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a blend of magnesium oxide on Equine Squamous Gastric Disease in young trotter horses under training

        Claire Leleu,Anne Couroucé 대한수의학회 2023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24 No.6

        Background: Equine squamous gastric disease (ESGD), as part of the equine gastric ulcer syndrome (EGUS), are common in racing horses. The use of buffering feed supplements to treat and/or prevent gastric ulcers is an option to control this condition.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30-day supplementation with a blend of magnesium oxide (MgO) on ESGD scores in trotters under training. Methods: Forty-two young trotters were submitted to a gastroscopic evaluation to assess their ESGD score and were randomly assigned in a group supplemented with MgO or in a control group. After 30 days, a second evaluation by gastroscopy was performed. The effect of the MgO supplementation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evolution of the ESGD score in supplemented and control groups between day 0 and day 30. Results: The results confirm the high prevalence of EGUS in young Trotters. The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SGD scoring in the supplemented group whereas the control group remain unchanged. Conclusion: The oral MgO supplementation was efficient to control ESGD in the population studied.

      • KCI등재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Yves-Henri LELEU,박수곤(번역자)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6_1

        벨기에 법에서는 다양한 개별입법을 통하여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생명윤리 분야에 관한?구체적으로는 조력출산, 배아에 대한 연구, 성전환, 안락사 등의 분야에 관한 - 특별입법들에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규율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개별 입법들에서는 신체에 대한 결정을 ‘독자적 결단’(colloque singulier)의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그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각 개인이 단독으로 醫師와 함께 행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의사의 개입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독자적 결단이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국가기관은 의료적 처치, 즉 여기서는 안락사가 이루어진 이후에 개입하게 되는데, 이 또한 안락사에 관한 결단을 사후적으로 허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의사와 개인이 내린 결정이 법에서 정한 조건을 충족하였는지를 단지 사후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안락사에 대한 형사처벌을 면하게 한 2002년 5월 28일 법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즉, 안락사는 출구가 없는 환자가 이를 신청할 수 있으며, 심각하고 치유불가능한 병리적 증상 또는 우발적 증상에서 기인하는 완화되기 어려운 고통을 겪는 환자이면 족하고 그가 생의 말기에 놓여 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한편, 의사는 환자의 이러한 신청이 있더라도 개인적인 사정을 들어 안락사의 실행을 거부할 수 있다. 그리고 의사는 환자의 상태가 사망에 어느 정도 가까운 상태에 놓여 있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한 명 또는 두 명의 다른 의사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 안락사에 관한 법정 요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심사한다. 안락사를 실행한 의사는 이후 검증위원회에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동 위원회 또한 법정요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심사한다. 다른 한편, 미성년자에 대한 안락사도 2014년 2월 24일 법에 의해 보다 엄격한 요건과 부모의 동의를 전제로 하여 인정되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에서는 안락사에 대한 자발적이고 숙고된 신청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자에 대해서는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지 않다. 다만, 무의식 상태에 놓인 자가 사전에 안락사 신청서를 작성해 둔 경우에는 예외가 인정되기도 한다. 아무튼, 안락사에 관한 현행법의 한계를 묘사하기 위하여 특히 세 가지의 특별한 유형을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으로는 초고령자에 대한 안락사, 신경정신과 환자에 대한 안락사 그리고 교정시설에 수감된 자들에 대한 안락사의 문제가 그것이다.

      • KCI등재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이브앙리르뢰 ( Yves Henri Leleu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1

        벨기에 법에서는 다양한 개별입법을 통하여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있는 것으로평가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생명윤리 분야에 관한 - 구체적으로는 조력출산, 배아에 대한 연구, 성전환, 안락사 등의 분야에 관한 -특별입법들에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규율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개별입법들에서는 신체에 대한 결정을 ‘독자적 결단’(colloque singulier)의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그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각 개인이 단독으로 醫師와 함께 행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의사의 개입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독자적 결단이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국가기관은 의료적 처치, 즉 여기서는 안락사가 이루어진 이후에 개입하게 되는데, 이 또한 안락사에 관한 결단을 사후적으로 허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의사와 개인이 내린 결정이법에서 정한 조건을 충족하였는지를 단지 사후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안락사에 대한 형사처벌을 면하게 한 2002년 5월 28일 법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즉, 안락사는 출구가 없는 환자가 이를 신청할 수 있으며, 심각하고 치유불가능한 병리적 증상 또는 우발적 증상에서 기인하는 완화되기 어려운 고통을 겪는 환자이면 족하고 그가 생의 말기에 놓여 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한편, 의사는 환자의 이러한 신청이 있더라도 개인적인 사정을 들어 안락사의 실행을 거부할 수 있다. 그리고 의사는 환자의 상태가 사망에 어느 정도 가까운 상태에 놓여 있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한 명 또는 두 명의 다른 의사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 안락사에 관한 법정 요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심사한다. 안락사를 실행한 의사는 이후 검증위원회에 보고서를 제출하여야하며, 동 위원회 또한 법정요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심사한다. 다른 한편, 미성년자에 대한 안락사도 2014년 2월 24일 법에 의해 보다 엄격한 요건과 부모의 동의를 전제로 하여 인정되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에서는 안락사에 대한 자발적이고 숙고된 신청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자에 대해서는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지 않다. 다만, 무의식 상태에 놓인 자가 사전에 안락사 신청서를 작성해 둔 경우에는 예외가 인정되기도 한다. 아무튼, 안락사에 관한 현행법의 한계를 묘사하기 위하여 특히 세 가지의 특별한 유형을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으로는 초고령자에 대한 안락사, 신경정신과 환자에 대한 안락사 그리고 교정시설에 수감된 자들에 대한 안락사의 문제가 그것이다. Le droit belge consacre dans sa legislation le droit de l’individu a l’autodetermination, par de nombreuses lois regulant des questions bioethiques qui se posent dans la plupart des pays (procreation medicalement assistee, recherche sur embryons, transsexualisme, euthanasie, …). Dans toutes ces lois, les decisions relatives au corps sont prises dans le cadre d’un ≪ colloque singulier ≫, expression qui designe le fait que seul l’individu agit avec le medecin dont l’intervention est necessaire a l’accomplissement de la decision. L’autorite publique intervient apres le traitement medical, non pour autoriser la decision mais pour controler a posteriori le respect des conditions legales par le medecin et par l’individu. La presente contribution expose la loi du 28 mai 2002 depenalisant l’euthanasie. L’euthanasie peut etre demandee par un patient en situation medicale sans issue, au stade terminal ou non, eprouvant une souffrance inapaisable resultant d’une affection pathologique ou accidentelle grave et incurable. Le medecin, qui peut refuser pour des raisons personnelles de donner suite a cette demande (clause de conscience), verifie les conditions, sur l’avis d’un ou deux autres medecins en fonction de la proximite du deces. Il fait ensuite rapport ecrit de l’euthanasie qu’il a realisee a une Comission qui verifie si les contitions legales ont ete remplies. L’euthanasie des mineurs est permise depuis une loi du 24 fevrier 2014 a des conditions plus restrictives et sur accord des parents. La loi ne permet pas l’euthanasie des personnes qui ne sont pas capables de formuler une demande volontaire et reflechie, sauf si elles sont inconscientes et ont redige une declaration anticipee d’euthanasie. Trois cas particuliers sont etudies pour illustrer les limites de la loi : l’euthanasie des personnes de tres grand age atteintes de plusieurs maladies non graves, l’euthanasie des patients neuropsychiatriques et l’euthanasie d’un delinquant interne.

      • Poster Session : PS 0441 ; Infectious Disease ; Severe Infection in Elderly Patients Treated for Multiple Myeloma: Analysis of the Intergroupe Francophone Du Myelome (IFM) 2009 01 Protocol

        ( Philippe Rodon ),( Brigitte Pegourie ),( Laurent Garderet ),( Philippe Casassus ),( Olivier Decaux ),( Murielle Roussel ),( Carine Chaleteix ),( Bruno Royer ),( Mourad Tiab ),( Xavier Leleu ),( Clai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Background: Although infection is a major complication of multiple myeloma (MM), there are few data on its incidence, presentation and outcome. We reviewed severe infections occurring in the IFM 2009 01 protocol. Methods: The IFM 2009 01 protocol evaluated a combination of bendamustine, bortezomib and dexamethasone (BVD) in the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65 years or more) with a relapsed or refractory (RR) MM (Rodon P. et al, Blood 2013;122:1971A). Patients did not receive any prophylactic antibiotics. All adverse events were collected and graded prospectively. We report here an analysis of the episodes of severe infection (grade 3 or more). Results: Seventy-three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dian age was 75.8 years (range 66-86). Twenty episodes of grade 3 or more infection occurred in 17 patients (23.2%): lung and respiratory tract infection 13 episodes, bloodstream infection 6 episodes and pyelonephritis 1 episode, respectively. Fourteen episodes were diagnosed in the early phase of therapy (within the 4 fi rst BVD cycles). Only 1 severe infection underwent during a chemotherapy-induced neutropenic phase (absolute neutrophil count < 1000/mm3). fifteen episodes occurred among 34 patients older than 75 years versus 5 episodes in 39 younger patients (p=0.0028). Sepsis was responsible of death in 4 of these 17 patients (23.5%), all occurring in the early phase. Conclusions: Infection was a major severe adverse event in elderly patients treated for RRMM in the IFM 2009 01 protocol, occurring in approximately one quarter of the patients. Its incidence was signifi cantly higher in patients older than 75 years. Severe episodes of infection mainly occurred in the early phase of treatment. Mortality rate was high. These fi ndings suggest that a systematic prophylactic use of antibiotics may be needed in this population of patients.

      • SCISCIESCOPUS

        Natural history of relapsed myeloma, refractory to immunomodulatory drugs and proteasome inhibitors: a multicenter IMWG study

        Kumar, S K,Dimopoulos, M A,Kastritis, E,Terpos, E,Nahi, H,Goldschmidt, H,Hillengass, J,Leleu, X,Beksac, M,Alsina, M,Oriol, A,Cavo, M,Ocio, E M,Mateos, M V,O'Donnell, E K,Vij, R,Lokhorst, H M,van de Do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part of Springer Nat 2017 Leukemia Vol.31 No.11

        <P>Introduction of new myeloma therapies offers new options for patients refractory to immunomodulatory drugs (IMiDs) and proteasome inhibitors (PIs). In this multicenter study, patients with relapsed multiple myeloma, who have received at least three prior lines of therapy, are refractory to both an IMiD (lenalidomide or pomalidomide) and a PI (bortezomib or carfilzomib), and have been exposed to an alkylating agent were identified. The time patients met the above criteria was defined as time zero (T-0). Five hundred and forty-three patients diagnosed between 2006 and 2014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edian age at T-0 was 62 years (range 31-87); 61% were males. The median duration between diagnosis and T-0 was 3.1 years. The median number of lines of therapy before T-0 was 4 (range 3-13).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S) from T-0 for the entire cohort was 13 (95% confidence interval (CI) 11, 15) months. At least one regimen recorded after T-0 in 462 (85%) patients, with a median (95% CI) progression-free survival and OS from T-0 of 5 (4, 6), and 15.2 (13, 17) months, respectively. The study provides the expected outcome of relapsed multiple myeloma that is refractory to a PI and an IMiD, a benchmark for comparison of new therapies being evaluated.</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