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ole of Lipocalin-2-Chemokine Axis in the Development of Neuropathic Pain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Jeon, Sangmin,Jha, Mithilesh Kumar,Ock, Jiyeon,Seo, Jungwan,Jin, Myungwon,Cho, Heejung,Lee, Won-Ha,Suk, Kyoungho Americ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 2013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88 No.33

        <P>Lipocalin 2 (LCN2), which is also known as 24p3 and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binds small, hydrophobic ligands and interacts with cell surface receptor 24p3R to regulate diverse cellular processe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role of LCN2 in the pathogenesis of neuropathic pain using a mouse model of spared nerve injury (SNI). <I>Lcn2</I> mRNA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orsal horn of the spinal cord after SNI, and LCN2 protein was mainly localized in neurons of the dorsal and ventral horns. LCN2 receptor 24p3R was expressed in spinal neurons and microglia after SNI. <I>Lcn2</I>-deficient mice exhibited significantly less mechanical pain hypersensitivity during the early phase after SNI, and an intrathecal injection of recombinant LCN2 protein elicited mechanical pain hypersensitivity in naive animals. <I>Lcn2</I> deficiency, however, did not affect acute nociceptive pain. <I>Lcn2</I>-deficient mice showed significantly less microglial activation and proalgesic chemokine (CCL2 and CXCL1) production in the spinal cord after SNI than wild-type mice, and recombinant LCN2 protein induced the expression of these chemokines in cultured neurons.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LCN2 and its receptor was detected in neutrophils and macrophages in the sciatic nerve following SNI, suggesting the potential role of peripheral LCN2 in neuropathic pain.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LCN2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pain hypersensitivity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and suggest that LCN2 mediates neuropathic pain by inducing chemokine expression and subsequent microglial activation.</P>

      • SCISCIESCOPUS

        <i>In vivo</i> stem cell tracking with imageable nanoparticles that bind bioorthogonal chemical receptors on the stem cell surface

        Lee, Sangmin,Yoon, Hwa In,Na, Jin Hee,Jeon, Sangmin,Lim, Seungho,Koo, Heebeom,Han, Sang-Soo,Kang, Sun-Woong,Park, Soon-Jung,Moon, Sung-Hwan,Park, Jae Hyung,Cho, Yong Woo,Kim, Byung-Soo,Kim, Sang Kyoon IPC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7 Biomaterials Vol.139 No.-

        <P><B>Abstract</B></P> <P>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reliable non-invasive stem cell imaging technology for tracking the <I>in vivo</I> fate of transplanted stem cells in living subjects. Herein, we developed a simple and well controlled stem cell imaging method through a combination of metabolic glycoengineering and bioorthogonal copper-free click chemistry. Firstly, the exogenous chemical receptors containing azide (-N<SUB>3</SUB>) groups were generated on the surfaces of stem cells through metabolic glycoengineering using metabolic precursor, tetra-acetylated <I>N</I>-azidoacetyl-<SMALL>D</SMALL>-mannosamine(Ac<SUB>4</SUB>ManNAz). Next, bicyclo[6.1.0]nonyne-modified glycol chitosan nanoparticles (BCN-CNPs) were prepared as imageable nanoparticles to deliver different imaging agents. Cy5.5, iron oxide nanoparticles and gold nanoparticles were conjugated or encapsulated to BCN-CNPs for optical, MR and CT imaging, respectively. These imageable nanoparticles bound chemical receptors on the Ac<SUB>4</SUB>ManNAz-treated stem cell surface specifically via bioorthogonal copper-free click chemistry. Then they were rapidly taken up by the cell membrane turn-over mechanism resulting in higher endocytic capacity compared non-specific uptake of nanoparticles. During <I>in vivo</I> animal test, BCN-CNP-Cy5.5-labeled stem cells could be continuously tracked by non-invasive optical imaging over 15 days. Furthermore, BCN-CNP-IRON- and BCN-CNP-GOLD-labeled stem cells could be efficiently visualized using <I>in vivo</I> MR and CT imaging demonstrating utility of our stem cell labeling method using chemical receptors. These results conclude that our method based on metabolic glycoengineering and bioorthogonal copper-free click chemistry can stably label stem cells with diverse imageable nanoparticles representing great potential as new stem cell imaging technology.</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고장 분석 문서에서 자동 고장 지식 추출

        전상민(SangMin Jeon),서효원(HyoWon Suh),정면규(MyeonGyu Jeong) (사)한국CDE학회 2015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하계

        Most engineer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routinely handle large volumes of engineering documents that are stored in PLM system. The challenge for extracting knowledge from the engineering documents is to quickly gather the right information from unstructured text in engineering documents into a structured knowledge. Since context is very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knowledge in unstructured text, it should be extracted and reflect to organize a structured knowledge. Several studies to extract knowledge from unstructured text focus on extracting concepts and their relationships using matching between terminologies in text and concepts in a predefined ontology. They did not extract context information from unstructured texts. This paper undertakes the in-depth analysis of failure analysis documents collected from a manufacturing company and provides a method for failure knowledge extraction based on failure context, which enables to prevent potential failure in a design process by securing the failure knowledge. Two-layered model, failure-context and product-component layers, is also developed to exploit both failure knowledge and relevant design information through a series of proposed linguistic operations.

      • KCI등재

        역세권 세분화를 통한 도시철도 수요예측 개선에 관한 연구

        전상민(Jeon, Sangmin),정성봉(Chung, Sungbong),김시곤(Kim, Sigon),조항웅(Cho, Hangung)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6D

        도시철도의 건설에 있어서 정확한 수요예측 과정은 매우 중요하고, 정밀한 타당성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도시철도 수요예측을 위한 교통존 기준은 행정동 단위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역세권 특성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세권의 범위를 세분화하고 거리별 수단분담특성을 파악하여, 도시철도 수요예측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지역의 거리별 도시철도 수단분담률을 분석한 결과 도심형의 경우에는 500m, 외곽형의 경우에는 1,000m의 역세권 범위 설정이 기능하였다. 또한 기존 행정동 기준의 수요예측에 비해 역세권 세분화에 따른 수요예측결과가 실제치에 근접하여 신뢰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Accurate demand estimating process in the construction of urban railway is very important, and precise validation is required. Existing model formula in the 4 phase model is limited in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the administrative boundary-based zone system reflects no spatial railway demand characteristics around railway s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ing the accuracy of urban rail demand estimation through segmentations of station influence areas and modal split characteristics within the area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it is possible to set up the ststion influence area with a radius of 500m in the urban region and 1,000m in the suburban. And eastablishing proper segmentations of the ststion influence area shows more accurate results to the real demand of railway stations.

      • KCI등재

        농어촌지역 수요응답형교통(DRT)의 운행비용 특성분석

        전상민(Jeon, Sangmin),정성봉(Chung, Sungbong),김시곤(Kim, Sigon)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6D

        최근 농어촌지역의 교통약자에 대한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등이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고, 기존 고비용 저효율인 버스운영 시스템의 개선을 통하여 이용자 맞춤형서비스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기존 농어촌버스의 노선운행시스템 대안으로 수요대응형교통(Demad Responsive Transport)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DRT는 교통소외지역의 이용자편의를 증진시키는 것을 큰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도입에 따른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어촌지역에 DRT를 도입하였을 경우 차량운행대수 및 운행비용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비용측면에서의 도입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농어촌버스의 대당 운행노선수의 과다와 노선흔재의 특성으로 DRT가 도입되더라도 기존 차량대수의 감축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기존 노선운행시스템에 비해 추가차량 소요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추가차량 소요는 운행비용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도입 전과 비교하여 약 5~12%의 운행비용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농어촌지역에 DRT 도입을 위해서는 교통소외 지역주민의 교통편의증진을 목적으로 할 것인지, 기존 노선운행시스템의 비용비효율 해소를 목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방향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Recently, improving public transport service at disabled people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rural areas. By improving expensive and inefficient existing operating system, the rural bus have to change a personalized service. Under these circumstances,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DRT(Demand response transport). DRT system is intended to promote the user’s convenience. But, until now, in-depth research on the operating costs for the introduction of DRT is not well known. This study aims to look at changes in number of vehicle and operating cost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D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Even though introducing DRT, total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because it does not reduce the existing number of vehicles. And this study estimated to about 5 to 12 percent of the increase in the operating cost comparing before introduction of DRT.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DRT in rural areas is a need to set the exact purpose as promot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r cost efficiency.

      • 농지범용화를 위한 유공관 암거의 물리·역학적 특성평가

        전종찬 ( Jongchan Jeon ),김효동 ( Hyodong Kim ),전상민 ( Sangmin Jeon ),조성문 ( Sungmun Cho ),김미솔 ( Misol Kim ),추연재 ( Yeonjae Choo ),이정희 ( Jeonghee Lee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수도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밭작물이 늘어나면서 밭작물 재배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체 경지면적은 감소하고 있지만, 밭이 전체 경지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밭을 논 이외 농지라는 소극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우리 사회의 핵심미래 자원으로 보려는 과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곡물가격 폭등 파동 등으로 밭의 유휴화 방지, 밭에서의 식량, 사료작물 재배 확대 등 밭농업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수도작에 비해 밭농업은 농업의 다양성, 생물 다양성 및 유전자원 보전 등의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다. 따라서 밭농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논의 범용화는 고소득의 밭작물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의 타작물재배를 위한 유공관 암거배수 공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무굴착암거공법에 적용되는 주름관 암거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적용한 유공관은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유공관, 폴리프로필렌계 유공관 및 폴리에틸렌계 주름관을 평가하였다. 시험은 밀도, 인장강도, 휨강도, 충격강도,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유공관 암거가 폴리프로필렌 유공관 보다 밀도, 인장, 휨강도 및 충격강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투수계수는 동등한 결과 값을 나타냈다. 또한 주름관 역시 고밀도 폴리에틸계를 적용함으로서 폴리포르필렌계 보다는 밀도 및 강도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고, 투수계수는 표면에 부직포를 처리하여 투수시험시 부직포가 투수성을 제어하는 결과를 보여주어 투수계수는 다른 암거보다 약간 작게 나타났다. 다만 현장에서는 토립자로 인한 공극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투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수리시설물 보수를 위한 자기 충전형 보수재료의 성능 평가

        전종찬 ( Jongchan Jeon ),김효동 ( Hyodong Kim ),전상민 ( Sangmin Jeon ),조성문 ( Sungmun Cho ),김미솔 ( Misol Kim ),추연재 ( Yeonjae Choo ),이정희 ( Jeonghee Lee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수리시설물의 적용하기 위한 라텍스 개질 자기 충전형 보수재료의 강도 특성 및 확산계수 특성을 평가하였다. 라텍스 개질 자기 충전형 보수재료는 초속시멘트와 규사가 혼합된 것으로 라텍스를 혼합하여 유동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주입 및 스프레이 시공이 가능하게 하였다. 라텍스 개질 자기 충전형 보수재료의 적용방법은 보수가 필요한 수리시설물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믹서에서 라텍스 개질 자기 충전형 보수재료를 뿜칠 및 주입한다. 주입 및 뿜칠이 완료되면 수리시설물의 보수를 마무리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시설물의 보수를 위한 라텍스 개질 자기 충전형 보수재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라텍스와 초속경 결합재료 비를 변화시켜가며 역학적 특성 및 확산계수를 평가하였다. 라텍스/초속경 결합재료와의 비는 0.40, 0.33, 0.29 및 0.25로 변화시켰다. 역학적 특성 시험결과 라텍스/초속경결합재료의 비가 작아질수록 역학적 성능 및 확산계수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시험결과 라텍스 개질 자기 충전형 보수재료가 수리시설물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결합재료의 비 0.29 이하일 때로 나타났다. 쪼개짐 인장강도는 라텍스/초속경결합재료의 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고, 확산계수는 라텍스/초속경결합재료의 비 감소하면서 작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 밭가뭄 영향 평가를 위한 밭관개시설물 현황분석

        전종찬 ( Jongchan Jeon ),김효동 ( Hyodong Kim ),전상민 ( Sangmin Jeon ),조성문 ( Sungmun Cho ),김미솔 ( Misol Kim ),추연재 ( Yeonjae Choo ),이정희 ( Jeonghee Lee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최근 여름에는 계속된 폭염과 5월부터 6월까지 이어진 강수량 부족 현상으로 전국 대부분의 지역의 저수율 부족으로 농, 밭작물들이 말라가는 피해로 가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고조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급격한 기후변화로 가뭄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가뭄발생 빈도는(1904년∼2000년) 0.36회/년에서 (2000년∼2015년) 0.67회/년으로 86% 증가하고 있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밭작물이 늘어나면서 밭작물 재배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가뭄예방보다는 가뭄이 발생 후 조치/지원하는 사후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용수공급시설을 갖춘 관개전은 140천㏊로 전국 밭 면적의 18.5 % 수준으로 논에 비해 열악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대응하고 한정된 농촌용수의 합리적 관리를 위한 관개시설물의 영향 분석 및 취약성 평가 기술을 확보하고 이에 적합한 관개시설물 관리 기술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밭관개설물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기존자료를 통한 밭기반정비 실태 조사를 한 결과 17개시군 1,075지구 중 용수개발 지구는 982지구 90%이며, 이중 관개용수를 100% 사용하고 있는 시·군이 15개 시·군이며, 관개용수를 90%정도를 사용하고 있는 시·군이 2개 시·군이다. 우수사례지구의 용수원 실태를 보면 지표수를 사용하는 지구는 3개 지구에 19%이며, 지하수를 사용하는 지구가 12지구 75%를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밭 관개용수를 지하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밭관개시설물은 지하수를 이용하는 관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주산지 지역의 지하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정을 통한 지하수를 이용하면 전체적으로 지하수위는 내려가는 추세로 나타났다. 내륙지역의 주산지 지역은 전기전도도에 따른 작물 생육 피해 발생 우려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또한 수질 측정결과도 모두 적합판정을 나타냈다. 해안가 주변의 주산지 지역은 지하수 사용시 작물 생육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수질 기준도 부적합 판정을 보여주었다. 조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하수위가 내려가는 추세이며, 추후 가뭄으로 인한 용수부족 현상 발생이 우려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또한 해안가 주변의 지하수 사용시 전기전도도에 따른 작물 생육의 피해가 없도록 대책을 강구한 후 사용해야 될 것이다. 따라서 밭관개시설물은 충분한 용수화보와 수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