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감마 나이프 방사선 수술시 필름 선량 측정에 의한 조직 불균일성에 대한 연구

        조흥래,손승창,서현숙,Cho, Heung-Lae,Shon, Seung-Chang,Shu, Hyun-Su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적 : 감마 나이프에 사용되고 있는 코발트-60의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는 -3.5$\%$이다. 그러나 모든 방사선 수술 치료 계획 시스템은 치료 부위를 단위밀도 (unit density)로 가정하여 계산을 시행하므로 조직 불균일성에 대한 고려를 하지않고 있다. 중두개와 (mid cranial fossa) 부위는 여러 두께의 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마 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시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변인 뇌하수체 종양 지점이나 청신경 초종 지점의 치료시 흡수되는 방사선량은 방사선 수술 계획 시스템에 의하여 계산한 값과 차이가 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변의 치료시 골에 의한 흡수 선량의 감소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Alderson Rando phantom (이하 인체 모형 판톰-human phantom-이라 명명)의 두개골 부위에 4개의 핀에 의해 Leksell stereotactoc frame을 고정시키고 뇌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뇌 단층 촬영 상에 뇌하수체 종양과 청신경 초종(acoustic neurimona)에 해당되는 각각의 지점을 정한 후 먼저 뇌하수체 지점에 인체 모형 판톰의 모양에 맞게 자른 코닥 X-omat V 필름을 사이에 넣고 인체 모형 판톰을 잘 고정한 후에 14 mm 조준기 (collimator)를 부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한 지점당 3회 반복 시행하였다. 18 mm 조준기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시행하였다. 두 번째 지점인 청신경 초종 지점에 필름을 넣은 뒤 첫 번째와 동일한 방법으로 14 mm 조준기와 18 mm 조준기를 사용하여 각각 3회 반복 시행하였다. 동일한 실험 조건으로 균일한 밀도로 이루어진 16 cm 지름의 구형 폴리스티렌 판톰 내에 폴리스티렌 카세트에 맞는 필름을 삽입하여 14 mm, 18 mm 조준기 각각에 대하여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 시행하였다. 이후 필름들을 현상하여 VXR-12 필름 광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등선량 곡선을 얻는다. 여기서 얻어진 등선량 곡선 (isodose curve)을 기초로 하여 off axis ratio 곡선을 얻었다. 결과 : 중두개와에 위치한 병소에 대하여 감마 나이프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를 시행할 때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는 뇌하수체 종양 지점이 청신경 초종 지점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0.2-3.0 mm vs. 0.1-1.3 mm) 조준기 크기에 따라 14 mm 조준기일 경우가 18 mm 조준기보다 더 많은 흡수 선량 감소 (0.4-3.0 mm vs. 0.2-2.2 mm)를 보였다. 결론 : 흡수 전량 감소가 실제 임상에서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 (1 mm)에서 일어남으로 골에 의한 흡수 선량 감소를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조정해야 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Since the mid cranial fossa is composed of various thickness of bone, the tissue inhomogeneity caused by bone would produce dose attenuation in cobalt-60 gamma knife irradiation. The correction factor for bone attenuation of cobalt-60 which is used for gamma knife source is -3.5$\%$. More importantly, nearly all the radiosurgery treatment planning systems assume a treatment volume of unit density: any perturbation due to tissue inhomogeneity is neglec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bone attenuation in mid cranial fossa using gamma knife. Materials and Methods :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after Leksell stereotactic frame had been liked to the Alderson Rando Phantom (human phantom) skull area. Kodak X-omat V film was inserted into two sites of pituitary adenoma point and acoustic neurinoma point, and irradiated by gamma knife with 14mm and 18mm collimator. An automatic scanning densitometer with a 1mm aperture is used to measure the dose profile along the x and y axis. Results : Isodose curve constriction in mid cranial fossa is observed with various ranges. Pituitary tumor point is greater than acoustic neurinoma point (0.2-3.0 mm vs 0.1-1.3 mm) and generally 14 mm collimator is greater than 18mm collimator (0.4-3.0 mm vs. 0.2-2.2 mm) Even though the isodose constriction is found, constriction of 50$\%$ isodose curve which is used for treatment reference line does not exceed 1 mm. This range is too small to influence the treatment planning and treatment results. Conclusion : Radiosurgery planning system of gamma knife does not show significant error to be corrected without consideration of bone attenuation.

      • SCOPUSKCI등재

        The Efficacy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ituitary Adenoma

        조흥래,양광모,손승창,서현숙,Cho Heung Lae,Yang Kwang Mo,Shon Seung Chang,Suh Hyung Su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84년 부터 1989년까지 뇌하수체 선종환자 22명이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11개월에서 98개월간에 걸친 추적관찰 기간동안 22명중 18명($81.8\%$)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 호르몬 감소, 또는 종양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시력감소를 보였던 환자 11명중 10명($91\%$)이 시력회복을 보였고 시야결손을 보인 12명의 환자에서 11명($92\%$)의 시야가 회복 또는 정상화 되었다. 이상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술후 뇌하수체선종에 의한 증상 및 징후의 조절에 방사선치료가 유효하다. (2) 거대선종에 있어서 터어키안 위로 2 cm 이상인것과 2 cm 이하인 것의 치료효과에 있어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Between 1984 and 1989, 22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The tumor was controlled in 18 of 22 ($81.8\%$) patients for an observed period of II to 98 months. Eleven of 12 ($92\%$)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 experienced normalization or improvement, and 3 of 5 evaluabl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achieved normalization in one and decrement in two patients. We concluded that: (a)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clearly effective in the controlling of clinical symptoms and signs resulting from pituitary adenoma: (b) In the macroadenoma, the difference of control rate between suprasellar, <2 cm. and suprasellar,> 2 cm. was not significant.

      •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의 방사선 치료결과에 대한 고찰

        조흥래 인제대학교 1993 仁濟醫學 Vol.14 No.1

        유방암은 수술적 절제술 후의 국소재발율이 9%에서 24% 정도에 이르며 화학요법으로는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없는 것으로 보고된다. 한편 국소재발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 대하여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경우 국소재발율을 낮추며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 1983년부터 1990년까지 방사선치료를 받은 후 추적조사가 가능한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을, 국소재발을,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흉벽 방사선 치료를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간의 국소재발율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해봄으로써 방사선 치료를 함으로 국소재발율을 낮출 수 있는 고위험군을 알아 보는데 목표를 두었다. Between 1983 and 1989, thirty two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radation therapy at Inje university Pusan Paik hospital. There were 1 patient with stage I, 10 patients with stage II, 21 patients with stage III. the local control rate was 75% for the entire group. the local control rates for each stage were 80% for stage II, 71% for stage III. The 5 fear overall survival rate for the entire group was 50%. the 5 year survival rates for each stage IIA, IIB, IIIA and IIIB was 100%, 50%, 41% and 20% respectively. Prinary tumor size has been identified as a prognostic factor influencing survival. There was difference of survival and locoregional relapse rates between 3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number of positive axillary nod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Locoregional relapse rate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chest wall radiation therapy is lower than the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but failed to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high risk subgroup by the positive axillary nodes and primary tumor size but failed to find the high risk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ecause of small number of patient.

      • 방사선에 저항을 나타내는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감수성 증가를 위한 유전자 전이

        조흥래 인제대학교 1999 仁濟醫學 Vol.20 No.1

        성인 뇌종양 중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다형성 교모세포종에 대한 치료 성적은 지난 수십 년간의 많은 발전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앙 생존기간이 1년 조금 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수모세포종은 방사선에 민감한 종양으로 5년 생존율이 60%에 이른다. 두 종양간에 이러한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이유는 수모세포종과 다형성 교모세포종에서 p53가 p21BAX 발현을 유도할 수 있는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이를 토대로 한 치료 응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p53에 대하여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치료에 응용시 가장 큰 문제점은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세포군이 p53 변이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불균일 하게 이루어져 p53 변이가 있는 세포에 대하여는 반응을 나타내지만 p53 변이가 없는 세포군에 대하여는 p53를 이용한 유전자 요법이 효과를 별로 보이지 않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방사선 치료를 함께 시행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생성이 한 가지 유전자 결함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치료 가능성이 있는 다른 종양 억제 유전자들 즉 p16, Rb, E2F-1, 등을 동시에 암 세포에 전달하여 치료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치료가 성공되기 위해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분야가 전달 매개체이다. 현재 편리함과 효용성 때문에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이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강력하고 안전한 바이러스를 개발하고자 연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매개체로는 모든 암세포에 유전자를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유전자 치료는 기존의 치료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방사선 치료와 약물 치료는 유전자 치료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암 치료에서 종양 억제 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를 사용하는 것은 암을 정복하기 위한 중요한 진보이며 전략이라고 생각이 된다. 암의 감추어진 비밀들이 밝혀짐에 따라 암 치료를 담당하는 임상가들은 가까운 장래에 암에 대항한 새로운 무기로 무장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수술, 방사선 치료, 약물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게 할 것이고 환자와 의사들이 겪어야 했던 좌절을 없애줄 것이다. Glioblastoma multlforme is the most common type of adult brain tumor among malignant astrocytoma. Even though with great development of oncology and big efforts since last decades, only modest improvement of survival is achieved. However, medulloblastoma which is radiosensitive tumor shows up to 60 % of 5 year survival. It is reported that the major reason of different result is coming from the ability to expressing proapoptotic p21BAX induced from p53. And this finding can be applied to novel therapy for cancer. In the clinical trial using p53 which is studied in great detail, one of the obstacle for gene therapy is the fact that glioblastoma is consisted with heterogeneous tumor cell population of mutant p53 and wild-type p53. Clinical meaning of heterogeneity is that response to gene transfer is different between wild-type p53 and mutant p53 cell lines. However, it could be overcome when p53 gene transfer is combined with radiation. Because the genesis of glioblastoma multiforme is not coming from only one genetic abnormality, other genes like p16, Rb, E2F-1 which are related with genesis and progression of glioblastoma multiforme will be used simultaneously for successful gene therapy. The other important area should not be overlooked for the success of gene transfer is vector. Virus is used most frequently in the aspect of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among other vectors. Since the delivery of the therapeutic gene to every tumor cell is beyond the capability of the vectors currently available, gene therapy is focusing on enhancing the effect of existing therapies. In this regard, both radiation theapy and conventional chemotherapeutic agents are able to augment the antitumoral effect of gene therapy strategies. Most of the studies performed with such combinations have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this approach as compared with single therapies. I believe that it is a big advancenlent and important strategy to apply tumor suppressor gene transfer to conquer cancer. As the cancer is being revealed its hidden face, oncologist will be equipped themselves with new weapon in the near future. And it will lead them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treatment modality for cancer and also will wipe eyes of patients and blow away the frustrations from doctors.

      • KCI등재

        Volumetric changes in the lumpectomy cavity during whole breast irradiation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조흥래,김철진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4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 in the lumpectomy cavity volumes before and after whole breast radiation therapy (WBRT)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volume.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9 to April 2010, the computed tomography (CT) simulation data from 70 patients obtained before and after WBRT was evaluated. The lumpectomy cavity volumes were contoured based on surgical clips, seroma, and postoperative chang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ta from pre-WBRT CT and post-WBRT CT were assessed. Multiple variables were examined for correlation with volume reduction in the lumpectomy cavity. Results: The mean and median volume reduction in the lumpectomy cavity after WBRT were 17.6 cm3 and 16.1 cm3, respectively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01). The volume reduction in the lumpectomy cavity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ime from surgery to radiation therapy (R = 0.390). The presence of serom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volumetric change in the lumpectomy cavity after WBRT (p = 0.011). Conclusion: The volume of lumpectomy cavity reduced significantly after WBRT. As the time from surgery to the start of WBRT increased, the volume reduction in the lumpectomy cavity during WBRT decreased. A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resence of seroma and the reduced volume. To ensure appropriate coverage and to limit normal tissue exposure during boost irradiation in patients who has seroma at the time of starting WBRT, repeating CT simulation at boost planning i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