 역할 및 개선방안 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K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이 보급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운영하는 56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응답한 44개 기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훈련 운영기관의 교육형태는 가상훈련 교육매체는 PC를 활용, 활용한 콘텐츠 과정은 총 52과정, 교육형태는 이론+가상훈련 유형, 실습기간은 1-2주 기간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교육현황을 살펴보니 가상훈련 대상은 주로 학생이며, 주로 기관 자체적으로 모집을 하며 운영규모는 1-20명, 개설 과정 수는 1-3개 정도, 담당 교·강사 수는 1-3명 정도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가상훈련 콘텐츠 보급기관의 역할로 다양한 가상훈련 콘텐츠 개발과 가상훈련 교육과정 적용 및 활용방법 제시, 가상훈련 콘텐츠 질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가상훈련 콘텐츠 보급기관의 개선방안으로 가상훈련 콘텐츠 실무능력 연계 강화, 교·강사의 가상훈련 콘텐츠 활용교육, 다양한 가상훈련 콘텐츠 연계방안 제시, 가상훈련 콘텐츠 품질 관리 강화 등을 요구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훈련 콘텐츠 운영기관의 전반적 운영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공공 가상훈련 보급기관의 역할 정립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types and educational status of institutions that operate virtual training contents distributed by K University's Online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to examine the role and improvement measures of institutions that supply virtual training cont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6 institutions that operate virtual training contents distributed by K University's Online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2020, and a survey of 44 institutions that responded finally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rtual training education media responded that a total of 52 courses were applied to the content process using PC, the theory+virtual training type is the most, and one to two weeks of practice period were the most.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the subjects of virtual training were mainly students, and the institution itself recruited, and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was 1-20, the number of courses opened was 1-3, and the number of teachers and instructors in charge was 1-3. Second, they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virtual training contents as a virtual training content supply institution, present ways to apply and utilize virtual training curriculum, and improve the quality of virtual training content. Third, as an improvement plan for virtual training content distribution institutions, it demanded strengthening the linkage of virtual training content, training using virtual training content by teachers and instructors, suggesting various virtual training content linkage, and strengthening virtual training content quality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and status of virtual training content management institutions and examined ways to establish and improve the role of public virtual training supply institu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컴퓨터적 사고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양미석(Yang Mi Seok),김정겸(Kim Jeong Kyo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컴퓨터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이었다.방법 이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초문항을 추출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 28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 289부의 설문자료는 기초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결과 분석결과는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하여 총 41문항을 추출한 결과 각 구성요인 간 상관계수 r=.443~.694(p< .01)로 양호하였으며, 왜도와 첨도의 기준치 분포를 보여 정규가정 분포를 충족하였다. 신뢰도계수는 .816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측정모형에 대한 요인적재치, 구성개념 신뢰도, 평균분산추출 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컴퓨터적 사고력 구인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결론 대학생의 컴퓨터적 사고력은 네 개 영역의 8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분석역량에 자료수집 및 분석, 자료표현, 문제분해 등 3개 요인이, 설계역량에 추상화, 알고리즘 절차 등 2개 요인이, 구현역량에 자동화 1개 요인이 추론역량에 시뮬레이션, 일반화 등 2개 요인으로 총 8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컴퓨터적 사고력 측정도구를 개발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평가의 기준틀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for a college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nd verify its validity. Methods 289 questionnaires with basic questions extracted from preced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within college students. These data were analyzed with basic question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irst of 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showed valid value (from .443~.694)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41 questions. Skewness and kurtosis values also showed standard distribution. Th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found to be above .816. Next, it was found out that the scale is proper because it had good enough factorial value, reliability,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 8 factors of 4 areas are extracted as some 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of a college student. 3 factors such as data collecting and analysis, presentation, and resolving problem are extracted in analysis area. Conclusions Abstraction and algorithm process, these two factors were result in an area of designation ability. Automation factor was extracted in materialization area. Simulation and generalization factors also extracted in inference ability. This study developed valid and reliable computational thinking scale and provided standard scale for evaluation.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관련된 변인 연구

        양미석(MiSeok Yang),김정겸(JeongKyoum Kim):김기덕(KiDuck Kim)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과 세계시민교육 태도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등 예비교사는 C대학의 사범대생 233명, 현장교사는 D시의 11개 중학교의 교사 216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두 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 현장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세계시민의식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책무성, 글로벌 역량, 글로벌 참여가 높았으며, 세계시민교육 태도의 하위변인 중 교사역할 태도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세계시민교육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예비교사는 변인들 간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세계시민교육 태도의 하위변인 중 교육과정 태도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과 세계시민교육 태도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세계시민교육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현장교사의 모든 변인에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현장교사의 세계시민의식은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원양성단계에서 필요한 교육과정의 기초자료제공과 실제 학교현장에서 요구되는 세계시민교육의 교사전문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relations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 of University C as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216 teachers of 11 middle schools in City D as in-service teachers. of whom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final analytic methods of data includ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the two group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hows that in-service teachers are more scored in social responsibility. global capacity and global participation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and in teacher role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than pre-service teachers are.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glob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for pre-service teachers shows that the factors of pre-service teachers have mutu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except for curriculum attitude among the lower factor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nd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Furthermore.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 significantly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ird. the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glob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itude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for in-service teachers shows that all the factors of in-service teachers have mutu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global citizenship of in-service teache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urriculums required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고등학생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양미석 ( Mi-seok Yang ),김정겸 ( Jeong-kyoum Kim ),이상선 ( Sang-seon Lee ),김기덕 ( Ki-duck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창의핵심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추출한 기초문항을 토대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900부 배부하여 최종분석에 788부를 사용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한 788부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후에 창의핵심역량의 구성요인별 상관계수는 r= .314 ∼ .661(p<.01)로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왜도 ±2, 첨도 ±7의 분포를 보여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성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r= .735∼ .905이었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96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구성 개념 신뢰도는 추천 기준치인 0.7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 수렴타당도를, 평균분산 추출 값도 추천기준치인 0.5보다 높게 나타나 판별타당도를 확보하여, 각 구성개념에 대한 타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중·고등학생의 창의핵심역량 구인 타당성 검증 결과, 두 개의 구성영역 중 학습역량 영역에서는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협력 등 4개 요인이, 정의적 역량 영역에서는 유연성, 적응력, 진취성과 용기, 자기주도성, 리더십, 시민성과 문화의식 등 6개 요인으로, 총 10개 요인 모형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창의핵심역량 진단도구를 체계적인 연구절차에 따라 타당하고 신뢰롭게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nd validate scale to assess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of students in secondary education. 900 surveys of basic question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were distributed to middle/high school students, and 788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788 surveys were analyzed using method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rst,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input factors of core creativity competence was a relatively favorable r= .314 ~ .661 (p<.01), and met the normal distribution hypothesis by showing a skewness value of ±2 and a kurtosis value of ±7.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input factors was r= .735 ~ .905, and the tota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63, both very favorable values. Second,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respective construct reliability values were higher than the recommended standard of 0.7, a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value were higher than the recommended standard of 0.5, granting represent ativeness of respective construct. As a result of validity verification of core creativity competence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4 factors in the learning competence component and 6 factors in the creativity competence component, a total of 10 factor models were extracted.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cooperation were factors of the former component, and flexibility, adaptability, courage and progressiveness, leadership, citizenship and cultural awareness were factors of the latter componen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mpirically developed scale to assess the core creativity competence of students in secondary education with systematic research procedures.

      • KCI등재

        이즈미류교겐(和泉流狂言)의 가능표현에 관한 고찰

        양미석(Yang, Mi-seok)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3 No.-

        본 논문에서는 이즈미류교겐 중에서 최고(最古)의 대본과 비교적 늦은 시기의 대본을 대상으로 하여 가능표현 형식의 이동(異同) 및 의미에 관해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天理本狂言六義 新撰狂言集 和泉流狂言大成에서 사용되는 주요 가능표현을 분석함으로써 중세 일본어에서 근세 일본어까지의 일본어 가능표현의 변천 과정을 파악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일본어의 가능형식은 상대(上代)에서 중고(中古), 중세(中世), 근세(近世)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형식의 소장(消長)이 주목되는데, 특히 중세일본어에서 다종다양한 가능표현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본이라는 언어자료를 통해 중세일본어의 대표적인 가능형식인 「え+부정」, 「V.연체형+ことがなる/N+がなる」, 「V.미연형+るる․らるる」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고, 어떤가능의 의미를 실현하고, 어떤 유형의 구문을 취하고 있는지에 관해 검토를 행했다. 그 결과, 「え+부정」과 「V.연체형+ことがなる/N+がなる」형식이 쇠퇴하고, 「V.미연형+るる․らるる」형식이 증가하는 변화상을 제시하고 변화의 요인에 관한 소견을 피력했다. In this study, variations in possibility expression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se variations a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e oldest and relatively late script of Izumiryukyougen (和泉流狂言). To be specific,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stages in Japanese possibility expressions by examining the major possibility sentences from Tenribon (天理本),Izumiryukyougentaisebon (和泉流狂言大成本), and Shinsenkyougenshubon (新撰狂言集本). It is notable that Japanese expressions of possibility demonstrate an ebb and flow over time,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ages, and in particular, the diversity found in the Middle Ages is worth studying.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presentative forms of possibility in the middle ages-「e+denial」, 「~ruru․raruru」, 「~kotoga naru/N+ga naru」- are used, what significance they have, and what structure they build through the script used. Through this process, the causes of the decline in 「e+denial」「~kotoga naru/N+ga naru」 and the increase in 「~ruru・raruru」 are also studied.

      • KCI등재

        가상훈련 콘텐츠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양미석 ( Miseok Yang ),김우철 ( Woocheol Kim ),권오영 ( Ohyoung Kwon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가상훈련 학습자의 가상훈련 콘텐츠 활용 만족도를 측정하는 도구 개발 및 타당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에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가상훈련 만족도로 활용한 문항을 토대로 기초문항을 도출하였다. 이후, K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 포털 STEP에 접근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총 49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 사용한 491부의 자료는 기초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기초문항분석에서 평균 4점이상, 왜도 ±2, 첨도 ±4이상의 수용기준을 벗어난 문항은 없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 후 도출된 가상훈련 콘텐츠 만족도 하위요인별 상관계수는 r=.682 ~ .822(p<.01)로 나타나 양호하였다. 하위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콘텐츠 내용 .849, 콘텐츠 활용 .922, 시스템 및 운영지원 .841, 활용지속의향 .920, 전체신뢰도는 .95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구성개념도는 .842 ~ .926로 나타나 추천기준치인 .7보다 높았으며, 평균분산추출도 .640 ~ .796으로 나타나 추천기준치인 .5보다 높아 각각 구성개념에 대한 대표성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상훈련 학습자의 콘텐츠 만족도 구인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로 콘텐츠 내용, 콘텐츠 활용, 시스템 및 운영지원, 활용지속의향 등 4개 요인 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가상훈련 학습자의 콘텐츠 만족도 측정도구를 실증적으로 개발하여 준거 틀과 기준을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that measures the satisfaction of virtual training learners’ use of virtual training content. To this end, 491 copies of the basic questions derived from the satisfaction questions used by the K University Online Lifelong Education Center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learners who accessed STEP, the K University Online Lifelong Education Center portal. The 491 copies of data finally used were analyzed by methods such as basic ques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rst, in the basic question analysis, there were no questions that exceeded the acceptance criteria of an average of 4 points or more, skewness ±2, and kurtosis ±4. Seco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sub-factor of virtual training content satisfaction derived aft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good as r=.682 to .822 (p<.01).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each sub-factor is content .849, content utilization .922, System and Operations Support .841, Intention to Continue Utilization .920, the overall reliability is. It was very high at .956 Fifth,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mpositional conceptual diagram is. It was .842 to .926, higher than the recommended standard of .7, a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 degree. It appears to be .640 to .796, higher than the recommended standard of .5, which can be seen as representative of each constituent concep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virtual training learners’ content satisfaction recruitment, four factor models were derived: content substance, content utilization, system and operation support,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developed a tool to measure content satisfaction of virtual training learners and provided a reference frame and criteria.

      • KCI등재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자격연계형 마이크로 크리덴셜 적용 방안

        양미석 ( Miseok Yang ),권오영 ( Ohyoung Kwon ),김우철 ( Woocheol K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마이크로 크리덴셜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능력교육개발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 현황, 마이크로 크리덴셜의 특징, 보수교육과정과 마이크로 크리덴셜의 연계가능성을 살펴보고, 스타훈련교사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인증서에 대한 인식은 훈련과정 이수시 디지털 인증서인 디지털 크레딧, 디지털 뱃지 발급과 보수교육의 공인된 자격과정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보수교육의 마이크로 크리덴셜 적용방안으로 다양한 사례로 보수교육보다 혜택을 주는 방안, 보수교육의 체계화, 자격과정의 체계화 및 등급화, 자격과정의 학점화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마이크로 크리덴셜을 적용한 보수교육 활용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보완장치로 NCS기반 전공 보수교육 확대 필요성, 효율적인 학습콘텐츠와 학습방법 제공, 최소 이수시간 설정 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이해도 제고방안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내용은 마이크로 크리덴셜 홍보방안이었다. 셋째, 보수교육기관과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역할에서 보수교육기관은 교육품질 유지에 대해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역할로 가장 많이 응답한 내용은 적극적 참여였다. 본 연구로 직업능력개발훈련 교·강사의 보수교육과정과 마이크로 크리덴셜 간의 자격연계로 전문성 제고와 실무역량 이력 포트폴리오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직업훈련 환경구축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muneration curriculum of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s and instructors and to examine ways to apply micro credential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muneration curriculum of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s and instructors at K University’s Competency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he characteristics of micro credentials, and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remuneration curriculum to micro credential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cognition of digital certificates was positive for digital certificates such as digital credit, digital badge issuance, and recognition of the recognized qualification process of maintenance education when completing the training course. In addition, as a method of applying micro credentials to conservative education, various cases were proposed to benefit from conservative education, systematization and grading of the qualification process, and credit of the qualification process. Second, as an institutional supplement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conservative education using micro credentials, the need to expand NCS-based major conservative education, provide efficient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and set minimum completion time. In addition, the most common response as a wa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instructors in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was the micro credential promotion plan. Third, in the role of conservative education institutions and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s and instructors, conservative education institutions mention maintaining educational quality the most, and active participation was the role of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stablish a vocational training environment that can enhance expertise and provide a practical portfolio of practical competency history by linking the remuneration curriculum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s and micro credent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