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감마 나이프 방사선 수술시 필름 선량 측정에 의한 조직 불균일성에 대한 연구

        조흥래,손승창,서현숙,Cho, Heung-Lae,Shon, Seung-Chang,Shu, Hyun-Su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적 : 감마 나이프에 사용되고 있는 코발트-60의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는 -3.5$\%$이다. 그러나 모든 방사선 수술 치료 계획 시스템은 치료 부위를 단위밀도 (unit density)로 가정하여 계산을 시행하므로 조직 불균일성에 대한 고려를 하지않고 있다. 중두개와 (mid cranial fossa) 부위는 여러 두께의 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마 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시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변인 뇌하수체 종양 지점이나 청신경 초종 지점의 치료시 흡수되는 방사선량은 방사선 수술 계획 시스템에 의하여 계산한 값과 차이가 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변의 치료시 골에 의한 흡수 선량의 감소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Alderson Rando phantom (이하 인체 모형 판톰-human phantom-이라 명명)의 두개골 부위에 4개의 핀에 의해 Leksell stereotactoc frame을 고정시키고 뇌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뇌 단층 촬영 상에 뇌하수체 종양과 청신경 초종(acoustic neurimona)에 해당되는 각각의 지점을 정한 후 먼저 뇌하수체 지점에 인체 모형 판톰의 모양에 맞게 자른 코닥 X-omat V 필름을 사이에 넣고 인체 모형 판톰을 잘 고정한 후에 14 mm 조준기 (collimator)를 부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한 지점당 3회 반복 시행하였다. 18 mm 조준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시행하였다. 두 번째 지점인 청신경 초종 지점에 필름을 넣은 뒤 첫 번째와 동일한 방법으로 14 mm 조준기와 18 mm 조준기를 사용하여 각각 3회 반복 시행하였다. 동일한 실험 조건으로 균일한 밀도로 이루어진 16 cm 지름의 구형 폴리스티렌 판톰 내에 폴리스티렌 카세트에 맞는 필름을 삽입하여 14 mm, 18 mm 조준기 각각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 시행하였다. 이후 필름들을 현상하여 VXR-12 필름 광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등선량 곡선을 얻는다. 여기서 얻어진 등선량 곡선 (isodose curve)을 기초로 하여 off axis ratio 곡선을 얻었다. 결과 :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소에 대하여 감마 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를 시행할 때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는 뇌하수체 종양 지점이 청신경 초종 지점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0.2-3.0 mm vs. 0.1-1.3 mm) 조준기 크기에 따라 14 mm 조준기일 경우가 18 mm 조준기보다 더 많은 흡수 선량 감소 (0.4-3.0 mm vs. 0.2-2.2 mm)를 보였다. 결론 : 흡수 전량 감소가 실제 임상에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1 mm)에서 일어남으로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를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조정해야 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Since the mid cranial fossa is composed of various thickness of bone, the tissue inhomogeneity caused by bone would produce dose attenuation in cobalt-60 gamma knife irradiation. The correction factor for bone attenuation of cobalt-60 which is used for gamma knife source is -3.5$\%$. More importantly, nearly all the radiosurgery treatment planning systems assume a treatment volume of unit density: any perturbation due to tissue inhomogeneity is neglec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bone attenuation in mid cranial fossa using gamma knife. Materials and Methods :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after Leksell stereotactic frame had been liked to the Alderson Rando Phantom (human phantom) skull area. Kodak X-omat V film was inserted into two sites of pituitary adenoma point and acoustic neurinoma point, and irradiated by gamma knife with 14mm and 18mm collimator. An automatic scanning densitometer with a 1mm aperture is used to measure the dose profile along the x and y axis. Results : Isodose curve constriction in mid cranial fossa is observed with various ranges. Pituitary tumor point is greater than acoustic neurinoma point (0.2-3.0 mm vs 0.1-1.3 mm) and generally 14 mm collimator is greater than 18mm collimator (0.4-3.0 mm vs. 0.2-2.2 mm) Even though the isodose constriction is found, constriction of 50$\%$ isodose curve which is used for treatment reference line does not exceed 1 mm. This range is too small to influence the treatment planning and treatment results. Conclusion :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of gamma knife does not show significant error to be corrected without consideration of bone attenuation.

      • SCOPUSKCI등재

        The Efficacy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ituitary Adenoma

        조흥래,양광모,손승창,서현숙,Cho Heung Lae,Yang Kwang Mo,Shon Seung Chang,Suh Hyung Su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84년 부터 1989년까지 뇌하수체 선종환자 22명이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11개월에서 98개월간에 걸친 추적관찰 기간동안 22명중 18명($81.8\%$)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 호르몬 감소, 또는 종양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시력감소를 보였던 환자 11명중 10명($91\%$)이 시력회복을 보였고 시야결손을 보인 12명의 환자에서 11명($92\%$)의 시야가 회복 또는 정상화 되었다. 이상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술후 뇌하수체선종에 의한 증상 및 징후의 조절에 방사선치료가 유효하다. (2) 거대선종에 있어서 터어키안 위로 2 cm 이상인것과 2 cm 이하인 것의 치료효과에 있어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Between 1984 and 1989, 22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The tumor was controlled in 18 of 22 ($81.8\%$) patients for an observed period of II to 98 months. Eleven of 12 ($92\%$)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 experienced normalization or improvement, and 3 of 5 evaluabl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achieved normalization in one and decrement in two patients. We concluded that: (a)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clearly effective in the controlling of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esulting from pituitary adenoma: (b) In the macroadenoma, the difference of control rate between suprasellar, <2 cm. and suprasellar,> 2 cm. was not significant.

      • SCOPUSKCI등재

        The Efficacy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ituitary Adenoma

        Heung Lae Cho(조흥래),Kwang Mo Yang(양광모),Seung Chang Shon(손승창),Hyun Suk Suh(서현숙)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84년부터 1989년까지 뇌하수체 선종환자 22명이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11개월에서 98개월간에 걸친 추적관찰 기간동안 22명중 18명(81.8%)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 호르몬 감소, 또는 종양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시력감소를 보였던 환자 11명중 10명(91%)이 시력회복을 보였고 시야결손을 보인 12명의 환자에서 11명(92%)의 시야가 회복 또는 정상화 되었다. 이상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수술후 뇌하수체선종에 의한 증상 및 징후의 조절에 방사선치료가 유효하다. (2)거대선종에 있어서 터어키안 위로 2cm 이상인것과 2cm 이하인 것의 치료효과에 있어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Between 1984 and 1989, 22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The tumor was controlled in 18 of 22 (81.8%) patients for an observed period of 11 to 98 months. Eleven of 12(92%)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 experienced normalization or improvement, and 3 of 5 evaluabl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achieved normalization in one and decrement in two patients. We concluded that: (a)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clearly effective in the controlling of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esulting from pituitary adenoma: (b) In the macroadenoma, the difference of control rate between suprasellar, <2cm. and supeasellar,> 2cm. was not significant.

      • SCOPUSKCI등재

        뇌하수체 선종의 방사선치료 결과

        이현주(Hyun Joo Lee),양광모(Kwang Mo Yang),조흥래(Heung lae Cho),손승창(Seung Chang Shon),서현숙(Hyun Su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4

        Purpose :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disease-free survival and long-term results of radiotherapy for pituitary adenoma. Methods and Materials : The study involved a retrospective review of outcome in a series of 27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between 1984 and 1995 at Paik hospital. The study included 20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7 with radiotherapy alone. The patients w ere followed for 12-146 months (median : 97 months). Seventeen were men and 10 were women. The numbers of functioning and non-functioning pituitary adenoma were 22 and 5 respectively and those of microadenoma and macroadenoma were 4 and 23 respectively. The radiation doses of 5040-5580cGy (median : 5040cGy) were deliverd over 5-7 weeks, using 4MV LINAC. The prognostic factors were analyzed by log-rank test. Results : For radiation therapy alone, the 5YSR was 100%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 was 85.8%. The tumor was controlled in 6/7 (85.8%). For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the 5YSR,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 and local control rate were 95%, 84.8%, and 89.5% respectively. The parameters of tumor size, hormone secretion, radiation dose, radiotherapy field size were evaluated in a uni- and multivariate analysis and all the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Eleven of 12 (92%) with visual field defect experienced normalization or improvement, and 5 for 7 evaluabl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oma achived normalization in 4 and decrement in 5 patients. Only 2 patients developed mild degree of panhypopituitarism. Conclusion : The radiotherapy appears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esulting from pituitary adenoma. Local control rate with radiotherapy alone or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comparable. There was a trend toward high recurrence rate in patients with nonfunctioning or prolactin secreting tumor and larger radiation field sizes. 목 적 : 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뇌하수체 선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통해 방사선치료 역할을 규명해보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 1984년 5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인제대학교부속 백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를 받은 뇌하수체 선종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적기간은 12-146개월(중앙값 97개월)이었다. 성비는 남 : 여=17 : 10이었다. 기능성 선종과 비기능성 선종은 각각 22례, 5례였고, 기능성 선종중 유즙분비, 성장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분비는 각각 11, 9, 2례에서 나타났다. 미세선종은 4례였고, 거대선종중 2cm 이하는 9례, 2cm 이상은 14례이었다. 치료방법은 11례에서 접형골 경유 선종절제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9례에서 개두술과 종양제거 후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방사선 치료만 받은 환자는 7례였다. 방사선 치료는 4MV 선형가속기로 5040-5580 cGy(중앙값 5040cGy)/5-7주를 조사하였다. 결 과 : 5년 및 10년 전체생존율은 95.5%이었고, 국소관해율은 23/26(88.5%)이었다. 치료전 시력감소를 호소한 환자의 12/15(80%)에서 치료후에 시력회복을 보였으며, 시야결손환자는 11/12 (91.7%)에서 치료후 시야회복을 보였다. 호르몬 수치가 추적가능하였던 환자 12명중 유즙 분비종은 5/7(71.4%), 성장호르몬 4/4, 부신피질 호르몬 1/1에서 회복을 보였다. 임상적으로 치료후 합병증은 범하수체기능저하증이 2례에서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미미하였다. 무병생존율의 예후인자로 호르몬 분비 유무(기능성 vs 비기능성), 종양크기, 조사선량 및 조사야 크기 등을 분석하였는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뇌하수체 선종에서 수술후 방사선치료 및 방사선치료단독으로 높은 생존율과 국소 관해율을 보여주었고, 수술후 종양에 의한 증상 및 징후의 회복에 효과가 있었다. 예후인자 분석에서 호르몬 분비유무, 종양크기, 조사선량 및 조사야 크기 등이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