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발간사> 연구

        안남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4 No.-

        This research is the roundup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First Publication) in Japan’ and the follow-up study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Jouranl of Korean Studies”55,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5) and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 Before 1910’(“Jouranl of Korean Studies”58,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6). This research takes its subjects of following volumes: 5 volumes of Hakwoo(Classmate), which is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in Japan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Meiji University), 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Chuo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Kyoto Imperial University), Dongchanghoe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Waseda University), and 10 volumes of Nakdongchinmokhoe-Hakbo(Bulletin of Nakdong-Chinmokhoe, Daehanhakhoe-Wuelbo(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Daehanhung-Hakbo(Belletin of Daehan-Hung), THE HAK KIE BO(Bulletin of Academic World), Geundae-Sajo(Modern Trend), Hakjigwang, Yeojagye(Women’s World), Samkwang(Three Light), Hyundai(Modern Times), Geumgangjeo(Vajra), Hakjo, THE KAICHUCK, Hakhae except 8 volumes of Chinmokhoe-Hoebo(Bulletin of Chinmokhoe), Taegeuk-hakbo(Bulletin of Tae Geuk), Gongsu-Hakbo(Bulletin of Gongsu), Daehanyuhaksaeghoe-Hakbo(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Dongin=Hakbo(Bulletin of Dongin), published before 1910. The ‘First Publication’, which is focused on this research, is essential data for guessing the direction of the magazine, since it contains the purpose, intention and the way of publi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magazine, representative keyword of each magazine is identified and the meaning inside is presented. The research of the contemporary magazine has its meaning on that it is the outcome of exploring how Korean international student recognized the reality and overcame it under the specific circumstance of Japanese colonial era.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와 「1910년 이전의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12)의 후속 연구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의 종합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일본 대학 소속 한국유학생 잡지인 <학우>, <회보>(명치대학조선유학생동지회회보), <회지>(일본중앙Chuo대학우리동창회회지), <회보>(경도제국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회보), <동창회회지>(조도전대학우리동창회회지)의 5종 잡지와 1910년 이전에 발행된 <친목회회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의 8종 잡지를 제외한 나머지 10종(<학계보>, <근대사조>, <학지광>, <여자계>, <삼광>, <현대>, <금강저>, <학조>, <개척>, <학해>)의 ‘창간사 및 발간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창간사’와 ‘발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이 녹아있는 만큼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특히 연구 대상 잡지의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를 통해서 각 잡지의 대표적 키워드를 확인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였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임진왜란 피랍도공 沈壽官家와 도자 연구

        방병선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Joseon potter Shim Soo Gwan was kidnapp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from 1592 to 1599 and first lived in Gorai-cho and then moved to Naeshirogawa. The 12th Shim Soo Gwan(1835-1906) established the personal pottery kiln of Kyokugozan[玉光山] in 1871 and a pottery painting studio in 1888. From 1878 to 1897, he opened a Tokyo branch office and exported Satsuma ware under the supervision of his brother Shim Soo Sung[沈壽誠]. In the early years, Shim Soo Gwan family maintained Joseon style of pottery but from the 5th generation, the Satsuma style was fully explored. The 12th generation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Kinrande and over glazed ware and also black glazed bowls. 본고는 임진왜란 당시 피랍 도공 심수관가의 기원과 전개, 도자 양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심수관가는 일본 납치 초기 사쓰마 고라이쵸에서 지내다 지금의 나에시로가와로 이주하여 대대로 藩窯에서 작업하였다. 廢藩 직후 12대 심수관(1835-1906)은 1871년 나에시로가와 도기회사에서 일하면서 국내외 박람회 등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직접 玉光山陶器製造場과 陶器畵硏究所를 차렸으며, 동경 지점에서는 동생 沈壽誠 감독하에 수출용 사쓰마 도자기를 제작하였다. 심수관요는 사쓰마 인근의 백토와 天草 도석을 원료로, 유약은 균열유를 기본으로 백유와 흑유, 갈유 등을, 가마는 연방식 등요를 사용하였다. 심수관요 초창기는 조선 도기 양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5대부터는 사쓰마 도자양식을 따랐다. 특히 12대 沈壽官은 白薩摩를 바탕으로 한 금채자기, 상형백자 등을 제작하여 사쓰마 자기의 典範으로 자리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려사?????에 나타난 팔관회의 음악양상 및 그 사상적 배경에 관한 고찰

        한흥섭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 music aspect and thought background of the Palgwan-hwae Ceremony on the Koryosa. A-ak(Chinese music of the royal court religious ceremonies), Dang-ak(Chinese music of royal court party ceremonies), and Sok-ak(Korean popular music)had been performed at the Palgwan-hwae Ceremony. Among them, A-ak had been played for showing the strict manner at a place and impressive ornamentation of salutation in accordance with Yae-ak Sasang. Various music performance of neighboring nations, which expressed a view of Koryeo-centralism would be an important repertory with 'Baekhee' public performance at that day. Dang-ak and Sok-ak also had been performed at a regular party of the palace. They can be distinguished by their contents of performance. Dang-ak was thick Taoistic disposition and Sok-ak was dense to Confucian disposition. However there is no historical evidence what exact title of Dang-ak and Sok-ak had been played at the regular party, we can say that three of Dang-ak, 'Dang-ak Jungjae' had been palyed at a concert as it had been represented Taoism very much. As I mentioned above, lots of Koyreo's music(and the music of neighboring nations) had been performed at Palgwan-hwae Ceremony. By contents or thought, various of culture had been represented at Palgwan-hwae Ceremony, like Confucianism ceremonies which was from Yae-ak Sasang, Taoism, Buddhism, and 'Backhee' plays, showing a faithful of local gods at Palgwan-hwae Ceremony. Therefore, Palgwan-hwae Ceremony was symbol as a national ceremony that had expressed diversity of Koryoe's culture. 이 논문에서는 고려사에 나타난 팔관회의 음악양상과 그 사상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팔관회의 의례절차를 분석한 결과 아악, 당악, 속악이 연주되었음은 물론, 고려중심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여러 주변국의 음악과, 토속신에 복을 비는 백희가무가 이날 행사의 매우 중요한 하이라이트였음을 확인하였다. 아악은 예악사상에 따라 왕을 중심으로 한 예의 엄격한 절차와 장엄한 수식을 위해 주악되었다. 그리고 이때의 아악 가운데 고려 태조 원년(981) 이후 송에서 ‘대성아악’이 들어오기 전에는, 삼국(사국)시대 혹은 통일신라시대 이래의 “궁중에서의 제사활동이나 조회의례에서 사용하는 음악”이라는 의미의 아악이 사용되었다. 또한 고려중심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여러 주변국의 음악이 매우 중요한 의례절차로 주악되었으며, 신라유풍인 백희공연에서 가무를 통해 토속신에 복을 기원하는 의례절차 역시 팔관회의 본질적 의식임도 확인하였다.그리고 본격적인 연회에서는 당악과 속악이 연주되었는데, 내용상 당악은 도교적 성향이, 속악은 유교적 성향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곡들이 주악되었는지는 확실한 기록이 없어 단언할 수는 없으나, 당시 궁중의 도교 취향 이외에도, 신선이나 장생불사(長生不死)와 같은 도교사상의 색채와 궁궐의 성대한 연회를 노래한 내용을 감안하면, 당악은 도교 취향의 ‘당악정재’ 가운데 ‘오양선’, ‘포구락’, ‘연화대’가 공연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악곡이 연주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속악 가운데서는 속악정재인 ‘무고’, ‘동동’, ‘무애’가 공연되었으며, 노래는 ‘풍입송’이 연회 끝 무렵에 연주되었고, 삼국속악은 거의 불리지 않았다. 이처럼 팔관회 행사 때에는 고려시대의 아악, 당악, 속악은 물론 여러 주변국의 음악이 주악되었고, 사상적으로는 예악사상에 따른 유교적 의례, 도교적 신선 취향, 사찰 방문이라는 불교적 행사, 그리고 백희가무 공연에서의 토속신에 대한 신앙 등이 총체적으로 연출되었다고 하겠다. 따라서 팔관회는 고려국의 드높은 위상과 고려문화의 다양성을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국가제전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세종대 동아시아 예악론의 인식 양상과 의례음악 정비

        송혜진(Song, Hye-jin)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세종대의 국가 음악 정비 과정에서 노정된 동아시아 예악에 대한 인식을 주요 쟁점별로 정리하고 이를 세종대에 간행된 악보를 통해 재검토하였다. 세종대에는 국가 의례음악 정비과정에서 예악의 불균형, 예악 전거(典據)의 선별과 습용(襲用) 범위, 아악전용과 향악겸용 문제, 조종의 공덕을 기리는 악무 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예에 비해 소홀히 취급된 악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현실 인식에서 촉발된 예악정비는 고제(古制)를 전형으로 삼고 경전과 역대의 주요 역사서와 사전류를 참고하되, 중국의 예악 전승도 ‘순정’하지 않으므로 ‘고례(古禮)’와 ‘시의(時宜)’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귀결되었다. 아울러 세종 전반기에는 고제의 예악론에 따라 속악을 버리고 아악만을 전용하자는 논의가 우세하였지만, 점차 ‘조선의 음악이 중국과 다르다’는 인식하에 향악 겸용론이 정착되었다. 세종 후반기에는 조종의 공덕을 기리는 교화 목적의 대규모의 악무 제정이 새롭게 추진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전통적인 예악론에서 기피하는 속악을 과감히 채용함으로써 중국과 다른 국가의례음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세종대의 예악론의 인식과 국가예악 정비의 성과는 세종대에 세 종류의 악보로 완성되어 『세종실록』 권 136부터 권147권에 부록되어 전한다. 『세종실록악보』의 아악보는 군·신·민·사·물의 질서를 악률론으로 구현한 『율려신서』의 이론 중 일부를 채택하여 논리적 체계를 세우고 이를 활용하여 조회아악과 제사아악을 완성하여 악보화하였다. 이 악보는 중국의 원전을 조선의 방식대로 재편한 것이며, 중국과 다른 기보체계인 ‘궁상자보’를 새로 만들어 쓴 것이다. 신악보는 향악과 고취악에 기하여 조종의 공덕을 기리는 악가를 수록한 것이다. <봉래의>·<정대업>·<보태평>·<발상>의 42곡이며, 중국악보에서도 활용된 적이 있는 네모칸 악보를 응용하여 가사와 악기선율, 음높이를 적고, 여기에 중국과 달리 음의 시가를 표기할 수 있는 유량악보, 즉 정간보를 탄생시켰다. 세종대에는 아악 외에 전래의 속악을 정비하는데도 힘을 기울였다. 세종대에 속악 23곡을 수록한 『시용속악보』가 간행되었고, 이 중 두곡이 『세종실록악보』말미에 수록되었다. 이상과 같은 세종시대의 음악정비는 동아시아 유교의 근간을 이루는 보편적 예악론의 구현에서 출발하여 고제에 맞는 아악을 완성한데 이어, 예악론의 자율적 해석을 통해 조선 고유의 독창적인 신악을 창조하였다는 점에서 유례없는 음악사의 업적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春園愛情書翰實錄集-사랑하는 英肅에게』 연구

        황정현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2 No.-

        This paper revealed that editor Heo Young-sook revised Choonwon’s Love Letters: Saranghaneun Young-sook aegyae written by Lee Kwang-soo, to explain herself to the public. This paper identified the publishing process of this book and analyzed the composition, content, and expression of the text. This paper also proved that the appendix “Nampyeon Choonwon eul Saengakhago” written by Heo Young-sook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is book. Heo Young-sook revised Lee Kwang-soo's letters while organizing them. She revealed information that only the sender and the receiver of the letters could know, and changed old way of expressions into modern expressions to make the text easier for the reader to understand. She added sentences explaining past rumors and deleted unwanted information. In the appendix, she explained why she acted like that and hoped that the readers would understand her feelings, while reflecting on her attitude as a wife. Combined with Heo Young-sook's revision and the meaning of the appendix, this book became a text with a double meaning, Lee Kwang-soo’s work and Heo Young-sook's excuse.

      • KCI등재

        Corpus - based Translation of Korean Weather News into English

        이동영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7 No.-

        Weather news is reported several times every day to convey constantly changing weather conditions, which have an influence on our daily life. Thus, weather news has practical value to us. This study aims to translate diverse linguistic units that are used in Korean weather news into English on the basis of the corpus of Korean weather news and that of English weather news. Both corpora are constructed through the collection of online news from web sites, and thus they contain vivid expressions that are really used in the domain of weather news. This method of corpus-based translation enables us to obtain the product of translation that is free from translationese and to construct a parallel corpus that is useful to machine translation.

      • KCI등재

        『우리음식』연구 - 전체 구성과 표기의 특징을 중심으로 -

        이현희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0 No.-

        『우리음식』은 1948년 손정규가 지은 조리서로 조선 요리 380여 가지의 조리법을 소개한 책이다. 조리법과 함께 반상 차림과 반찬 일람표, 식기의 명칭과 용도, 그림 등이 함께 제시되어 있다. 특히 『우리음식』 전체에 걸쳐 조선 요리에 대한 저자의 견해가 드러나 있는데 손정규는 조선 요리의 계량화, 과학화, 단체화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시기 다른 조리서들과 달리 그림이나 표, 사진 등을 추가하여 조리법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기술되었고 술을 제외한 거의 모든 우리 음식을 다루고 있다. 대학에서의 수업을 위한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조리법을 소개하는 형식이나 표기도 매우 정연하게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재료를 소개할 때 ‘메틀법’에 따라 ‘그람’이나 ‘릿틀’ 등으로 표시하였고 조리법의 순서를 ‘,’(쉼표)를 통해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띄어쓰기나 문장의 구조 등이 현대국어와 같이 매우 규칙적으로 지켜지고 있으나 ‘와를/과를’, ‘이나를’과 같이 중세국어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한다. 또 현재는 단어로 쓰이는 예들이 통사적 구성 형식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둘에 쪼개다’, ‘셋에 자르다’와 같이 부사격조사 ‘에’가 쓰인 예가 보이는데 이 시기 다른 조리서에도 이런 표현이 사용되었다. 아울러 피동이나 사동이 잘못 쓰인 경우나 부사의 수식이나 호응이 어색한 경우도 있다. 한편 『우리음식』은 이 시기 다른 조리서들에 비해 재료나 음식의 상태나 모양을 나타내는 표현이 다채롭다는 점인데 논의의 분량상 이에 대한 논의는 후로 미룬다.

      • KCI등재

        한글 의서 언해류 문헌의 어휘 역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배준영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84 No.-

        이 연구는 한글 의서 언해류 문헌의 어휘 역사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구축될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기술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글 의서 어휘는 매우 다양하면서도 문헌의 성격에 따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국어사전을 비롯한 일반적인 어휘 데이터베이스만으로는 그 특징을 제대로 드러내기 어렵고 또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문맥 의존적 어휘 의미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점, 둘째, 구문형 어휘가 데이터 자원으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점, 셋째, 어휘 관계 설정이 보다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 논문에서는 첫째, 어휘 체계의 분석을 통해 어휘 의미 부류의 분류를 상세히 함으로써 문맥 의존적 의미를 충실히 반영하는 방법과, 둘째, 확장된 어휘 단위와 다중 추출을 통해 구문형 어휘를 확보하는 방법, 셋째, 개방성에 기반한 어휘 관계어의 설정 방안으로 해시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제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구축될 한글 의서 어휘 역사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한 전문 분야의 특수 목적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 데 효과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사법권 독립에 대한 인식과 한계

        최선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1 No.-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limitations of judicial independence of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the Great Han Empire. The principle of judicial independence was first introduced to Chosun by a report of the 1881 Official Observation Group who visited Japan in 1881. Afterwards, Hansung Sunbo introduce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or judicial independence, which led to the spread of awareness among intellectuals, and the principle has begun to be mentioned in the writings and appeals of some intellectuals such as Young-hyo Park, Gil-jun Yu, and Syngman Rhee. The Independent Association and the Independent Newspaper, which led the Enlightenment, also argued for the rule of law, emphasizing the establishment of a parliament and a fair trial. However, the intellectuals were not willing to realize judicial independence, and as a result, judicial independence was not mentioned directly in the written constitutional documents. This is because they judged that it was urgent to establish a constitutional monarchy that would limit the monarchy's sovereignty at the time. In the end, the judicial independence was first stated in the Korean Provisional Constitution in 1919, a little later. 본 연구는 한국에서 사법권 독립의 뿌리를 찾는 작업으로서, 대한제국기 개화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사법권 독립에 대한 인식과 그 한계를 살펴본다. 사법권 독립 원리를 조선에 처음 소개한 것은 1881년 일본을 방문한 조사시찰단의 보고서다. 이후 <한성순보>가 권력분립이나 사법권 독립 원리를 소개하면서 지식인 일반에게 인식이 확산되는 과정을 거쳤고, 박영효, 유길준, 이승만 등 일부 개화지식인들의 저술이나 상소문에서 사법권 독립이 언급되기 시작했다. 계몽운동을 주도한 독립협회와 <독립신문> 역시 의회설립과 공정한 재판을 강조하며 법치의 실현을 주장했다. 그러나 개화지식인들은 사법권 독립을 실현시키려는 의지가 강하지 않았고, 그 결과 대한제국기 헌법문서들에 사법권 독립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다. 이는 그들이 당시 조선의 상황에서 군주의 군권을 제한하는 입헌군주정을 세우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결국 역대 헌법문서에 사법권 독립이 처음 명시되는 것은 좀 더 시간이 흐른 후인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한민국임시헌법>에서였다.

      • KCI등재

        고려시대 국가의 사원 조성과 성격 -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박용진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0 No.-

        This paper examines the temples built by the state in the Goryeo Dynasty in the Chungnam reg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national temples of the Goryeo period in the Chungnam region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into types such as Taejo founding temple and Jinjeon-Temple, GNational Precept Platform temple and Guksa Descent temple, Hostel temple, Jabok and Remedy Bibo temple. The establishment of Gaetaesa Temple by King Taejo and the construction of a temple in Cheonanbu are related to the region that accomplished the feat of founding and unification of Goryeo, and its status in the Goryeo region was high. In relation to the state's Buddhist operation, Gaetaesa Temple was founded by King Taejo and Jinjeon-Temple was installed in the later period. Bowonsa Temple, which is National Precept Platform temple, was designated early and led the activities of national and regional Buddhist circles. It was operated as the Descent temple. Hostel temples, such as Bongseon Honggyeongsa Temple, were made together with the local system and the maintenance of station routes for the operation of the state. Jaboksa Temple in Imju and Anpasa Temple in SoTae-hyeon are Jabok temple and Remedy Bibo temple that prayed for local remedy and merits, and they show the role and status of Buddhism in the Goryeo Dynasty. Although it is a local temple in Chungnam,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local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 national temple in the Goryeo Dynasty, in addition to its regional specif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