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대한 메탄 생성 속도 증대

        양성민(Seongmin Yang),윤여명(Yeo-Myeong Yun),정구륜(Guryun Jung),강석태(Seoktae Kang)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춘계

        혐기성 소화 공정은 폐기물들을 재사용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반응조의 소화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있으며 늘어나는 폐기물 양을 감당하기 위해 반응조를 확장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미생물의 소화 속도를 증가시켜 혐기성 소화조의 경제성을높이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산 생성 미생물과 메탄생성 미생물상호간의 전자 전달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공생관계를 향상시키는 DIET(Direct interspecies electron transfer) 기술은 공정의 변화가 아닌 미생물 사이에 전자 전달 속도를 증가시켜 소화 속도가 증가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혐기성 소화과정 각 단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물질인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여 혐기성 소화과정에 대한 영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Development of a System Grading Color and Texture of Beef using Spectral Information

        ( Seongmin Park ),( Daesik Son ),( Myongkyoon Yang ),( Jinshi Cui ),( Youngkwon Yun ),( Sung Ho Yoon ),( Seong 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

        The meat color and texture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beef grade. However, unlike marbling, which can be easily judged by the human eye, the color and texture grade of the meat are highly likely to be misjudged by the person who makes the judgme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pla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equipment that can easily determine the color and texture of meat.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system for easily determining the color and texture grade of beef using portable spectroscopic analyzer. First, the spectroscopic information of each beef carcass was collected at the place where the beef grade was actually judged by the portable spectrometer. The wavelength band is from 400 nm to 1000 nm. And machine learning was used to match the meat color and texture grade information to this spectral information. The number of iterations was set to 10,000. Machine learning has reached an accuracy level that allows the system to judge adequately the color and texture. Based on these results, we made a mobile application. By using this application, we have implemented a system that can easily rate meat color and texture grade at the judgment place.

      • KCI등재

        Recurrent True Brachial Artery Aneurysm

        Seongmin Ko,Il-Yong Han,조광현,Yang-Haeng Lee,Kyung-Taek Park,Mee-sun Kang 대한흉부외과학회 201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4 No.5

        True aneurysm of the brachial artery is a rare disease entity. The mechanism of aneurysm formation is considered to be compression of the arterial wall, producing contusion of the media and subsequent weakness of the wall and fusiform dilatation. It can be caused by arteriosclerotic, congenital, and metabolic disorders, and can be associated with diseases such as Kawasaki’s disease. Doppler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arteriography, and selective upper extremity angiography may be performed for establishing the diagnosis of aneurysm. The best therapeutic option is operative repair, and it should be performed without any delay, in order to prevent upper extremity ischemic or thrombotic sequelae. Here,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brachial artery aneurysm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Third-Order Nonlinear Susceptibility and Hyperpolarizability of CdSe Nanocrystals with Femtosecond Excitation

        Seongmin Ma,JaeTae Seo,A. Jackson,B. Tabibi,H. Brown,K. Lee,L. Creekmore,M. Namkung,Q. Yang,R. Battle,S. S. Jung,T. Skyles,W. Yu 한국물리학회 200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8 No.6

        Single beam femtosecond Z-scan spectroscopy at 775 nm revealed that the effective third-order nonlinear susceptibility and hyperpolarizability of CdSe colloidal nanocrystals near the Bohr radius were 0.7 . 1.0 × 10.22 m2/V2 and 0.18 . 2.0 × 10.44 m5/V2, respectively. The non-resonant nonlinearity increase for CdSe colloidal quantum dots with bigger than average diameters is attributed to their absorption cross-section being larger and their bandgap energy being narrower than those of the quantum dots with smaller sizes.

      • 안압 조절을 위한 선택적 접착 공정이 포함된 폴리머 체크 밸브

        임성민(Seongmin Im),문병필(Byungphil Mun),안재용(Jaeyong An),최종찬(Jongchan Choi),양성(Sung Yang),이종현(Jonghyun Lee)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6

        본 연구에서는 안압 조절을 위한 마이크로 체크밸브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체크밸브는 얇은 막과 마이크로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밸브 오리피스의 직경, 막의 두께, 밸브 오리피스와 밸브 안착의 겹치는 길이를 구하기 위해 FEA 해석을 하였다. 또한 밸브의 신뢰성이 있는 작동과 생산 수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공정으로서 밸브 안착 부분에 Cr/Au 를 증착하였다. 제작된 체크밸브가 열리는 압력 (cracking pressure)은 2.50 ㎩ 이었으며, 이 값은 목표 값인 2.67 ㎪ (20㎜Hg)과 매우 근접한 값으로, 이 결과를 통해 적정한 안압을 유지할 수 있는 녹내장 치료용 소자를 만들 수 있다. The micro check valve for the regul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is presented. The device consists of two polymer layers; diaphragm (intermediate layer), and micro channel (bottom layer). Finite-element analyses (FEA) were performed to find appropriate design for targeted intraocular pressure: the diameter of orifice, the thickness of intermediate layer, and the overlapped length of the orifice and valve seat. The overlapped area of the bottom layer was coated with Cr/Au not to be bonded with the intermediate layer so that the device showed the enhanced reliability in operation and higher yield in production. The cracking pressure of the fabricated valve was 2.50 ㎪, and it is very close to the target value (2.67 ㎪), which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icro check valve has a great potential as a component of glaucoma drainage device.

      • SCISCIESCOPUS

        Structural basis of recognition and destabilization of the histone H2B ubiquitinated nucleosome by the DOT1L histone H3 Lys79 methyltransferase

        Jang, Seongmin,Kang, Chanshin,Yang, Han-Sol,Jung, Taeyang,Hebert, Hans,Chung, Ka Young,Kim, Seung Joong,Hohng, Sungchul,Song, Ji-Joon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19 Genes & development Vol. No.

        <P>In this study, Jang et al. present cryo-EM structures of DOT1L complexes with unmodified or H2B ubiquitinated nucleosomes, showing that DOT1L recognizes H2B ubiquitin and the H2A/H2B acidic patch through a C-terminal hydrophobic helix and an arginine anchor in DOT1L, respectively. Their results establish the molecular basis of the cross-talk between H2B ubiquitination and H3 Lys79 methylation as well as nucleosome destabilization by DOT1L.</P><P>DOT1L is a histone H3 Lys79 methyltransferase whose activity is stimulated by histone H2B Lys120 ubiquitination, suggesting cross-talk between histone H3 methylation and H2B ubiquitination. Here, we present cryo-EM structures of DOT1L complexes with unmodified or H2B ubiquitinated nucleosomes, showing that DOT1L recognizes H2B ubiquitin and the H2A/H2B acidic patch through a C-terminal hydrophobic helix and an arginine anchor in DOT1L,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tructures combined with single-molecule FRET experiments show that H2B ubiquitination enhances a noncatalytic function of the DOT1L-destabilizing nucleosome. These results establish the molecular basis of the cross-talk between H2B ubiquitination and H3 Lys79 methylation as well as nucleosome destabilization by DOT1L.</P>

      • Automated 3D Plant Phenotyping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 Myongkyoon Yang ),( Cui Jinshi ),( Seongmin Park ),( Daesik Son ),( Seong 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

        A development of analysis technology using fusion technology is required to increas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and produce crops stably,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environment. In response to these needs, an importance of phenomics which is a research field covering a plant’s phenotype is emerging. Morphology is an important factor in a plant's phenotyping, and 3D image analysis of plants is also becoming important. In this study, 3D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using several images of plant, and automated image segmentation and phenotypic parameter measurement of plants were attempted. The target plant rotating on the turntable was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in a fixed position to obtain images in various directions, and 3D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obtained images. A preprocessing process was carried out using the 3D point cloud of plant, and a plant analysis algorithm for plant segmentation was developed to obtain the morphological trait. ExG, Clustering, and Otsu's threshold were used to extract the desired plant area.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is performed through PCA and Euler angle transformation, this allows same analysis for all 3D images. 3D plant images obtained through these processes were performed to separate stem and leaf, and calculate leaf size, angle, crop height, and fruit volume by using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 calculation result was compared with a ground truth data, and it demonstrated that the algorithm shows good performance. This contributed to the automated analysis of 3D plant images, and various analyzes will be possible if combined with other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 한우육의 실시간 상태분석을 위한 가스센서 시스템 설계

        박성민 ( Seongmin Park ),손대식 ( Daesik Son ),양명균 ( Myongkyoon Yang ),최금실 ( Jinshi Cui ),정은성 ( Eun Seong Jeong ),조성인 ( Seong 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본 연구는 한우육의 상태 및 품질을 판별할 수 있는 전자코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설계 연구이다. 육류는 저장기간 및 유통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저장 초기에는 지방산패로 인해 가스성분이 발생하며, 우육의 저장 초기인 0~5일에는 헥산알이라는 알데하이드계 성분이 중요한 생성물임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반도체식 가스센서를 활용하였는데, 이러한 MOS식 센서의 작동 원리는 세라믹 반도체 표면에 감지 대상 가스가 흡·탈착됨에 따라 유도되는 전기 반응을 신호로 보내는 것으로 대상가스가 없을 때에는 산소를 흡착하여 높은 전기전도성을 나타내고 있다가 대기중 공기질 변화에 따라 가스에 접촉하면서 산소가 떨어져나가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일으킨다. 본 연구는 한우육의 상태를 감지하는 개별 MOS 센서 모듈의 성능평가를 통해 최적의 가스센서를 확보하고 이러한 센서들을 어레이 구조로 National Instument 사의 DAQ 장치에 연결시킨 후 동일 회사의 프로그램인 Labview를 통한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우육의 상태 판별을 시도하였다. 한우육은 동일 부위를 사용하기 위해 품질판정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등심부위만 시료로 사용하였다.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한우 공판장으로부터 도축 바로 다음날의 한우육을 입수하여 소량씩 잘라 밀폐용기에 넣고 저장기간에 따라 가스센서에 반응시켰다. 가스센서는 한우육의 상태 변화에 선택적으로 반응하기 위해 6종을 선정하였으며 동일 종류의 센서에 대한 반복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각 3회 이상의 테스트를 거쳤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한우육 상태 판별 시스템을 통해 개별 센서를 테스트한 결과를 토대로 한우육의 상태 변화에 따른 향미 패턴 인식이 가능한 센서 어레이를 설계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추후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더 정밀한 상태판정 시스템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 근적외선을 이용한 휴대용 한우 조직감 등급 판별 시스템 개발

        박성민 ( Seongmin Park ),손대식 ( Daesik Son ),양명균 ( Myeongkyoon Yang ),윤영권 ( Youngkwon Yun ),김동준 ( Dong Jun Kim ),조성인 ( Seong 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한우육의 조직감을 판별하기 위한 근적외선 분광분석 시스템 개발에 대한 것이다. 한우육은 등급 판정에 있어서 마블링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과도한 지방 섭취를 피하는 소비자들의 트렌드 및 곡물사료를 사용하는 한우 사육 방식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육색과 조직감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등급판정체계가 도입될 예정이다. 그런데 조직감에 대한 수치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실험실 환경에서 전단 응력을 측정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에 등심육을 파괴하지 않고 빠르게 판정해야 하는 도축장 환경에서는 전단응력 측정 대신 품질판정사의 감에 의존하고 있다. 판정을 인력에 맡기면 사람마다 결과가 달라지기도 하고 개인의 컨디션 및 환경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품질판정사의 분류에 따라 조직감 등급이 나누어진 한우육에 대한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휴대용 스펙트로미터로 획득하여 그 결과를 머신러닝하고, 이렇게 분류된 결과를 토대로 도축장 환경에서 즉시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릿을 제작하여 현장 테스트까지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추후 실험실 환경에서 얻어진 전단응력 데이터와 함께 연계시키면 보다 완성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비행 시뮬레이터를 위한 임무 디브리핑 시스템 설계

        윤성민(Seongmin Yun),양주석(Juseok Yang),류민주(Minju Yoo),김혜진(Hyeji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B

        비행임무에서는 사전 계획과 더불어 임무수행 결과에 대한 사후 분석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 비행 후 디브리핑 과정을 수행한다. 최근 비행 시뮬레이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공군에서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모의훈련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모의비행훈련 후 임무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효과적인 디브리핑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운용중인 비행 시뮬레이터를 위한 디브리핑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는 비행 시뮬레이터용 임무 디브리핑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비행임무 결과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기능을 통해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비행훈련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국내기술로 시스템을 구현함에 따른 국방예산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