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임승건,최재욱,장기연,김지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by conducting verification of reliability & validity.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validity of developed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the test based on 206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conducted. The each existing Purdue Pegboard and developed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were conducted randomly, and the test-retest method was conducted by same examiner repeatedly in order to measure reliability of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The criterion validity were verified, and sensitivity․specificity were shown by written ROC curves. The criterion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Purdue Pegboard which is used as existing useful tool. First, all correlations of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in the test-retest reliability are significant from 0.01 level and it shows very high correlations of more than 0.95 between the tests. Second, the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show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existing Purdue Pegboard and test. Third, the predictive power of the AUC value was appeared high with 0.886, 0.868 in the results of the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by using ROC curves. Fourth,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was developed as useful tools with high convenience degree & failure prediction comparing to Purdue Pegboard. The Korea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is significant for the first developed work sample test tool in Korea which sec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it is expected to help for practical service provision of vocational evaluator for the disabl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장애인의 손기능을 평가하고, 직업능력을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검사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신뢰도⋅타당도 검증을 위해 15세-55세의 비장애인 56명, 장애인 206명(지체장애인, 지적장애인,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3.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위해서 반복측정 상관분석을 하였고, 민감도․특이도는 medcalc 프로그램 version 11.4.1을 사용하였고 ROC curves를 작성하여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장애 예측 정도를 나타내었다.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해 기존의 도구와 paird t-test 및 카이제곱(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모든 상관이 0.01 수준에서 유의미하고 검사 간 상관이 0.95이상의 매우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가 기존의 퍼듀펙보드와 검사 간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장애 예측 민감도와 특이도를 ROC curves를 사용해서 나타낸 결과 AUC 값이 0.886, 0.868로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작업표본검사 도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의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SCOPUSKCI등재

        Decompression Retinopathy after Trabeculectomy

        ( Seung Youn Jea ),( Jae Ho Jung ) 대한안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19 No.2

        Purpose: To present a case of a unilateral diffuse retinal hemorrhage in a 15-year-old girl, who underwent bilateral trabeculectomy for steroid induced glaucoma. Methods: Despite the maximally tolerable medical treatment, IOP in the right eye remained above 50 mmHg for four months, and was simultaneously elevated in the left eye. So we performed bilateral trabeculectomy. Results: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diffuse retinal hemorrhages were observed in the right eye; however, no retinal hemorrhage was found in the left eye. The hemorrhages resolved completely without consequences two months later. Conclusions: In the case of high IOP for a long period, sudden lowering of IOP may acutely increase the blood flow and consequently rupture multiple retinal capillaries because of altered autoregulatory function. Special care is therefore needed to prevent an abrupt fall in IOP before, during, and after surgery, especially when IOP has been highly elevated for an extended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 농약 보조제 투입에 따른 상용 노즐 분무 특성 분석

        우제근 ( Jea Keun Woo ),최덕규 ( Duck Kyu Choi ),전현종 ( Hyeon Jong Jun ),김영화 ( Young Hwa Kim ),최일수 ( Il Su Choi ),유승화 ( Seung Hwa Yu ),강연구 ( Youn Koo Kang ),이상희 ( Sang Hee Lee ),현창식 ( Chang Sik Hyun ),최용 ( Y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최근 무인 헬리콥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조작이 간단한 멀티콥터를 활용한 재배기술의 연구 및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방제작업의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농약 보조제는 농약 희석액의 약효를 증진하기 위해 사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농약 보조제를 포함한 항공방제용 농약에 적합한 상용 노즐 특성 및 선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상용 노즐의 타입 및 농약 보조제 첨가에 따른 분무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과 전착제 및 카바액제를 희석한 용액의 분무입경 측정 및 분무패턴 촬영을 하였으며, (주)팜한농으로부터 농약 보조제를 제공받아 제품에 명시된 희석배수로 물과 혼합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노즐로 부채꼴 확장 타입인 Extended Range Flat Spray Tips(XR110015, TeejetⓇ, USA) 및 프리오리피스를 장착한 Drift Guard Flat Spray Tips(DG110015, TeejetⓇ, USA)을 공시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환경조건이 온도 19℃~20℃, 습도 61%~67%인 실내공간에서 이루어졌으며 멀티콥터 농약 분무용 펌프(BWP-6093A)를 이용하여 분무압력 2bar로 용액을 노즐에 공급 및 분무하였다. 2~2000㎛ 범위의 분무입경 측정이 가능한 입도분석기(Spraytec, Malvern Panalytical, UK)를 통해 노즐과 측정장비의 레이저 회절사이에 수직으로 50cm 이격거리를 두고 분무입경을 측정하였다. 노즐에 분무되는 용액의 유동 가시화를 위해 슐리렌 기법을 사용하였고 노즐로부터 50mm 하류까지 가시화하였다. 시험결과 XR110015 노즐의 경우 물과 전착제를 희석한 용액의 유의미한 입경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카바액제를 희석한 용액은 물에 비해 약 6.99% 입경 크기가 감소하였다. DG110015 노즐은 전착제를 희석한 용액은 물에 비해 분무입경이 약 3.97% 증가하였으며 카바액제 희석용액의 경우 분무입경이 11.31% 감소하였다. 농약 보조제 희석에 따른 분무입경 특성은 프리오리피스 타입 노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슐리렌 기법을 통한 분무패턴 촬영 결과 시험에 투입된 노즐의 형식에 상관없이 물과 전착제의 유동 모습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카바액제의 경우, 표면장력 약화로 액적분열(break-up)이 물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항공방제용 노즐 선발을 위한 상용 노즐 분무 특성 분석

        우제근 ( Jea Keun Woo ),김영근 ( Young Keun Kim ),전현종 ( Hyeon Jong Jun ),김영화 ( Young Hwa Kim ),최일수 ( Il Su Choi ),유승화 ( Seung Hwa Yu ),강태경 ( Tae Gyoung Kang ),강연구 ( Youn Koo Kang ),이상희 ( Sang Hee Lee ),현창식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우리나라 농촌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여성 및 고령화로 인해 양질의 노동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농촌의 노동력 부족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멀티콥터를 활용한 농작업 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농촌에서는 멀티콥터를 이용한 항공방제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는 상용노즐을 이용하여 방제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항공방제에 적합한 노즐 분무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용노즐의 타입에 따른 분무특성을 분석하여 농약 종류에 따른 적정 체적중간입경(VMD) 및 상용노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항공방제용 농약은 작물에 작용하는 형태에 따라 접촉성 농약과 침투성 농약으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방제작업 시 중요 요소는 접촉성 농약은 작물표면에 균일한 도포이며 침투성 농약은 작물 체내 흡수이다. 본 연구의 사용한 노즐로 확장 부채꼴 타입으로 농약을 분무하는 Extended Range Flat Spray Tips(XR8001ㆍXR11001~XR8003ㆍXR11003, TeejetⓇ, USA) 및 비산저감 기능이 있는 Drift Guard Flat Spray Tips(DG80015ㆍDG110015~DG8003ㆍDG11003, TeejetⓇ, USA)을 공시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환경조건이 온도 19℃~21℃, 습도 61%~69%인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이루어졌으며 멀티콥터용 워터펌프(BWP-6093A)를 이용하여 분무압력 1~4bar 범위에서 1bar 단위로 물을 노즐에 공급 및 분무하였다. 2~2000㎛ 범위의 분무입경 측정이 가능한 스프레이 입도분석기(Spraytec, Malvern Panalytical, UK)를 통해 공시노즐과 측정기기의 레이저 회절 사이에 35cm 이격거리를 두고 분무입경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XR계열의 체적중간입경은 108.9~397.1㎛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DG계열은 155.9~560.1㎛로 나타났다. 항공방제 시 농약의 비산저감을 위해 236~340㎛ 범위의 체적중간입경이 적절하다고 고려한다면(Yu, 2019) 접촉성 농약은 236∼340㎛, 침투성 농약은 236∼403㎛의 체적중간입경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이에 부합하는 노즐은 XR계열의 경우 XR80025, XR8003 및 DG계열은 DG80015ㆍDG110015~DG8003ㆍDG11003로 나타났다.

      • Flow Characteristics in Compact Thermal Spray Coating Systems with Minimum Length Nozzle

        Kim, Seung-Hyun,Kim, Youn-Jea Institute of Plasma Physics, the Chinese Academy o 2009 Plasma science & technology Vol.11 No.5

        <P>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to adopt the equivalence ratio on the high velocity oxygen fuel (HVOF) thermal spray coating systems equipped with a minimum length nozzle. The analysis is applied to investigate the axisymmetric, steady-state, turbulent, and chemically combusting flow both within the torch and in a free jet region between the torch and the substrate to be coated. The combustion is modeled using a single-step and eddy-dissipation model which assumes that the reaction rate is limited by the turbulent mixing rate of the fuel and oxidant. As the diameter of the nozzle throat is increased, the location of the Mach shock disc moves backward from the nozzle exit. As the throat diameter and the divergent portion are 6 mm and 8 mm, respectively, the pressure in the HVOF system is the lowest at the chamber and the expanding gas is steadily maintained with both high velocity and high temperature for different equivalence ratios. Thus, relatively minor amendments of the equivalence ratio and the geometry of HVOF can lead to improved control over coating characteristics.</P>

      • 감자 정밀 파종기 개발을 위한 씨감자 물성 분석

        우제근 ( Jea-keun Woo ),최용 ( Yong Choi ),강연구 ( Youn-koo Kang ),이명희 ( Myung-hee Lee ),김영화 ( Young-hwa Kim ),유승화 ( Seung-hwa Yu ),박석호 ( Seok-ho Park ),김영근 ( Young-keu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밭작물 중 감자는 세계적으로 식사와 간식용 식재료로 널리 사용되며 쌀, 밀, 옥수수와 함께 4대 식량작물 중 하나로 전세계 생산량은 ’00년 332,775천톤에서 ’10년 332,594천톤, ’17년 338,191천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국내의 경우 쌀 이외의 밭작물 재배 수요 증가에 따른 감자 재배면적은 봄감자를 기준으로 ’10년 12.7천ha, ’14년 13.2천ha, ’19년 16.1천ha로 점진적으로 확대 추세이다. 국내 감자 재배 기계화율은 ’20년 71.6%로 조사되고 있으며 작업단계별 세부 기계화율의 경우 벼농사 및 타 밭작물과 공동으로 사용이 가능한 농기계 투입되는 경운ㆍ정지 99.9%, 비닐피복 83.0%, 방제 97.2%로 기계화율이 높다. 또한 수확작업의 경우 굴취식 수확기와 수집형 수확기의 보급으로 인해 71.9%로 나타났으나, 파종은 6.2%로 기계화율이 미흡한 실정이다. 파종작업의 경우 반자동 파종기가 보급 중이나, 인력투입 필요에 따른 투입효과 감소로 다양한 크기의 씨감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절단된 씨감자를 자동으로 파종하는 감자 정밀 파종기 개발을 위해 농가에 보급되는 씨감자의 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내 감자 재배면적 중 봄재배 작형은 66.5%, 여름재배 작형 15.7%, 가을재배 작형 17.8%으로 조사되었으며, 파종 시 종자값 절약을 위해 무게 100 g미만의 씨감자는 2절, 100g 이상은 주로 4절로 절단하여 파종한다. 주 재배품종 중 수미와 대서를 대상으로 씨감자를 100 kg씩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씨감자 무게 범위는 30~250 g이며, 20~30 g 범위기준으로 그룹핑 하였을때, 50~80 g의 분포비율이 수미 33%, 대서 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인력으로 포장되는 씨감자 보급상자 특성을 고려하였을때, 각 상자마다 무게별 분포 오차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중에 보급 중인 자동 절단기를 이용, 100g 이상의 씨감자를 대상으로 절단 시 부위별 길이를 조사하였다. 수미 품종의 경우 단면길이 6.94±0.85, 단면폭 6.00±0.76, 외곽길이 10.50±1.01, 외곽폭 5.00±0.64cm, 대서 품종은 단면길이 7.42±0.99, 단면폭 6.34±0.75, 외곽길이 10.69±1.06, 외곽폭 5.18±0.71cm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