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기희생적 리더십 :개념적 정의 재조명 및 통합 연구모형 제시 1)

        손승연,노명화,윤석화,Seung Yeon Son,Myong Hwa Roh,Seokhwa Yun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3

        급변하는 경영환경으로 인한 불확실성 , 불안정성이 증대되는 오늘날 그 어느 때보 다도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이 중요해지고 있다 . 그에 따라 구성원들의 이런 헌신과 희생을 독려하는 효과적인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는데 ,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그런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리더십 중 하나이다 . 본 연구는 점차 많은 연구관심이 제기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연구의 체계적 수행을 위해 다음의 3 가지 사항을 중점 적으로 다룸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토대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첫째 , 수동적 형태 중심의 현존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개념적 정의에 적극적 형태의 자기희생을 보완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정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보완된 개념적 정의는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둘째 , 긍정적인 영향 뿐 아니라 부정적 결과까지 초래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다양한 결과와 유형을 고찰 함으로써 긍정적 영향력에 치중된 선행연구의 관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통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 접근이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 셋째 ,기존 연구에서 발견된 것들을 의미 있게 묶어주며 향후 연구를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통합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 이 통합 모형은 자기희생적 리 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보다 큰 그림을 그리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아울러 논문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 In today’s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s rely more on employees’ voluntary participations and dedications. Following this trend, researchers have been investigated effective leadership to motivate subordinates’ dedications and self-sacrifices. Among these leaderships, SSL is regarded as an inspirational and exemplary behavior. In the present article, we focus on three topics to help theoretic foundation reinforced for future researches relating to SSL. First, we attempt to present more comprehensive conceptual definition of SSL that encompass active types of self-sacrifice. The improved definition complements existing definition that concentrates on passive form of self-sacrifice. Second, we consider the dark side of SSL as well as positive consequences. By doing so, we try enlarge the research perspective that have placed too much emphasis on desirable outcome of SSL. In the same vein, we suggest various SSL patterns to result in positive and/or negative effects on leader, employees, and/or organization. Finally, integrated research model of SSL is proposed. This model can play a role to integrate previous findings and act as a guide to help researchers take his or her course for future studies. Even though this paper has not a few limitations, it has also theoretical significances in that it might contribute to complete big picture of SSL.

      • KCI등재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 직무만족, 셀프 리더십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손승연(Son, Seung Yeon),노명화(Roh, Myong Hwa)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4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은 그 어느 때보다도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헌신에 의존하고 있다. 그에 따라 외부적 통제에 의해서가 아닌 스스로 자신을 이끄는 셀프 리더십은 이런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리더십 패러다임으로 적지 않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셀프 리더십 행동으로 인한 결과와 성과에 초점을 두어, 개인 및 조직에 유익한 셀프 리더십을 억제 또는 증진시키는 선행요인을 찾는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런 한계 속에서 셀프 리더십의 선행요인 일부를 확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조직 생활을 함께 하는 동료들의 부정적 행동이 조직 내 다른 구성원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었다. 즉,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과 구성원의 셀프 리더십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이 구성원의 셀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 여부가 이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점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인 구성원이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을 높게 인식할수록 자신의 셀프 리더십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부분매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셀프 리더십이 개인의 특성, 상사의 리더십에 기인한다는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타 구성원이 보여주는 행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구성원의 셀프 리더십을 독려하려는 조직은 이를 직접적으로 증진시키는 다양한 조치들에 부가하여 멤버들의 사회적 태만을 근절하는 노력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실무적인 함의도 제시한다. 둘째, 직무만족이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의 부정적 영향력 과정에 개입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멤버들의 셀프 리더십을 증진시키기 위해 고심하는 조직으로 하여금 직무에 대한 구성원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데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또한 동료들의 사회적 태만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차단해야 함도 경고하고 있다. 아울러 말미에는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oday’s fast-paced, high-tech, and global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s rely more on employees’ voluntary participations and dedications. Following this trend, effective leaderships to motivate subordinates' commitment have been receiving lots of attention. Self-leadership, a process through which people influence themselves to achieve the self-direction and self-motivation necessary to perform, is regarded as one of the new approaches of leadership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lthough prior researches explicitly have investigated the outcomes of self-leadership, empirical examinations of the antecedents of self-leadership were lacking. In the research reported here, we tried to fill this gap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oworkers' social loafing on subordinate's self-leadership.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mediating role of focal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s' social loafing and self-leader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workers' social loafing was negatively related to focal employee's self-leadership, as expected. Also, we found that employee's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coworkers' social loafing on self-leadership. In summary,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This article makes several contributions to literature and practice. Fist, our findings suggested that coworkers' social loafing results in another member's low self-leadership. Therefore, organizations must institute zero-tolerance policies that make clear that social loafers will be dealt with harshly. Second, this results revealed job satisfaction functions as a underlying mechanism in the coworker's social loafing-focal employee's self-leadership relationship. This helps enlarge ou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process of coworkers' social loafing on self-leadership. In the last section of paper,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셀프리더십과 주관적 안녕 간의 관계: 개인-직무 적합성 및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신대훈(Shin, Dae-Hoon),이지영(Lee, Jee-Young),노명화(Roh, Myong-Hwa)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육군 중대급 간부 340명을 대상으로 직업 군인들의 행복에 주목하여, 셀프리더 십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를 개인-환경 적합성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 식의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셀프리더십은 행동적, 인지적 전략을 통해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주관적 안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개인-환경 적합성은 셀프리더십과 주관적 안녕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셀프리더십, 개인-환경 적합성 그리고 주관적 안녕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 조직지원인식은 셀프리더십과 개인-조직 적합성 간의 관계, 그리고 개인-조직 적합성과 주관적 안녕 간의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강화변 인으로서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자기주도와 자기 동기부여를 통해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셀프리더십을 보유한 사람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직무 또는 조직의 환경 간의 적합성을 높게 지각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이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시에 셀프리더십이 자기 스스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라 할지라도 조직에서 자신을 지지하고 지원한다고 인식하는 것이 주관적 안녕감에 이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subjective well 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J fit and P-O fi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 in the link not only between self-leadership and P-O fit and but also between P-O fi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roposed hypotheses were tested by structure equation modeling,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modeling, using data collected from 340 military offic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lf-leadership positively related to the subjective well being and both P-O fit and P-J f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POS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P-O fit as well as between P-O fit and subjective well being. Specifically, POS enhances the positiv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PO fit and of PO fit an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mediation PO fit. There results contributes to knowledge on self-leadership, and P-E fit, focusing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terms of employees happiness.

      • KCI등재

        공유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전사 팀을 중심으로-

        이광희 ( Kwang Hee Lee ),김진호 ( Jin Ho Kim ),노명화 ( Myong Hwa Roh ),손승연 ( Seung Yeon So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오늘날 변화무쌍한 환경 속에서 조직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조직은 전통적인 위계구조를 버리고 팀 중심의 조직화를 도모하고 있는데, 이는 팀 조직 구조가 팀원들의 전문성과 지식의 효과적 활용, 팀의 제반활동에 대한 팀원들의 자발적인 참여 증대로 팀의 성과증진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다. 군 또한 예외는 아니다. 특히 ‘안개’와 ‘마찰’로 대변되는 가장 불확실한 환경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특전사는 임무 준비 및 수행 중 효과적인 의사소통, 신속한 의사결정 등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특전사는 높은 전문성과 경험을 가진 간부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자율과 참여를 희망한다. 그에 따라 특전사는 환경 및 업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팀제를 적용해 온 군의 대표적인 조직이다. 이렇듯 팀의 사용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전통적인 수직적 리더십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어 왔는데, 공유 리더십은 이런 의문에 해답을 제시하는 대표적인 개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특전사 팀을 대상으로 공유 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공유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팀 학습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50개 팀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공유 리더십은 팀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팀 학습이 매개기능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전사 팀에서의 공유 리더십의 효과가 결코 적지 않다는 것과 공유 리더십을 보다 장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으며, 아울러 공유 리더십 영향력 과정에 대한 이해를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논문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어 있다.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quickly changing to in which a leader can no longer handle everything alone. Accordingly, almost all organizations have been managing its structure in teams to adapt to such turbulent environment. Likewise, special forces in military have operated in teams for a relatively long time, because they perform tasks in extremely uncertain and ambiguous situations. Such team organizations raised questions to the tradition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surfaced as one of the answers. However,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dealt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there has been almost no study that observed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within special fo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in the ROK`s special force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team learning. For the hypotheses tests, data were collected from 60 teams, and the survey results from 50 teams, exempting those returned unreliable, were used. The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shared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team performance, and that team learning acted as a complete mediating factor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I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can b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