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N ESSAI DE SEMIOTIQUE POETIQUE

        최춘식 釜山外國語大學 1986 釜山外國語大學 文化硏究 Vol.2 No.-

        본고에서 다뤄진 시의 기호론적 연구는 결코 시에 관한 언어시학적 관점이나 수사학, 그리고 시학내지 문체론의 영역과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전제로 한다. 그리하여 Greimas를 중심으로 한 빠리학파들이 주장하는 시의 기호학에 관한 여려 연구들을 포과하면서 시의 읽기 내지 그 약호 해독에 있어서의 여러 문제들을 시의 동위소 분석의 개념들과 결부하여 결국 시가 지닌 의미의 해석이란 기호론적으로 어떤 의의를 가지는가를 천착했던 것이다. 이를 보다 실증적으로 보이기 위해 랭보의 소네트 하나를 간략하게 분석하고 시 해석에 있어서의 동위소 분석의 실제적인 예를 보여주도록 배려했다. 결국 기호론적 입장에서 시를 읽는다는 것은 시를 세계의 미메시스적 층위에 한정시키던 여러 관점에서 벗어나 첫째, 그 시가 가지고 있는 형태적인 요소, 음성이라든지 문자배열이라든지 하는 기호체계의 분석과, 둘째, 시가 안고 있는 여러 문체와 어휘들의 분석을 통한 의미의 해석, 셋째, 이들 분석 단계들을 변증법적으로 종합하여 새로운 의미작용체계의 분석으로 끌어가는 일련의 과정이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입장인 것이다.

      • 한․미 대학생의 납세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정우성 釜山外國語大學校國際通商硏究所 2011 國際經營論集 Vol.24 No.-

        본 연구는 미국의 대학생과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납세윤리의식 정도를 조사하고, 세법교육을 수행함으로써 그 정도에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한국의 대학생은 미국의 대학생보다 조세지식의 보유수준이 높으며, 미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납세윤리의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의 성별차이에 따른 납세윤리의 의식에 차이가 나는지를 확인한 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조세지식과 납세윤리의식은 한국의 경우에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미국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세법교육전후의 납세윤리의식에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한 결과, 세법교육으로 인하여 대학생의 납세윤리의식이 한국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미국은 유의한 변화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대학생의 납세윤리의식이 처음에는 미국대학생에 비하여 낮으나 세법교육이 납세자의 납세윤리의식의 개선에 바람직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교육적 및 조세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교육을 위한 근거자료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tax ethic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s with sixty (N=60)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sixty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pared with American students, Korean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tax law. However,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tax ethics. This results tell that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ax ethic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was not rejected. Al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xual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The additional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level of tax ethics improved through the tax lecture or cours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level of tax ethics could be affected by the education of tax law.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Henri Bosco 의 작품의 신화적 구조 structure mythique 에 관한 연구

        이재실 釜山外國語大學 1986 釜山外國語大學 文化硏究 Vol.2 No.-

        Toutes les quêtes de Bosco est la quεte de la profondeur. Pour cette quête vers l’origine, il faut pénêtrer dans la dimension-archétype. Bosco qui fait passer ses hallucinations dans son imagination archêtipale nous entraîne dans la domaie du mythe. Ainsi nous situons au niveau de l’imagination collectif, au niveau de la structure mythique. Dans la structure mythique où les êtres et la rèalitë ont tendance à devenir archεtypaux et paradigmatiques, ils vivent dans le Grand Temps mythique. Chez Bosco, la structure mythique contient donc nεcésairement le temps mythique. Les symboles de ‘'fenestra aeternitatis’ les mythèmes dans l’initiation, la pensée gnostique et la nostalgie de paradis perdu présentent tous le désir de l’auteur d’abolir le temps profane et d’accεder au temps mythique intemporel. Bosco, par la structure mythique, montre bien les modes de connaissance de ceux que nous appelons primitifs, ceux qui ont crèe les mythes et les symboles, et touche au coeur du lecteur ces grands ressorts archêtypaux qui structurent en secret les désirs, la rêverie et les préoccupations les plus intimes.

      • 西南亞地城에서의 軍部政治介入의 水準에 관한 硏究 : 政治文化的 變數의 量化

        高弘根 釜山外國語大學 1985 釜山外國語大學 文化硏究 Vol.1 No.-

        이 硏究에서 言及되는 軍部의 政治介入은 後者 卽, 狹義의 政治介入을 意味한다. 따라서 政治介入의 水準도 한 國家에서 政治的으로 영향이 큰 介入이 일어난 빈도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政治介入의 빈도가 크면 軍部의 政治介入의 水準이 높은 것이고 反對의 경우에는 水準이 낮은 것이다. 硏究의 方法에 있어서 第2章에서는 軍部의 政治介入의 背景을 變數別로 나누어 알아보고 그 變數들을 量化시켜 比較하겠다. 第3章에서도 2章과 같은 方法으로 論理를 展開하겠으나 3章이 끝날 때까지는 西南亞에서 實察로 일어났던 軍部의 政治介入은 전혀 고려에 넣지 않겠다. 第4章의 ㄱ)節에서는 西南亞에서 實際로 發生했던 軍部의 政治介入은 顯示的으로 考察하고 ㄴ)과 ㄷ)節에서는 2章과 3章의 結果을 가지고 水準差에 對한 分析을 시도한다. 結論에서는 앞으로의 西南亞地域의 軍部 政治介入의 展望을 各國別로 알아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이 論文에서의 硏究對象期間은 1947년에서 1977년 까지 임을 밝혀둔다.

      • KCI등재

        학습 환경에 따른 외국어 불안과 즐거움 비교 분석 -중국인 KFL와 KSL 학습자를 중심으로-

        범금구,조윤경,류승의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3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ign language anxiety(FLA) and enjoyment(FLE) experien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FLA and FLE of KFL learners and KSL learner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the FLA of the two groups was at a moderate level and the FLE was at a high level, and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LA and FL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KSL learners had lower FLA and higher FLE than KFL learners. Overall,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exploring the use of affective factor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불안과 즐거움을 고찰하여 두 정서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습 환경에 따른 KFL 학습자와 KSL 학습자의 불안과 즐거움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 105명과 한국 대학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53명을 분석한 결과, KFL, KSL 두 집단의 외국어 불안은 중간 수준이고 외국어 즐거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외국어 불안과 즐거움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집단의 외국어 불안과 외국어 즐거움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불안, 개인적 한국어 즐거움과 분위기에 대한 한국어 즐거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대조 분석을 하면 KFL 학습자에 비해 KSL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국어 즐거움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정의적 요인의 활용에 대해 탐색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Etude sur les difficultes d'apprentissage du phonetisme francais(pour les etudiants coreens)"

        LEE,Jung-won 부산외국어대학 1985 논문집 Vol.3 No.-

        과거의 불어 교육은 독해력 증진과 문법규칙을 암기시키는데 역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외국어 교육이 '회화(La conversation)'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제까지 도외시 되어왔던 불어 발음 문제를 본 논문에서 다루어 보았다. 한국어와 다른 음운현상인 불어의 모든 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언어란 그 무엇보다도 입으로 말하여지고 귀로 듣는 음운현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언어 교육에 있어서 발음 지도는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학생들에게 불어의 발음을 올바르게 지도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18~20세에 이르는 성인이 외국어를 배울 때 범하는 '발음의 오류(L'erreur de la prononciation)'는 모국어의 외국어에 대한 '음저해(L'interference du phonetisme)'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인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음저해 현상의 출처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불어와 한국어의 음운현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불어의 난해음 : 모음 2개, 자음 5개 등을 뽑을 수 있었으며, 그 교정 지도의 방법을 필자 나름대로 제시했다. 본 논문에서는 조음 음성학적인 방법을 적용, 음운비교를 통하여 난해음을 조음점과 조음방법(Le lieu et la mode d'articulation)에 따라 유사한 음소대립으로 교정을 지도한 결과, 불어의 난해음을 한국 학생들이 가장 쉽게 불어로 발음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가 외국인 교수와 내국인 교수가 한국 학생들에게 불어 발음을 지도할 때에 많은 참고가 되리라 믿는다. 앞으로 과학적인 음성실험을 통해 더욱 체계적인 음운 연구를 시도할까 한다.

      • Meta-Langue의 創造Nechanism과 分子言語의 認知理論에 關한 硏究

        朴華述 부산외국어대학 1983 논문집 Vol.1 No.-

        In the structure of the universe all parts are interdependent. Therefore, all the fractional knowledge collected, systematized, recorded, and preserved by culture must also be interdependent. A few examples taken from various realms of knowledge may serve to elucidate this principle.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human creative talent, intelligence, and value creation has become essential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The national interest, knowledge industry, and particularly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educational organization field now demands increased emphasis on creativity, cognitive theory and superior thinking ability due to fast movement of technical innovation in all branches of linguistics, science, technology, literature and art. The greatest scientists have always understood, and many have proclaimed, that science in its true essence is a technique for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e industrialization as a world-wide process is sweeping all societies into rapid organizational changes. Human beings distinguish themselves as the only creatures with the ability to innovate. Knowledge has two aspect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Unless both aspects are present, knowledge can never be complete. The complete knowledge also requires knowledge of the mechanism of knowing, intelligence, or consciousness. The scientist must understand the laws of nature and verify them through observation in the laboratory, and he must also be at home with laboratory instruments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his observations. The goal of major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at the field of science full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source of though and flow of creative intelligence in all areas of life. Research is a cultural activity which embrace all problems relation to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mankind. 1. The Science of Creative Intelligence and Transcendental Mediation enlivens the full value of that basic field of creativity which is the source of all creation. Each item of creation is different from any other but has at its basis the pure field of creativity, or creative intelligence. On the level of this field of life all the different values in creation find a common basis where they are naturally unified. 2.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results of creative endeavors, as a function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the arts, by criticism of prevailing concepts and integration of language, Metan-Langue, Molecular Language, logic, mathematics, an Cognitive theory as tools of research. 3. Transmitting new knowledge to coming generations by revision, extension, and incorporation of new discoveries into the teaching programs of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searching among students for talents and developing their mental manual skills for research. 4. Drawing up and maintaining inventories of all Sciencs, as a task of Zetetics, for the purpose of finding relationships between sciences, discovering new areas of knowledge, and unifying all science into a coherent system of knowledge. 5. It should be research the creating mechanism of brain that based on the neuro-science of alpha wave the subject of creative activity in the research of creative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