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근삼 박사의 개혁주의 교회론

        이환봉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8 고신신학 Vol.- No.10

        이근삼 박사는 교회의 사명과 기능(praxis)에만 집착하는 기능적 교회론을 경계하고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identity)을 중요시하는 본질적 교회론을 추구하였다. 그는 '교회의 모습'과 '교회의 명칭' 그리고 '교회의 표지'와 '교회의 속성'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성경적인 참 교회의 본질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교회의 사명과 역할도 그러한 교회의 본질에 근거하여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예를 들면, 교회의 본질과 관계없이 '교회연합'을 독립적으로 다루지 않고 교회의 본질적 속성 즉 단일성과 거룩성, 그리고 보편성에 대한 논의 안에서 진정한 '교회연합'의 사명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근삼 박사의 교회론은 현대의 교회가 교회되지 못함은 오늘 교회가 삼위일체 하나님과 하나 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는 반성을 가지게 해준다. 이근삼 박사는 자신의 교회론을 통해 오늘 교회의 진정한 개혁은 먼저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길이라는 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Dr. Lee Kun Sam warned the fuctional view of the Church that emphasizes only its task and praxis, and pursued the essential view of the Church that regards the essentiality and identity of it. Through discussing "the images", "the titles", "the marks" and "the attributes" of the Church, he continued to find out the biblical nature of the true Church. And he tried to explain the task and function of the Church from the point of its nature. For instance, he did not deal "the unification of the Church" without considering the nature of it, but found out the vocation and task of the Church's unification with discussing its essential marks. Dr. Lee's ecclesiology urges us to reconsider the matter that the reason why contemporary churches cannot be true reformation of the Church is the way to restore the nature of the church.

      • 박형룡의 신학과 한국 장로교회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5 고신신학 Vol.- No.7

        This article is an historical and interpretative account of the life and thought of Dr. Hyung-nong Park, who was most influential theologia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 this article his life, teaching and christian career were examined in the stream of the theological development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He who was a 'doctor ecclesiae' nearly for 40 years, involved in theological conflicts from the 1930's to 1970's and pursued and succeeded in adhering to Orthodox theology, and fighting against increasingly prevailing liberalism in the Presbyterian Church. As a leading conservative forces, Dr Park established so-called Orthodox theology in Korean church, however, he is responsible for the divi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Especially his break with the Kosin group in 1947 had signalled the failure of Korea's conservatives to find a common course of action, which resulted split of the churches who shares the same theological standpoint.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신학자였던 박형룡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신학이 어떠했는가를 고찰하면서 그의 생애와 사상, 신학교육이 한국장로교회에 어떧ㄴ 영향을 끼쳤는가를 추적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박형룡의 신학을 김재준, 한상동, 한경직 등 당대의 대표적인 인물과의 비교를 통해 고찰하고, 그의 인간관계, 신학적 차이 등이 결과적으로 한국의 주된 장로교 분열로 발전한 사실에 주목하였다. 박형룡은 한국에서의 근본주의, 보수주의 혹은 개혁주의라고 이름 할 수 있는 정통신학의 정초를 놓고 이를 보지하는 일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한국교회 분열에도 적지 않는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함께 박형룡은 그의 신학교육을 통해 한국교회 보수주의 신학형성에 커다란 자취를 남겼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그의 신학사상이 어떠했던가를 고찰하면서 한국장로교회에서의 그의 신학적 의의에 대해 점평하였다.

      • 장기려박사의 신앙과 사상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3 고신신학 Vol.- No.5

        한국의 슈바이쳐라고 불리는 장기려는 가난한 자, 약자들을 위해 봉사했던 선한 의사로서 그의 삶의 여정을 결정했던 가치체계는 기독교 신앙이었다. 그는 무교회신앙과 무교회주의자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으나 교회주의를 부정하지 않았고, 장로교회의 울타리 안에 정주하면서도 무교회주의를 수영하였던 인물로서 그는 교파적 한계에 안주하지 않았던 실천적 기독교사상가였다. 그는 기독교의 유일성은 인정하되 신앙의 다양성을 부인하지 않았다. 그는 복음병원의 설립과 봉사, 청신자의료조합의 결성, 청십자병원의 설립 등 기독교의사로서의 삶을 통해 기독교적 가치를 고양하고, 기독교적 사회참여방식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Dr. Ki Ryu Jang, who was called Schweitzer of Korea, was 'a good prominent medical doctor' and a generous benefactor for the poor and weak peoples in Korea. His life long services in the Gospel Hospital and other medical and social institutions were based ipon Christian faith, which also enriched his behaviors pattern or social actions. This article is a short appraisal of the life and thought of Dr Ki Ryu Jang who lived in God's presence.

      •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강용원,이현철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1 고신신학 Vol.- No.13

        본 연구는 한국사회 및 교회 내·외적인 한계와 어려움 속에서도 성장하고 있는 부산지역 7개 교회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교회와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하는 교회의 사역과 지역사회 내 다양한 활동들에 관심을 모으면서, 가능한 한 실천적이며 실제적인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고자 현장의 맥락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줄 수 있는 내러티브 분석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성장하는 교회의 특성 7가지를 도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예배의 중요성, 2) 목회자의 철학과 믿음 그리고 소명, 3) 담임교역자의 부교역자에 대한 믿음, 4) 단합된 리더들의 힘, 5) 활발한 교회 활동 및 새 신자 프로그램, 6) 지역사회의 배경/특징에 맞는 전략과 지역사회 내 교회의 위상, 7) 교회의 시스템과 환경의 측면이었다. 이는 한국사회 및 교회 내외적인 한계와 어려움 속에서도 부흥/성장하고 있는 교회들은 하나님께 온전히 예배에 집중하고, 분명한 소명과 철학을 지닌 리더와 리더십이 있으며, 역동적인 프로그램과 지역사회에 대한 헌신 그리고 독특한 교회만의 매력을 지닌 교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부흥/성장하는 교회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다시 영역별로 구조화시켜본다면 1) 예매, 2) 목회자 및 리더그룹, 3) 지역사회 이해, 4) 프로그램과 시스템, 그리고 5) 교회 환경 및 매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 on Korean churches and ministries by studying seven growing healthy churches in the Busan province. Particularly, we examined their ministries and activities in communit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reveal the praxis and context of the participating churches. Through qualitative approaches, we have discovered seven dimensions of a growing healthy church: 1) an exphasis on worship, 2) the minister's philosophy, faith, and calling, 3) the minister's trust in associate ministers, 4) power from the united leadership, 5) vibrant activities and special programs for newcomers, 6) strategies suited for local backgrounds and distictives as well as the church's status/reputation in the local community, 7) a well-organized system and pkeasant church environment. Based on these findings, we identified that the growing healthy churches have their focus on the worship of God, devoted leaders with outstanding leadership, dynamic programs and service to their local community, and uniqueness of the church. Additionally, we were able to come up with a sturctural concep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even charcteristics of the successful churches as following-worship, the minister and leadership group, a good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 well-organized ministry programs and an appropriate church system, and a desirable environment and uniqueness of the church.

      • 1960년대 한국교회의 토착화 논쟁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3

        한국에서의 신학 혹은 한국적 신학과 관련하여 1930년에 이어 1960년대에는 토착화론쟁이 전개되었다. 이 논쟁은 민족적인 것에의 추구라는 당시의 상황에 영향을 받은 신학적 토론이었고, 토론의 전개과정과 그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해 한국신학의 제고에 미치지 못했지만 나름대로 한국적 신학의 모색이었다는 점에서의 의의를 지닌다. 이 논문은 1960년대의 감리교 배경의 발티안과 불트마니안계 학자들이 중심이 된 토착화 신학논쟁의 전개과정을 정리하고 비평을 가한 논문이다. 1960년대의 한국교회의 토착화논쟁은 보수적인 혹은 복음주의적 인사들은 배제된 토론이었고, 이 토론을 통해 진보적 신학자들이 한국 신학을 주도하는 선취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debate among Korean theologians in 1960' in connection with the rise of Korean theology was Indigenization Debate. This debate was influenced by the pursuing things nationalistic, so called cultural nationalism under the Par Jung Hee's dictatorial reign. This indigenization issue were discussed mainly by Barthian or Bultmanian scholars such as Sung Bum Yoon, Dong Shik Yu and Byung Il Jang who have Methodist background, accordingly Reformed or Evangelical theologians were excluded in this debate. Though by this debate liberal group gained theological initiative in scholarly world, it failde to ensure a successful consequences. In this paper the writer sketched indigenization debate in 1960's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to gain the main issues stated. Indigenization can be understood as contextulization, revision, inplantation, adaptation, or acculturation, however, in 1960's Korea, because of Dr Sung Bum Yoon's radical interpretation in relation with the myth of Tangun, the issue failed to gain further theological interest.

      • 해방 후의 상황과 고신 교회의 형성 : 고신교회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8 고신신학 Vol.- No.10

        이 논문은 해방 후의 상황에서 어떤 배경과 이유에서 고신교회가 형성되었는가를 역사적으로 추적한 논문이다. 해방 후 김길창을 비롯한 친일전력의 교권주의자들이 사조 경남노회 조직이 경남노회, 그리고 한국장로교회 분열의 시작이었고, 당시 (남부) 총회가 경남노회 문제를 정당하게 취급하지 않는 결과로 정통성을 지닌 경남법통노회가 총회로부터 축출된 것이 고신교단 형성의 배경이 된다는 점을 역사적으로 논증하였다. This theses dealt with the form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Kosin) in the 1950's Presbyterian Context. After liberation of 1945, Kim Kil Chang and other pastors who had engaged to pro-Japanese activities including Shinto Worship formed a new Kyung Nam Presbytery illegally. The then General Assembly joined with the rebel presbytery in fellowship, without requiring the pastors who were under discipline to make any public confession of their idolatry and rebellion against the legal presbytery. Since this was contray to all law and orderm the legal presbytery refused to do what the General Assembly sought to require. The final upshot of it all was that the General Assembly refused to seat the commissioners from the legal presbytery in Busan, and eventually pushed out from the General Assembly. This left the legal Kyung Nam presbytery no choice but to organize a new denomination,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Kosin).

      • 1세기 바울 공동체 구성원들의 사회적 신분에 대한 논쟁 : 아돌프 다이스만과 에드윈 저지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4

        예루살렘에서 신약교회의 출현 이후 기독교 공동체에 속했던 초기 신자들의 사회적 신분은 어떠했을까? 초기 예수를 믿었던 이들은 하층계급의 사람들이 다수였을까? 아니면 자기 소유의 주책을 소유한(house holder) 비교적 안정된 신분의 사람들이 다수였을까? 아니면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로 구성된 혼합된 집단이었을까? 이와 같은 초기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신분의 문제는 고대 교회사사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특히 1930년대 이후 소위 시카고학파에 의한 사회사적 접근이 시도되면서 이 문제는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선구적인 학자는 파피루스학의 대가인 아돌프 다이스만(G. A. Deissmann)이었다. 그는 1세기 신약성경 시대와 동시대의 것으로 확인되는 다양한 양의 피피루스문서를 통해 밝혀낸 '그 시대의 일상'을 통해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구성했던 이들은 절대다수가 하층계급의 사람이었으며, 바울의 선교대상도 바로 그들이었고, 신약성경도 바로 그들을 대상으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50여년이 지난 후 호주의 고대사학자인 에드윈 저지(Edwin Judge)는 다이스만의 의견에 반기를 들고 초기 기독교공동체를 구성했던 바울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하층민 중심의 공동체가 아니라, 여러 계층의 사람이 혼재된 공동체(mixed community)라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곧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고, 곧 새로운 문제로 부각되었다. 그 이후 이 문제는 미국과 독일 학자들을 비롯한 다양한 토론으로 발전하였고, 신약과 고대교회에 대한 사회사적, 그리고 역사적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주었다. 이런 학문적인 노력은 신학자들의 연구에만 의존해 오던 초기 기독교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글에서는 초기 기독교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문제에 유의하면서 그간의 토론을 개관하였다. The social status of the Pauline Christians in the first century has been a burning issue among ancient historians, sociologists and theologians. Especially after publication of Adolf Diessmann's Light from the Ancient East in 1908, social level of the earliest Christians was regarded ordinary people or low level rather than highly educated elites. Diessmann's assertion was based upon the large quantities of newly discovered papyrus documents from Egypt early in twenty century. The discovery of these 'nonliterary' papyri sparked a flurry of interest in their relationship to the New Testament, and thus to the social level of the earliest Christians especially in the Pauline community. In relation to Paul's description of his converts in Corinth(I Cor. 1:26-27), Diessmann's analysis was widely accepted. However, after 50 years, was Australian Roman historian Edwin Judge raised a new interpretation. Judge argues that the earliest Christian group were 'mixed community' from different social levels rather than predominantly low level. Regarding the passage of I Cor. 1:26-27, Judge interpreted that these words at face value "merely imply that the group did not contain many intellectuals, politicians, or persons of gentle birth. But this would suggest that the group did at least draw upon this minority to some extent." Professor Judge on the basis Patron-client relations and prosopography attempted to a new interpretation. His idea of 'mixed community' evoke a new echo to this research. Accordingly from 1970's many scholars devoted considerably upon the social aspect of early Christianity, and showed similar conclusion with Judge. It appears from the concerned scholars with the social level of early Christians, that a consensus, that is, the social status of early Christian may be higher than Deissmann had supposed. This article reviewed long discussions mainly concerned with Adolf Diessmann and Edwin Judge even though they lived different periods.

      • '대속을 통한 복된 통치'로서의 하나님의 나라

        이복수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2 고신신학 Vol.- No.4

        It is a general tendency for the Kingdom of God to be understood as God's rule. Yet there can be the following two problems in this inclination. First, that it is easy for the Kingdom of God to be confused with God's general rule according to His providence. In fact, God governs over the present world with absolute power. This government is also His rule. In thsi case, it can be said thate the Kingdom of God is the same as His general rule over the world. The other problem can be traced in missio Dei (mission of God), which is emphasized in the Ecumenical theology of mission. For the aim of missio Dei is the establishment of shalom (peace) on earth by sesolving social problems. Yet the Ecumenical theology of mission emphasize this establishment of shalom as the Kingdom of God. When the Kingdom of God is stressed in this way, the Kingdom of God cannot be understood as the establishment by the works of the Church, but as by everything that God is directly doing in the world. This understanding is also from the tendency that God's general rule, according to His providence, is the Kingdom of God. Yet if the Ecumencial theology of mission stressed the Kingdom of God as God's special rule, it might not exclude the works of the Church in establishing the Kingdom of God. This thesis aims to emphasize that the Kingdom of God is not God's general rule, but His blessed special rule which is working in reconciliation through the redemption of Jesus Christ. The following aspects can be presented as the reasons why the Kingdom of God must be understood God's special rule. (1) The fact that the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cludes the demanding of repentance. (2) The fact that Jesus teaches the Kingdom of God as His blessed rule through redemption. (3) The fact that the Good News means the news of God's blessed rule. (4) The fact that Jesus Christ is the founder of the Kingdom of God, came to this world as a propitiation in His blood. (5)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people who cannot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even though they are under God's rule. By these biblical considerations, the Kingdom of God is not God's general rule, but His special rule in relation with the Christologicl foundation. This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must be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theology and of missionary works. "하나님 나라"를 간략히 "하나님의 통치"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문제성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섭리적인 지배와 혼동할 수 있는 문제이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은 현 세계를 절대능력으로 다스리시면서 역사를 뜻대로 이끌어 나가신다. 여기 하나님의 다스리심 역시 하나님의 통치와 다를 바 없다. 이러한 경우에 현 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다스리심은 곧 하나님의 통치와 다를 바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다른 하나의 문제점은 현대선교신학의 강한 한 흐름으로서 에큐메니칼 선교가 강조하고 있는 하나님 선교(missio Dei)에서 표출되는 경향이다. 하나님 선교는 사회문제의 해결로 지상에 샬롬의 건설을 선교의 목적으로 내세운다. 그런데 그러한 샬롬 건설이 곧 하나님 나라이라는 것과 이러한 하나님 나라를 위한 기독교의 선교는 교회와 상관업서이 하나님이 세상에서 행하시는 모든 일이 곧 선교라는 입장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이해는 하나님의 섭리적인 일반 통치를 하나님 나라로 이해하는 경향에서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특수한 통치로 이해한다면 구속받은 공동체로서 교회를 배제하는 입장에서의 샬롬 건설을 기독교 선교의 목적인 하나님 나라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나님 나라를 하나님의 단순한 통치로 이해하기보다 하나님의 특별 통치, 즉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을 통하여 하나님과 화해가 이루어진 토대에서 하나님의 복된 통치로 강조하면서 그것의 타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하나님 나라의 선포에 회개의 촉구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하나님이 이미 세상을 통치하고 있는 영역과는 다른 특수한 통치라는 사실이다. (2) 예수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가르침에는 화목제물로서 자신을 영접하는 토대위에 있는 하나님의 복된 통치로서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3)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란 의미 역시 특수한 통치의 복된 소식이라는 사실이다. (4) 하나님 나라의 유일한 건설자인 예수 그리스도가 화해 사역을 위해 오셨다는 사실이다. (5) 성경은 현재 하나님의 지배 아래 있는 인간들이지만 그러나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는 사람이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상과 같은 성경적 고찰에 의하면 하나님 나라는 단순한 하나님의 통치라고 이해하기보다 특수한 통치로서 기독론적인 이해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수직적 차원이 무시되는 신학의 경향은 물론 기독교 선교가 단순히 사회 개선으로만 흐르는 경향들을 막아서면서 수직과 수평의 균형을 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16세기 종교개혁자들과 선교 : 개혁자들에게는 선교, 선교행위, 선교사상이 있었는가?

        이상규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4 고신신학 Vol.- No.6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attitude and theology of the 16th century Reformers whose world of thought has more of less influenced the later missionary development. Generally speaking, historians holds to the assumption that the Protestant Reformers had little interest in overseas missions. They believed that Reformers had rediscovered apostolic gospel but had no apostolic vision. Main figures who hold to this position were William Carey, Gustav Warneck, Stephen Neill, Kenneth Latoutette, and William R. Hogg, who shared this view with Cardinal Robert Bellarmine, a Roman Catholic polemicists. On the other hand, Karl Holl, Werner Elert, J. W. Montgomery, Van den Berg, Sidney Rooy, and Standford Reid, more modern historians, asserted that Reformers demonstrated missionary concern and missionary activities in their writings and reforming movement. According to the above scholars, Luther in fact in several places emphasized the need for proclaiming the gospel to pagans in Europe and elsewhere and se ha can see from S. Reid's article on Calvin were interested in mission. In this articles both opposite view were introduced and weighed on the basis of modern scholarship. As generally conceived, though Reformers did show interest in overseas missions, they were restricted in putting fully into action their theological conviction of the spreading gospel to all nations because of the situations the Reformers found themselves in. In this article, the writer influenced mission idea or missionary concern. Reformers were not active in overseas missions, not because of the hostile Roman Catholic world, bue because of their theology. 이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의 선교, 선교사상, 선교활동에 대한 태도와 관심에 대한 연구로서, 개혁자들에게는 선교나 선교사상이 없거나 미미하다고 보는 부정적인 견해와 개혁자들에게는 분명한 선교사상과 선교 행위가 있었다는 긍정적인 견해, 이 양 견해를 검토하였다. 비록 개혁자들에게 복음의 외연에 대한 고나심과 선교사상이 표명되었다 할지라도 그것은 일차적인 관심일 수 없었고, 당시의 외적 상황 때문에 선교활동에 적극적일 수 없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런데 이 논문에서는 개혁자들이 선교, 선교사상, 선교활동에 적극적이지 못한 것은 저들이 처한 16세기 로마 카토릭적인 환경 때문이라기보다는 저들의 신학, 특히 교회론에 기인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예컨대 루터와 루터교회의 영방 교회적 성격 자체가 선교의 필요성을 감쇄시키는 요인이었음을 지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