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이용한 한국여성의 흡연패턴에 대한 분석

        손선주(Sohn, Sunju)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연구조사자료와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이용하여 한국 성인여성의 3년에 걸친 흡연변화패턴을 파악하고, 확인된 흡연변화궤적과 우울수준, 금연경험, 그리고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인 총 3년 동안 최소 한 번 이상 흡연을 한 경험이 있는 한국여성 329명의 흡연에 대한 잠재계층성장분석결과 비교적 적은 양의 흡연으로 시작하여 흡연량이 점차 감소하는 집단(n=225, 77.5%)과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흡연으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연량이 증가하는 집단(n=74, 22.5%)인 두 개의 두드러진 흡연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두 흡연변화궤적과 우울수준, 금연경험, 그리고 연령, 학력, 소득수준으로 유의미한 관계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두 흡연변화궤적이 결혼상태에 있어 차이를 보였고,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지속적인 여성의 흡연패턴과 아울러 높은 수준의 흡연량에서 비롯되는 점진적 흡연 증가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이차분석으로서의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보다 구체적이고 엄격한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used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LCGM) and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WPS) on 329 Korean female smokers to identify smoking trends over the course of three years, as well as its possible linkages with depression level, smoking cessation experiences,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Two distinct smoking traject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decliners” whose smoking have early established at a relatively lower smoking level and decreased over time (n=255, 77.5%); and “incliners” whose smoking have early established at a comparably higher level and steady increased across time (n=74, 22.5%). Although considerable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erms of depression level, smoking cessation and various sociodemographic factors,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Limitations of conducting a secondary data analysis are addressed and further suggestions provided for more rigorous studies on women"s smoking.

      • KCI등재

        Animal cruelty and interpersonal violence

        Sunju Sohn(손선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4

        동물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은 보통 인간이 아닌 동물에 대해서만 잔학 행위를 하는 것으로 이해되면서 동물 학대가 도덕적인 우려이자 범죄로만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동물에 가하는 폭력은 잠재적인 대인 관계 폭력의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문제이다. 특히 유년기의 동물에 대한 학대가 반사회적 행동의 초기 형태로서 동물학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범법 행위, 특히 반사회적 행동과도 높은 상관성이 있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동물학대와 인간에 대한 폭력간의 관계에 대한 문헌고찰과 한국의 동물보호법의 한계를 미국의 동물 학대에 관한 법률과 비교제시하여 한국의 법 집행 기관 및 정신 건강 전문가의 동물학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아울러 적절한 심리·정신적 서비스가 가능한 법적 틀을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조기에 파악하고 적시에 개입 할 수 있는 임상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nimal abusers are usually portrayed as those who exercise cruelty only towards animals, not humans. Although animal cruelty is a moral concern and a crime, the law enforcement response to such crimes is often enhanced by the recognition that crimes against animals can also be indicators of potential interpersonal violence.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raise awareness of animal cruelties that continue to be overlooked by Korean law enforcement and mental health practitioners so that these warning signs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legal framework used to deter such crimes. This paper briefly reviews current findings on animal cruelty and its association with interpersonal violence. Limitations of the Korean Animal Protection Law are also discussed regarding the inadequacy of the current operation, which hinders preventing further socially deviant behaviors, especially compared to U.S. state laws on animal cruelty. Review findings suggest that animal cruelty is an early form of antisocial behavior, and animal cruelty during childhood strongly predicts human aggression in later lif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hould thus be aware of this issue and appropriately address individuals who abuse animals. A revised Korean Animal Protection Law should incorporate a clinical aspect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timely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serious mental health issues.

      • KCI등재

        부모의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축의 매개효과

        정휘경 ( Hwigyeong Jung ),손선주 ( Sunju Sohn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위축의 매개효과 검증을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조사에서 실시한 2015년 10차 년도 횡단자료 중 초등학교 4~6학년 재학 중인 아동가구원 대해 부가조사가 된 아동 471명 중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한 번이라도 경험한 아동 156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학령 후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축은 주관적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축은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경험하는 것이 아동에게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발달하는데 장애가 되는 근거를 제시하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불안감 및 위축 등의 문제행동이 심각해지기 전에 아동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조기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요인에 초점을 둔 바,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환경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한 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erceived happines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parental emotional abuse, and also observed the effects of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Of the 471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a total of 156 children(between 4th and 6th graders at the time of survey) who experienced emotional abuse at least onc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esting for correlation, hierarchica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mong the key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steem of children who experienced emotional abuse from their par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happiness of school-aged children, and withdrawa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ived happiness. Withdrawal also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erceived happiness of these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cing emotional abuse from parents is a barrier to the development of a proper mental health for the child and early intervention is needed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these childre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individual factors only, hence follow-up studies consider environmental aspects as well.

      • KCI등재

        Gender Disparities in Typologies of Alcohol Use and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Adults

        Park, Hyunyong(박현용),Jun, Jina(전진아),Sohn, Sunju(손선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2

        한국성인의 약 20.2%가 고위험음주군으로 파악되고, 지나친 음주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음주행위에 따른 음주패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성별에 따라 음주원인과 패턴이 다르다는 점을 근거로 할 때, 남녀 간 차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음주행위에 관련된 연구들은 한국인의 다양한 음주유형과 남녀 간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구체적인 지식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6년 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인 총 14,177명의 한국 성인 남녀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음주유형을 살펴보고, 우울과 음주유형 간 어떤 연관성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한국 성인 남녀의 음주유형은 음주빈도, 음주량, 음주 문제(CAGE) 변수들을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CES-D 척도를 바탕으로 계산된 우울수준과 다양한 음주패턴 간의 관계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성인 남성의 음주유형은 4유형(금주, 사교적 음주, 음주 문제가 없는 고위험음주군, 음주 문제가 있는 고위험음주군), 여성의 음주유형은 3유형(금주, 사교적 음주, 음주 문제가 있는 위험음주군)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우울수준이 높은 남녀일수록 음주빈도 및 음주량이 많고 음주 문제를 보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 실천영역에서의 성별차이에 기반한 개입과 아울러 우울과 음주 문제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한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Excessive drinking is associated with negative health outcomes. In the Korean literature, there are limited research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the dynamic nature of alcohol use as well as gender-specific typologies of alcohol us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gender subgroups of alcohol use is also yet to be well established. Using latent class analysis(LCA),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fferent typologies of drinkers exist for men and women and further explored differences among subtypes of drinkers on depressive symptoms by gender. From the 2006 Korean Welfare Panel study, 6,427 men and 7,750 women were included. LCA was performed to identify subtypes of patterns of alcohol use.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possible linkages between identified subtypes of drinkers and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were explored. Four subtypes of alcohol use were emerged for men and three subtypes for wome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greater levels of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for both men and women. Findings support the need for gender-specific alcohol us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Korean adults. Findings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grative care for dealing with depression and excessive drinking problems.

      • KCI등재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음영지(Eum, Youngji),박지은(Park, Jieun),손선주(Sohn, Sunju),엄진섭(Eom, Jinsup),진훈(Sohn, Jinh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Maxwell-McCaw와 Zea(2011)의 농인 문화적응 척도(Deaf Acculturation Scale)를 국내 농인에 적절하게 번안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척도는 농문화적응과 청인문화적응, 두 가지 하위척도로 구분하여 농인들의 문화적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었다. 최종적으로 농문화적응 하위척도 25문항,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 25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농인 문화적응 척도가 개발되었다. 농문화적응 하위척도 4개의 요인,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s α는 농문화적응 하위척도가 .93이었고, 청인문화적응 하위척도가 .93로 높은 값을 보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농문화적응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 연령, 청각장애 시기와 장애 급수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존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집단 자아존중감 척도(Collective Self-Esteem Scale)와의 상관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논의에는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Korean version of Deaf Acculturation Scales(DAS). Pilot items were made a faithful translation of the Acculturation Scales of Maxwell-McCaw and Zea (2011) and were modified for Korean Deaf people. The Scale involves two dimensions, in order to measure the acculturation of Deaf people; Deaf acculturation and hearing acculturation. Using factor analysis, we developed a Korean version of DAS consisted of twenty-five items for Deaf acculturation dimension and twenty-five items for hearing acculturation dimension. These analysis supported the four factors of Deaf acculturation dimension and the five factors of hearing acculturation dimension. Reliability, assessed by Cronbach’s α, was .93 for Deaf acculturation and .93 for hearing acculturation, respectively, which confirm the Koran version of DAS. Construct validity was demonstrated through correlation with Deaf acculturation-related variables: age, age of Deafness, Degree of hearing loss, American Sign Language ability, and lip-reading ability. Criterion validity was supported by correlation with Collective Self-Esteem Scal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서비스원 운영에 대한 사회복지사 인식 유형

        정휘경(Jung, Hwi Gyeong),이제영(Lee, Jei Young),손선주(Sohn, Sunju)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76

        사회서비스원은 서비스의 투명성과 품질제고, 종사자의 일자리 환경 조성 등 국가가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 최근 등장한 서비스 전달체계이다. 실제 현장 중심에 있는 사회복지사 인식은 사회서비스원 운영에 있어 사업에 대한 시사점과 효율성 및 효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원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아직 설립 중이거나 미설치지역의 사회서비스 분야 사회복지사 30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의견이나 태도 등을 주관적으로 탐색하여 인식을 확인해 볼 수 있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사회서비스원 운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총 4가지 특성으로 유형화 되어 제1유형 “민·관 협력 상생형”, 제2유형 “서비스 투명성 및 안정성 강조형”, 제3유형 “공공서비스 가치 강화형”, 제4유형 “컨트롤타워 기능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사회서비스원 기능 및 역할, 목적, 운영 방식 등에 대하여 사회복지사 인식은 정책설계와 집행과정에서 적용되는 과정의 합의된 의견 도출로 효율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 현장 인식 공유가 우선되어야 함을 함의하였다. The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is a national service delivery system that has recently emerged with a key purpose to provide direct services at the national level, to enhance the transparency of the service delivery, and to create a good working environment for employees. Gaining social workers’ perceptions about the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s will likely t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business model, as well as in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operating the public agency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Using Q methodology, this study interviewed a total of 30 social workers, some working at public agencies and some in direct practice in social service yet in areas where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has not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four thematic perceptions emerged: Type 1 “Private-Public Cooperation Win-Win Type”, Type 2 “Service Transparency and Stability Emphasis Type”, Type 3 “Public Service Value Enhancement Type”, and Type 4 “Control Tower Function”. Implications include the need for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the workers’ perception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model of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 재활승마의 효과와 정신보건영역에의 적용

        손선주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7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8 No.2

        Var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nimal assisted therapy is useful for physical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habilitation. However, there still lacks academic consensus about whether individuals with psychological and social needs can gain therapeutic or healing experiences by simply spending time with a therapeutic animal. Rehabilitation horse riding, in particular, has been widely used and reported effective as a tool in enhancing various physical disabilities such as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Despite the various advantages that horses have on patients, research is limited particularly on its usefulness on mental disorder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dealing with mental disorders require professional assistance in clients reaching therapeutic goals that specifically taylor to their psychological and social needs. Furthermore, there are limited research to assist evidence based practice in utilizing rehabilitation horse riding. This paper reviews literature on the effectiveness of equine-assisted therapy and explores application to and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field in social work. 다양한 연구들이 동물매개치료를 통해 신체적 도움은 물론 심리·정서적 재활까지 가능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런데, 단지 치료동물과 시간을 보내는 것만으로 의미 있는 힐링경험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학계에서 아직 일관된 시각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말을 이용한 동물매개치료에 있어 감각통합장애 등과 같이 다양한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직접적인 재활의 도구로 많이 활용되고 그 효과성이 보고되고는 있으나, 말이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정신장애 관련 연구결과는 매우 미흡한 현실이다. 이는 아마도 정신장애의 특수성을 이해할 때, 심리·사회적 개입이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임상적 상황에서 승마활동만으로는 치료목표를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재활승마의 효과성이 엄격하게 검증된 연구가 미비하여 근거기반실천을 위한 자료부족 때문일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까지 보고된 재활승마의 효과를 두루 살펴보고, 특히 정신장애에 있어 다양한 적용 근거와 실증연구 고찰을 통해 동물매개 치료적 관점에서 그 유용성을 찾고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회 복지적 함의를 논하고자 한다.

      • 코로나19 관련 세계 정신건강수준 변화에 대한 고찰

        손선주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4 No.2

        In December 2019, after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was reported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March 2020, it was declared a pandemic, the highest stage of contagiousness. As of the first half of 2022, nearly half a million were confirmed cases and over 6.4 million deaths have been counted worldwide. As the COVID-19 pandemic has prolonged over three years, not only the disrup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worldwide, but also the level of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helplessness, anxiety, and fatigue experienced by individuals, is worsening. This study examined the global tendency of the changes in mental health statuses associated with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with aims to provide evidence and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policy and clinical implications to prepare for post COVID-19. 2019년 12월 세계보건기구(WHO)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보고된 이후 2020년 3월에는 전염성 최고단계인 팬데믹을 선언한 바 있다. 2022년 8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9천만 명의 확진자와 640만 명이 넘는 사망자가 집계되었고, 최근까지도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이 3년간 장기화되면서 개인이 경험하는 우울감과 무력감, 불안감, 피로감 등의 정신건강 수준 또한 악화되고 있고 세계적으로 보건의료체계도 대혼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속되는 코로나19 상황이 개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경향성을 글로벌 수준에서 살펴봄으로써 세계적 양상을 이해하고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근거자료로서의 활용도를 기대한다.

      • 방역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응에 관한 연구

        손선주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2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2 No.2

        Animal epidemic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and Aviation Influenza tend to be extremely severe every year nationwide, especially during winter. This paper reviews literature on this topic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issues that quarantine workers experience during the course of massive killing livestock. Intentional killing of live animals is a very shocking experience for the workers involved, and in fact, various mental health issues arise, such as anxiety, stress, and depression after particip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it is a repeated psychological burden and can evoke negative emotions and, in extreme cases, result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hort,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is a stressful condition that causes trauma; hence workers are survivors. Concerns about the mental health of quarantine workers have been raised numerously, but active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s are currently lacking. Also, foreign workers are increasingly participating in the massive culling process.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a national psychological response system for these quarantine workers.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가축전염병은 전국적으로 매년 특히 겨울철에 극심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가축전염병에 대한 진압과정에서 가축 살처분을 담당하는 방역 관련 종사들의 정신건강 이슈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들에 대한 다각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한 고찰이다. 살아 있는 가축의 살처분은 관련 종사자들에게 상당히 충격적인 경험인데, 실제로 살처분 참여 이후 불안이나 스트레스, 우울 등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들을 호소하고 있다. 방역 업무의 특성상 이직을 하지 않는 한 매해 반복될 수 있는 심리적 부담은 계속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로도 나타날 수 있는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생계와 직결된 직업적인 환경일지라도 큰 틀에서 보면 결국 이러한 업무환경은 트라우마를 유발하는 극한의 스트레스 상황이고, 종사자들은 살아남아야 하는 생존자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방역 관련 종사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우려는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지만, 현재로서는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개입이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살처분의 민간산업화와 함께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 중 외국인 노동자도 포함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방역 관련 종사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앞으로 국가 차원에서 제공해야 할 심리대응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정신질환과 약물중독간의 이중장애(동반질환)에 대한 이론적 고찰

        손선주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6 No.2

        이중장애(동반질환 또는 복합질환)란 포괄적인 의미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의료적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만성 질환과 정신장애 및 행동적 문제와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하는데, 특히 정신보건영역에서 이중장애란 한 개인이 정신질환과 물질관련장애를 동시에 경험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정신질환과 물질사용장애가 동시에 공존하는 유병률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는 공존장애에 대한 인식 부족과 공존질환케어를 위한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중장애 대한 다양한 이론과 실증연구를 고찰하여 이중장애 접근을 위한 기초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중장애에 대한 동시다발적 개입전략과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고자 한다. Comorbidity i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dical, psychiatric and/or substance use issues. In mental health, a specific term that describes combination of mental illness and substance use disorder is called Co-occurring Psychiatric and Substance Abuse Disorder(COPSD), also known as dual-diagnosis or comorbidity. Recently, there has been efforts to estimate COPSD prevalence among Koreans, as the combination of both mental illness and substance abuse problem not only exacerbates the problem,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identify and simultaneously treat such disorders. Lack of awareness on the issues associated with COPSD, not to mention deficient care system that can provide a comprehensive professional help only hinders successful recovery and interferes with promoting a healthy lifestyle. This study provides a literature review on various theories explaining COPSD and also illustrates etiologies of mental illness and substance use disorder that are similar in their development and negative consequ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