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ain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ith ICT in English Education : How Will it Affect Their Perceptions?

        Yoo-Jean Lee(이유진)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7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 영어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ICT 훈련과목 운영 방법과 과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전 문헌연구에서는 ICT 훈련 제공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한 학기 동안의 ICT 훈련과목을 예비교사들에게 수강하게 하고 그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한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20명의 예비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ICT활용 영어교육’ 과목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살펴보고,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과목 담당교수는 아홉 개의 주제를 선별하여 리딩 자료와 질문지를 제공했으며, 그룹 토의와 발표를 진행하였다. 몇몇 주제와 관련해서는 전문가가 초청 수업을 진행했고, 마지막 프로젝트로는 여러 가지 ICT 도구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영상을 제작하는 과제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수업 내용구성과 진행방식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실제 다양한 ICT 도구 활용 경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에도 사범대에서 ICT 훈련과목을 지속적으로 개설하고 예비교사들의 ICT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넓혀 줄 필요성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사범대 수업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ways to implement an ICT training course fo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investigated how they perceive of the course. The previous research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ICT training for pre-service teachers, but no research was found which provided them with a full semester ICT training course examining its effects. This study, therefore, describes how a course named ‘Using ICT for English Education’ was implemented to 20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a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In addition, their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course instructor preselected nine topics, provided reading materials and questions, and had group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For some topics, experts were invited. Finally,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engaged in the final project of creating an online video by using various ICT tools they had learne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ourse content and procedure/approach. Particularly, they liked actual experience of using various ICT tools the most. It is conclud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provide an ICT training course continuously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let pre-service teachers accumulate their experience and knowledge on ICT. Some of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college of educ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From Demotivated to Inspired: Flipping a Test-Based English Class

        이유진(Lee Yoo Jean),조영상(Cho Young S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에서는 특히 토익 시험 위주의 교실에서 영어를 배우고 있는 동기가 낮은 학생들과 이로 인해 동기가 저하된 교사에게 있어 플립러닝이 하나의 교육적 도구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등과 같은 내용 (content) 중심 또는 언어 (language) 중심 수업에 있어서의 플립러닝의 긍정적인 효과는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으나, 그렇지 못한 시험위주의 언어 수업에 있어서의 플립러닝의 효과는 검증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는 한국의 한 대학에서 필수과목으로 토익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총 30명의 학생들과 이 수업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가 참여하게 되었다. 먼저 설문조사, 인터뷰, 그리고 교사의 성찰적 수업일지를 통해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 조사가 이루어졌다. 아울러 학기 초와 학기말 학생들이 응시한 모의 토익의 성적을 비교하여 향상이 있었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학습태도에 있어서 보다 더 능동적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사 역시 동기에 있어서 향상이 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과 교사 간에 친밀하고 긴밀한 관계가 형성되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경우 예전보다 학습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됨으로써 토익 실력이 함께 향상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시험 위주의 영어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학습자들의 동기 부여를 위해 플립러닝을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제언이 마지막으로 제시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applying flipped learning as one of the educational tools to help demotivated EFL students and the instructor in a test-based English classroom. Positiv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a motivated content or language class have been found in previous research, but not in a demotivated test-based language class. Thirty EFL university students taking a mandatory TOEIC course and an instructor with both parties having low motiv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perceptions towards flipped learning were examined through a survey, interview, and reflective teaching log. In addition, students’ performance on the pre- and post-mock TOEIC tests was compared. By applying the flipped method, students became more active, and the instructor more encouraged. They were thus able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students could improve their TOEIC proficiency and develop a greater interest in learning. Implications of applying flipped approach to language teaching and making its class more active are discussed.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영어교과교육학의 출제경향 분석 : 2015-2019년 문항을 중심으로

        이유진(Lee Yoo-Je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중등영어교사 임용시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영어교과교육학 분야의 중심 내용과 출제 경향을 실증적, 객관적으로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텍스트마이닝과 언어네크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임용시험에 포함된 핵심어를 찾고, 주요 핵심어들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추출하여 그 결과를 시각화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난 5년에 걸쳐 공통적으로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던 핵심어는 ‘student’로 나타났으며, 특히 2019년에 그 빈도수가 커진 것을 통해 학생들의 다양성이 고려되고 있다는 점과 교사의 역할도 함께 다양화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student’ 이외에 ‘form,’ ‘activity,’ ‘task,’ ‘test,’ ‘word,’ ‘writing’과 같은 단어들의 출현 빈도 역시 최근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짝 또는 그룹으로 함께 하는 활동, 그리고 말하기, 쓰기와 같은 언어의 산출 기능(productive skill)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어교과교육 분야에 있어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모두 높았던 시기는 2016년, 2018년, 2019년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핵심어인 ‘student’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 또한 매년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결중심성이 높았던 단어들로는 2019년과 2018년의 ‘task,’ ‘writing,’ ‘form,’ 2016년의 ‘teacher,’ ‘English,’ ‘language’가 있었으며, 매개중심성이 높았던 단어들로는 2019년의 ‘task,’ ‘part,’ 2018년의 ‘class,’ ‘form,’ 그리고 2016년의 ‘teacher,’ ‘language,’ ‘test,’ ‘English’가 있었다. 즉, 이러한 단어들이 주변의 다른 단어들을 연결하는 중심 역할과 또는 다른 주제들로 연결해주는 중간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출현 빈도 및 연결중심성은 낮았으나 상대적으로 매개중심성이 높았던 2019년의 ‘part,’ 2016년의 ‘test,’ 2015년의 ‘English’와 ‘CMC’는 다른 핵심적 주제로의 확장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단어들이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중등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예비교사들과 이들을 가르치는 이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jor content and patterns of the test items empirically for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recruitment exam particularly in the area of English pedagogy from 2015 to 2019. By apply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ies, major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included in the exam were found,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language network;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ssessed and then visualiz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20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ne with the highest frequency during the five consecutive years was found to be ‘student.’ As its frequency has become the highest in 2019, it can be inferred that the variety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at of teachers’ rol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ide from ‘student,’ other keywords such as ‘form,’ ‘activity,’ ‘task,’ ‘test,’ ‘word,’ and ‘writing’ also appeared frequently. Additionally, pair or group activities and productive skills like speaking and writing are revealed to become important. Second, 2016, 2018, and 2019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terms of the centrality. Particularly, ‘student’ was the most central and mediating keyword. In addition, such keywords as ‘task,’ ‘writing,’ ‘form’ (2019 and 2018), ‘teacher,’ ‘English,’ and language’ (2016) were identified to be highly central, and others such as ‘task,’ ‘part’ (2019), ‘class,’ ‘form’ (2018), ‘teacher,’ ‘language,’ ‘test,’ and ‘English’ (2016) to be highly mediating. Meanwhile, four other keywords (i.e. ‘part’ in 2019, ‘test’ in 2016, and ‘English’ and ‘CMC’ in 2015) were found to be less frequent and the least central, but they were identified relatively to be highly mediating. It would mean that they are expected to play the key roles by mediating between other major topics in the coming exam.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guideline both to the university professors an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 KCI등재

        중등영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사범대학 연계 직무연수 수요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이유진(Yoo-Jean Lee)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23 영어어문교육 Vol.29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 training program to effectively enhance the instructional expertise of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Gangwon province by collaborating with a local school of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proceeded with two Focused Group Interviews (FGI) with a total of three English teachers, consisting of one middle school teacher and two high school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provided ahead of each interview which was carried out via Zoom. Drawing upon the questionnaire responses and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interview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training experiences and specific needs of the three teachers. Then a 30-period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designed, taking into account the identified needs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teacher training. To finalize the program selection criteria and determine its detailed contents, the second inter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proposed 30-period program. It was determined to separate the training program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offering both online and offline sessions during regular semesters and vacations. The teachers’ opinions on effective ways to activate training were also provided.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ising from this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원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수업모형의 적용과 효과:사범대 예비 영어교사를 중심으로

        김서연(Seoyeon Kim),이유진(Yoo-Jean Lee),이보리(Bori L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3

        As the COVID-19 pandemic continues to rage, developing distance education competence became indispensible for pre-service teachers in the school of education. An instructional model called ‘CONTACTED model’ was developed and investigated if this model can be applicable for online teaching practice for pre-service teachers and how effective it would be. Ten volunteer junio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t a school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online teaching practice for three months, teaching 63 students from 18 high schools in the area. While going through the four steps; ‘Class content selection and video material creation,’ ‘online class operation,’ ‘online mentoring,’ and ‘online golden bell contest’; the pre-service teachers successfully applied four elements of the CONTACTED model including ‘(Authentic) Task,’ ‘Content,’ ‘Technology,’ and ‘Community.’ Additionally, they were able to enhance basic knowledge, class implementation, and student guidance competence.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s, the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could develop the abilities of how to apply theory into practice(‘Content’), how to improve technical skills to deal with online videos and tools(‘Technology’), and how to communicate well with students with the help of other pre-service teachers, the supervisor, and assistance teachers(‘Community’). It is concluded that the CONTACTED instructional model was suitable for online teaching practice and effective for enhancing distance education competence for the pre-service teacher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well.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인해 원격수업은 이제 일반화되었고, 이러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범대 예비교사들에게 원격교육 역량 강화는 필수가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을 위한 CONTACTED 수업모형을 개발하였고, 이 모형의 온라인 교육실습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 사범대 3학년에 재학 중인 10명의 예비 영어교사들은 3개월에 걸쳐 18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총 6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실습을 진행했다. ‘수업내용 선정 및 동영상 자료 제작’, ‘온라인 수업운영’, ‘온라인 멘토링’, ‘온라인 골든벨 대회’와 같이 4가지 과정을 거치는 동안 예비교사들은 CONTACTED 모형의 4가지 요소인 ‘과제(Task)’, ‘내용(Content)’, ‘테크놀로지(Technology)’, ‘학습공동체(Community)’를 잘 적용해나갔으며, 원격교육에 대한 기본소양과 수업실행 및 학생지도 능력도 신장시켜나갔다. 설문 및 인터뷰 조사 결과, 온라인 수업과 관련한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이들은 본인이 가진 지식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고(‘내용’), 동영상 제작 및 온라인 툴의 사용 기술을 익혔으며(‘테크놀로지’), 동료, 지도교수 및 보조교사의 도움을 통해 학생들과 원활한 소통방법을 터득했다고 했다(‘Community’). 즉, 예비교사들이 느낀 성취감과 온라인 교육실습의 효과는 매우 컸으며, 이는 곧 CONTACTED 모형이 실습에 적합했고 원격교육 역량 강화에도 성공적이었음을 입증해준다. 연구의 한계점 및 시사점도 함께 제시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