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역주택조합의 주택건설사업 추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상철,이상엽,Lee, Sangchul,Lee, Sangyoub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2
본 연구는 지역주택조합에 의한 주택건설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위해 계층분석기법과 퍼지이론을 활용한 설문분석을 통해 관련 전문가 및 사업참여자의 특성별, 사업 진행단계별로 요인의 중요도 차이 및 우선순위를 비교·분석하였다. 요인의 대분류 분석결과 '토지 특성', '사업주체 특성', '법적 특성', '조합원 특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분류 중요도는 '전문성', 사업토지의 '입지', '투명성', 토지의 '적정가 매입', '행정청 관리·감독 규정', '지주참여도', '시행 주체별 손해배상책임', '조합원 가입·탈퇴 규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건설사, 금융기관과 시행사, 법률전문가, 조합관계자의 특성별로 구분하면 각각 '전문성', 사업토지의 '입지', 토지의 '적정가 매입', '투명성'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또한 조합사업자의 특성별로는 지역주택조합의 운영진은 '시행 주체별 손해배상책임'을, 지역주택조합 조합원은 조합원의 '사업관리·감독·견제'를 지역주택조합 일반분양자는 '지주참여도'를 각각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향후 지역주택조합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자료로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실무적 자료로서 사업참여자의 다양한 관점과 입장을 고려하여 지역주택조합 및 건설사업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gress of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by regional housing associations. In order to develop the importance weight of factors classified into 11 factors with 4 categories, AHP and Fuzzy methodologies are implemented based on survey analysis by field experts and project participants.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four categories of land, business, legal entity, and copartner, and the factors of professionalism, location, transparency, purchasing cost, administrative supervision, landlord participation, liability for damages, etc are in order of importance. It is noteworthy that the contractor, financial institution, developer, legal expert, and association consider professionalism, location, purchasing cost, and transparenc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spectively. This study aims to help provide the implication for factors Influencing the progress of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to project participants.
백두산 화산활동 평가를 위한 화산가스 및 온천수에 대한 연구
이상철,윤성효,Lee, Sangchul,Yun, Sung-Hy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2
본 연구에서는 2015년 7월부터 2016년 8월까지 백두산 주롱 온천 지역에서 화산가스 및 온천수를 채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전 연구(Lee et al. 2014)에서 보고된 온천수의 측정값 중 $HCO_3{^-}$ 농도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했다. 온천수의 용존 $CO_2$는 이전 연구에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지만, 이를 개선하여 2015년부터 TOC-IC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여러 농도의 $Na_2CO_3$ 표준 시료를 GC로 분석하여, 실제 농도와 표준시료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2014년 온천수의 용존 $CO_2$ 농도를 추정하고자 했지만, 실제 주롱(Julong) 온천 주변의 물을 채취하여 GC로 분석했을 때는 이 상관관계가 잘 적용되지 않아서 2014년 온천수의 용존 $CO_2$ 농도를 추정할 수가 없었다. 연구기간 동안 화산가스 내 $CO_2/CH_4$의 농도는 꾸준히 감소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 번째는 화산체 내부의 환경이 조금 더 환원환경에 가까워져 상대적으로 화산가스 내 탄소가 $CO_2$ 보다는 $CH_4$ 또는 CO로 분배되기 유리해 진 것이다. 두 번째 가능성은 화산가스와 물의 상호작용이 강화되어 물에 대한 용해도가 훨씬 높은 $CO_2$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산가스가 물에 희석되는 현상(scrubbing)의 영향은 화산활동이 활발한 시기보다는 잠잠한 시기에 강화된다. 한편, 온천수의 분석은 화산가스 연구에서 중요한 산성기체 성분의 음이온들과 주요 양이온, 그리고 Cd, Re, As에 대해 이루어졌다. This study performed the analysis on the volcanic gases and hot spring waters from the Julong hot spring at Mt. Baekdu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15 to August 2016. Also, we confirmed the errors that $HCO_3{^-}$ concentrations of hot spring waters in the previous study (Lee et al. 2014) and tried to improve the problem. Dissolved $CO_2$ in hot spring waters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 in Lee et al. (2014). Improving this, from 2015, we used TOC-IC to analysis dissolved $CO_2$. Also, we analyzed the $Na_2CO_3$ standard solution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using GC, and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alytical concentrations and the real concentrations. However, because the analytical results of Julong hot spring water were in discord with the estimated values based on this correlation, we can't estimate the $HCO_3{^-}$ concentrations of 2014 samples. During the period of study, $CO_2/CH_4$ in volcanic gases are gradually decreased, and this can be interpreted in two different ways. The first interpretation is that the conditions inside the volcanic edifice are changing into more reduction conditions, and carbon in volcanic gases become more favorable to distribute into $CH_4$ or CO than $CO_2$. The second interpretation i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volcanic gases and water becomes greater than past, and the concentrations of $CO_2$ which have much higher solubility in water decreased, relatively. In general, the effect of scrubbing of volcanic gas is strengthened during the quiet periods of volcanic activity rather than active periods. Meanwhile, the analysis of hot spring waters was done on the anion of acidic gases species, the major cation, and some trace elements (As, Cd, Re).
농촌 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 :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비교 분석
이상철 ( Sangchul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2
Along with the well-established evidence on the negativ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physical·mental health and mortality,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dimensional nature of social isolation. In this study,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on heterogeneous age cohort related to the onset of dementia, which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due to rapid aging of health issues, was examined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ata came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N= 814). Findings showed 1) in the young-old, objective isolation was a significant on the incidence of dementia, 2) in the old-old, subjective isolation increased the risk of dementia. In summary, the relative influenc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related to the incidence of dementia varies depending on the young-old and old-old.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on dementia was not significant in both the young-old and old-old.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relevant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dementia-friendly communities) for ameliorating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과제 탐색
이상철(SangChul Lee),강석봉(SeokBong K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학교마을공동체의 개념 정립과 유형별 사례 분석을 통해 활성화 과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공동체 개념 정립이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관계에 따라 마을학교, 마을결합형학교, 마을교육공동체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학교마을공동체는 기존의 학교공동체와 마을공동체가 결합된 개념으로 ‘학교가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의 풍부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지역사회 속에서 배움이 이루어지는 공동체’로 개념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마을공동체의 유형별 사례 분석이다. 추진 주체나 방법에 따라 학교 주도형, 마을주도형, 센터(교육플랫폼) 주도형, 학교협동조합형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각 유유형별로 학교 주도형은 부산 금성초, 마을 주도형은 부산 대천마을학교, 센터(교육 플랫폼) 주도형은 경기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학교협동조합형은 서울 국사봉중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마을공동체 활성화 과제로 지역사회는 학교마을공동체 형성에 필요한 운영 기반 구축 필요, 지역사회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tasks through the case analysis and conceptualization of school village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chool village community. School village community is used as village school, village combined school, and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The school village community is a combination of existing school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concept as ‘a community where students are taught in the community by utilizing the abunda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Second, it is a case analysis by type of school village community. It is developing into various types such as school led type, village led type, center (educational platform led type) and school cooperative type according to the propulsion subject and method. Finally,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operating base necessary for forming a school villag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