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RBL-2H3 세포에서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의 항알레르기 효과
김윤희(Yoon Hee Kim),최예랑(Ye Rang Choi),김지영(Ji Young Kim),곽상희(Sang Hee Kwa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4
1,2,3,4,6-Penta-O-galloyl-β-D-glucose(PGG)는 오배자(Galla Rhois)의 gallotannin으로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레르기성 질환은 비만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세포와 관련된 질환이다. 비만세포는 탈과립화에 의한 알레르기 매개성 물질(histamine 및 β-hexosaminidase)의 분비, T helper 2 type 사이토카인(IL-4) 분비 및 염증을 일으키는 매개체(TNF-α)의 증가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GG가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와 A23187로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 그리고 Th2 type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관련 메커니즘에 대해 평가하였다. PGG는 PMA와 A23187 자극에 의한 탈과립 마커(histamine 및 β-hexosaminidase)의 분비를 억제하고, IL-4 및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전사인자인 NF-κB의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allotannin의 하나인 PGG가 알레르기 반응을 현저히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데 유용한 물질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PGG) is a gallotannin isolated from various plants such as Galla Rhois. In a previous study, it was reported that PGG has anti-allergic effects by inhibiting interleukin (IL)-4 signaling in B cells. However, the effect of PGG on basophilic cells remains unclear.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PGG on mitogen and calcium ionophore-induced allergic responses. PGG had no effect on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of RBL-2H3 cells. PGG significantly suppressed cell degranulation (histamine and β-hexosaminidase) as well as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such as IL-4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he underlying mechanism of PGG on these anti-allergic actions was correlated with inhibition on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κB from the cytosol to nucleus. These data suggest that PGG is a potentially effective functional compound for prevention of allergic diseases.
DMFC에서 온도 및 유량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홍건(Kim, Hong-Gun),곽이구(Kwac, Lee-Ku),강영우(Kang, Young-Woo),김태진(Kim, Tae-Jin),곽상희(Kwak, Sang-Hee),안계혁(An, Kay-Hyeok),박경세(Park, Gyung-S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6
직접메탄올형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는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전원용으로 주로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직접메탄올연료전지에서 전해질로 많이 쓰이는 Nafion막은 이를 통한 메탄올 크로스오버(Crossover) 때문에 연료전지의 성능을 제한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afion 117를 사용하여 전극 면적 100cm2 의 DFMC용 MEA를 제작하고, 공기 유량을 3ml/mim으로 고정하고, 메탄올 유량을 2,3 ml/min로 각각 공기극와 연료극에 공급하여 온도변화(50, 60, 70, 80?C)에 따른 성능을 확인하였다. DMFC의 적당 반응 온도는 70?C로 생각되고, 유량은 메탄올 2ml/min, 공기 3ml/min유량 공급시가 성능이 높게 나오는 결과를 얻으나 일정시간 지나면 성능이 메탄올 3ml/min, 공기 3ml/min유량 공급시 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70?C 반응온도에 메탄올 3ml/min, 공기 3ml/min의 유량 공급이 본 논문에서 최적화된 성능을 내는 조건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